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498A - Received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ceived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498A
KR20000002498A KR1019980023290A KR19980023290A KR20000002498A KR 20000002498 A KR20000002498 A KR 20000002498A KR 1019980023290 A KR1019980023290 A KR 1019980023290A KR 19980023290 A KR19980023290 A KR 19980023290A KR 20000002498 A KR20000002498 A KR 2000000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ign language
received
measure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0459B1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459B1/en
Publication of KR2000000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98A/en
Priority to KR1020060077350A priority patent/KR1007443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4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Abstract

PURPOSE: A received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received volum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and the noise. CONSTITUTION: The received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comprises: a volum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olume of the surrounding voice put in through a microphone and the received voice; a received volume control unit(150) for putting out the received volume by controlling the volume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and a control unit(120)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voice and the received volume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and for controlling the received volume through the received volume control unit(150)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Description

수화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주위의 소음에 의해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sign language volume by ambient noise in a telephone.

통상적으로, 전화기의 수화음은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시에 기 설정된 음량에 따라서 발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화음의 발생은 주위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서 많은 곤란을 야기하고 있다.Typically, the handset of the telephone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volume when a telephone call is made. However, the occurrence of the sign language is causing a lot of difficulties because it can not actively cop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예를 들어 수화음량이 크게 설정된 경우, 조용한 환경에서 통화할 시에는 수화음이 크게 들려 타인에게 통화 내용이 알려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음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청각 세포를 지나치게 자극하였다. 이뿐 아니라 수화음량이 작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지하철 안과 같이 주위의 잡음이 많은 지역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시 통화 내용을 파악하지 못했다. 그래서 사용자는 고성을 내어 통화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he loudness of the handset is set, when the call is made in a quiet environment, the handset may be loudly heard and the contents of the call may be known to others. If the volume was too loud, the auditory cells were excessively stimulated. In addition, when the sign language volume is set low, the user could not grasp the contents of the call when the call is made in a noisy area around the subway. Therefore, the user often calls with anger.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황은 수화음량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수신되는 음성이 작게 수신되거나 크게 수신될 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된다.In the above situation, despite the adjustment of the sign language volume, the same problem occurs when the received voice is received small or loud.

예를 들어 수신되는 음성이 시스템이나 통화 상대자의 단말기 문제로 인하여 작게 수신되면 통화 내용을 파악하지 못했다. 또한 수신되는 음성이 크게 수신되면 통화 내용이 타인에게 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if a voice received is small due to a problem in the system or a caller's terminal, the call cannot be understood.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voice is largely recei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call are known to othe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소음에 의해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발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which is generat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ydration volume by ambient noi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한 소음을 세 단계로 나누어 상기 각각의 단계에 따라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measured noise into three stage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ydration volume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step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측정하여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 language volume by measuring a volume of a received vo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세 단계로 나누어 상기 각각의 단계에 따라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ividing a volume of a received voice into three stages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each st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위의 소음을 측정하고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easuring the ambient nois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ign language volume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상기 각각의 단계에 따라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sign language volume by dividing it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volume of a received vo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측정과 소음의 측정이 일정 시간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하거나 일정 시간동안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easuring a received voice signal and measuring a noise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이나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따라 계속해서 수화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 noise or a volume of a received vo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전화기의 수화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위의 음성과, 수신되는 수화음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음량에 따라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수화음량 조절부와, 상기 음량 측정부를 통해 주위의 음성과, 수신되는 수화음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에 따라 상기 수화음량조절부를 통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adjusting a loudness of a telephone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comprising: a volum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voice of a surrounding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a volume of a received voic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utput volume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and the surrounding voice and the received speech signal through the volume measurement unit, and measure the volume of the signal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to generate the control,

주위의 소음을 측정하는 제 1 과정과,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음성 신호가 수신될 시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측정한 소음과 상기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의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ep of measuring ambient noise,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 call path is connected, a third step of measuring a volume of voice received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the measured noise and the received And a fourth process of adjusting and output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vo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specific circui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 120은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 110은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 120으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 100은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된다. 음량 측정부 130은 마이크 160을 통해 입력되는 주위의 소음을 측정한다. 상기 음량 측정부 130은 마이크 160이 주변의 소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상기 변환한 신호를 통해 소음을 측정한다. 또한 RF부 18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측정하여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측정한다. 표시부 14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표시부 140은 상기 제어부 120의 제어를 받아 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마이크 160은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증폭부 190으로 전달한다. 스피커 170은 증폭부 190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RF부 180은 상기 제어부 120의 제어를 받으며, 증폭부 19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한 RF부 18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증폭부 190은 마이크 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RF부 18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증폭부 190은 스피커 170과 마이크 160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RF부 180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 및 각종 송수신 데이터를 증폭한다. 수화음량 조절부 150은 제어부 12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 170으로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을 조절한다.The controller 120 of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key input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key data to the controller 120 by an external operation. The memory 100 is composed of a ROM storing an operating program,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EEPROM and a RAM. The volume measuring unit 130 measures ambient nois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60. When the microphone 160 converts the ambient nois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noise, the volume measuring unit 130 measures the noise through the converted signal.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RF unit 180 to measure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The display unit 140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The microphone 160 receives the voic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mplifier 190. The speaker 170 outputs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190. The RF unit 18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20 and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190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RF unit 180 converts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desired signal and outputs it. The amplifier 190 modulat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60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The amplifier 190 demodulat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80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a speaker. That is, the amplifier 190 amplifies the signal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70 and the microphone 160,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and vari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output through the RF unit 180.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ler 150 adjusts the volume of the voice output to the speaker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2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마이크 160을 통해 입력되는 주위의 소음을 음량 측정부 130을 통해 측정한다. 측정한 소음은 하기 표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step 200, the controller 120 measures the ambient nois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60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130. The measured noise may be shown in Table 1 below.

소음noise 소음[dB]Noise [dB] Prize 80 이상80 or more medium 40 ~ 8040 to 80 Ha 40 이하40 or less

상기 소음의 측정은 일정 시간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초 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1 초동안 2초 간격으로 3회 측정할 수 있다. 21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연결되었나 검사한다. 통화로가 연결되었으면 2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통화로가 연결되기를 기다린다. 22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210 단계에서 측정한 소음에 따라서 소음이 "상"인가 검사한다. 즉 예를 들어 표 1에서 나타냄과 같이 측정된 소음이 80 데시벨 이상일 시에 230 단계로 진행하고, 80 데시벨 이하인 경우 240 단계로 진행한다. 23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량을 "상"으로 출력한다. 24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예를 들어 소음의 음량이 40~80 데시벨 정도인지 검사한다. 소음이 40 데시벨 이상이면 250 단계로 진행하고 40 데시벨 이하이면 260 단계로 진행한다. 25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량을 "중"으로 출력한다. 26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량을 "하"로 출력한다. 27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끊겼는지 검사한다. 통화로가 끊겼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280 단계로 진행한다. 28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다음 210 단계로 돌아간다. 즉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수신되는 수화음량을 측정하여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한다.The measurement of the noise may be measured for a certain time or a certain number of times during a certain time.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for 3 seconds or 3 times at 2 second intervals for 1 second. In step 210,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call path is connected. If the line is connected, proceed to step 220; otherwise, continue to wait for the line to be connected. In step 220,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noise is “up” according to the noise measured in step 210.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noise as shown in Table 1 is 80 decibels or more proceeds to step 230, and if it is 80 decibels or less proceeds to step 240. In step 230,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sign language volume “up” to the speaker 170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In step 24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volume of the noise is about 40 to 80 decibels. If the noise is above 40 decibels, go to step 250; if it is below 40 decibels, go to step 260. In step 250, the controller 120 outputs a sign language volume to the speaker 170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ler 150 as "medium". In step 260,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the sign language volume to the speaker 170 as "low"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In step 27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If the call is lost, end the program; otherwise, proceed to step 280. In step 280, the controller delays the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o step 210. In other words, during the call, the received volume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he volume is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난 흐름도는 수신되는 수화음량을 측정하여 수화음량을 조절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30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통화로가 연결되면 3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통화로가 연결되는지 검사한다. 31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RF부 18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음량 측정부 130을 통해 음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하기 표 2과 같다.3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djusting the received volume by measuring the received sign language volume. First, in step 30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a call path is connected. If the call path is connected, proceed to step 310; otherwise, continue checking wheth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In step 310, the controller 120 measures the volume of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80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130. For example, it is shown in Table 2 below.

수화음량Sign Language Volume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dB]Volume of incoming voice [dB] Ha 80 이상80 or more medium 40 ~ 8040 to 80 Prize 40 이하40 or less

상기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 측정은 일정 시간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초 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1초동안 2초 간격으로 3회 측정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310 단계에서 측정한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따라서 수화음량이 "상"인가 검사한다. 즉, 예를 들어 표 1에서 나타냄과 같이 측정된 소음이 80 데시벨 이상일 시에 330 단계로 진행하고, 80 데시벨 이하인 경우 340 단계로 진행한다. 33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을 "하"로 출력한다. 34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예를들어 측정된 소음이 40~80 데시벨 정도인지 검사한다. 소음이 40 데시벨 이상이면 350 단계로 진행하고 40 데시벨 이하이면 360 단계로 진행한다. 35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을 "중"으로 출력한다. 36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수화음을 "상"으로 출력한다. 37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끊겼나 검사한다. 통화로가 끊겼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380 단계로 진행한다. 38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다음 310 단계로 돌아간다.The volum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voice may be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for 3 seconds or 3 times at 2 second intervals for 1 second. In step 320,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sign language volume is “up”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measured in step 310.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noise as shown in Table 1 is 80 decibels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0, and if it is 80 decibels or les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40. In step 33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volume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to output the sign language to the speaker 170 as "low". In step 34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measured noise is about 40 to 80 decibels. If the noise is above 40 decibels, proceed to step 350; if it is below 40 decibels, proceed to step 360. In step 35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volume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to output the sign language to the speaker 170 as "middle". In step 36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volume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and outputs a sign language sound to the speaker 170 as "up". In step 37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If the call is lost, end the program; otherwise, proceed to step 380. In step 380, the control unit 120 delays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o step 31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음량을 자동 조절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주위의 소음과 수신되는 수화음량을 모두 측정, 두 개의 원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화음량을 조절하는 것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both the ambient noise and the received sign language volume are measured to adjust the sign language volume in consideration of two causes.

먼저 40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마이크 160을 통해 입력되는 주위의 소음을 음량 측정부 130을 통해 음량을 측정한다. 41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통화로가 연결되면 4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통화로가 연결되는지 검사한다. 42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RF부 180을 통해 수신되는 수화음량의 음량을 음량 측정부 130을 통해 측정한다. 상기 400 단계의 소음 측정과 상기 420 단계의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 측정은 일정 시간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초 동안 측정하거나 또는 1초 동안 2초 간격으로 3회 측정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예를 들어 하기 표 3과 같이 수화음량 값이 상인지 검사한다.First, in step 400, the controller 120 measures the volume of the ambient nois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60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130. In step 41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If the call is connected, go to step 420; otherwise, continue checking to see if the call is connected. In step 420, the controller 120 measures th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volume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80 through the volume measurement unit 130. The noise measurement in step 400 and the volum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voice in step 420 may be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for 3 seconds or 3 times at 2 second intervals for 1 second. In step 43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a sign language volume value is different as shown in Table 3 below.

수신 수화 음량소음[dB]Receive Sign Language Volume Noise [dB]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7070 8080 9090 120120 .. .. .. 1010 medium medium Ha Ha Ha Ha Ha Ha Ha Ha .. .. .. 2020 medium medium medium Ha Ha Ha Ha Ha Ha Ha .. .. .. 3030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Ha Ha Ha Ha Ha .. .. .. 4040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Ha Ha Ha Ha .. .. .. 5050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Ha Ha Ha .. .. .. 6060 Prize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Ha Ha .. .. .. 7070 Prize Prize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Ha .. .. .. 8080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Ha .. .. .. 9090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medium .. .. .. 120120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Prize medium medium medi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소음에 따라서 출력할 수화음량 값은 비례하게 증가하고,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는 반비례하는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4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수화음량을 "상"으로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출력한다. 45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값이 중인지 검사한다. 수화음량 값이 중이면 46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70 단계로 진행한다. 46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수화음량을 "중"으로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출력한다. 47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수화음량 조절부 150을 통해 수화음량을 "하"로 조절하여 스피커 170으로 출력한다. 48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통화로가 끊겼나 검사하는 단계이다. 통화로가 끊겼으면 수화음량 조절을 위한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90 단계로 진행한다. 490 단계에서 제어부 120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다음 410 단계로 진행한다.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sign language volume value to be output is propor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noise, and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is inversely proportional. In step 44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sign language volume to “up”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peaker 170. In step 45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a sign language volume value is present. If the sign language volume value is busy, go to step 460; otherwise, go to step 470. In step 46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sign language volume to “middle”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peaker 170. In step 470,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sign language volume to "down" through the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150 to output the speaker 170. In step 48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If the call is disconnected, the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andset volume is terminated. In step 490, the controller 120 delays the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proceeds to step 410.

도 2, 3, 4를 통한 실시예는 소음을 세 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러한 분류는 임의의 단계로 용이하게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휴대폰, 일반 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2, 3, and 4 divided the noise into three stages, but this classification can be easily divided into any stage.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less terminal is taken as an example, but it is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general telephon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위의 소음과 수신되는 수화음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수화음을 발생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큰 수화음량이 발생되어 통화 내용이 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화음량이 너무 작아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알아들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ign language by actively adjusting a sign volume according to ambient noise and a received sign volume, thereby preventing an unnecessary loud sign volume from being made known and making a call. The volume is so low that the user can not understand the call can solve the problem.

Claims (16)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전화기의 수화음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the telephone receiver volume control device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위의 음성과, 수신되는 수화음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측정부와,A volum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volume of the received sign language voice, 상기 측정한 음량에 따라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수화음량 조절부와,A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nd output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상기 음량 측정부를 통해 주위의 음성과, 수신되는 수화음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에 따라 상기 수화음량조절부를 통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발생하게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음량 자동 조절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voice and the received speech sound through the volume measuring unit, and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speech signal to be generated through the speech volum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ume. 전화기의 수화음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In the telephone volume control method of the telephone, 시 소음을 측정하는 제 1 과정과,The first process of measuring the noise of the city,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상기 소음에 의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 third process of adjusting and outputting the hydration volume by the noi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절하여 출력하는 수화음량은 세 단계로 나누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sign language volume to be adjusted and output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automatic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음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noise measurement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volume of a sign langu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obtaining a mean number of tim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음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noise measurement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ydration volume, characterized in that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3 과정 이후 통화로가 끊겼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all is disconnected after the third step; 상기 통화로가 끊겼을 시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후 상기 제 1 과정으로 돌아가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utomatically repeating the first process after a dela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전화기의 수화음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In the telephone volume control method of the telephone,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 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measuring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상기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의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 third process of adjusting and outputting a sign language volum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조절하여 출력하는 수화음량은 세 단계로 나누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sign language volume to be adjusted and output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automatic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volum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voice is measu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obtain an average of the sign language volu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volum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volume contro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3 과정 이후 통화로가 끊겼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all is disconnected after the third step; 상기 통화로가 끊겼을 시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후 제 1 과정으로 돌아가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utomatically repeating the first process after a dela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수화음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In the hydration volume control method, 주위의 소음을 측정하는 제 1 과정과,The first process of measuring the ambient noise,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A second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all path is connected; 음성 신호가 수신될 시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 3 과정과,A third process of measuring a volume of a received voice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상기 측정한 소음과 상기 수신되는 음성의 음량에 의해 수화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 fourth process of adjusting and outputting a sign language volume based on the measured noise and the volume of the received voic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4 과정의 조절하여 출력하는 수화음량은 세 단계로 나누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sign language volume to be output by adjusting the fourth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과정의 소음 측정 혹은 상기 제 3 과정의 수신되는 음성의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로 측정하여 평균을 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Measuring the noise of the first step or the measurement of the received voice of the third step is measu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obtain the average volume of the sign languag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과정의 소음 측정 혹은 상기 제 3 과정의 수신되는 음성의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The noise measurement of the first step or the received voice of the third step i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the volum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4 과정 다음에 통화로가 끊겼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all is disconnected after the fourth step; 상기 통화로가 끊겼을 시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킨 후 제 1 과정으로 돌아가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And automatically repeating the first process after a dela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path is disconnected.
KR1019980023290A 1998-06-20 1998-06-20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640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90A KR100640459B1 (en) 1998-06-20 1998-06-20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20060077350A KR100744321B1 (en) 1998-06-20 2006-08-16 Method for auto controlling volume in wireless termian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90A KR100640459B1 (en) 1998-06-20 1998-06-20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350A Division KR100744321B1 (en) 1998-06-20 2006-08-16 Method for auto controlling volume in wireless termian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98A true KR20000002498A (en) 2000-01-15
KR100640459B1 KR100640459B1 (en) 2006-12-22

Family

ID=1954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290A KR100640459B1 (en) 1998-06-20 1998-06-20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4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10B1 (en) * 2000-09-26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 controlling volume
KR20070082349A (en) * 2006-02-1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bell on noi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97B1 (en) * 2017-08-30 2019-06-05 박준홍 Output option setting system of smart device according to user input patt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340A (en) * 1992-09-16 1994-04-29 이용규 Telephone circuit with volume control according to ambient noise
KR0120594B1 (en) * 1994-09-28 1997-10-22 김정덕 Auto-sound control device of phone
KR960016316A (en) * 1994-10-26 1996-05-22 박성규 How to adjust the volume on your phone
KR960020069A (en) * 1994-11-01 1996-06-17 구자홍 Volume level adjustment method of cell phone and its device
KR0134454B1 (en) * 1994-12-14 1998-04-27 배순훈 Celluar phone
KR970007449U (en) * 1995-07-13 1997-02-21 Receive volume control of telephone
KR970009011A (en) * 1995-07-27 1997-02-24 김광호 How to automatically adjust the reception volume of the hands free device
KR970008998A (en) * 1995-07-27 1997-02-24 김광호 Automatic receiving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KR970024788A (en) * 1995-10-13 1997-05-30 김광호 Automatic receiving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elephone
KR19980013934A (en)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volume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mbient noise
KR19980014137A (en) * 1996-08-08 1998-05-15 정장호 How to control the call volume of the wireless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10B1 (en) * 2000-09-26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 controlling volume
KR20070082349A (en) * 2006-02-1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bell on noi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459B1 (en) 200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431B2 (en) Transmitter, telephone using it
KR100640459B1 (en) Sign Language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1001054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ving voice level in portabl telephone and method therefor
KR100744321B1 (en) Method for auto controlling volume in wireless termianl
JPH11196174A (en) Soun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equipment and received sound voltage control method
JP4299768B2 (en) Voice recognition device, metho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method
KR20000002497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receiving sound volume and method thereof
KR20000056077A (en) Automatic Gain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Voice signal amplifier
KR100566199B1 (en) Telephone control automatic telephone call volume and its method
KR9800130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ound level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JP2002368866A (en) Transmission level adjustment method for voice conference system
JPH08163209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KR100207819B1 (en) Telephone for inaudibles
KR1006780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cho of mobile phone
JPH11163977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6927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gain in mobile phone
KR20000041906A (en) Method for adjusting output volume of portable terminal
JPH06252987A (en) Voice communications equipment
KR19990012150A (en) Ring volum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26419A (en) Automatic alert mode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KR10065596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olume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H0723127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et
JPH11136346A (en) Telephone system
JPH04352545A (en) Telephone set with speaker horn
JP2005260882A (en) Public-address system for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