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778U -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778U
KR20000001778U KR2019980011581U KR19980011581U KR20000001778U KR 20000001778 U KR20000001778 U KR 20000001778U KR 2019980011581 U KR2019980011581 U KR 2019980011581U KR 19980011581 U KR19980011581 U KR 19980011581U KR 20000001778 U KR20000001778 U KR 200000017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ircuit board
holder
connector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778U/ko
Publication of KR20000001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778U/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는 접속 공정이 번거롭고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접속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소형화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본 고안은 데크의 상면에 헤드 드럼 조립체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데크는 회로기판의 상방에 설치된다. 로워 드럼의 배선구멍에는 조립홈을 갖는 조립편이 형성되며, 배선구멍을 통하여 인출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끝에는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에지 커넥터가 형성되고, 홀더의 몸체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의 상면에 로워 드럼의 조립홈과 조립편에 대응하는 관계로 조립되도록 조립홈을 갖는 지지편과 조립편이 형성되며, 홀더의 안내홈에 커버가 조립되고, 커버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규제구멍을 통과한 홀더의 규제핀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 드럼 조립체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홀더와 커버에 의해 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수직 방향으로 접속되므로, 접속 공정이 개선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접속 불량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며, 데크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본 고안은 헤드 드럼 조립체(head drum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드럼 조립체와 회로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데크(deck)의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조립체는 테이프를 감아서 주행시키는 상태에서 비디오 헤드(video head)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이른 바 헬리컬 스캔 방식(helical scan type)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드럼 조립체에 대한 하나의 예를 설명하면, 헤드 드럼 조립체는 어퍼 드럼(upper drum)과 로워 드럼(lower drum)이 축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어퍼 드럼의 중앙에 베어링 하우징이 축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며, 축구멍의 상·하부에는 두 개의 베어링에 의해 축의 상부가 지지되어 장착된다. 로워 드럼의 중앙에 축구멍이 형성되고, 로워 드럼의 축구멍에는 축의 하부가 압입(壓入)되어 장착된다. 또한, 어퍼 드럼과 로워 드럼 사이의 공간에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터리 트랜스포머(rotary transformer)가 설치되며, 로터리 트랜스포머는 로우터 트랜스포머와 스테이터 트랜스포머로 구성된다. 어퍼 드럼의 하면에는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가 조립되고, 어퍼 드럼의 상부에는 드럼 모터가 설치된다. 이 드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어퍼 드럼이 회전되고, 어퍼 드럼의 회전과 함께 비디오 헤드의 작용에 의해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게 되며, 비디오 신호는 로터리 트랜스포머에 의해 전송된다.
한편, 헤드 드럼 조립체의 비디오 신호를 회로기판의 기록 및 재생 처리회로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로터리 트랜스포머의 스테이터 트랜스포머와 회로기판의 커넥터(connector)를 서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조립체(10)는 어퍼 드럼(12)과 로워 드럼(14)을 가지며, 로워 드럼(14)의 외주면 한쪽에는 배선구멍(14a)이 형성된다. 이 로워 드럼(14)의 배선구멍(14a)을 통하여 스테이터 트랜스포머(16)의 하면에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한쪽 끝이 부착되고,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한쪽 면에는 패턴(22)이 형성되며, 패턴(22)에는 스테이터 트랜스포머(16)의 코일(18)이 접속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다른쪽 끝에는 에지 커넥터(edge connector: 24)가 스트립형(strip type)으로 형성된다. 한편, 데크(30)의 상면 한쪽에는 설치구멍(32)이 형성되고, 데크(30)의 설치구멍(32)에는 헤드 드럼 조립체(10)가 드럼 베이스(34)에 의해 설치된다. 데크(30)의 하부에는 테이프 레코더의 전자회로, 예를 들어 기록 및 재생 처리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36)이 설치되며, 회로기판(36)의 상면에 커넥터(38)가 장착된다. 회로기판(36)의 커넥터(38)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에지 커넥터(24)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헤드 드럼 조립체(10)와 회로기판(36)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구조는, 데크(30)의 설치구멍(32)에 헤드 드럼 조립체(10)를 드럼 베이스(34)에 의해 설치시킨 상태에서,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에지 커넥터(24)를 회로기판(36)의 커넥터(38)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접속 공정이 번거롭고 곤란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설치 공정 후에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의 접속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여야만 하므로,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조립 공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지는 것이다. 또한, 헤드 드럼 조립체(10)의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은 데크(3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길게 빼내 회로기판(36)의 커넥터(38)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이 쉽게 손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이 데크(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데크(30)의 가장자리나 또는 주행계를 구성하는 기구물 등에 접촉되면서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이 단선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플렉시블 회로기판(20)이 로워 드럼(14)의 배선구멍(14a)을 통하여 배선될 때 배선구멍(14a)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꺽이면서 단선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헤드 드럼 조립체가 설치된 데크를 회로기판의 상부에 안착시킬 때 헤드 드럼 조립체와 회로기판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헤드 드럼 조립체 접속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6-2480호에는 헤드 드럼 조립체가 설치되는 드럼 베이스의 한쪽 가장자리에 홀더 지지구가 형성되고, 이 홀더 지지구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형합에 의해 지지하는 홀더가 장착된다. 홀더의 형합에 의해 지지된 플렉시블 회로기판은 데크를 회로기판의 상부에 안착시킬 때 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구조는, 드럼 베이스의 한쪽 가장자리에 홀더 지지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 베이스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드럼 베이스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제작되는 바, 드럼 베이스의 다이 캐스팅에 필요한 금형의 구조가 홀더 지지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복잡해져 금형의 가공비 및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두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홀더의 형합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드럼 베이스의 홀더 지지구에 홀더를 장착시켜야 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헤드 드럼 조립체의 배선구멍으로부터 드럼 베이스의 홀더 지지구까지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길게 노출되어 주행계를 구성하는 기구물 등에 접촉되면서 단선될 우려가 높으며, 데크의 후방에 드럼 베이스의 홀더 지지구가 돌출되기 때문에 데크의 소형화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 공정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개선되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속 불량이 방지되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하방으로 접속이 이루어져 소형화가 가능해지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서 홀더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서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헤드 드럼 조립체 36: 로워 드럼
38: 배선구멍 60: 플렉시블 회로기판
64: 에지 커넥터 66: 규제구멍
76: 회로기판 78: 커넥터
80: 홀더 82: 몸체
84: 안내홈 110: 커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데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와 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외주면 한쪽에 배선구멍이 형성되고, 배선구멍의 양쪽 내벽에 조립홈을 갖는 조립편이 형성되는 로워 드럼과; 로워 드럼의 배선구멍을 통하여 인출되는 끝에는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에지 커넥터가 형성되며, 에지 커넥터의 인접 위치에 규제구멍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과;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그 몸체의 전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는 로워 드럼의 조립홈과 조립편에 대응하는 관계로 조립되도록 조립홈을 갖는 지지편과 조립편이 형성되며, 안내홈에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규제구멍이 끼워지는 규제핀이 형성되고, 몸체의 전면 양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몸체의 하면에 커넥터의 양쪽 측면과 배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편과 안내판이 각각 형성되는 홀더와; 홀더의 규제핀이 끼워지도록 전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홀더의 걸림구멍에 걸림 유지되는 후크가 형성되며, 하면 전방에 커넥터의 전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판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조립체(30)는 축(32)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어퍼 드럼(34)과 로워 드럼(36)을 가지며, 로워 드럼(36)의 외주면 한쪽에는 배선구멍(38)이 형성되고, 배선구멍(38)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선구멍(38)의 양쪽 내벽 전방에는 하부가 트인 조립홈(40)을 갖도록 조립편(42)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어퍼 드럼(32)과 로워 드럼(36)의 내부 공간에는 로터리 트랜스포머(50)가 설치되고, 로터리 트랜스포머(50)는 어퍼 드럼(32)의 하면에 부착되는 로우터 트랜스포머(52)와 로워 드럼(36)의 상면에 부착되는 스테이터 트랜스포머(54)로 구성되며, 스테이터 트랜스포머(54)에는 코일(56)이 감겨진다.
또한, 스테이터 트랜스포머(54)의 하면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한쪽 끝이 부착되고,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은 로워 드럼(36)의 배선구멍(38)을 통하여 헤드 드럼 조립체(30)의 외부로 인출된다.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한쪽 면에 패턴(62)이 형성되며, 이 패턴(62)에는 스테이터 트랜스포머(54)의 코일(56)이 솔더링에 의해 접속된다.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다른쪽 끝, 즉 로워 드럼(36)의 배선구멍(38)을 통하여 인출되는 끝에는 에지 커넥터(64)가 스트립형으로 형성되고, 에지 커넥터(64)의 인접 위치에는 규제구멍(66)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규제구멍(66)은 세 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규제구멍(66)의 위치 및 숫자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한편,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70)에는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에 필요한 주행계가 구성되고, 데크(70)의 상면 한쪽에 설치구멍(72)이 형성되며, 데크(70)의 설치구멍(72)에는 헤드 드럼 조립체(30)가 드럼 베이스(74)에 의해 설치된다. 이때, 헤드 드럼 조립체(30)는 드럼 베이스(74)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데크(70)의 하부에는 테이프 레코더의 전자회로, 예를 들어 기록 및 재생 처리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76)이 설치되고, 회로기판(76)의 상면에 커넥터(78)가 장착되며, 커넥터(78)는 설치구멍(72)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도 2,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드럼(36)의 배선구멍(38)에는 홀더(80)가 조립되고, 홀더(80)는 수지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홀더(80)는 몸체(82)를 가지며, 몸체(82)의 전면에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안내홈(8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82)의 상면 양쪽에는 로워 드럼(36)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지지편(86)이 형성되며, 지지편(86)의 후방에는 로워 드럼(36)의 조립홈(40)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조립편(88)이 형성된다. 홀더(80)의 지지편(86)과 조립편(88)의 측면에는 로워 드럼(36)의 조립편(42)이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조립홈(90)이 형성된다. 즉, 홀더(80)의 몸체(82)에는 조립홈(90)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지는 지지편(86)과 조립편(88)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편(96)과 조립편(88)은 몸체(82)에 대하여 한쪽 방향, 즉 오른쪽으로 올라가면서 소정의 각도로 나란하게 경사져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헤드 드럼 조립체(30)의 축 중심이 드럼 베이스(74)에 의해 데크(7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때 홀더(80)의 몸체(82)는 데크(7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82)의 상면 중앙에는 로워 드럼(36)의 상면에 걸림 유지되는 후크(92)가 형성되며, 후크(92)의 양쪽에는 탄성변형에 의해 후크(92)가 로워 드럼(36)의 상면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슬릿(slit: 92a)이 각각 형성된다. 몸체(82)의 배면 상부에는 로워 드럼(36)의 하면에 걸려 홀더(80)의 조립 위치가 규제되도록 스토퍼(stopper: 94)가 형성되고, 스토퍼(94)는 한쪽 방향, 즉 오른쪽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내려가게 경사져 형성된다. 몸체(82)의 안내홈(84)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규제구멍(66)이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도록 규제핀(96)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에지 커넥터(64)가 몸체(82)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정확하게 유지된다. 몸체(82)의 전면 양쪽에 걸림구멍(88)이 형성되고, 이때 걸림구멍(88)은 안내홈(84)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걸림구멍(98)은 네 개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걸림구멍(98)의 위치 및 숫자,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몸체(82)의 하면 양쪽에 커넥터(78)의 양쪽 측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편(100)이 각각 형성되고, 안내편(100)의 내면 하부에는 경사면(100a)이 형성된다. 몸체(82)의 하면 양쪽에는 안내편(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규제턱(102)이 형성되며, 규제턱(102)은 커넥터(78)의 상면에 걸리면서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부터 홀더(80)의 높이를 규제하게 된다. 몸체(82)의 하면 후방에 커넥터(78)의 배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판(104)이 형성되고, 안내판(104)의 내면 하부에는 경사면(104a)이 형성된다. 몸체(82)의 하면 후방에는 안내판(104)의 내측에 위치되는 규제턱(106)이 형성되며, 규제턱(106)은 커넥터(78)의 상면에 걸리면서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부터 홀더(80)의 높이를 규제하게 된다. 이 안내편(100)과 안내판(104) 각각의 경사면(100a, 104a)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가 회로기판(76)의 커넥터(78)에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접속된다.
도 2,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80)의 안내홈(84)에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커버(110)가 조립된다. 커버(110)의 전면에는 홀더(80)의 규제핀(96)이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도록 관통구멍(112)이 형성되고, 커버(110)의 배면 가장자리에 후크(114)가 형성되며, 커버(110)의 후크(114)는 홀더(80)의 걸림구멍(88)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걸림 유지된다. 커버(110)의 하면 전방에 커넥터(78)의 전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판(116)이 형성되고, 안내판(116)의 내면 하부에는 경사면(116a)이 형성되며, 이 안내판(116)의 경사면(116a)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가 회로기판(76)의 커넥터(78)가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접속된다. 커버(110)의 하면 전방에는 안내판(116)의 내측에 위치되는 규제턱(118)이 형성되고, 규제턱(118)은 커넥터(78)의 상면에 걸리면서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부터 홀더(80)의 높이를 규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대한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드럼(36)의 하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를 배선구멍(38)을 통하여 헤드 드럼 조립체(3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그리고, 로워 드럼(36)의 조립홈(40)에 홀더(80)의 조립편(88)을 대응하는 관계로 끼우게 되면, 이와 동시에 로워 드럼(36)의 조립편(42)이 홀더(80)의 조립홈(90)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게 된다. 또한, 로워 드럼(36)의 조립홈(40)에 홀더(80)의 조립편(88)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홀더(80)의 후크(92)가 탄성변형에 의해 로워 드럼(36)의 상면에 걸림 유지되고, 홀더(80)의 스토퍼(94)가 로워 드럼(36)의 하면에 걸리면서 홀더(80)의 조립 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하게 되며, 로워 드럼(36)의 외주면에는 홀더(80)의 지지편(86)이 지지되어 로워 드럼(36)에 홀더(80)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로워 드럼(36)과 홀더(80)가 조립된 상태에서, 홀더(80)의 안내홈(84)을 따라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을 끼우면서 규제핀(96)에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규제구멍(66)을 대응하는 관계로 끼운다. 이로 인하여 홀더(80)의 안내홈(84)에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이 정확하게 끼워짐과 아울러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에지 커넥터(64)가 홀더(8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정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규제구멍(66)을 통하여 돌출된 홀더(80)의 규제핀(96)에 커버(110)의 관통구멍(112)을 대응하는 관계로 끼우게 되면,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유동 및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계속해서 홀더(80)의 걸림구멍(98)에 커버(110)의 후크(114)를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 걸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홀더(80)와 커버(110)의 형합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는 로워 드럼(36)의 배선구멍(38)으로부터 인출된 후 로워 드럼(36)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드럼 베이스(74)의 상면에 헤드 드럼 조립체(30)를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의 체결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시키고, 이 드럼 베이스(74)를 데크(70)의 상면에 설치시키게 되면, 헤드 드럼 조립체(30)는 드럼 베이스(74)에 의해 데크(70)의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홀더(80)는 그 지지편(86)과 조립편(88)이 몸체(82)의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드럼 조립체(3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될 경우에 홀더(80)의 몸체(82)는 데크(70)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조립체(30)가 설치된 데크(70)를 회로기판(76)의 상방에 설치시킬 때,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를 회로기판(76)의 커넥터(78)에 대응하는 관계로 접속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78)의 양쪽 측면과 홀더(80)의 안내편(100)을 수직선상에 일치시킴과 아울러 커넥터(78)의 배면과 홀더(80)의 안내판(104)를 일치시킨다. 또한, 커넥터(78)의 전면과 커버(110)의 안내판(116)을 수직선상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로기판(76)의 상면을 향하여 데크(70)를 직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홀더(80)의 안내편(100) 및 안내판(104), 그리고 커버(110)의 안내판(116)이 커넥터(78)의 각 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가 커넥터(78)에 자연스럽게 접속된다. 이때, 안내편(100) 및 안내판(104), 그리고 안내판(116) 각각의 경사면(100a, 104a, 116a)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가 커넥터(78)에 보다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접속된다. 한편, 홀더(80)의 규제턱(102, 106)과 커버(110)의 규제턱(118)은 커넥터(78)의 상면에 걸리면서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부터 홀더(80)의 높이를 규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홀더(80)와 커버(110)가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 내려오면서 커넥터(78)를 눌러 발생시킬 수 있는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76)의 상방에 데크(70)를 설치할 때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에지 커넥터(64)가 회로기판(76)의 커넥터(78)에 자연스럽게 접속되므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접속 공정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개선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이 홀더(80)의 안내홈(84)에 끼워져 커버(110)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접속되므로,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접속 불량, 예를 들어 단선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데크(70)의 직하방으로 접속이 이루어져 데크(70)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홀더(80)와 커버(110)의 사용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기판(60)과 커넥터(78)의 접속이 가능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조립 부품수가 감소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에 의하면, 헤드 드럼 조립체의 플렉시블 회로기판이 홀더와 커버에 의해 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수직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접속되므로, 접속 공정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개선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회로기판의 접속 불량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데크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5)

  1. 데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와 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외주면 한쪽에 배선구멍(38)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구멍(38)의 양쪽 내벽에 조립홈(40)을 갖는 조립편(42)이 형성되는 로워 드럼(36)과;
    상기 로워 드럼(36)의 배선구멍(38)을 통하여 인출되는 끝에는 상기 커넥터(78)에 접속되도록 에지 커넥터(64)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 커넥터(64)의 인접 위치에 규제구멍(66)이 형성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60)과;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그 몸체(82)의 전면에 안내홈(8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82)의 상면에는 상기 로워 드럼(36)의 조립홈(40)과 조립편(42)에 대응하는 관계로 조립되도록 조립홈(90)을 갖는 지지편(86)과 조립편(88)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84)에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60)의 규제구멍(66)이 끼워지는 규제핀(96)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82)의 전면 양쪽에 걸림구멍(88)이 형성되며, 몸체(82)의 하면에 상기 커넥터(78)의 양쪽 측면과 배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편(100)과 안내판(104)이 각각 형성되는 홀더(80)와;
    상기 홀더(80)의 규제핀(86)이 끼워지도록 전면에 관통구멍(112)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홀더(80)의 걸림구멍(88)에 걸림 유지되는 후크(114)가 형성되며, 하면 전방에 상기 커넥터(78)의 전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판(116)이 형성되는 커버(110)를 포함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80)의 지지편(86)과 조립편(88)은 상기 헤드 드럼 조립체(30)가 상기 데크(70)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될 때 상기 몸체(82)가 상기 데크(70)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82)의 한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나란하게 경사져 형성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82)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로워 드럼(36)의 상면에 걸림 유지되는 후크(92)가 형성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82)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로워 드럼(36)의 하면에 걸려 상기 홀더(80)의 조립 위치가 규제되도록 스토퍼(94)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94)는 한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내려가게 경사져 형성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82)의 하면에는 상기 커넥터(78)의 상면에 걸려 상기 회로기판(76)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홀더(80)의 높이가 규제되도록 상기 안내편(100)과 안내판(104, 116)의 내측에 위치되는 규제턱(102, 106)이 각각 형성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KR2019980011581U 1998-06-30 1998-06-30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KR200000017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581U KR20000001778U (ko) 1998-06-30 1998-06-30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581U KR20000001778U (ko) 1998-06-30 1998-06-30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778U true KR20000001778U (ko) 2000-01-25

Family

ID=6951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581U KR20000001778U (ko) 1998-06-30 1998-06-30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77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3405A (zh) * 2020-03-23 2020-06-05 上海城建物资有限公司 一种快硬型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1393100A (zh) * 2020-03-17 2020-07-10 上海楼诚混凝土有限公司 一种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1732382A (zh) * 2020-05-26 2020-10-02 中建西部建设建材科学研究院有限公司 利用尾矿砂制成的补偿收缩型超高性能混凝土及制备方法
CN112645662A (zh) * 2021-01-07 2021-04-13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氧化碳纳米管改性水泥基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3100A (zh) * 2020-03-17 2020-07-10 上海楼诚混凝土有限公司 一种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1233405A (zh) * 2020-03-23 2020-06-05 上海城建物资有限公司 一种快硬型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1732382A (zh) * 2020-05-26 2020-10-02 中建西部建设建材科学研究院有限公司 利用尾矿砂制成的补偿收缩型超高性能混凝土及制备方法
CN112645662A (zh) * 2021-01-07 2021-04-13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氧化碳纳米管改性水泥基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267A (en) Long arm compression connector with bump header
KR20000001778U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접속장치
US6882498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20020068077A (ko) 외부 저장 장치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JP3059650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マグネチックイレージングヘッド
US6028747A (en) Head drum assembly having a member locating and fixing video heads on an upper drum
KR1002005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접속장치
KR10045155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모터 접속구조
KR011207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신호연결장치
US5561571A (en) Head drum connection device
US531334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017012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메인 회로기판과 헤드드럼 조립체의 신호전달구조
KR19990050766A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접속 장치
JPH0545033Y2 (ko)
KR200198146Y1 (ko) 헤드드럼조립체의접속장치
KR100200596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20026197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캡스턴모터 조립체
KR0127162Y1 (ko) 브이씨알의 자기헤드 취부구조
KR200283730Y1 (ko) 헤드드럼 접속구조체
KR19980066642U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컨트롤 헤드 조립체
KR19990028278U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비디오 헤드 접속 장치
JPH0564280A (ja) スピーカ接続装置
KR100191843B1 (ko) 프린트 배선판의 접속기-결합구조
JPH055694Y2 (ko)
JP3020345U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