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169A -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169A
KR20000002169A KR1019980022772A KR19980022772A KR20000002169A KR 20000002169 A KR20000002169 A KR 20000002169A KR 1019980022772 A KR1019980022772 A KR 1019980022772A KR 19980022772 A KR19980022772 A KR 19980022772A KR 20000002169 A KR20000002169 A KR 2000000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ank
ris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266B1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26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수조, 수조 내부에 설치된 세탁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세이터, 세탁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펄세이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측방상승수류를 안내하며 상단에 출구부가 형성된 상승유도관을 구비하고, 상승유도관의 입구부에는 출구부로 물을 안내하는 상승유로와 측방으로 안내하는 측방유로가 분기되어 형성되며 측방유로의 상부에는 측방유로를 통하여 안내된 물을 세탁조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행정이 펄세이터에 의한 마찰과 이때의 회전수류, 그리고 상승유도관의 상승유로를 통하여 출구부로 낙하하는 낙하수와 측방유로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측방토출수에 의하여 세탁조 내부에서의 세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수행하여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펄세이터의 회전으로 세탁조의 측방으로 세탁수가 상승하여 분출되도록 하는 상승유도관을 개선한 세탁기의 상승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세탁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가 마련되고, 본체의 내부에는 현가장치에 의하여 현가 설치된 수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조의 내부에는 세탁조가 설치되며, 세탁조의 하부에는 판상의 펄세이터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의 하부 외측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세탁조, 또는 펄세이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며, 동력전달장치의 측방에는 세탁조 내부와 연통된 배수호스가 설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10)는 다수의 탈수공(11)이 형성되며 상단에 밸런스(12)가 설치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면 두곳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유도관(20)이 설치된다.
이 상승유도관(20)은 하부에 설치되는 펄세이터(미도시)의 하측으로 입구부(21)가 형성되고, 세탁조(10)의 상부로 출구부(22)가 형성되어 세탁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안내하여 분출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승유도관(20)의 출구부(22)에는 걸름망(23)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세탁기의 구동, 즉 세탁시 구동은 모터를 통하여 발생한 동력이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펄세이터로 전달되면 펄세이터는 정역회전하면서 세탁조(20) 내부에 있는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때 세탁수 중의 펄세이터 하부에 잠겨있는 세탁수는 펄세이터의 하측날개에 의하여 발생한 분출력으로 상승유도관(20)의 입구부(21)를 통하여 세탁조(10) 상부에 형성된 출구부(22)로 안내된 후 세탁조(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면서 세탁물의 세탁을 돕게 된다.
그리고 상승유도관(20)의 출구부(21)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중의 오물은 걸름망(23)을 통하여 걸러지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 설치된 상승유도관(20)은 세탁수가 상승유도관(20)의 상측에 형성된 출구부(22)를 통한 낙하수를 형성하므로 이 낙하수에 의한 세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승유도관(20)을 통하여 상승하는 세탁수는 중력에 의하여 그 양이 상당히 손실되어 충분한 양의 낙하수를 제공할 수 없고, 또한, 이러한 낙하수는 분출되는 세탁수가 단지 세탁조(10)의 상측에서 낙하하기 때문에 상부에 있는 세탁물의 세탁만을 돕게되어 충분한 세탁효율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유도관을 개선하여 세탁수가 상부로부터의 낙하와 측방분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조 내부에서의 수류에 의한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상승유도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세탁기의 세탁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세탁기의 상승유도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수조
120...세탁조 130...펄세이터
140...모터 150...동력전달장치
160...벨트 170...배수호스
180...밸런스 190...그물망
200...상승유도관 210.입구부
220...출구부 230...상승유로
240...측방유로 250...토출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된 세탁조, 상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세이터,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펄세이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측방상승수류를 안내하며 상단에 출구부가 형성된 상승유도관을 구비하되, 상기 상승유도관의 입구부에는 상기 출구부로 물을 안내하는 상승유로와 측방으로 물을 안내하는 측방유로가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유로의 상부에는 상기 측방유로를 통하여 안내된 물을 세탁조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이 측방유로는 상기 상승유로의 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상승유도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사각형상의 본체(100)를 구비하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현가장치에 의하여 현가 설치된 원통형상의 수조(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조(110)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저장되며, 다수의 탈수공(120a)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세탁조(120)가 설치되며, 세탁조(120)의 하부에는 세탁행정시 정역회전하는 원형 판상의 펄세이터(130)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110)의 하부 외측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0)와 이 모터(140)의 동력을 세탁조(120), 또는 펄세이터(130)로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140)와 벨트(160)에 의하여 연결된 동력전달장치(150)가 설치되며, 동력전달장치(150)의 측방에는 수조(110) 내부와 연통되어 세탁후의 오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외부로 연장된 배수호스(170)가 설치된다.
한편, 세탁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통상으로 마련되며 벽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탈수공(120a)과 세탁시 마찰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세탁조(120)의 회전시 균형을 잡기 위한 밸런스(1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120)의 바닥에는 전술한 펄세이터가 설치되는데, 이 펄세이터(190)는 상부에 세탁행정시 세탁물과의 마찰과 회전수류의 형성을 위한 다수의 상측날개(190a)와 하부에 후술할 상승유도관(200)으로의 세탁수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하측날개(190b)가 형성된다.
한편 세탁조(120)의 벽체에는 서로 상대하는 방향으로 펄세이터(190)의 하측으로 입구부(210)가 형성되고, 세탁조(120)의 상부로 출구부(220)가 형성된 전술한 상승유도관(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승유도관(200)의 출구부(220)에는 그물모양의 걸름망(180)이 설치되어 상승유도관(200)을 통하여 안내된 물중의 오물을 거르도록 되어 있다. (도 3참조)
한편 상승유도관(200)의 입구부(210)에는 물을 상승유도관(200)의 출구부(220)로 안내하기 위한 상승유로(230)와 이 상승유로(230)의 양측으로 가이드 리브(260)에 의하여 분기되어 있는 측방유로(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측방유로(240)는 상측으로 외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장공의 토출구(250)가 형성되어 측방유로(240)를 통하여 상승 안내된 물이 세탁조(120) 내부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측방유로(240)와 토출구(250)는 세탁시 상승유도관(200)에 의한 낙하수 뿐만 아니라 측방 토출수를 형성하여 펄세이터(130)와 함께 보다 나은 세탁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측방유로(240)가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펄세이터(130)의 정역회전으로 인한 수류의 변화시 물이 보다 쉽게 측방유로(24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세탁행정시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탁조(120) 내부에 담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조(110) 내부에 저수하게 된다. 그리고 적정량의 물이 저수된 후 세탁행정이 실시되면 펄세이터(13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발생한 수류와 펄세이터(130)의 상부날개(130a)에 의한 마찰로 세탁물에 대한 세탁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세탁행정시 세탁수중의 일부는 펄세이터(130)의 하부날개(130b)에 의한 원심력으로 물이 상승유도관(200)의 입구부(21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유입되는 물은 일부는 상승유도관(200)의 상승유로(230)를 통하여 상승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승유로(230)의 측방으로 연장된 측방유로(240)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승유로(230)로 안내된 물은 상승유도관(200) 상단의 출구부(220)를 통하여 토출되어 세탁조(120) 내부로 낙하하게 되어 세탁행정을 돕게 된다.
그리고 측방유로(240)로 안내된 물은 측방유로(240)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출구(250)를 통하여 세탁조(120) 내부로 물을 토출시키게 되어 펄세이터(130)에 의한 마찰력과 회전수류, 그리고 상승유도관(200)을 통한 측방분출수류와 낙하수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세탁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세탁이 종료되면 배수호스(170)가 열려서 수조(110) 내부에 있는 오수를 배수한 후 소정시간동안의 탈수가 이루어진다.
이후 다시 수조(110) 내부로 물이 공급된 후 수회의 행굼행정이 수행된다. 이 행굼행정은 세탁행정과 유사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세제의 투입여부와 구동시간에 따라 구분된다.
그리고 세탁과 행정행굼이 지난 후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이 탈수행정은 배수호스(170)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조(120)와 펄세이터(130)가 일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되면 세탁조(120) 내부의 물은 원심력으로 분리되어 세탁조(120)에 형성된 탈수공(120a)을 통하여 수조(110)로 토출되게 되고, 계속해서 수조(110)에서의 물은 배수호스(170)를 통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행정이 펄세이터에 의한 마찰과 이때의 회전수류, 그리고 상승유도관의 상승유로를 통하여 출구부로 낙하하는 낙하수와 측방유로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측방토출수에 의하여 세탁조 내부에서의 세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수행하여 세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된 세탁조, 상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세이터,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펄세이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측방상승수류를 안내하며 상단에 출구부가 형성된 상승유도관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도관의 입구부에는 상기 출구부로 물을 안내하는 상승유로와 측방으로 안내하는 측방유로가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유로의 상부에는 상기 측방유로를 통하여 안내된 물을 세탁조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유로는 상기 상승유로의 측방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80022772A 1998-06-17 1998-06-17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KR10029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72A KR100292266B1 (ko) 1998-06-17 1998-06-17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72A KR100292266B1 (ko) 1998-06-17 1998-06-17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69A true KR20000002169A (ko) 2000-01-15
KR100292266B1 KR100292266B1 (ko) 2001-06-01

Family

ID=1953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772A KR100292266B1 (ko) 1998-06-17 1998-06-17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2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266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2497B2 (ja) 洗浄機器及び洗浄水の吐出方法
WO2016119595A1 (zh) 洗衣机
KR20000002169A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KR100292888B1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US6148649A (en) Wash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eliminating hydrophobic substances contained in washing water
KR20000002179A (ko) 드럼세탁기 배수펌프의 공기배출관
KR10023865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93871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100274675B1 (ko) 드럼세탁기의 고정조
KR100220743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92267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200204132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10009593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280921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363592B1 (ko) 세탁기
KR200241488Y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100352473B1 (ko) 세탁기의 측면수류 분출장치_
KR0160415B1 (ko) 세탁수 순환로를 구비한 탈수 겸 세탁기
KR0126120Y1 (ko) 세탁기
KR20000033977A (ko) 세탁기
KR200204133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154569Y1 (ko)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방지장치
KR100225645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KR20000043377A (ko) 직접구동방식 무공벽세탁기의 세탁수 넘침방지 구조
KR19980074676A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