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078A -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 Google Patents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078A
KR20000000078A KR1019990037972A KR19990037972A KR20000000078A KR 20000000078 A KR20000000078 A KR 20000000078A KR 1019990037972 A KR1019990037972 A KR 1019990037972A KR 19990037972 A KR19990037972 A KR 19990037972A KR 20000000078 A KR20000000078 A KR 2000000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ceiling
w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9365B1 (en
Inventor
김천희
Original Assignee
김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098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3071A/en
Application filed by 김천희 filed Critical 김천희
Priority to KR10-1999-003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365B1/en
Publication of KR2000000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3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Abstract

PURPOSE: A non-supporting ceiling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the cost by the simplification of the ceiling frame structure and to enhance the convenience for users because of an easiness to install a check inlet. CONSTITUTION: A non-supporting ceiling system comprises: a fixing piece(42) formed to fix a variable typed frame on the wall; a connection wing(46)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flap to connect the panel; a hinge(48) installed on the intersecting point of the connection wing and the fixing piece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wing; a first support projection formed on the support flap to support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wing; and a second support projection formed on the connection wing.

Description

무지주 천정 시스템{Non-Suspension Ceiling System}Non-Suspension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천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 함과 아울러 점검구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ceiling ceiling system configur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ceiling frame an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inspection ports.

통상적으로, 천정골조에 판넬(Panel)을 고정시킴에의해 천정을 마련하게 된다. 이때, 천정골조와 천정과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필요에따라 상하수도 배관, 전기배관 및 공조배관등이 설치되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결부하여 종래 천정구조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ypically, the ceiling is prepared by fixing a panel to the ceiling frame. At this time, in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frame and the ceiling, water and sewage pipes, electric pipes, and air conditioning pip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ereinafter,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천정구조물은 콘크리트(Concrete;10)에 실장된 앵커(Anchor;2)와, 앵커(2)에 자신의 일측이 체결된 볼트(4)와, 볼트(4)의 타측에 접속된 행거(Hanger;8)와, 볼트(4)와 행거(8)를 체결시키는 너트(6)와, 행거(8)에 수납된 캐링(Carrying;12)과, 캐링(12)과 직교하도록 체결된 M-바아(14)와, M-바아(14)에 체결된 판넬(16)을 구비한다. 앵커(2)는 천정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콘크리트(10)에 실장되어 있다. 앵커(2)에 자신의 일측이 고정된 볼트(4)의 타측에는 행거(8)가 체결되어 있다. 이때, 너트(6)는 행거(8)와 볼트(4)의 결속력을 견고하게 한다. 행거(8)에 수납된 캐링(12)들과 직교하게 M-바아(14)들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앵커(2), 볼트(4), 행거(8), 캐링(12), M-바아(14)는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천정골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천정구조물은 천정을 형성하기위한 천정골조를 필요로 하므로 천정골조비용 및 시공비용이 증가함과 아울러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includes an anchor 2 mounted on concrete 10, a bolt 4 having one side thereof fastened to the anchor 2, and the other side of the bolt 4. Hanger 8 connected to the nut, nut 6 for fastening the bolt 4 and the hanger 8, Carrying 12 housed in the hanger 8, and perpendicular to the caring 12 M-bars 14 fastened to each other, and panel 16 fastened to the M-bars 14. The anchor 2 is mounted on the concrete 10 to support the load of the ceiling structure. The hanger 8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lt 4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anchor 2. At this time, the nut 6 strengthen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hanger 8 and the bolt 4. It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M-bars 14 orthogonally to the carrying rings 12 housed in the hanger 8. At this time, the anchor 2, the bolt 4, the hanger 8, the caring 12, M-bar 14 is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eiling frame. As such,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requires a ceiling frame to form a ceiling, so that the ceiling frame cost and construction cost increase and a lot of construction time is required.

또한, M-바아(14)에 판넬(16)을 체결나사(20)로 고정시킴에의해 천정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앵커(2)가 실장된 콘크리트(10)와 판넬(16) 사이의 공간(이하 "천정공간"이라 한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되게 된다. 이러한 배관들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점검하기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22)를 마련해야한다. 천정에 점검구(22)를 마련하기위해서는 M-바아(14)에 점검구용 프레임(18)을 배치하고 고정시킨다. 이어서, 점검구용 프레임(18)의 내측에 판넬(16)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점검구(22)는 별도의 점검구 프레임(18)을 사용하므로 천정의 미관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 is configured by fixing the panel 16 to the M-bar 14 with the fastening screw 20. 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10 on which the anchor 2 is mounted and the panel 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iling space”) is provided with pipes according to a user's needs. In order to inspect these pipes on a regular or irregular basis, a check opening 22 should be provided as shown in FIG. In order to provide an access opening 22 on the ceiling, an access opening frame 18 is arranged and fixed to the M-bar 14. Subsequently, the panel 16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inspection frame 18. At this time, since the inspection tool 22 uses a separate inspection tool frame 18,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aesthetics of the ceiling and costly consumption has been derived.

또한, 천정의 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 예를들면, 광케이블망 구축하기 위한 통신선로를 새로이 설치할 경우 상기 천정을 이루는 골조와 광케이블간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천정골조 모두를 제거한후 새로 천정공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공조설비를 새로이 설치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같이 천정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시 상당한 공사기간과 설치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In addition, after additional ceiling construction, for example, when newly installing a communication line for constructing an optical cable network, interfere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optical cable constituting the ceiling occurs, so the ceiling construction must be performed after removing all the ceiling frames. . In addition, when newly installed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must go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bove. As such, a problem of considerable construction period and installation cost is being derived for additional additional work after ceiling constru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점검구 설치를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eiling ceiling system configur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ceiling frame an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inspection door.

도 1은 종래의 천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도 2는 종래의 점검구가 형성된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ceiling in which a conventional inspection opening is 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3.

도 5는 도 4의 고정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5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frame of FIG. 4;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3.

도 7은 도 4의 가변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variable frame of FIG. 4; FIG.

도 8은 도 3에 적용되는 판넬들의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panel applied to FIG.

도 9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9 is a bottom view of the cei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도 11은 도 10의 고정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frame of FIG. 10. FIG.

도 12a는 도 9의 F-F'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1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9;

도 12b는 도 9의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 of FIG. 9;

도 13은 도 12의 가변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frame of FIG. 12. FIG.

도 14는 도 13의 가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part of FIG. 13;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15 is a bottom view of the cei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은 도 15의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15; FIG.

도 16b는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5.

도 17a는 도 15의 K-K'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1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15;

도 17b는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FIG.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5;

도 18은 고정형프레임, 판넬지지부 및 합성수지판넬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relationship between a fixed frame, a panel support part, and a synthetic resin panel.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19 is a bottom view of the cei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of FIG. 19.

도 21은 도 19의 혼합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FIG. 21 is an enlarged view of the hybrid frame of FIG. 19.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92 : 앵커 4,94 : 볼트2,92 anchor 4,94 bolt

6,96 : 너트 8 : 행거6,96 nut 8: hanger

10,52 : 콘크리트 구조물 12 : 캐링10,52: concrete structure 12: caring

14 : M-바아 16,32 : 판넬14: M-bar 16,32: panel

18 : 점검구용 프레임 20,54 : 체결나사18: Frame for check hole 20,54: Tightening screw

22,56 : 점검구 34 : 판넬보강부22,56: Inspection hole 34: Panel reinforcement part

40 : 고정형 프레임 42 : 고정편40: fixed frame 42: fixed piece

46 : 수납날개 48 : 힌지46: storage wing 48: hinge

50 : 가변형 프레임 57 : 고정부재50: variable frame 57: fixed member

58,68 : 제1 및 제2 고정턱 60 : 혼합형 프레임58, 68: first and second fixed jaw 60: mixed frame

64 : 몸체부 70 : 합성수지 천정판넬64 body portion 70 synthetic resin ceiling panel

72 : 상판 74 : 하판72: top plate 74: bottom plate

76 : 숫접속부 78 : 암접속부76: male connection portion 78: female connection portion

84 : 판넬 지지부 86 : 연결부재84: panel support 86: connecting member

98 : 행거크립98: hanger cree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상기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and a fixed frame for receiving a panel forming a ceiling, and a panel forming a ceiling so that the panel can be removed during inspection. It has a variable fr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 판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과 체결되는 판넬지지수단과,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판넬지지수단을 체결하는 연결부재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frame for receiving a panel forming a ceiling fixed to the wall, the panel support means which i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nel and fastened to the panel forming a ceiling;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xed frame and the panel support means, and a variable frame for storing the panel forming the ceiling to remove the panel during inspe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과, 고정형 프레임과 고정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혼합형 프레임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non-holding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frame for receiving a panel to form a ceiling fixed to the wall, a variable frame for storing the panel forming a ceiling and to remove the panel during inspect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frame is provided with a mixed frame for receiving the panel.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11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사용한 천정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there is shown a bottom view of a ceiling using an unsupported ceil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Fix Type Frame;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판넬(32)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천정공간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될 경우, 이를 점검하기위한 점검구(56)가 마련되어진다. 이러한, 점검구(56)는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Variable Type Frame;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xed type frame 40 is mounted on a wall surrounded by the concrete 52, and the panel 32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xed frames 40. In addition, when the pip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re built in the ceiling space, the check opening 56 for checking this is provided. Such a check opening 56 is formed by being accommodated in a variable type frame 50 that allows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to receive a panel forming a ceiling and then to pull out the panel during the check.

이하, 도 4 및 도 5를 결부하여 고정형 프레임(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넬(32)은 양측에 마련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편(42)과, 몸체부(47)의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과, 상기 수납날개(46)의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고정턱(58)과, 상기 몸체부(47)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2 고정턱(68)을 구비한다. 체결나사(54)를 이용하여 고정편(42)을 벽면에 고정함에 의해 고정형 프레임(40)을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46)와 몸체부(4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하 "판넬수납공간" 이라 한다)에 판넬(32)이 수납되어 진다. 이 경우, 판넬(32)의 양측 끝부분은 수납날개(46)와 중첩되어 가리워지므로 천정의 저면은 도 3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은 후술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57)의 이동시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Hereinafter, the fixed frame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3. As shown in FIG. 4, the panel 32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40 provided at both sides to form a ceiling. As shown in (a) of FIG. 5, the fixed frame 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7 and is fixed to a wall surface, an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47 to form a panel. Receiving wing 46 for receiving, the first fixing jaw 58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wing 4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orm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7 The jaw 68 is provided. The fixing frame 40 is fixed to the wall by fixing the fixing piece 42 to the wall using the fastening screw 54. In this way, the panel 32 is accommodated in a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nel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storage wing 46 and the body portion 47 of the fixed frame 40 fixed to the wall surface.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panel 32 are overlapped with the receiving wing 46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has a shape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jaw (58, 68)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when the fixing member 57 for fixing the variable frame 5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벽면의 상부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설치하기 위한 변형된 구조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정편(42)을 몸체부(47)의 아래쪽에 형성함으로써 상부 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형 프레임(40)은 고정편(42)의 위치가 변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형 프레임(40)에서 고정편(42)의 위치변화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도 5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odified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tationary frame 40 in the place where the upper space of the wall is insufficient is shown in Figure 5 (b).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42 is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47 to eliminate the lack of the upper space. In this case, the stationary frame 40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stationary piece 42 changes.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ther part except for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ece 42 in the fixed frame 40 is the same as in Fig. 5 (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가변형 프레임(5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도 3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형성할 경우 적어도 판넬(32)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야만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60)의 양측에 수납된 판넬이 점검구(56)를 이루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편(42)과, 몸체부(47)의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형성된 힌지(Hinge;48)와, 수납날개(46)의 측면에서 신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57)를 수납하는 제1 고정턱(58)과, 몸체부(47)의 일단에서 신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57)를 수납하는 제2 고정턱(68)을 구비한다. 수납날개(46)와 몸체부(47)의 교차지점에는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47)의 하부에는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할수 있는 여유공간(즉, 유격)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따라, 수납날개(46)를 도 7의 (a)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경우, 판넬(32)은 수납날개(46)에서 이탈되므로 점검구(56)가 개방되어 진다. 이 경우, 점검구(56)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변형 프레임(50)의 길이에 대응하여 점검구(56)의 크기를 정할수 있다. 또한, 가변형 프레임(50)과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46)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천정의 저면은 차이가 나지않게 된다.Hereinafter, the variable frame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Referring to FIG. 6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3.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32 should be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when forming the inspection tool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s shown in (a) of FIG. 6, the panels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60 form an inspection opening 56. As shown in Figure 7 (a) is a variable frame 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7 is fixed to the wall 42 and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7 to form a panel A receiving wing 46 for receiving, a hinge (Hinge) 48 formed to vary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wing 46, and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receiving wing 46 to receive the fixing member 57 The first fixing jaw 58 and the second fixing jaw 68 ar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47 to accommodate the fixing member 57. At the intersection of the storage wing 46 and the body portion 47, a hinge 48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wing 46 is variable.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7 is provided with a free space (that is, play)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wing 46. Accordingly, when the receiving wing 46 is moved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7 (a), the panel 32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wing 46, so that the inspection opening 56 is opened. In this case,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is preferably housed in the variable frame 50 in order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56.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inspection tool 56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ariable frame 50. In addition, since the receiving wing 46 of the variable frame 50 and the fixed frame 40 has the same shape, the bottom of the ceiling is not different.

한편, 가변형 프레임(50)에 판넬이 수납된후 가변형 프레임(50)의 수납날개(46)는 상기 고정부재(57)를 수납함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검 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수납날개(46)를 개폐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납날개(46)의 개폐를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이 수납날개(46)와 고정편(4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납날개(46)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고정부재(57)를 제1 및 제2 고정턱(58,68)에 수납한후 가변형 프레임(50)과 고정형 프레임(40)의 걸친지점에 고정부재(57)를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키면 고정되게 된다. 반면에, 수납날개(46)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재(57)를 인접한 고정형 프레임(50)의 고정턱으로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부재(57)의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하게 되어 수납날개(46)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검구(56)가 형성되므로 천정의 미관은 훼손되지 않을뿐 아니라 종래의 점검구(56)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감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anel is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the receiving wing 46 of the variable frame 50 is fixed by receiving the fixing member (57).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need for inspec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wing 46.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fixing jaws 58 and 68 are formed on the receiving wing 46 and the fixing piece 42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wing 46,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order to fix the storage wing 46, the fixing member 57 i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jaw (58, 68) and then fixed to the point spanning the variable frame 50 and the fixed frame 40 The member 57 is fixed by moving it like a ba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open the storage wing 46, the user moves the fixing member 57 as if moving the latch to the fixing jaw of the adjacent fixed frame 50. In this way,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57,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wing 46 is changed to open the accommodating wing 46. Since the inspection opening 56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aesthetics of the ceiling are not compromised,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spection opening 56.

또한,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상기 판넬(70)은 점검구(56)의 개방을 위해 이에 해당하는 판넬(70)은 암접속부(78)를 체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의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도 6의 (b)와같이 판넬(70)의 위치를 이동함에 의해 점검구가 개방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nel 70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does not fasten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78 to the panel 70 corresponding thereto for the opening of the inspection opening 56. In this case, the inspection opening is open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nel 70 as shown in FIG. 6B by cutting along the line D-D 'of FIG. 3.

한편, 벽면의 상부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 가변형 프레임(50)을 설치하기 위한 변형된 구조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정편(42)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형성함에 의해 상부 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편(42)의 위치가 변하는 것 외에는 가변형 프레임(5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형 프레임(50)에서 고정편(42)의 위치변화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도 7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odified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variable frame 50 in the place where the upper space of the wall is insufficient is shown in Figure 7 (b). At this time, the shortage of the upper space is eliminated by form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ece 42 downward. In this case, the variable frame 50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ece 42 is changed.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ther parts of the variable frame 50 except for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xing piece 42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7A,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면을 갖는 판넬(32)은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판넬(32)은 길이방향으로 처짐이 낮은 자체 평탄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판넬(32)과 판넬(32) 사이에는 판넬보강부(34)를 장착시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된 판넬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판넬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판넬바닥면(32a)에 자체 하중에 의한 중력(이하 "자중"이라 한다)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인접하는 판넬(32)들의 작용점(32c)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은 작용점(32c)에 의해 절곡부(32b)를 수평방향(예를들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경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절곡부(32b)는 판넬보강부(3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판넬(32)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판넬보강부(34)에 의해 절곡부(32c)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인접하는 판넬(32)간의 접촉을 강화시키므로 판넬(32)의 결속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판넬(32)에는 점검구(56)의 개방을 위해 판넬보강부(34)를 장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anel 32 having a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ure 8 (a)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40 or the variable frame 50 to form a ceiling. In this case, the panel 32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40 or the variable frame 50 should have its own flatness with low defl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anel reinforcement part 34 is mounted between the panel 32 and the panel 32 to prevent the panel housed in the stationary frame 40 from flowing and to firmly bond the panel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Gra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f-weight") due to its own load acts on the panel bottom surface 32a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working points 32c of the adjacent panels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Gravity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uses the bend 32b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left or right direction) by the action point 32c. In this case, the bent portion 32b to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panel reinforcement portion 34, thereby preventing the panel 32 from flowing.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bent portion 32c by the panel reinforcement portion 34 is limited, thereby strengthening the contact between the adjacent panels 32, thereby strengthening the binding of the panel 3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nel reinforcement part 34 is not mounted on the panel 32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to open the inspection opening 56.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면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숫접속부(76)가 마련되어 있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암접속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암접속부(78)에 숫접속부(76)가 삽입됨에 의해 결합된 상기 판넬(70)의 폭방향 양측을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각각 수납시킴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상기 판넬(70)은 길이 방향으로 자체평탄도를 가져야 하지만 비교적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는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판넬(70)의 상부에는 제1 또는 제2 보강부재(33 또는 35)를 사용하게 된다. 제1 또는 제2 보강부재(33 또는 35)는 상기 판넬(70)의 상부 에 길이방향으로 부착 또는 삽입되어 자중에 의한 판넬(7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보강부재(33)는 상기 판넬(70)의 상부에 돌기형태로 신장되어 형성된 안착돌기쌍(33a)과, 안착돌기쌍(33a)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커버(33b)를 구비한다. 안착돌기쌍(33a)은 판넬(70)에 일체화된 형태를 갖도록 판넬(7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보강커버(33b)가 안착돌기쌍(33a)을 감싸도록 삽입하여 강한 결속력을 가지게 되며 삽입 보강커버의 자체평탄도로 인해 판넬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보강부재(33)의 형태는 도 8의 (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착돌기를 감싸는 형태로 포함할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male connecting portion 76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nel 70 of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having a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8 (b), and a female connecting portion 78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n this case, the ceiling is formed by receiving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nel 70 coupled by the male connection part 76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ion part 78 in the fixed frame 40 or the variable frame 50, respectively. do. In addition, the panel 70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40 or the variable frame 50 should have its own flat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has a large disadvantage in that deflection due to its own weight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members 33 or 35 are used on the panel 70. The first or second reinforcing member 33 or 35 is attached or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70 to prevent the panel 70 from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In detail,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3 includes a seating protrusion pair 33a and a seating protrusion pair 33a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70. 33b). The pair of seating protrusions 33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70 to have a form integral to the panel 70.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cover 33b is inserted to surround the seating protrusion pair 33a to have a strong binding force and prevents sagging of the panel due to the self-flatness of the insertion reinforcement cove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3 may include a form surrounding the seating protrusion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한편, 제2 보강부재(35)는 판넬(70)의 표면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진 한쌍의 후킹레일(35a)과 이들 후킹레일들(35a)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폴(35b)을 구비한다. 보강폴(35b)은 하단의 양쪽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진 I자 형태를 가진다. 일례로, 도 8의 (b) 우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이 삼각형인 보강막대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 보강 폴(35b)의 하단의 양쪽 에지부들 각각에는 라운드부(3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라운드부(35c) 각각은 후킹 레일(35a)의 안쪽 하단부에 형성되어진 요홈부(35d)에 안착됨으로써 보강 폴(35b)가 후킹 레일들(35a)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나아가, 후킹 레일들(35a) 각각의 상단부는 보강 폴(35b)의 경사면의 중앙부를 압압하여 보강 폴(35b)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35 has a pair of hooking rails (35a) form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panel 70 and the reinforcing pole (35b) is sandwiched between the hooking rails (35a). The reinforcement pole 35b has an I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lower end protrude outwar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8B, the cross section has a triangular reinforcement bar. In addition, round portions 35c are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of the lower ends of the reinforcement poles 35b, respectively. Each of these round portions 35c is seated in the recessed portion 35d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portion of the hooking rail 35a so that the reinforcement pawl 35b is firmly fixed between the hooking rails 35a. Further,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hooking rails 35a may pre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wl 35b to prevent sagging of the reinforcement pawl 35b.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앵커, 볼트, 행거, 캐링, M-바아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천정시공을 위한 공정을 단순화 함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anchors, bolts, hangers, carings, and M-bars in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and simplifies the process for ceiling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 발생시 예를들면, 광케이블 매설, 공조설비 설치시 필요한 천정부분만을 제거한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이 짧아질뿐만 아니라 추가공사 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ditional construction occurs after the ceiling construction, for example, the installa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ecause it is possible to install only after removing the ceiling portion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ptical cable, air conditioning equipment In addition, the cost of additional construction will be reduced. This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한편, 도 9 내지 도 14를 결부하여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판넬(32)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천정공간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될 경우, 이를 점검하기위한 점검구(56)가 마련되어진다. 이러한, 점검구(56)는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9, after the fixed frame 40 ′ is mounted on a wall surrounded by the concrete 52, the panel 32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xed frames 40 ′. In addition, when the pip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re built in the ceiling space, the check opening 56 for checking this is provided. Such, the check opening 56 is formed by being housed in a variable frame 50 'that allows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to receive a panel forming a ceiling and then pull out the panel at the time of inspection.

이하, 도 10 및 도 11을 결부하여 고정형 프레임(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E-E'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넬(32)은 양측에 마련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수납날개(46)와 대향하도록 몸체부(47)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49)를 구비한다.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몸체부(47)를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수납날개(46)와 이에 대향하는 장식부(49) 간에 형성된 공간(이하 "판넬수납공간" 이라 한다)에 판넬(70)이 수납되어 진다. 이때, 장식부(49)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천정의 가장자리부분을 미려하게 장식하게 된다.Hereinafter, the fixed frame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9. As shown in FIG. 10, the panel 32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40 ′ provided at both sides to form a ceiling. As shown in FIG. 11, the fixed frame 40 ′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7 and formed at the body portion 47 so as to face the accommodation wing 46 for accommodating the panel and the storage wing 46. And a decorative portion 49 for decorating the frame. Fixing the body portion 47 to the wall using a fastening screw. The panel 70 is accommodated in a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nel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storage wing 46 and the decorative portion 49 opposite thereto. At this time, the decorative part 49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and the decorative edges of the ceiling are beautifully decorated.

이하, 도 12a 내지 도 14를 결부하여 가변형 프레임(5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도 9의 F-F'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형성할 경우 적어도 판넬(70)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야만 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의 양측에 수납된 판넬이 점검구(56)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도 9의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 경우, 판넬(70)의 양측은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6의 (b)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점검구를 형성하게 된다.Hereinafter, the variable frame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4.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9.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70 should be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when the inspection opening is form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s shown in FIG. 12A, the panels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50 ′ form an inspection opening 56.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 of FIG. 9.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panel 70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ationary frame 40 ', and the inspection holes are formed by the method as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70)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46)와, 제1 수납날개(46)와 대향되도록 몸체부(47)에 고정됨과 아울러, 가변형 프레임(50')의 미관을 수려하도록 하는 장식부(49)와, 몸체부(47)에 형성되어 장식부(49)를 수납하는 장식부 수납홈(51)을 구비한다.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몸체부(47)을 벽면에 고정시킴에 의해 가변형 프레임(50')을 체결하게 된다. 장식부 수납홈(51)에 장식부(49)를 삽입함에 의해 장식부(49)가 몸체부(47)에 고정된다. 이를위해, 장식부 수납홈(51)에는 수납턱(5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장식부 상단(49a) 말미에는 수납턱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수납날개(46)와 장식부 상단(49a) 사이의 공간에 판넬(70)이 수납되게 된다. 장식부(49)의 일측은 장식부 수납홈(51)에 삽입되고, 장식부(49)의 하부는 가변형 프레임의 좌·우 주변에 기설치된 고정형 프레임의 고정홈(55)에 고정되게 된다. 도 14와 결부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를 갖는 장식부(49)에는 상기 몸체부(47)에 연결된 고정홈(55)에 삽입되어 장식부(49)를 고정하는 고정막대(53)들이 이동레버(59)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막대(53)들 사이에는 스프링(57)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따라, 고정막대(53)들은 평상시에는 고정홈(55)에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이동레버(59)를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 고정홈(55)에서 이탈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동레버(59)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장식부(49)를 고정홈(55)에서 이탈시킨후 장식부 수납홈(51)에서 인출함에 의해 장식부(49)를 분리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장식부(49)를 가변형 프레임(5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이의 역순으로 조립하면 된다. 장식부(49)를 분리 개방하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납되어 있던 판넬(70)은 수납날개에서 이탈되므로 점검구(56)가 개방되어진다. 이 경우, 점검구를 형성하기위해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제1 실시예의 장점과 더불어 고정형 프레임(40') 및 가변형 프레임(50')의 각각에 장식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수려한 미감을 제공할수 있게된다.As shown in FIG. 13, the variable frame 50 ′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7 so as to face the first accommodation wing 46 and the first accommodation wing 46 to accommodate the panel 70. It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47, and the decorative portion 49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variable frame 50 ', and the decorative portion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47 to receive the decorative portion ( 51). The variable frame 50 'is fastened by fixing the body 47 to the wall using fastening screws. The decorative part 49 is fixed to the body part 47 by inserting the decorative part 49 into the decorative part accommodating groove 51. To this end, the decorative part accommodating groove 51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jaw 51a, and the accommodating jaw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decorative part 49a. In addition, the panel 70 is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wing 46 and the upper end 49a of the decorative part. One side of the decorative part 49 is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part accommodating groove 51, and the lower part of the decorative part 49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55 of the fixed frame pre-installed arou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riable fram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In the decoration part 49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14, the fixing rods 53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55 connected to the body part 47 to fix the decoration part 49 are movable levers 59. It is formed in one piece). A spring 57 is disposed between these fixing rods 53. Accordingly, the fixing rods 53 are norm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55, but ar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s 55 when the user moves the moving lever 59 inwards. That is, the user separates and opens the decorative part 49 by moving the moving lever 59 inward to separate the decorative part 49 from the fixing groove 55 and withdrawing from the decorative part accommodating groove 51. It become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corative part 49 is inserted into the variable frame 50 ', it may be assembled in the reverse order. When the decorative part 49 is opened and separated, the panel 70, which is stored as shown in FIG. 12 (a),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wing so that the inspection opening 56 is opened. In this case,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is preferably housed in the variable frame 50 'in order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first embodiment, a decorative portion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xed frame 40 'and the variable frame 50' to provide a beautiful aesthetic to the user.

도 15 내지 도 18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15 to 18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Fix Type Frame;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합성수지 또는 기타 소재의 판넬(70)을 수납시키게 된다. 점검구(56)를 형성할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판넬(70)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Variable Type Frame;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5, after fixing a fixed type frame 40 to a wall surrounded by concrete 52, a panel 70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xed frames 40. . When the inspection opening 56 is formed, at least one side of the panel 70 is formed by being accommodated in a variable type frame 50.

도 16a를 참조하면, 도 15의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6A, there is show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도 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에는 상기 판넬(70)이 수납되어 있으며, 고정편(42)에는 상기 판넬(70)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천정을 구성하는 판넬(70)과 체결되는 판넬지지부(84)가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A, the panel 7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wing of the fixed frame 40, and the panel 70 is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panel 70 in the fixing piece 42 to form a ceiling. The panel support part 84 which is fastened with the is fixed.

한편,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암접속부(78)를 판넬(70)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하게 된다. 판넬(70)의 길이방향으로 암접속부(78)에 숫접속부(76)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판넬(70)이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결합된 상기 판넬(70)의 폭방향으로 양측을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도 18을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6B,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6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 16B, the female connection part 78 is fastened to the panel 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using the fastening screw. The panel 70 is fastened by inserting the male connecting portion 76 into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7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nel 70. The ceiling is formed by accommodating both sides in the fixed frame 40 or the variable frame 5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nel 70 coupled in this form.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8.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상기 판넬(7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천정을 위한 골조를 구성하여 판넬(70)과 체결되는 판넬지지부(84)와, 상기 고정형 프레임(40)과 상기 패널지지부(84)를 접속시키는 연결부재(86)와, 천정을 이루는 판넬(70)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한다. 먼저, 상기 판넬지지부(84), 연결부재(86) 및 고정형 프레임(40)의 체결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재(86)의 일측은 고정편(42)에 체결되고 타측은 판넬지지부(84)에 체결되게 된다. 이를위해, 고정편(42), 연결부재(86)의 일측, 판넬지지부(84)에는 체결홈(40a,80a,8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넬지지부(84)와 연결부재(86)의 체결시 판넬지지부(84)가 체결되는 길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하도록 연결부재(86)의 타측에는 길이조절홈(8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판넬(70)과 판넬지지부(84)의 체결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70)의 암결합부(76)와 판넬지지부(84)를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판넬지지부(84)에 체결된 판넬의 암결합부(76)에 또 다른 판넬의 숫결합부(76)를 삽입함에 의해 판넬들이 결합되어 고정형 프레임(40) 간에 수납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판넬(70)을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검구(56)룰 형성할 경우에는 적어도 판넬(70)의 폭방향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a 및 도 17b를 결부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56)에 해당하는 판넬(70)에는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아 판넬지지부(84)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양단에 마련된 가변형 프레임의 수납날개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점검구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56)를 형성하기위해 다수개의 고정된 판넬중 가변형 프레임에 수납된 판넬의 형성이 나타나 있다. 즉, 점검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넬은 체결나사를 사용치 아니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8,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40 that accommodates a panel 70 made of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and is disposed to be orthogonal to the panel 70. Panel support portion 84 is fastened to the panel 70 by constructing a frame, connection member 86 connecting the fixed frame 40 and the panel support portion 84, and a panel 70 forming a ceiling. It is provided with a variable frame 50 to allow the panel to be removed during inspection after receiving. Firs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nel support part 84, the connection member 86, and the fixed frame 4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8,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86 is fastened to the fixing piece 42, and the other side is fastened to the panel support part 84. To this end, the fixing piece 42,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86, the panel support portion 84 is formed with fastening grooves 40a, 80a, 84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80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86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anel support portion 84 is fasten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hen the panel support portion 84 and the connection member 86 is fastened have. 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nel 70 and the panel support part 84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8, the female coupling part 76 and the panel support part 84 of the panel 70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using a fastening screw. Pan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male coupling portion 76 of another panel into the female coupling portion 76 of the panel fastened to the panel support portion 84 to form a ceiling by being accommodated between the fixed frames 4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anel 70 to an unsupported ceiling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forming the check opening 56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nel 70 is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frame 5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A and 17B. As shown in FIG. 17A, the panel 70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port 56 is spaced apart from the panel support part 8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not using a fastening screw, and the receiving blades of the variable frames provided at both ends are positioned. By adjusting,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check opening. Also shown is the formation of a panel housed in a variable frame of a plurality of fixed panels to form the check opening 56 as shown in FIG. 17B. That is, the panel is applied to the same method as the first embodiment without using the fastening screw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앵커, 볼트, 행거, M-바아를 사용하지 않는 천정구조를 가짐으로써 천정시공을 위한 공정을 단순화 함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판넬의 자체평탄도를 유지하기위한 보강재를 판넬지지부로 대체하여 설치한후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을 판넬지지부에 고정하여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iling structure that does not use anchors, bolts, hangers, and M-bars in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for ceiling construction and improving construction costs. Will be reduced. At this time, the non-holding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replacing the panel support with a reinforcing material for maintaining the flatness of the panel to the panel support to form a ceiling by fixing the panel to the panel support using a fastening screw. Done.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사용한 천정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천정을 설치할 공간이 자체평탄도를 지닌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의 길이보다 수배 내지 수십배 큰 광역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천정구조를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판넬(70)과 판넬(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형 프레임(Hybrid Type Frame;60)을 설치하게 된다. 또는 고정형 프레임(40)과 고정형 프레임(4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혼합형 프레임(60)을 설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9, there is shown a bottom view of a ceiling using an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is difficult to use the ceiling structure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wide area where the ceiling is installed, which is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tim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anel 70 of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having its own flatness.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3, at least one hybrid type fram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panel 70 and the panel 70. Alternatively, at least one mixed fram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frame 40 and the fixed frame 40.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의 일측변의 길이(d)가 적어도 상기 판넬(70) 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이 되고 이와 수직으로 인접한 일측변의 길이도 상기와 같이 광역일 경우,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60)을 배치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과 혼합형 프레임(60), 혼합형 프레임(60)과 혼합형 프레임(60) 간의 거리는 상기 판넬(70)의 자체평탄도를 유지할수 있는 범위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고정형 프레임(40)과 혼합형 프레임(60), 혼합형 프레임(60)과 혼합형 프레임(60)의 사이에 상기 판넬(70)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점검구(56)를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형 프레임(40) 및 혼합형 프레임(60)은 가변형 프레임(50) 으로 대체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혼합형 프레임(60)을 콘트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위해 콘크리트(52)에 실장된 앵커(92)와, 앵커(92)에 자신의 일측이 체결된 볼트(94)와, 볼트(94)의 타측에 접속된 행거크립(98)과, 볼트(94)와 행거크립(98)를 체결시키는 너트(96)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행거크립(98)에는 혼합형 프레임의 고정편(42')이 수납되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 및 가변형 프레임(5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1을 결부하여 혼합형 프레임(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of FIG. 19. As shown in FIG. 20, when the length d of one side of the ceiling is at least several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length of the panel 70 and the length of one side that is vertically adjacent thereto is wide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52 After the stationary frame 40 is mounted on the enclosed wall, the mixed frame 60 is disposed between the stationary frames 40.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frame 40 and the mixed frame 60, the mixed frame 60 and the mixed frame 60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that can maintain the self-flatness of the panel 70. Accordingly, the panel 7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fixed frame 40 and the mixed frame 60, the mixed frame 60, and the mixed frame 60. In addition, the fixed frame 40 and the mixed frame 60 may be replaced with the variable frame 50 when forming the check opening 56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t this time, the anchor 92 is mounted on the concrete 52 to fix the mixed frame 60 to the concrete structure, the bolt 94, one side of which is fastened to the anchor 92, and the other side of the bolt 94 A hanger creep 98 and a nut 96 for fastening the bolt 94 and the hanger creep 98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fixing piece 42 'of the mixed frame is accommodated in the hanger creep 98. In this case, since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fixed frame 40 and the variable frame 5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the hybrid frame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도 21을 참조하면, 혼합형 프레임(60)은 행거크립(98)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고정편(42')과, 몸체부(64)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의 수납하는 제2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와 제2 수납날개(46")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를 구비한다. 고정편(42')은 행거크립(98)에 수납됨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게 된다. 제1 수납날개(46') 또는 제2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 사이에는 판넬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판넬(70)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제2 수납날개(46")는 힌지에 의해 위치를 가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점검구(56)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따라, 혼합형 프레임(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판넬(70)을 수납하도록 몸체부(64)의 하부에 제1 수납날개(46')를 2개 형성할수도 있으며 점검구(56)를 형성하도록 몸체부(64)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수납날개(46")를 형성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혼합형 프레임(6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1, the hybrid frame 60 includes a fixing piece 42 ′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hanger creep 98, and a first accommodation wing 46 formed under one side of the body part 64 to accommodate the panel. '), And the second receiving wing 46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64 to receive the panel, and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body portion 64 and the second receiving wing 46", and the second The hinge 48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wing 46 "is variable. The fixing piece 42 'is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hanger creep 98. The first storage wing 46' Or a panel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blade 46 "and the body portion 64 to accommodate the panel 70.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ing wing 46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position by the hinge to be able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56. Accordingly, the mixed frame 60 accommodates the panel 7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wo first receiving blades 46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64,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receiving wings 46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64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56. You can also form In addition, the mixed frame 6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한편, 혼합형 프레임(60)에 점검구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이 제1 및 제2 수납날개(58,68)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턱들(58,68)에 고정부재(57)를 수납한후 고정부재(57)를 빗장처럼 걸쳐놓음에 의해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혼합형 프레임(60)에 걸쳐놓은 고정부재(57)를 인접한 혼합형 프레임(60)에 형성된 고정턱들(58,68) 쪽으로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킨후,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함에 의해 점검구(56)를 개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jaw (58, 68) is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blades (58)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ceiving blade 46 "provided to form the inspection opening in the mixed frame (60) 68. The posi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blade 46 " is obtained by storing the fixing member 57 in the fixing jaws 58 and 68 and then spreading the fixing member 57 like a latch. It will be fixed. In this case, the user moves the fixing member 57 over the mixing frame 60 to the fixing jaws 58 and 68 formed in the adjacent mixing frame 60, and then moves the second accommodating blade 46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 the inspection opening 56 is open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의 일측변의 길이(d)가 상기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이 되고 이와 수직으로 인접한 일측변의 길이도 상기와 같이 광역인 공간에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캐링, M-바아를 사용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 행가의 사용수량도 종래의 사용수량에 비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고정형프레임과 고정형프레임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을 사용함에 의해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에 달하는 광역공간에 판넬을 연장하여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d) of one side of the ceiling is several to several tens or more times the length of the panel, and the length of one side adjacent to the vertical is also wi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pply to form a ceiling on. In the non-ceiling cei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use of anchors, bolts, and hangers in the conventional ceiling structure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amount of conventional use. In addition, by using a mixed frame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frame to form a ceiling by extending the panel in a wide area space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panel length.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별도의 점검구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beautiful aesthetics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ceiling frame, reducing costs and not installing a separate inspection port.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판넬의 자체평탄도가 낮은 판넬을 판넬지지수단에 체결함에 의해 자체평탄도가 유지되는 천정을 형성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forming a ceiling in which self flatness is maintained by fastening a panel having a low self flatness to a panel support means.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고정형프레임과 고정형프레임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을 사용함에 의해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에 달하는 광역공간에 판넬을 연장하여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eiling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panel in a wide area of several to tens of times the panel length by using a mixed frame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frame.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시공후 추가공사 발생시 필요한 부분의 천정만을 제거한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이 짧아질뿐만 아니라 추가공사 비용을 저감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nsupported cei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fter removing only the ceiling of the required part when additional construction occurs after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3)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A fixed frame for holding a panel fixed to a wall to form a ceiling,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상기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 unsupported ceiling system, comprising: a variable frame configured to allow the panel to be removed during inspection after storing the panel forming the ceil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형 프레임이,The fixed frame,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과,A fixing piece formed to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storage w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for accommodating the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형 프레임이,The fixed frame,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와,A storage w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to accommodate a panel; 상기 수납날개와 대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 unsupported ceiling system, comprising: a decorative part formed on the body part so as to face the receiving wing to decorate a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형 프레임이,The variable frame,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과,A fixing piece formed to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와,A storage w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to accommodate the panel; 상기 수납날개와 고정편의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날개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hinge which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storage wing and the fixed pie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wing is variab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판넬이 수납된 수납날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고정편에 형성된 제1 고정턱과, 상기 수납날개에 형성된 제2 고정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first fixing jaw formed on the fixing piece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wing in which the panel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fixing jaw formed on the receiving w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가변형 프레임이,Variable frame,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와,A first accommodating w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accommodate the panel; 상기 제1 수납날개와 대향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2 수납날개와,A second accommodating wing formed in the body part so as to face the first accommodating wing; 상기 제2 수납날개에서 신장되어 장식부를 수납하는 장식부 수납날개와A decorative part storage w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storage wing and accommodating a decorative part 상기 장식부 수납날개에 수납되어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decorative part accommodated in the decorative part accommodation wing to decorate a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넬과 판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판넬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판넬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판넬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panel reinforcing part mounted between the panel and the panel to prevent flow of the panel and to firmly bond between the pane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의 처짐의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reinforcing memb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pane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강부재가,The reinforcing member, 상기 판넬의 상부에 돌기형태로 신장되어 형성된 안착돌기쌍과,A pair of seating protrusions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protrusions on the panel; 상기 안착돌기쌍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reinforcement cover configured to surround the pair of seating protrus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강부재가,The reinforcing member, 상기 판넬의 표면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진 한쌍의 후킹레일과A pair of hooking rails form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panel; 상기 후킹레일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reinforcing pole fitted between the hooking rails and fixed.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A fixed frame for holding a panel fixed to a wall to form a ceiling, 상기 판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정을 위한 골조를 구성하여 판넬과 체결되는 판넬지지수단과,A panel support mean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nel to form a frame for ceiling and fastened to the panel; 상기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판넬지지수단을 체결하는 연결부재와,A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fixed frame and the panel support means; 상기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variable frame for storing the panel forming the ceiling and allowing the panel to be removed during inspection.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과,A fixed frame for holding a panel fixed to a wall to form a ceiling,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과,A variable frame for storing a panel that forms a ceiling and allowing the panel to be removed for inspection; 상기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고정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혼합형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mixed frame provid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frame to accommodate the panel.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혼합형 프레임이,The mixed frame,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과,A fixing piece formed to be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몸체부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와,A first accommodating wing form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ody part to accommodate a panel; 상기 몸체부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의 수납하는 제2 수납날개와,A second accommodating wing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body and accommodating the panel; 상기 몸체부와 가변 수납날개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제2 수납날개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And a hing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variable storage wing, the hinge configured to vary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orage wing.
KR10-1999-0037972A 1999-03-23 1999-09-07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KR100369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en) 1999-03-23 1999-09-07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56 1999-03-23
KR1019990009856A KR19990073071A (en) 1999-03-23 1999-03-23 Non-Pillar Ceiling Frame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en) 1999-03-23 1999-09-07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78A true KR20000000078A (en) 2000-01-15
KR100369365B1 KR100369365B1 (en) 2003-01-24

Family

ID=2663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en) 1999-03-23 1999-09-07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36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5B1 (en) * 2001-01-04 2004-03-02 장상철 Method of assembly and building inside wall close material
KR100478221B1 (en) * 2003-01-17 2005-03-23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ceiling-panel assembly and establishment method on the arc-shape
WO2009073266A1 (en) * 2007-11-29 2009-06-11 Usg Interiors, Inc. Conformable wide wall ang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5B1 (en) * 2001-01-04 2004-03-02 장상철 Method of assembly and building inside wall close material
KR100478221B1 (en) * 2003-01-17 2005-03-23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ceiling-panel assembly and establishment method on the arc-shape
WO2009073266A1 (en) * 2007-11-29 2009-06-11 Usg Interiors, Inc. Conformable wide wall angle
US7677004B2 (en) 2007-11-29 2010-03-16 Usg Interiors, Inc. Conformable wide wall angle
RU2475604C2 (en) * 2007-11-29 2013-02-20 Юэсджи Интериорс, Инк. Comfortable wide wall-adjacent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365B1 (en)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51999U (en) Assembly type building structure
KR100369365B1 (en) Non-Suspension Ceiling System
JPH0913801A (en) Partition opening frame structure
KR200465279Y1 (en) Door assembly for shower booth
KR20220140949A (en) The support for partition
JP6542315B2 (en) Rail-like member
KR200144934Y1 (en) Frame fasteners for windows
KR101711556B1 (en) Partition door panel mounting frame fixed
KR200239511Y1 (en) A bracket for fix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20040005737A (en) A apparatus for connecting a partition
JPS5918076Y2 (en) Screen grid with insect screen
KR20110103250A (en) Ceiling panel mounting structure
KR200344582Y1 (en) A apparatus for connecting a partition
JPH11241575A (en) Opening frame fitting structure
KR200323398Y1 (en) a subsidiary window frame
KR200305724Y1 (en) Support bracket structure of blind frame
KR200183385Y1 (en) Windows Connected with the Post
KR200341293Y1 (en) Open and shut crime prevention door
KR200363245Y1 (en) Ceiling panel mounting structure
JP3101955U (en) Tent equipment for aerial work bucket
KR0120200Y1 (en) Curtain fixing frame
KR200344583Y1 (en) A apparatus for connecting a partition
KR0127436Y1 (en) Stop device for window
KR19990073071A (en) Non-Pillar Ceiling Frame
JP3074677U (en) Curtain rai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