KR20000003378A -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378A
KR20000003378A KR1019980024608A KR19980024608A KR20000003378A KR 20000003378 A KR20000003378 A KR 20000003378A KR 1019980024608 A KR1019980024608 A KR 1019980024608A KR 19980024608 A KR19980024608 A KR 19980024608A KR 20000003378 A KR20000003378 A KR 20000003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lan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재용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2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378A/en
Publication of KR2000000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37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4Relative 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brake a car and warn the dangerous situa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s car and the front running car, using the stereo vision. CONSTITUTION: The car bump preventing device comprises:a stereo vision installed on the upper area of a filler in a front side of a ca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front subject with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zooming control signal to put out the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the distance measuring information from the front car and the traveling lane information by compensating and operating the car of the stereo image signal put out from the stereo vision; a velocity detect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velocity of a car; and a controller for warning the lane separation when the lane separating time is more than the set time.

Description

자동차의 추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nti-colli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 자동차와의 거리 및 도로상의 차선을 검출하여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collision by detecting a distance from a front vehicle and a lane on a road.

자동차 운행시 운전자의 부주의나 시계의 불량 등으로 앞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추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즉, 장거리 운전시, 우천시 또는 야간 운전시 시계 불량 및 운전자의 집중력 부족 등으로 인한 차선 이탈과 전방 주행 차량과의 추돌에 의한 교통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초보 운전자 등과 같이 운전이 미숙한 사람은 전방의 주행 차량과의 거리 간격 및 주행 속도를 가늠할 수 없이 추돌 사고를 발생하게 된다.When driving a car, a car collides with a vehicle traveling in front of the driver due to carelessness or poor watch. That is, traffic accidents due to lane departure due to poor visibility and lack of driver's concentration during long distance driving, rainy weather or night driving, and collision with the driving vehicle are increasing. In addition, an inexperienced driver, such as a novice driver, may cause a collision accident without being able to estimate the distance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 front of him.

상기와 같은 추돌 방지를 위하여, 자동차에 근거리 레이다를 부착한 추돌 방지 시스템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추돌 방지 방식은 전방 주행 차량과의 거리 계측은 비교적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나 자동차의 주행 차선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레이다를 이용한 추돌 방지 시스템은 특히 주행시 곡선 차선을 주행하거나 요철 차선을 주행하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없이 추돌 방지 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collision, a collision prevention system having a near radar attached to a vehicle has been devised. However, in the collision avoidance method, the distance measurement with the front driving vehicle can be detected relatively accurately, but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cannot be detected. In addition, 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ing the rada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perform the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without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in front of the curved lane or the uneven lane during driv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다를 부착한 종래의 추돌 방지 시스템은 다수의 레이더를 차량 전방에 부착하여 여러 방향의 차량 거리 정보를 검출하거나 또는 스캐닝 방식을 사용하여 레이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레이다의 관측 범위 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추돌 방지 시스템은 레이다의 관측 범위 조정이 복잡해지며, 또한 관측 범위의 한계를 갖게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ventional anti-collision system having the radar attached to a plurality of radar in front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in various directions, or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radar using a scanning method Using the method,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fixing the radar view range. However, such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complicates the adjustment of the radar view range and also has a limitation of the view ran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 비젼(stereo vision)를 이용하여 자기 차량[이하 "자차(自車)"라 칭함]와 전방 주행 차량과의 거리를 계측하여 위험 상황시 제동 및 경고할 수 있는 추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llisions by braking and warning in a dangerous situa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r") and a driving vehicle using stereo vision. A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전방의 사이드 필러(A-pillar)의 상부의 양측에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부착하여 전방 주행 차량과의 거리 및 주행 차선 정보를 검출하여 전방 주행 차량과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t least two camera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pillar (A-pillar) in front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distance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with the front driving vehicle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front driving vehicle A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 방지장치는 차량의 앞측의 A-필러 상부 각각에 설치되며, 줌잉(zooming)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크기로 전방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카메라와,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차를 보상하고 연산하여 전방 차량과의 거리계측정보 및 주행차선정보를 발생하는 화상 처리기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와, 상기 거리계측정보의 영상정보량이 미리 설정된 영상정보량을 보다 적을 때 줌잉(zooming)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로 공급함과 동시에 거리계측정보를 분석하여 전방차량과 주행 차량의 속도 및 거리에 따른 측정거리를 연산하며, 상기 측정거리가 안전거리 미확보일 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추돌위험을 경고하고, 상기 차선정보를 분석하여 차선이탈이 설정시간 초과시 차선 이탈을 경고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nti-collis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ach of an upper A-pillar in front of a vehicle, and captures an image of a front subject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a zooming control signal. Compensating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respectively, and outputting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with the front vehicle. An image processor, 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 zooming control signal generated when th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of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image information, and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t the same time,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is analyzed to calculate the measur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driving vehicle. At the same time warning the collision risk to do,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the lane information, consisting of a controller of the lane departure is a lane departure warning the set time is excee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돌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tor vehicle provided with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llision prevention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 방지 시스템은 자동차 앞부분의 "A"필러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스테레오 비젼을 이용하여 전방 주행차량의 인식 및 거리 정보 그리고 주행 차선 정보등을 검출한 후, 이들 검출 정보들과 현재 주행 속도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추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동시에 추돌이 예상될 시 자동으로 제동하여 추돌을 방지한다.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front driving vehicle and detects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by using stereo vision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 pillar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en detects th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driving speed, it warns of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automatically brakes when a collision is expected to prevent the colli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돌 방지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의 외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추돌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A"필러의 상부에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스테레오 비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레오 비젼은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A"필러 상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는 전방 주행 차량 및 주행 차선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전면 유리창(wind-shield)의 좌우측의 "A"-필러들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은 차량이 차선 범위 내에서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된 두개의 차선과 앞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후면이 잘 인식할 수 있는 각도(angle)를 갖도록 설치되었다고 가정한다.1 illustrates an exterior structure of an automobile having a collision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ollision prevention system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stereo vision that generates an image signal by photographing a subject in front of an “A” pillar of a vehicle. The stereo vision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installed on two “A” pill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are installed on the “A” pilla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shield to easily detect the front driving vehicle and the driving lane.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are two lanes position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being drive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hicle traveling in fro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normally runs within the lane range. Assume that it is installed to have a well recognizable angle.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이 제1 및 제2카메라 12, 14가 설치된 추돌 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은 전방 주행 차선 및 주행 차선 상의 주행 차량 등의 화상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의 피사체의 촬상 각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카메라 12, 14들은 줌잉 제어신호 CTL1, CTL2에 따라 랜즈를 줌인(zoom in) 혹은 줌 아웃(zoom out)하여 피사체를 근거리 혹은 원거리로 촬상되게끔 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은 이미 잘 알려진 CCD(Charge Coupled Divice)를 채용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므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llision preven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detect and output image information such as a front driving lane and a traveling vehicle on the driving lane. In this case, the imaging angles of the subjects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are set differentl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may zoom in or zoom out the lens according to the zooming control signals CTL1 and CTL2 so that the subject may be captured at a near or far distance. Such first and second cameras 12. 14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using a video camera employing a well-known CCD (Charge Coupled Division).

제1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1st Analog to Digital Converter)(이하 "ADC"라 칭하며, 첨자를 붙혀 표기함) 16와 ADC2 18들은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아나로그의 화상 신호를 디지탈 화상 데이타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기 20으로 입력시킨다.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상기 ADC1 16과 ADC2 1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처리하고, 처리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로부터 주행 차선 정보 및 주행 차량을 인식하여 차선정보 LD 및 거리정보 DD를 발생한다.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현재 영상신호 처리시스템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이미지 프로세서(image 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정보 DD는 앞차량과 자차간의 거리를 계측하여 얻은 거리 계측 영상 정보이다.1st Analog to Digital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DC " and subscripted) < RTI ID = 0.0 > 16 < / RTI > and ADC2 18 are the analog output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respectively. The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digital image data and input to the image processor 20. The image processor 20 processes the digit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ADC1 16 and the ADC2 18, respectively, and recognizes the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the traveling vehicle from the processed digital image data to generate the lane information LD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DD. The image processor 20 may use an image processor commonly used in the current image signal processing system. Here, the distance information DD is distance measurement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host vehicle.

상기 화상 처리기 20에서 차선정보 LD와 거리정보 DD를 검출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lane information LD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DD in the image processor 20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차선정보 LD을 인식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도로 상의 차선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다. 통상 도로교통법에서 규정된 차선은 실선 및 점선으로 구성되며, 또한 중앙선은 다른 색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서의 화상 데이타는 실선 또는 점선으로 구분되며, 또한 일반차선 및 중앙선에 따라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데이타가 상이하게 검출된다. 즉, 크로마(색상)의 데이타가 다르게 된다.First, an operation of recognizing lane information LD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lanes on the road have a certain shape. Normally, the lane prescribed by the Road Traffic Law consists of a solid line and a dotted line, and the center line has a different color. Therefore, the image data in the digital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and the data of the digital image data is det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eneral lane and the center line. In other words, the chroma (color) data is different.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ADC1 16과 ADC 1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두 개의 화상 데이타에서 일정한 크기 점선 연속성 또는 실선의 형태를 갖는 화상 데이타를 차선 정보로 인식하며, 또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값(색상)을 분석하여 일반차선 또는 중앙 차선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선 폭은 일정한 크기를 갖게되며, 상기 제1, 제2카메라 12, 14에서 출력되는 화상 정보는 차량의 주행 위치에 따라 변화된 차선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The image processor 20 recognizes image data having a constant size dotted line continuity or solid line as lane information from two image data output from the ADC1 16 and the ADC 18, and analyzes digital image data values (colors). The lane or center lane will be recognized. The lane width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may detect lan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즉, 주행중인 자량이 전방에 위치되는 차선 범위 내로 안정되게 주행되면 차량의 우측 및 좌측의 "A"필러의 상부에 각각 위치된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들 각각으로부터는 두개의 차선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이 차선을 타고 주행하게 되면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여 달리고 있음을 갖는 화상 정보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상기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른 차선정보 LD를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driving amount is stably driven within the lane rang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two lan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located at the top of the "A" pillar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The image information having the shape is generated, and when the vehicle travels in the lane, the image information having the running away from the lane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or 20 analyzes the digital image data to generate lane information L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두번째로 전방에 주행 중인 차량의 거리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상기 ADC1 16 및 ADC 1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서 상기 인식한 차선의 전방에 존재하는 차량을 인식한 후, 전방 주행 차량과의 거리를 연산 계측하여 거리정보 DD를 발생한다. 상기 인식된 차선의 전방에 주행 중인 차량이 있으면, 상기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해당 차량의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카메라 12, 1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전방 주행 차량과의 자신의 차량 간에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게되며, 이런 거리 정보는 미리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econdly, the process of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of a vehicle driving ahead is described. The image processor 20 recognizes a vehicle existing in front of the recognized lane from the digit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ADC1 16 and the ADC 18, and calculates and measures the distance with the vehicle traveling ahead of time to generate distance information DD. . If there is a vehicle driving in front of the recognized lane, the digital image data includes image data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igit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respectively,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vehicle,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is experimentally measur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상기 디지탈 화상 데이타로 부터 전방 주행 차량과의 간격을 검출하고, 이 검출 값을 상기 측정 값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차량과의 거리정보 DD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기 20은 상기 ADC1 16 및 ADC2 1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카메라 12, 14의 화상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거리정보 DD의 오차를 보정한다.Accordingly, the image processor 20 detects a distance from the digital image data to the vehicle traveling ahead, compares the detected value with the measured values, and generates distance information DD with the vehicle.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0 compares the imag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output from the ADC1 16 and the ADC2 18 to correct the error of the distance information DD.

입력부 28은 자동차 내부의 전면 패널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 추돌 방지를 위한 안전거리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 차선 이탈을 경고하기 위한 기준시간 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 등을 구비하며,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 22에 공급한다.The input unit 28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safety distance value for preventing a vehicle collision,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reference time value for warning lane departure, and the like. The input signal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22.

속도 검출기 30은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22에 출력한다. 제동장치 32는 자동차의 제동 기능을 담당하며, 운전자의 페달 조작 이외에 상기 제어부 22의 제어하에 제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경고 발생기 26은 상기 제어부 22의 제어하에 추돌 및 차선 이탈 등을 경고하기 위한 표시 및 경고음 등을 발생한다. 상기 경고 발생기 26은 운전자의 전면 패널 상의 표시부 및 스피커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추돌 방지 및 차선 이탈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 24는 롬 및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peed detector 30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being driven and outputs the speed to the controller 22. The braking device 32 performs a braking function of the vehicle, and performs a brak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in addition to the driver's pedal operation. The warning generator 26 generates an indication and a warning sound to warn of collision and lane depar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The warning generator 26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on the driver's front panel. The memory 24 performs a program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vehicle collision prevention and lane departure prevention, and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4 may include a ROM, a RAM, and the like.

제어부 22는 상기 입력부 28로 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의해 추돌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거리 데이타 및 차선 이탈을 경고하기 위한 기준시간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 2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22는 화상 처리기 20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선정보 LD 및 거리정보 DD를 입력하며, 상기 메모리 24에 저장된 안전거리 값과 상기 거리정보 DD를 비교 연산하여 추돌 상태 발생 유무를 판단하며, 추돌 위상 상황 발생시 경고 발생기 26에 경고 데이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22는 차선정보 LD를 입력하며, 상기 차선 이탈이 상기 기준시간을 경과할 시 상기 경고 발생기 26에 경고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 22는 상기 기능 이외에 거리 계측 영상 정보량인 거리정보 DD를 미리 설정된 설정 영상 정보량과 비교하여 제1, 제2카메라 12 및 14의 줌인/줌아웃(zoom-in/zoom-out)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CTL1, CTL2를 발생한다.The controller 22 inputs safety distance data for performing the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and reference time data for warning of lane departure by the function key input from the input unit 28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4.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 inputs lane information LD and distance information DD outpu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20, compares the safety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4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DD, and determines whether a collision state is generated and a collision phase situation. Output warning data to warning generator 26 when it occurs.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 inputs lane information LD, and outputs warning data to the warning generator 26 when the lane departure passes the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22 controls zoom-in / zoom-out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 and 14 by compa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DD which is the distance measurement image information amount with the preset set image information amount,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 Generate signals CTL1 and CTL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추돌 방지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llision preve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 22는 도 3의 34단계에서 입력부 28을 스캔하여 입력 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36단계에서 상기 안전거리를 등록하기 위한 데이타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거리는 전방 주행 차량과 추돌 방지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를 설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즉, 상기 안전거리는 전방 주행 차량의 속도, 자신의 차량의 속도 및 두 차량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급제동시 충돌되지 않을 수 있는 절대거리 보다 여유가 있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안전거리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 22는 3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24에 상기 입력된 안전거리 데이타를 출력하여 등록한다. 상기 안전거리 데이타의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 22는 40단계에서 기준시간을 등록하기 위한 데이타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시간이란 주행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할 시 경고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값을 의미한다. 상기 기준시간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 22는 42단계에서 상기 기준시간 값을 상기 메모리 24에 출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시간 값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 22는 44단계에서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돌 경고 및 차선 이탈 경고 등은 사용자가 옵션으로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 설정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 22는 34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36및 40단계에서 입력상태를 검색 판단하고, 38단계 및 42단계에서 해당 상태의 데이타를 메모리 24에 등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2 scans the input unit 28 in step 34 of FIG. 3 to check for an input. In this case, if an input signal is detected, it is checked whether data for registering the safety distance is registered in step 36. Here, the safety distance means a value for setting a distance for generating a collision avoidance warning with a front driving vehicle. That is, the safety distance means a distance that allows more than an absolute distance that may not collide upon sudden braking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the front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hicles. When the safety distance value is input, the controller 22 outputs and registers the input safety distance data in the memory 24 in step 38. If the safety distance data is not input, the controller 22 checks whether data for registering a reference time is registered in step 40. Here, the reference time means a tim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warning occurs when the time that the driving vehicle leaves the lane exceeds a preset time. When the reference time value is input, the controller 22 outputs and registers the reference time value to the memory 24 in step 42. If it is not the reference time value, the controller 22 processes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in step 44. That is, the collision warning and the lane departure warn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the user as an option. Therefore, when the function setting input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2 recognizes this in step 34, searches for and determines the input state in steps 36 and 40, and registers data of the state in the memory 24 in steps 38 and 42. .

상기와 같이 안전거리 및 기준시간 값을 등록하게 되면, 이후 추돌 방지 및 차선 이탈을 경고하기 위한 루틴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안전거리 및 기준시간 값의 등록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거리 및 시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안전거리 및 시간 값을 등록하는 경우를 예로하고 있지만, 차량 제작시 설정된 기준시간 및 거리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safety distance and the reference time value is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a routine for preventing collision and warning lane departure is then performed. However, the registration of the safety distance and the reference time value may use a distance and time value set as a default. That i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driver registers a desired safety distance and time value is taken as an example, but a reference time and distance value set when the vehicle is manufactured may be used.

상기 34단계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 22는 46단계에서 추돌 방지 기능이 설정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추돌 방지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 22는 48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기 20에서 출력되는 거리정보 DD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 24에 저장한다. 그리고, 4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22는 입력된 거리정보 DD인 계측 영상 정보량이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량과 같거나 거의 유사한 가를 비교검색 한다.If the input signal is not detected in step 34,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whether a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is set in step 46. In this case, when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is set, the controller 22 inputs the distance information DD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0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4 in step 48. In step 49, the controller 22 compares and searches whether the measured image information amount, which is the input distance information DD, is equal to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preset image information amount.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량이라 함은 화상 처리기 20에서 화상 데이타를 처리하여 비교적 정확한 거리정보 DD를 연산할 수 있도록 설정된 정보량이다. 상기 비교 검색결과 계측 영상 정보량이 미리설정된 영상 정보량 보다 허용오차를 초과하는 양으로 오차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 22는 50과정에서 줌인 혹은 줌아웃하기 위한 줌잉 제어신호 CTL1, CTL2를 제1 및 제2카메라 12, 14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거리 계측 정보량이 설정된 정보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줌인 제어신호를, 많은 경우에는 줌아웃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상신호의 양을 조절한다.Here, the preset image information amount is an information amount set so that the image processor 20 can calculate image data with relatively accurate distance information DD by processing the image data.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parison search result when the measured image information amount exceeds the preset image information amount, the control unit 22 receives zooming control signals CTL1 and CTL2 for zooming in or out in 50 steps. , 14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amount is smaller than the set information amount, the zoom-in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in many cases, the zoom-out control signal is output to adjust the amount of the image signal.

만약, 상기 49단계에서 계측 영상 정보량이 설정 영상 정보량에 근접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 22는 51단계에서 상기 화상 처리기 20로부터 출력되는 차선정보 LD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 2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22는 52단계에서 상기 속도 검출기 30에서 출력되는 현재의 차량 주행 속도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24에 저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9 that the measured image information amount is close to the set image information amount, the controller 22 inputs the lane information LD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0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4 in step 51.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 inputs the current vehicle traveling speed output from the speed detector 30 in step 52 and stores the current vehicle driving speed in the memory 24.

이후 상기 제어부 22는 54단계에서 상기 현재 주행 속도와 상기 거리정보 DD와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를 비교하여 측정 거리를 연산한다. 즉, 상기 제어부 22는 54단계에서 상기 거리정보 DD과 현재의 주행 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전방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른 상대적인 측정거리를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거리 값은 전방 차량의 현 주행속도, 자신의 차량의 주행 속도 및 두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측정거리 값을 연산한 후, 제어부 22는 56단계에서 상기 측정거리와 안전거리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측정거리가 안전거리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 22는 58단계에서 제동장치 32를 제어하여 제동을 시작하며, 경고발생기 26을 제어하여 안전거리 미확보에 따라 추돌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한다. 이때 경고는 표시 및 경고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6단계에서 측정거리가 상기 절대거리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동장치 32를 제어하여 급제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58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 22는 상기 48단계로 되돌아가 위와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In step 54, the controller 22 calculates the measured distance by comparing the current driving speed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DD and a preset safety distance. That is, the controller 22 compares the distance information DD with the current traveling speed and calculates a relative measur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front vehicle in step 54. The measurement distance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traveling speed of the front vehicle, the traveling speed of the own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hicles. After calculating the measurement distance value by the above process, the controller 22 compares the measurement distance and the safety distance in step 56.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afety distance, the controller 22 controls the braking device 32 to start braking in step 58, and controls the warning generator 26 to war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ding according to the incomplete safety distance. At this time, the warning can be output as an indication and a warning sound. In addition, in step 56, when the measured distance approaches the absolute distance, the braking device 32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rapid braking. After performing step 58, the controller 22 returns to step 48 to repeat the above process.

상기 56단계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안전거리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 22는 측정거리가 안전거리 값 보다 큰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 22는 60단계에서 제동 및 경고 기능을 해제하고, 62단계에서 상기 차선정보 LD를 입력하여 주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고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경우, 상기 제어부 22는 62단계에서 차선 이탈을 감지하고, 68단계에서 차선 이탈 시간을 누적한 후, 70단계에서 상기 차량 이탈 시간이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34단계로 되돌아가며, 챠랑 이탈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72단계로 진행하여 경고발생기26를 통해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고 있음을 경고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 22는 6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6단계에서 이제까지 누적하고 있는 차량 이탈 시간을 초기화하며, 66단계에서 경고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34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56,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afety distance,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that the driving vehicle is normally operated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afe distance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 releases the braking and warning function in step 60, and inputs the lane information LD in step 62 to check whether the driving vehicle is leaving the lane.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driving away from the lane, the controller 22 detects the lane departure in step 62, accumulates the lane departure time in step 68, and then, in step 70, does the vehicle departure time exceed the set reference time? Check it. In this case, if the reference time is not exceed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4. If the vehicle departure time exceeds the reference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2 to warn that the vehicle is leaving the lane through the warning generator 26. However, if the vehicle has not left the lane, the controller 22 detects this in step 64, initializes the vehicle departure time that has accumulated so far in step 66, releases the warning function in step 66, and proceeds to step 34.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돌 방지 기능이 설정되면 자동적으로 차선 이탈 기능이 설정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추돌 방지 기능과 차선 이탈 경고 기능을 분리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34단계와 같이 차선 이탈 경고 기능의 등록 유무를 확인하는단계를 추가하면 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e departure function is automatically set when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is set. However,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and the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may be separately performed. In this cas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ne departure warning function is registered in step 34 may be add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추돌 방지 방법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스테레오 비젼(stereo vision system)을 이용하여 거리계측, 전방 차량의 인식 및 차선 등을 인식하며, 상기 비젼 시스템에서 구한 거리 영역에서 상기 목표 차량의 거리를 측정했을시 발생되는 오차를 줌잉의 제어에 의해 최소화하게된다. 상기 추돌 방지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추돌 위험을 감지하여 제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llision avoidan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distance measurement, recognition of a vehicle ahead of the vehicle, and lanes by using a stereo vision system using two cameras, and the target vehicle in the distance area obtained by the vision system. The error that occurs when the distance is measured is minimized by the control of zooming. The collision prevention method may detect and brake a collision risk by using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을 부착하여 전방 주행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범위의 확장 및 정확성을 기하여 추돌 위험성을 예측하므로써 자동차의 추돌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젼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여 무인 자동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추돌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므로써 교통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ttaching the stereo vision system to the vehicle and predicting the collision risk based on the expansion and accuracy of the measurement distance with the front driving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unmanned vehicle system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by using the vision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traffic environment 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Claims (4)

자동차의 추돌 방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of the automobile, 차량의 앞측의 필러 상부에 설치되며, 줌잉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크기로 전방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스테레오 비젼과,A stereo vision installed on an upper pillar of the vehicle and capturing an image of a front subject in a size corresponding to a zooming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스테레오 비젼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 영상신호의 차를 보상하고 연산하여 전방 차량과의 거리계측정보 및 주행차선정보를 발생하는 화상 처리기와,An image processor for compensating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stereo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stereo vision and generating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riving lane information with a front vehicle;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와,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상기 거리계측정보의 영상정보량이 미리 설정된 영상정보량을 보다 적을 때 줌잉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테레오 비젼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거리계측정보를 분석하여 전방차량과 주행 차량의 속도 및 거리에 따른 측정거리를 연산하며, 상기 측정거리가 안전거리 미확보일 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추돌위험을 경고하고, 상기 차선정보를 분석하여 차선이탈이 설정시간 초과시 차선 이탈을 경고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차의 추돌 방지 장치.When the amount of video information of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amount of video information, a zoom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stereo vision,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is analyzed to calculate the measur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driving vehic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braking function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not secured at the same time and to warn of a collision risk, and to analyze the lane information to warn the lane departure when the lane departure exceeds a preset time. Preven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비젼은 차량의 앞측의 A-필러 상부 각각에 설치되며, 줌잉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크기로 전방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카메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차의 추돌방지 장치.The first and second stereo vision apparatuses of claim 1, wherein the stereo vision is installed at upper portions of the A-pillars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re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a front subject and output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zooming control signal. Collision prevention device for a differential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ameras. 자동차의 추돌 방지방법에 있어서,In the collision prevention method of the car, 자동차의 A필러의 상부에 각각 위치된 제1 및 제2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방 차량의 화상신호로부터 전방 차량과 주행 차량의 속도 및 거리를 연산하여 거리정보를 연산하는 과정과,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speed and a distance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driving vehicle from image signals of the front vehicle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A pillar of the vehicle; 상기 거리정보의 계측 영상 정보량이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량에 근접할 때 전방차량과 주행 차량의 속도 및 거리에 따른 측정거리를 연산하며, 상기 측정거리가 안전거리 미확보일 시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추돌 위험을 경고하는 과정과,When the measured image information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close to the preset image information amount, the measurement distan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driving vehicle. To warn you, 상기 과정에서 정상일 시 상기 카메라로 부터 차선정보를 입력하여 차선이탈 여부를 검사하며, 차선이탈이 설정시간 초과시 차선 이탈을 경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 방지방법.And checking lane departure by inputting lan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when it is normal in the process, and warning lane departure when the lane departure exceeds a preset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정보의 계측 영상 정보량이 미리 설정된 영상 정보량의 허용오차를 초과할 때 줌잉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카메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차의 추돌 방지 방법.4. The collision avoidanc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zooming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when the measured image information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exceeds a tolerance of a preset image information amount.
KR1019980024608A 1998-06-27 1998-06-27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000033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608A KR20000003378A (en) 1998-06-27 1998-06-27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608A KR20000003378A (en) 1998-06-27 1998-06-27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78A true KR20000003378A (en) 2000-01-15

Family

ID=1954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608A KR20000003378A (en) 1998-06-27 1998-06-27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37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10B1 (en) * 2009-12-03 2011-04-22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Obstacle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455847B1 (en) * 2013-02-04 2014-10-27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Digital tachograph with black-box and lane departure warning
KR20220135323A (en)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afe distance alarm method using camera
CN116176524A (en) * 2023-03-21 2023-05-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Brake pedal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10B1 (en) * 2009-12-03 2011-04-22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Obstacle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455847B1 (en) * 2013-02-04 2014-10-27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Digital tachograph with black-box and lane departure warning
KR20220135323A (en)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afe distance alarm method using camera
CN116176524A (en) * 2023-03-21 2023-05-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Brake pedal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CN116176524B (en) * 2023-03-21 2024-05-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Brake pedal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17791B (en) Lane change assist device
JP5421072B2 (en) Approaching object detection system
EP1564703B1 (en) Vehicle driving assist system
EP3290301B1 (en) Parking assist device
EP25792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9891262B (en) Object detecting device
US10535264B2 (en)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object detection method
EP3188156B1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1001311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region surrounding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3246243B2 (en) 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KR20070091931A (en) Vehicles automatic park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o use distance sensor and camera
JP2005309797A (en) Warning device for pedestrian
CN112721806A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blind zone of gradient road section
JP4848644B2 (en) Obstacle recognition system
JP2004310522A (en) Vehicular image processor
JPH1062162A (en) Detector for obstacle
JPH0981757A (en) Vehicle position detecting device
KR20000003378A (en) Car bump preve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16195A (en) Driving assista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H09272414A (en) Vehicle control device
EP3627448A1 (en) Vis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JP2004310525A (en) Vehicular image processor
JP6811497B1 (en) Self-driving car
Fuerstenberg et al. Object tracking and classification using laserscanners-pedestrian recognition in urban environment
JP2022060118A (en) Section line recogn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