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594U - Spot killer circuit - Google Patents

Spot killer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594U
KR20000000594U KR2019980010081U KR19980010081U KR20000000594U KR 20000000594 U KR20000000594 U KR 20000000594U KR 2019980010081 U KR2019980010081 U KR 2019980010081U KR 19980010081 U KR19980010081 U KR 19980010081U KR 20000000594 U KR20000000594 U KR 200000005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t
capacitor
transistor
voltage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0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보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10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594U/en
Publication of KR20000000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94U/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전, 모니터 등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의 온/오프(ON/OFF)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스폿 킬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파워 온시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파워 오프시 스폿을 신속하고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스폿 킬러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on)시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스폿 제거 회로의 트랜지스터가 구동되지 않아, 그리드(grid)에 인가되는 전압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후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의 파워 오프시, 파워 온시 충전된 전압을 콘덴서가 방전하게 되는데, 이 콘덴서의 방전시간을 길게 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이 에미터 전압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킨다. 그래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모두 에미터 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전자가 그리드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폿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spot killer circuit including a transistor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of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thereby not affec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ri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In order to provide a spot killer circuit capable of quickly and completely removing a spot when a power is of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rive the transistor of the spot removal circuit so that it can operate normally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grid. Thereafter,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ff, the capacitor discharges the charged voltag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is extended so that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is set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thereby driving the transistor. This allows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transistor to be bypassed to the emitter side, preventing electrons from being released to the grid so that the spot can be removed quickly.

Description

스폿 킬러 회로Spot killer circuit

본 고안은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이하 "CRT"라 약칭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의 파워(power)를 오프(off)했을 때 CRT 중앙에 일정시간 남아 있어 CRT를 손상시키는 스폿(spot)을 제거하는 스폿 킬러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ode ray tube (abbreviated as "CRT") of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Particularly, when the power of a television or a monitor is turned off, It relates to a spot killer circuit that removes spots that remain to damage the CRT.

일반적으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CRT는, 캐소드(cathode)에서 방출된 전자를 빔(beam)으로 형성하고, 캐소드와 형광면 사이에 위치한 전극으로 전자빔을 움직여서 형광면에 도형을 그려나가는 전자관이다.In general, a CRT of a video display device is an electron tube that forms electrons emitted from a cathode as a beam, and draws a figure on the fluorescent surface by moving an electron beam with an electrode locat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fluorescent surface.

전자류는 히터(heater)에 의해 달구어지는 캐소드에서 튀어나와, 전자류를 증감하는 제1 그리드(grid)를 비롯하여 제2 그리드, 제1 및 제2 애노드(anode)(양극)를 통하면서 가속되어 가느다란 빔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전자류를 전자빔으로 만드는 부분을 전자총이라 하며, 전자총에서 만들어진 전자빔은 형광면에 부딪친다.Electron flows out of the cathode, heated by a heater, and accelerates through the second grid, the first and second anodes (anode), as well as the first grid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electron flow. It is formed by a thin beam. This part of the electron stream is called an electron gun, and the electron beam made from the electron gun strikes the fluorescent surface.

그리드는 캐소드로부터의 전자류의 통로에 있는데, 이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자를 제어하고 가속하고 흡수하는 여러 가지 작용을 한다.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제어 그리드, 차폐 그리드, 공간전하 그리드 등으로 불리고, 또한 캐소드 가까운 쪽에서 순서에 따라 제1 그리드, 제2 그리드, 제3 그리드라 불린다.The grid is in the path of electron flow from the cathode, which acts in various ways to control, accelerate and absorb electrons depending on the voltage applied. It is called control grid, shielding grid, space charge grid, etc., depending on the role it plays, and also called first grid, second grid, and third grid in order from the cathode side.

이러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이 파워가 오프 됨과 동시에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CRT의 중앙에 점이 발생된다. 이 점은 CRT의 전자빔이 형광면에 만드는 작은 광점으로서, 휘점(이하 "spot"이라 약칭한다)이다.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ff, a point is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CRT because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is not blocked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is turned off. This point is a small light point that the electron beam of the CRT makes on the fluorescent surface, and is a bright point (hereinafter, abbreviated as "spot").

이러한 spot(스폿)은 CRT의 형광면을 상하게 하여 CRT를 손상시킨다. 따라서 이 spot을 방지하기 위해 스폿 킬러 회로(spot killer circuit)를 사용하게 된다.This spot damages the fluorescent surface of the CRT and damages the CRT. Therefore, a spot killer circuit is used to prevent this spot.

일반적인 스폿 킬러 회로는, 휘도 조절의 바이어스 전압 회로에 킬러용 콘덴서를 구성하고 있다. 그래서 파워가 오프되면 이 킬러용 콘덴서가 방전하게 되어, 제1 그리드에 역방향의 전압(음의 전압)을 인가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CRT의 전자의 방출을 차단해주어 스폿을 제거해 주게 된다.In a typical spot killer circuit, a killer capacitor is formed in a bias voltage circuit for adjusting luminance. Thus,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killer capacitor is discharged and the reverse voltage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grid. As a result, the spots are removed by blocking the emission of electrons from the CRT.

이러한 킬러용 콘덴서는 음의 전압을 충전하여 시정수(CR)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동안 제1 그리드에 음의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스폿을 제거해준다.The killer capacitor is charged with a negative voltage to remove the spot by supplying a negative voltage to the first grid for a time set by the time constant (CR).

이 킬러용 콘덴서의 충전량이 크면 그 만큼 스폿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커지게 된다. 그래서 킬러용 콘덴서는 큰 용량의 콘덴서로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큰 용량의 킬러용 콘덴서로 스폿 킬러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파워가 온(ON)되어 정상적인 동작시 제1 그리드의 인가 전압에 영향을 준다.The larger the charge of the killer capacitor, the greater the effect of removing spots. Therefore, the killer capacitor is composed of a large capacity capacitor. However, when the spot killer circuit is composed of such a large capacity killer capacitor, the power is turned on to affect the applied voltage of the first grid during normal operation.

이와 같이 일반적인 스폿 킬러 회로는, 충전량이 큰 콘덴서로 구성되면 스폿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파워가 온 상태에서의 제1 그리드의 전압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충전량이 큰 콘덴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This general spot killer circuit is effective for removing spots when the capacitor is composed of a large amount of charge. However, since it affects the voltage of the first grid when the power is on, it is not possible to use a capacitor having a large amount of charge. there was.

그래서 충전량이 적은 콘덴서로 스폿 킬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스폿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도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ot killer effect is reduced by forming a spot killer circuit with a capacitor having a small charge amount.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의 온/오프(ON/OFF)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스폿 킬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파워 온시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파워 오프시 스폿을 신속하고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스폿 킬러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ot killer including a transistor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of the video display device. By constructing the circuit, there is provided a spot killer circuit that can quickly and completely eliminate spots at power off without affec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rid at power 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폿 킬러 회로는,Spot kille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승압되어 정류된 펄스신호를 분압하여 콘덴서의 충전량을 설정하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 트랜지스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동안 콘덴서를 방전시키는 다수개의 저항과; 파워 오프시 상기 다수개의 저항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방전하여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의 충전량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어 전자파가 제1 그리드로 방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resistors for dividing the boosted and rectified pulse signal to set a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and discharging the capacitor for a set time so that the transistor can be driven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ff; A capaci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ransistor by discharging for a long time through the plurality of resistors at power of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to control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first grid.

도 1은 본 고안의 동작 설명을 위한 기본 회로도,1 is a basic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폿 킬러 회로도.2 is a spot killer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펄스발생부 50:정류부40: pulse generator 50: rectifier

60:스폿 제거부 70:밝기 조정부60: spot remover 70: brightness adjuster

80:귀선 삭제부80: retracement part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스폿 킬러 회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spot killer circu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스폿 킬러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회로도가 도1에 도시된다.First, a basic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pot killer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스폿 제거부(30)는, 승압되어 정류된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측으로 인가해 주고, 상기 펄스신호를 분압하여 콘덴서(C2)의 충전량을 설정하며, 파워 오프시 콘덴서(C2)의 충전량을 오랜 시간동안 방전하는 저항(R1)(R2)과; 스위치(SW1)가 연결조작되어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치(SW1)가 조작되어 입력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충전된 전류를 정류부(20)의 콘덴서(C1)가 방전하는 시간보다 오랜 시간 방전하는 콘덴서(C2)와; 상기 콘덴서(C2)의 충전 및 방전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콜렉터 측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The spot removing unit 30 applies the boosted and rectified pulse signal to the base side of the transistor Q1, divides the pulse signal to set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C2, and at the time of power-off, Resistors R1 and R2 for discharging the charge amount for a long time; When the switch SW1 is connected and the input signal is input, the voltage divided by the resistors R1 and R2 is charged. When the switch SW1 is operated to stop the input of the input signal, the charged current is charged. A capacitor C2 that discharges for a longer time than the time that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ier 20 discharges; An operation is controlled by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capacitor C2, so that the transistor Q1 bypasses current on the collector side.

또한 펄스 발생부(10)는, 외부의 조작에 의해 연결된 스위치(SW1)를 통한 입력 펄스 신호를 승압하는 트랜스(transformer)(T1)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or 10 is constituted by a transformer T1 for boosting an input pulse signal through a switch SW1 connected by an external operation.

그리고 정류부(20)는, 상기 펄스 발생부(10)에서 발생된 펄스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에서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는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저항(R3)으로 구성된다.The rectifier 20 includes: a diode D1 rectifying the pulse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10; A capacitor C1 for charging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diode D1; It consists of a resistor (R3) for discharg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1).

다음으로, 기본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asic circuit diagram will be described.

스위치(SW1)를 조작하여 연결하면 트랜스(T1)는 입력 펄스 신호(Vin)를 승압시킨다. 정류부(20)의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는 트랜스(T1)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정류한다. 그래서 콘덴서(C1)는 음의 전압을 충전하여 VB 가 된다.When the switch SW1 is operated and connected, the transformer T1 boosts the input pulse signal Vin.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ier 20 rectify the voltage boosted from the transformer T1. So capacitor C1 charges negative voltage V B Becomes

스폿 제거부(30)의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emitter) 전압 VE Emitter voltage of transistor Q1 of spot remover 30 V E Is

이다. 여기서 VB to be. here V B Is

된다. 이때 VE VB 는 음의 전압이기 때문에 VE VB 보다 크다.do. At this time V E Wow V B Is a negative voltage V E end V B Greater than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구동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transistor Q1 is not driven.

이 결과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에 파워가 온 상태인 경우, 스폿 제거부(30)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제1 그리드(G1)로 인가되는 전압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in the television or the monitor, the transistor Q1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is turned off to have no influence 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grid G1.

이후 파워가 오프되면 즉 외부로부터 스위치(SW1)를 조작하여 연결시키지 않으면, 정류부(20)의 다이오드(D1)가 오프되어 정류부(20)의 콘덴서(C1)와 스폿 제거부(30)의 콘덴서(C2)는 각각 방전한다.Th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at is, when the switch SW1 is not connected from the outside, the diode D1 of the rectifier 20 is turned off so that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ier 20 and the capacitor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 C2) discharges, respectively.

정류부(20)의 저항(R3)은 스폿 제거부(30)의 저항(R1)(R2)보다 매우 작은 값으로 구현되므로, 즉 R3 << (R1+R2) 이므로, 정류부(20)의 콘덴서(C1)는 스폿 제거부(30)의 저항(R1)(R2)을 통해 극히 적은 양을 방전하고, 정류부(20)의 저항(R3)을 통해 거의 대부분의 전류를 C1*R3의 시정수에 의해 방전한다. 그리고 스폿 제거부(30)의 콘덴서(C2)는 저항(R1)(R2)을 통해 방전한다. 이때 콘덴서(C2)의 방전 시간은 거의 저항(R2)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스폿 제거부(30)의 콘덴서의 방전시간이 정류부(20)의 콘덴서의 방전시간보다 길도록, 즉 R2 >> R3 가 되도록 설계한다.Since the resistor R3 of the rectifier 20 is implemented with a value that is much smaller than the resistors R1 and R2 of the spot remover 30, that is, R3 << (R1 + R2), the capacitor of the rectifier 20 C1 discharges a very small amount through the resistors R1 and R2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and almost all currents are transferred by the time constant of C1 * R3 through the resistor R3 of the rectifying unit 20. Discharge. The capacitor C2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discharges through the resistors R1 and R2. At this time,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C2 is almost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resistor R2. In this manner,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is longer than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of the rectifying unit 20, that is, R2 >> R3.

그래서 펄스 신호(Vin)를 인가하지 않을 경우, 정류부(20)의 콘덴서의 전압이 빠른 속도로 방전되어 "0"이 되는 반면, 스폿 제거부(30)의 콘덴서(C2)는 방전시간이 매우 길어 음의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VB VE 보다 크게 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이에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가 에미터 측으로 모두 바이패스(bybass)된다.Therefore, when the pulse signal Vin is not applied,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of the rectifying unit 20 discharges at a high speed and becomes "0", whereas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C2 of the spot removing unit 30 is very long. Maintain a negative voltage. therefore V B end V E As it becomes larger, transistor Q1 is turned on. As a result,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transistor Q1 is bypassed to the emitter side.

다음으로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폿 제거 회로가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적용된 블록 구성도이다.Next,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pot elimin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스폿 제거부(60)는, 승압되어 정류된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측으로 인가해 주고, 상기 펄스신호를 분압하여 콘덴서(C2)의 충전량을 설정하며, 파워 오프시 콘덴서(C2)의 충전량을 오랜 시간 동안 방전하는 저항(R)(R1)(R2)과; 상기 저항(R)(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따라 충전 및 방전하여 트랜지스터(Q1)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덴서(C2)와; 상기 콘덴서(C2)의 충전 및 방전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콜렉터 측의 전자를 에미터 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전자파의 방출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The spot removing unit 60 applies the boosted and rectified pulse signal to the base side of the transistor Q1, divides the pulse signal to set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C2, and at the time of power-off, Resistors R (R1) (R2) for discharging the charge amount for a long time; A capacitor (C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istor (Q1) by charging and discharging according to the voltage divided by the resistors (R) (R1) and (R2);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capacitor C2, and the transistor Q1 is configured to bypass electron emission on the collector side to block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또한 펄스 발생부(40)는, 플라이 백(fly back)시 발생되는 펄스 전압을 승압시키는 플라이백트랜스(FBT)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ulse generator 40 is composed of a flyback transformer (FBT) for boosting the pulse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flyback.

그리고 정류부(50)는, 상기 펄스 발생부(40)에서 발생된 펄스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에서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는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저항(R3)으로 구성된다.The rectifier 50 includes: a diode D1 rectifying the pulse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40; A capacitor C1 for charging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diode D1; It consists of a resistor (R3) for discharg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1).

또한 밝기 조정부(70)는 제1 그리드(G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 레벨을 변화시켜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며, 귀선 삭제부(80)는 수직/수평 편향제어부로부터 귀선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불필요한 귀선을 삭제한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7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by changing the DC voltage level applied to the first grid G1, and the blanking deleting unit 80 receives a return signal from the vertical / horizontal deflection control unit on the screen. Eliminate unnecessary traces.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스폿 제거 회로가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어 작용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pot elimin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에 파워가 온되고, CRT에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전자빔의 플라이백시 펄스 전압이 발생되는데, 플라이백트랜스(FBT)는 이 펄스 전압을 승압시킨다. 그러면 정류부(50)의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는 플라이백트랜스(FBT)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정류한다. 그리고 스폿 제거부(60)의 콘덴서(C2)는 저항(R)(R1)(R2)에 의해 설정된 해당 전압을 상기한 기본 회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한다. 이때 충전 전압이 음의 전압이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보다 에미터 전압이 더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구동되지 못한다. 그래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파워가 온되어 제1 그리드(G1)에 인가되는 전압에 스폿 제거부(60)가 아무런 간섭을 하지 않게 된다.First, power is turned 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CRT. At this time, a pulse voltage is generated at the flyback of the electron beam, and the flyback transformer FBT boosts the pulse voltage. Then,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ier 50 rectify the voltage boosted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The capacitor C2 of the spot removing unit 60 charges the corresponding voltage set by the resistors R, R1, and R2 as described in the basic circuit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since the charging voltage is a negative voltage, the transistor Q1 cannot be driven because the emitter voltage is higher than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Q1. Accordingly, the spot removing unit 6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grid G1 by turning on the video display device.

이후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에 파워가 오프되면, 펄스 발생부(40)에서 펄스가 발생되지 않고 정류부(50)의 콘덴서(C1)가 저항(R3)을 통해 방전한다. 이와 동시에 스폿 제거부(60)의 콘덴서(C2)도 저항(R)(R1)(R2)을 통해 방전하게 된다. 이때 정류부(50)의 저항(R3)과 스폿제거부(60)의 저항(R)(R1)(R2)은 R3 << (R+R1+R2) 가 되도록 설계되고, 콘덴서(C2)의 양의 단자(+)에 +55V가 인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류부(50)의 콘덴서(C1)가 스폿 제거부(60)의 콘덴서(C2)보다 아주 빨리 방전되어 "0"이 된다.Th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pulse generator 40 does not generate a pulse and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ier 50 discharges through the resistor R3. At the same time, the capacitor C2 of the spot removing unit 60 is also discharged through the resistors R, R1, and R2. At this time, the resistor R3 of the rectifier 50 and the resistors R (R1) (R2) of the spot removing unit 60 are designed such that R3 << (R + R1 + R2), and the amount of the capacitor C2 + 55V is applied to terminal (+) of. Therefore, the capacitor C1 of the rectifying section 50 is discharged much faster than the capacitor C2 of the spot removing section 60, and becomes "0".

그래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이 에미터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가 구동된다. 이에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측 전류가 에미터 측으로 모두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제1 그리드(G1)로 전달되는 전자를 모두 에미터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스폿을 제거하게 된다.Thus, transistor Q1 is driven because the base voltage of transistor Q1 is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As a result, the current on the collector side of the transistor Q1 is bypassed to the emitter side. Accordingly, the transistor Q1 bypasses all electrons transferred to the first grid G1 to the emitter side, thereby removing the spo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폿 킬러 회로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의 온/오프(ON/OFF)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스폿 킬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파워 오프시 구동되어 캐소드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차단하여 스폿을 신속하고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ot killer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ot killer circuit including a transistor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reby driving upon power-off. The effect is that the spot can be removed quickly and completely by blocking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그리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시 트랜지스터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제1 그리드로 인가되는 전압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에 간섭을 최소로 하는 효과도 있다.Since the transistor is not driven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n, the transistor does not affect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grid,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laims (2)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 스폿을 제거하는 스폿 제거 회로에 있어서,A spot elimination circuit for eliminating a spot upon power off of a video display device, 승압되어 정류된 펄스신호를 분압하여 콘덴서의 충전량을 설정하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오프시 오랜 시간동안 콘덴서의 충전량을 방전시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을 에미터 전압보다 높게 설정하는 다수개의 저항과;A plurality of resistors for setting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by dividing the boosted and rectified pulse signal, discharging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for a long time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owered off, and setting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상기 파워의 오프시 상기 다수개의 저항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방전하여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덴서와;A capaci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ransistor by discharging for a long time through the plurality of resistors when the power is off; 상기 콘덴서의 충전량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어 전자파가 제1 그리드로 방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킬러 회로.The spot kill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first gr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방전시간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time of the capacitor, 콜렉터를 통해서 제1 그리드로 흐르는 전자를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의 파워 오프시 에미터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전자 방출이 방지되도록,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 킬러 회로.The spot killer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ns flowing through the collector to the first grid are bypassed to the emitter side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turned off so that the electron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KR2019980010081U 1998-06-12 1998-06-12 Spot killer circuit KR2000000059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81U KR20000000594U (en) 1998-06-12 1998-06-12 Spot killer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81U KR20000000594U (en) 1998-06-12 1998-06-12 Spot killer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94U true KR20000000594U (en) 2000-01-15

Family

ID=6951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081U KR20000000594U (en) 1998-06-12 1998-06-12 Spot killer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59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0195A (en) * 2020-02-27 2020-06-05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Ball-end milling cut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0195A (en) * 2020-02-27 2020-06-05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Ball-end milling cu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0144781B1 (en) An afterimage cancelling circuit of crt
US4340910A (en) CRT Spot suppression circuit
KR0116710Y1 (en) Spot killer circuit
KR20000000594U (en) Spot killer circuit
US4275338A (en) Anti-spot burn protection for CRT
KR100226686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rt
EP1255402A1 (en) Power-supplying device for an electron gun
US6137245A (en) Circuit for generating control grid voltage for cathode ray tube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KR200165107Y1 (en) Spot killer circuit
KR100377224B1 (en) Method and circuit for power supply to cdt electron gun
JP2552551B2 (en) High voltage discharge circuit of cathode ray tube
KR100265378B1 (en) Spot killer circuit
KR100358613B1 (en) Image display tube discharge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KR920000910Y1 (en) Beam current limmited circuit for cathod ray tube
KR970004899Y1 (en) A cathode - ray tube high voltage discharge circuit
KR20000009202U (en) Monitor spot elimination circuit
JPH06350862A (en) Spot suppressing method for cathode-ray tube and video output circuit
KR930002314Y1 (en) Spot eliminating circuit
JP3536291B2 (en) Spot killer circuit
KR200224874Y1 (en) Spot elimination circuit of image display device
KR930001704Y1 (en) Protecting circuit for crt
JPH04336762A (en) Picture tube circuit
KR20000014597U (en) Monitor spot elimin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