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110U - 냉장고의 도어포켓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110U
KR20000002110U KR2019980011919U KR19980011919U KR20000002110U KR 20000002110 U KR20000002110 U KR 20000002110U KR 2019980011919 U KR2019980011919 U KR 2019980011919U KR 19980011919 U KR19980011919 U KR 19980011919U KR 20000002110 U KR20000002110 U KR 20000002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pocket
door po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110U/ko
Publication of KR20000002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10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포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마련되어 식품류를 저장하도록 된 냉장고의 도어 포켓에 있어서, 도어 포켓의 바닥면은, 도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어 포켓의 경사진 경사 바닥면상에 음식물을 수납시키도록 되어 있어 그 힘이 큰 강성을 갖고 있는 도어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해 편중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도어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 포켓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구획 형성되며, 이 각각의 냉동실(20)과 냉장실(30)은 냉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상,하부 도어(40,5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식품류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선반(60)이 마련되며, 각 도어(40,50)측에도 식품류의 수납을 위한 포켓(pocket;70)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는, 도시되지 않은 냉각 사이클을 이루고 있는 증발기와 콤프레셔 및 콘덴서를 통해 생성된 냉기를 송풍팬을 통해 냉동실(20) 및 냉장실(30) 내부로 강제 유입시킴으로써 식품류를 냉동 및 냉장 보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는, 어느 일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하부 도어(40,50)가 그 내부 즉, 포켓(70)상에 저장된 식품류의 무게 등에 의해 캐비닛(1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타측이 하방으로 처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힌지 결합된측의 강성이 큰 것이지만 그 타측은 별도로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어진다.
이와같은 도어(40,50)의 처짐에 의해서는 캐비닛(10) 전체에 걸쳐 악형을 끼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 사이클을 이루고 있는 가종 부품에 악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이고, 상,하부 도어(40,50)의 개방 및 밀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 그리고 포켓(70)상에 음식물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에 의한 음식물(특히 유리병)의 파손이나 소음 등의 발생등 냉장고의 성능 열화를 초래하게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어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여, 도어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포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포켓은,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마련되어 식품류를 저장하도록 된 냉장고의 도어 포켓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포켓의 바닥면은,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포켓이 채용된 하부도어의 사시도.
도 3은 포켓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캐비닛 20,30 : 냉동실 및 냉장실
40,50 : (상,하부)도어 100 : (도어)포켓
110 : (포켓의)경사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포켓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포켓이 채용된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10)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구획 형성되며, 이 각각의 냉동실(20)과 냉장실(30)은 냉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하부 도어(40,5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식품류의 냉동 및 냉장 보관을 위하여, 식품류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선반(60)이 마련되며, 각 도어(40,50)측에도 식품류의 수납을 위한 포켓(pocket;100)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이때 포켓(100)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그 바닥면이 즉,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올려 놓여지는 면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경사진 경사면(110)을 이루고 있다.
즉, 도어(50)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도어(50) 외측에서 힌지 결합된 부위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0)을 이루고 있다.
이때 포켓(110)의 바닥면의 경사면(110)의 각도는 실질적으로는 음식물이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그 기울어진 각도가 크지 않을 정도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음식물 예컨대 음료수병 등을 도어(50)의 포켓(100)상에 안착 시키게 되면, 서로 밀착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도어(50)의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해 그 무게중심이 편중되게 된다.
이와같이 포켓(100)의 경사면(110)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가 도어(50)의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해 집중되는 것에 의해서는 상대적으로 그 강성이 큰 힌지 결합 부위측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도어(50)가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외측단측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캐비닛(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식품류가 서로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50)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이 방지되어 이에따라 식품류 특히 유리병의 파손이나 유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포켓에 의하면, 도어 포켓의 경사진 경사 바닥면상에 음식물을 수납시키도록 되어 있어 그 힘이 큰 강성을 갖고 있는 도어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해 편중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도어의 처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마련되어 식품류를 저장하도록 된 냉장고의 도어 포켓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포켓의 바닥면은,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힌지 결합 부위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포켓.
KR2019980011919U 1998-06-30 1998-06-30 냉장고의 도어포켓 KR20000002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19U KR20000002110U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의 도어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19U KR20000002110U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의 도어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10U true KR20000002110U (ko) 2000-01-25

Family

ID=6951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919U KR20000002110U (ko) 1998-06-30 1998-06-30 냉장고의 도어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11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9112A (ko) 냉장고
KR100436270B1 (ko) 냉장고 도어선반의 커버 고정 장치
KR20000002110U (ko) 냉장고의 도어포켓
JP2006242464A (ja) 冷蔵庫
KR100483067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발포구조
KR19990015883U (ko) 쇼케이스의 도어구조
KR200244433Y1 (ko) 냉장고의 냉장실문
KR200222902Y1 (ko) 쇼케이스 도어 스톱퍼
KR20050103722A (ko) 냉장실의 이중도어구조
KR100834107B1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0125546Y1 (ko) 냉장고의 도어구조
KR200200467Y1 (ko) 쇼케이스 도어의 닫힘구조
KR200217354Y1 (ko) 냉장고용도어가드구조
KR0133348Y1 (ko) 냉장고의 특냉실 카바
KR19990049553A (ko) 쪽문을 갖는 냉장고 도어
KR200157514Y1 (ko) 냉장고의 부압 해소구조
KR19990035661U (ko) 냉장고의 홈바
KR100419201B1 (ko) 냉장고
KR19990015889U (ko) 도어 기울어짐 방지 쇼케이스
KR200349084Y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 개방형 도어 구조
KR20090040948A (ko) 냉장고
KR19990015884U (ko) 쇼케이스의 힌지브래킷
KR20100024702A (ko) 냉장고
KR100826318B1 (ko) 저장공간을 가지는 도어가 장착된 김치냉장고
KR100568202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