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40U - 바닥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바닥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40U
KR20000001140U KR2019980010781U KR19980010781U KR20000001140U KR 20000001140 U KR20000001140 U KR 20000001140U KR 2019980010781 U KR2019980010781 U KR 2019980010781U KR 19980010781 U KR19980010781 U KR 19980010781U KR 20000001140 U KR20000001140 U KR 20000001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lumn
plate
coupled
sam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교
Original Assignee
서성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교 filed Critical 서성교
Priority to KR2019980010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40U/ko
Publication of KR20000001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40U/ko

Links

Abstract

바닥판(3)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판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판의 하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내부는 비어있으며 외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주(53)와, 상기한 바닥판(3)을 전기적으로 상단지주(52)와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편(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단지주(52)의 원형판에 장착되어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개스킷(51)과, 콘크리트 바닥(1)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각판의 상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상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이 형성됨으로써 상단지주(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지주(54)와, 상기한 상단지주(5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한 상단지주(53)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여줌과 동시에 상단지주(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단지주의 지주관의 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을 형성하여 상단지주의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성을 높이고 상단지주와 바닥판의 사이에 개스킷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닥판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판 지지장치
이 고안은 바닥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하단지주의 지주관의 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을 형성하여 상단지주의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성을 높이고 상단지주와 바닥판의 사이에 개스킷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닥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는 개인용 컴퓨터, 복사기, 팩스, 전화기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공장에서도 다수의 공작기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배선이나 전화선이 매우 복잡하게 설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전기배선이나 전화선이 지나가는 라인을 따라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전기배선이나 전화선이 엉키거나 흩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미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호커버도 사람의 통행을 완전히 자유롭게 하는 것은 아니며, 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이나 자리배치를 변경하게 됨으로써 전기배선이나 전화선을 변경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를 다시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1) 위에 지지장치(2)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바닥판(3)을 깐 뒤에 바닥판(3) 위에서 사람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장치(2)에 의해서 콘크리트 바닥(1)과 바닥판(3)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4)에 전기선이나 전화선이 지나가도록 설치함으로써 생활공간을 안전하면서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시공이 근래에 행해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2)의 구조는, 바닥판(3)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판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판의 하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내부는 비어있으며 외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주(21)와, 콘크리트 바닥(1)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각판의 상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내부는 상단지주(21)의 지주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주(23)와, 상기한 상단지주(21)의 외부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한 상단지주(2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지주(2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너트(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2)는,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견디어내기 위해서는 하단지주(23)의 지주관이 일정치 이상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이에따라 상기한 하단지주(23)와 결합되기 위한 상단지주(21)의 지주관도 일정치 이상의 지름을 가져야만 하는데, 상단지주(21)의 지주관의 지름을 크게 할수록 원자재 비용이 커지므로 제작업자들은 상기한 상단지주(21)의 지주관의 지름을 가능한 최소한도로 제작하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상기한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2)는 상단지주(21)의 지주관의 외경과 하단지주(23)의 지주관의 내경의 차이가 커서, 너트(22)가 조금이라도 풀리게 되면 상단지주(21)가 고정되지를 못하고 흔들리게 됨으로써 건축시공이 불안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2)는 상단지주(21)의 원형판과 바닥판(3)의 사이에 완충재가 없이 결합되기 때문에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지주의 지주관의 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을 형성하여 상단지주의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성을 높이고 상단지주와 바닥판의 사이에 개스킷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닥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바닥판 지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2 : 지지장치
3 : 바닥판 4 : 공간부
21, 52 : 상단지주 22, 53 : 너트
23, 54 : 하단지주 51 : 개스킷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6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의 구성은, 바닥판(3)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판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판의 하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내부는 비어있으며 외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주(53)와, 상기한 바닥판(3)을 전기적으로 상단지주(52)와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편(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단지주(52)의 원형판에 장착되어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개스킷(51)과, 콘크리트 바닥(1)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각판의 상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상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이 형성됨으로써 상단지주(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지주(54)와, 상기한 상단지주(5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한 상단지주(53)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여줌과 동시에 상단지주(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지지장치는,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견디어내기 위해서 하단지주(54)의 지주관이 일정치 이상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하단지주(54)와 결합되는 상단지주(52)의 지주관의 지름은 최소한도로 하여 원자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단지주(.52)가 하단지주(54)에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상단지주(52)와 바닥판(3)의 사이에 개스킷(51)이 설치되어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접지편(511)을 이용하여 바닥판(3)을 상단지주(51)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하단지주의 지주관의 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을 형성하여 상단지주의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성을 높이고 상단지주와 바닥판의 사이에 개스킷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바닥판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건축자재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바닥판(3)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판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판의 하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내부는 비어있으며 외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주(53)와, 상기한 바닥판(3)을 전기적으로 상단지주(52)와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편(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단지주(52)의 원형판에 장착되어 바닥판(3)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개스킷(51)과, 콘크리트 바닥(1)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사각판의 상부중앙에 일정한 길이의 지주관이 용접결합되며 상기한 지주관의 상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부내부에 탭이 형성됨으로써 상단지주(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지주(54)와, 상기한 상단지주(52)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한 상단지주(53)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여줌과 동시에 상단지주(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바닥판 지지장치.
KR2019980010781U 1998-06-22 1998-06-22 바닥판 지지장치 KR200000011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81U KR20000001140U (ko) 1998-06-22 1998-06-22 바닥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81U KR20000001140U (ko) 1998-06-22 1998-06-22 바닥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40U true KR20000001140U (ko) 2000-01-25

Family

ID=6951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781U KR20000001140U (ko) 1998-06-22 1998-06-22 바닥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07B1 (ko) * 2006-09-15 2007-06-14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07B1 (ko) * 2006-09-15 2007-06-14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571A (en) Combined floor pedestal and floor outlet
CN101568284B (zh) 具有流动增强的罩式排水装置的淋浴器底座
US20030137816A1 (en) Outlet box assembly
JP4125703B2 (ja) 家電製品用の高さ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家電製品
CA3091013A1 (en) Electrical box mounting structure preventive of water ingress
KR20000001140U (ko) 바닥판 지지장치
US20060156466A1 (en) Grab bar assembly
US20180323559A1 (en) Flush ring spacer for electrical receptacles
CN201233716Y (zh) 蜂鸣器防护罩
KR200368567Y1 (ko) 책상용 전선 안내구
KR200322282Y1 (ko) 배선정리가 용이한 책상
CN210827705U (zh) 一种设置抱紧机构的套管装置及其淋浴花洒
JPH0630516A (ja)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0495730Y1 (ko)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KR200185777Y1 (ko) 플로아 매설용 콘센트 박스용 카바
KR200493082Y1 (ko) 마이크 거치대
WO1994020007A1 (fr) Cabine de douche a bac-receveur, avec mat et potence de montage des parois mobiles
KR10260695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078416B1 (ko) 콘센트 매립형 가구 프레임
KR200320996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의 길이조절봉 고정구조
JP3346938B2 (ja) 食器洗浄機
JP2805128B2 (ja) 浴 槽
KR200277735Y1 (ko) 발코니의 난간 고정용 브래킷
KR200368872Y1 (ko) 책상 선반용 봉 구조
KR200252084Y1 (ko) 포스트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