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241A -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 Google Patents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241A
KR19990087241A KR1019980706642A KR19980706642A KR19990087241A KR 19990087241 A KR19990087241 A KR 19990087241A KR 1019980706642 A KR1019980706642 A KR 1019980706642A KR 19980706642 A KR19980706642 A KR 19980706642A KR 19990087241 A KR19990087241 A KR 1999008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enerator
generators
fuel
insul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이 길레트
제프리 티 디더러
파올로 알 자프레드
Original Assignee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드폴 루이스 에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6/02074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29917A1/en
Publication of KR1999008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241A/ko

Links

Landscapes

  • Fuel Cell (AREA)

Abstract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10)는 내부 절연층(14)과, 외부 절연층(16)과,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단일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는 발전기의 내부(12)에 있는 내부 절연층(14)으로 둘러싸인다. 발전기는 약 650℃ 이상의 온도로 작동 가능하다.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는 하우징(20)내부의 온도를 하우징 금속의 감성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또한, 하우징은 일체식 냉각 덕트를 포함하며, 다수의 이들 발전기가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어 파워 블록 어레이에 내부 냉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절연체로 둘러싸인 고체 산화물 전해질 연료 전지(solid oxide electrolyte fuel cell : "SOFC")를 이용하는 연료 전지 기초 전기 발생 장치("발전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면 아이센베르그(Isenberg)의 미국 특허 제 4,395,468 호 및 1992년 10월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의 관상 SOFC용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포펠(Poppel) 등의 미국 특허 제 4,476,196 호(평판 SOFC용)와, 액커먼(Ackerman) 등의 미국 특허 제 4,476,198 호["주름진(corrugated)" SOFC용]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관상 연료 전지는 단부 개방 또는 폐쇄형의 축방향으로 기다란 세라믹 튜브 공기 전극 재료(ceramic tube air electrode mat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튜브 공기 전극 재료는 박막 세라믹 고체 전해질 재료로 완전히 덮힌 세라믹 지지 튜브상에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축방향으로 기다란 얇은 상호접속 재료를 제외하고 서밋 연료 전극 재료로 실질적으로 피복된다. 평판형 연료 전지는 전해질과 상호접속 벽의 평탄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해질의 벽은 전해질을 사이에 끼운 음극과 양극 재료의 얇고 평탄한 층을 포함한다. "주름진"판 유형의 연료 전지는 활성 양극, 음극, 전해질 및 상호접속 재료의 3각형 또는 주름진 벌집형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지 않는 기타 연료 전지와 그러한 용융된 카보네이트 연료 전지는 공지되어 있고 그리고 그러한 연료 전지들은 본 발명의 모노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단열될 수 있다.
연료 전지 발전기의 구조에 있어서, 안정적인 절연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마키엘(Makiel)의 미국 특허 제 4,640,87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구멍으로부터 절연 가스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수소 가스 또는 기타 연료 가스의 투과로부터 절연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고온 절연체를 사이에 갖는 내부 및 외부 강 하우징 외피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상기 특허에는 2 부분으로 된 내부 하우징에 적절한 시일이 개시되는 바, 상기 시일은 열 순환과 발전기의 동작중에 내부 하우징의 방사상 및 종방향 확장을 허용한다. 절연체의 임의의 부분을 보호하고 그리고 모서리 가열 도관의 하나의 벽으로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 금속 캐니스터(canister)를 사용하는 것은 레이츠너(Reichner)의 미국 특허 제 4,808,49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 금속 하우징의 구조가 실험용 25KW 발전기의 주요 형태이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절연체는 외부 금속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었다.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드라퍼(Draper) 등의 미국 특허 제 4,664,986 호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것일 수 있는 산화제 공기 공급 공급 매니폴드 시스템(oxidant air feed manifold system)과 내부 금속 캐니스터의 일부분이 연소실내의 반응 고갈된 산화제/연료 고온 배기가스와 접촉하여, 그 결과 내부 금속 하우징의 온도가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되었다. 외래 강(exotic steel) 및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단일 발전기에 대해 높은 금속 하우징 온도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MW의 시스템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발전기의 어레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는 상업적인 용도에 대해서, 시스템의 외주부상에 배치되지 않은 발전기의 측면을 활성 냉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단일 발전기용으로 고비용의 특수강 및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점으로 남아 있으며,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발전기의 어레이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문제점은 기존에는 취급되지 않았던 심각한 어려움을 제기한다. 그러한 중앙 냉각을 제공하지 않으면, 장기간의 작동 후에 어레이의 중앙부 근처에서 저장 용기의 좌굴 및 잠재적인 파손이 초래될 수 있다.
다양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 관련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브룸필드(Bloomfield) 등의 미국 특허 제 3,972,731 호에는 가압 연료 전지 발전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전소에서, 공기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및 터빈과 같은 압축 장치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압축기는 발전소에 의해서 연료 전지 배기 가스와 같은 고온 가압 기체 매체의 형태로 생성되는 폐 에너지(waste energy)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는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터빈에 공급된다. 또한, 도머락키(Domeracki) 등의 미국 특허 제 5,413,879 호에 있어서, SOFC는 가스 터빈 시스템내에 통합되었다. 상기 시스템에서, 예열된 압축 공기가 연료와 함께 SOFC에 공급되어 전력과 고온 가스를 생성하며, 상기 가스는 고온 가스내에 남아있는 반응하지 않은 연료 및 산소의 연소에 의해 더 가열된다. 이러한 고온 가스는 연료의 2차 흐름이 공급되는 토핑 연소기(topping combustor)로 향하여, 후에 터빈 내에서 팽창되는 추가의 가열된 가스를 생성한다.
또한, 노구치(Noguchi) 등의 미국 특허 제 4,622,275 호에 개시된 연료 전지 발전소에 있어서, 개선된 반응 연료가 연료 전지의 양극에 공급되며, 압축기에 연결된 팽창 터빈이 압축 가스를 연료 전지의 음극에 공급하고, 상기 압축 가스는 연소된 양극 배기 가스와 혼합된다.
발명의 요약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발전소의 적용에 있어서, 비 세라믹 요소의 과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전지 발전기의 어레이, 모듈 또는 파워 블록(power block)을 그 어레이의 내부에서 냉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하우징 외피의 수를 상업적으로 적절한 정도로 감소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열 제어식 발전기 및 모노 컨테이너 발전기의 냉각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측면을 갖는 단일 하우징을 구비하며,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가 내부 절연체로 둘러싸이고, 발전기는 약 650℃ 이상의 내부 온도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는 하우징의 온도를 하우징 재료의 감성 온도(degradation temperature)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를 제공한다. 하우징 재료는 주조물과, 적절한 충전재를 갖는 특수 콘트리트와, 성형 세라믹과, 다양한 저가의 상업용 강 등일 수 있다. 하우징은 단일의 분리(복합물을 포함하거나 층상화된)층, 예를 들면 선택적인 얇은 접촉 스테인레스 강 또는 탄소강 외부 박판 요소를 갖는 성형된 세라믹 또는 콘크리트일 것이다. 내부 절연체와 외부 절연체의 조합체를 사용하여 연료 전지 발전기 하우징의 온도를 제어하면, 내부 절연체가 내부 하우징, 캐니스터 등에 의해서 접촉 가스 연료 및 연료 연소 생성물로부터 보호되지 않고 그리고 실질적인 절연 특성을 상실하더라도 비용 및 성능면에서 이롭게 된다. 연료 전지는 약 650℃ 이상의 온도, 주로 약 650℃ 및 약 1250℃ 까지의 온도에서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하우징의 형태는 정방형, 삼각형 또는 기타 기하학적 구조로 될 수 있으며, 연료 전지는 "가압" 모드, 즉 약 2 대기압 또는 평방 인치당 약 28.5 파운드(2.0 kg/cm2) 이상에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부, 하부 및 측면 섹션을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측면 섹션은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측면 섹션은 그내부에 냉각 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 섹션내의 냉각 덕트는 냉각 액체 또는 기체의 소스와 연통하는 단일 금속 하우징과; 상기 내부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전극 및 전해질을 수납한 다수의 연료 전지와; 기체 산화제 입구와; 연료 채널에 접속되어 연료를 연료 전지로 통과시키는 기체 연료 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콘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체 산화제 채널이 산화제 입구로부터 냉각 덕트에 연결되어 기체 산화제를 냉각 덕트를 통해 연료 전지로 흐르게 할 수 있으며, 기체 산화제는 냉각 가스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내부 절연층은 내부 가스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 공기 플리넘은 산화제 입구 매니폴드를 냉각 덕트에 연결하며, 상기 냉각 덕트는 기체 산화제를 연료 전지로 통과시킬 수 있는 상부 공기 플리넘과 연통되고, 이젝터(ejector)가 연료를 연료 입구로부터 연료 전지로 통과시킬 수 있다. 전술한 양자의 발전기에 있어서, 관상, 평판형 및 기타 유형의 고온 연료 전지를 모노 컨테이너내에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고체, 액체, 매트릭스 전해질을 연료 전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발전기는 이중 하우징의 사용을 배제하므로, 비용 및 공간의 필요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 발전기는 연료 및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산화제의 유동에서 약 1250℃ 까지의 내부 온도로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3개의 공지된 보조물과 결합되어 그것과 협력하여 작동될 것이다. 그러한 보조물로는 제어기와, 산소 또는 공기 예열기와, 연료 가스 압축기와, 연료 탈황기(fuel desulfurizer)와, 터빈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도 있는 산소 또는 공기 압축기와, 연료 가스의 소스와, 열 교환기와, 고온 연료 전지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복시키기 위한 열 회복 유니트와, 전력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토핑 연소기(topping combustor)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를 포함하며, 각 발전 장치는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하부 및 측면 섹션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측면 섹션은 그내부에 냉각 덕트를 갖는 단일 금속 하우징과; 상기 내부 절연체로 둘러싸인 다수의 연료 전지와; 연료 전지에 연결된 연료 입구 및 연료 전달 채널과; 연료 전지에 연결된 산화제 입구 및 산화제 전달 채널을 구비하고 있고, 다수의 발전기가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어 밀접하게 채워진 발전기의 어레이를 제공하며, 각 발전기는 약 700℃이상의 내부 온도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과 외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측면 섹션은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의 내부 측면 섹션의 경계부에서 냉각 덕트를 통과하는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력 발전 시스템은, 예를 들면 다수의 연료 기화기와 연료 전지 발전기 어레이 또는 DC/AC 전환 스위치기어가 결합된 파워 블록(power block)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석탄 기화/연료 전지 증기 터빈 조합 발전소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밀접하게 채워진 발전기의 어레이와 관련된 과열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 그 결과 실질적인 내부 비용 및 공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참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열제어형 고체 산화물 전해질 연료 전지 발전기에 관한 것이며, 100kW 내지 50MW 플러스 용량의 전력 발생 시스템의 다양한 보조 구성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모노 컨테이너 셸(mono-container shell)에 배치된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 내부 절연체 및 외부 절연체의 조합에 의해 냉각이 제어되는 모노 컨테이너를 갖는 단일 연료 전지 발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3차원 부분 단면도,
도 2는 냉각 덕트와 내부 절연체 및 외부 절연체의 조합에 의해서 냉각이 제어되는 내부 일체식 냉각 덕트를 갖는 모노 컨테이너를 구비한 단일 연료 전지 발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3차원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모노 컨테이너의 일실시예를 도시의 목적상 약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것으로, 발전기의 내부 냉각 덕트 및 내부 절연체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는 3차원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연료 전지 발전기의 선 4-4를 따라 절단한 것으로, 연료 전지와, 모노 컨테이어의 내부 냉각 덕트와, 내부 절연층 및 외부 절연층과, 연료 입구 배관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산화제 및 연료의 유동 경로를 도시하는, 도 2의 연료 전지 발전기의 단면도,
도 6은 내부 및 외부 절연체와, 어레이의 내부 뿐만 아니라 어레이의 외주부 둘레의 산화제 냉각 덕트에 의해서 1.5MW 용량 까지의 소형 파워 블록에 냉각을 을 제공하는 10개의 밀접하게 채워진 모노 컨테이너 발전기의 어레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수의 파워 블록을 이용하는 300MW의 통합된 석탄 기화/연료 전기 증기 터빈 발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중 도 1을 참조하면, 한가지 유형의 연료 전지 발전기(10)가 도시되어 있다. 관상 구조는 발전기를 대기압 이상에서의 연료 전지의 작동에 특히 유용하게 한다. 발전기(10)의 내부(12)는, 예를 들면 평탄한 형태, 물결모양 형태 또는 관상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비교적 고온에서 작동가능한 다양한 전해질, 예를 들면 공기 전극(공기와 같은 산화제와 접촉하는 전극) 및 연료 전극(개선된 석탄 가스 또는 개선된 천연 가스와 같은 연료와 접촉하는 전극)과 같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인산 매트릭스 또는 고체 산화물 세라믹을 이용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도시 않됨)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는 결합된 상호접속부 및 전력 리드(power leads)와, 공급 산화제 전달 배관과, 공급 연료 전달 배관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내부 절연층(14)으로 둘러싸인다. 외부 절연층(16)은 발전기 하우징(20)(도면에는 콘크리트로 도시됨)중 적어도 측면(18)을 둘러싸며, 또한 주로 발전기 하우징의 상부(22)를 덮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우징은 "복합체"로서, 고온의 적용에 대해, 예를 들면 카본 섬유 보강 콘크리트 또는 세라믹 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같은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주 하우징(20)을 포함하며, 강과 같은 금속의 얇은 시이트(20')가 리브 또는 상면 보강부(도시 않됨)와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얇은 구성 시이트(20')가 사용되더라도, 본 명세서에서는 단일 하우징 또는 모노 컨테이너로 규정된다. 주 하우징(20)과 임의의 결합된 선택적 강 시이트(20') 사이에는 주 절연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실시예의 절연층(14)의 내부에 끼이는 금속층 또는 기타 내부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내부 절연층은 발전기 내부의 여러 위치에서 1,250℃까지의 온도와 28.5psi 내지 220psi(2.0kg/cm2내지 15.5kg/cm2)의 압력으로 고온 연료 가스와, 반응된 산화제 및 연료의 혼합물과, 고온 산화제 가스와 접촉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절연체는 이러한 온도에 견딜 수 있으면서도 하우징에 대해 적절한 열적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한정된 세트의 재료로부터 선택되어야 한다. 절연체는 성능을 잠재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연료 전지, 특히 SOFC의 실리카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실리카가 없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내부 절연층(14)은 바람직하게는 고순도의 알루미나 섬유의 유형이어야 한다. 이러한 알루미나 재료는 양호한 절연 특성을 제공하고 그리고 실리카가 최소인 고순도로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알루미나 절연체는 다공성이 크며, 전형적인 연료 전지 적층체에서 발견되는 개선된 연료에 노출될 때 일부의 절연 특성이 상실된다.
외부 절연층(16)은 실리카, 유리 섬유, 알루미나 등일 수 있으며, 대체로 주위 공기에 노출될 것이다. 연료 전지 발전기 하우징의 온도를 하우징 재료의 감성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를 협력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 절연층 대 외부 절연층의 두께의 비는 대체로 약 1:0.2 내지 1:3이어야 한다. 실험 동작에 있어서는 1:0.35의 비를 이용한다. 고가의 내부 절연층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저 안전 작동 온도에서 콘크리트, 콘크리트 금속 복합물, 강 또는 세라믹과 같은 금속일 수 있는 하우징(2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절연층은 고순도의 요건이 제기됨으로 인해 보다 고가인 것이 일반적이다. 내부 절연층(14) 및 발전기 하우징(20)에 요구되는 총 두께는 허용되는 총 열 손실과, 연료 전지 적층체의 소망되는 열효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구조용 방벽(20)의 활동적 냉각은 구조상의 추가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그러한 냉각에 의하면 내부 절연층(14)의 비교적 큰 열저항으로 인하여 하우징(20)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냉매는 연료 전지 적층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입 공기와, 물과 같은 별도의 냉각 소스와, 사용 또는 처리를 위해 임의의 방식으로 가열되어야 할 화학약품 또는 가스와, 경제적으로 이용가능한 임의의 액체 또는 가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발전기 내부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는 임의 유형 또는 형태의 고체 산화물 전해질 또는 용융 카보네이트 연료 전지일 수 있다. 그러나,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유용한 예시적 형태로서 고체 산화물 전해질 연료 전지를 논의할 것이며, 이하의 설명은 대체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유형에 관한 것이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매우 효율적인 장치이다. 그러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석탄에서 유도된 연료 가스, 천연 가스 또는 유출 연료와 같은 다양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대략 1000℃의 온도에서 대기압 또는 상승된 압력으로 작동된다. 연료 전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는 500℃ 내지 850℃이며, 이러한 온도는 동시발전 응용 또는 모든 전기적 중앙 스테이션 발전소의 말기 사이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동작 SOFC는 산소 이온을 그들이 형성되는 공기 전극(음극)으로부터 고체 전해질을 통해 연료 전극(양극)으로 용이하게 전달한다. 여기서, 산소 이온은 연료 가스내에 함유된 일산화탄소(CO) 및 수소(H2)와 반응하여 전자를 운반하고 전기를 생성한다. 관상 SOFC는 도핑된 란탄 망간산염으로 제조된 다공성 공기 전극을 특징으로 한다. 이트륨 안정화된 지르코니아의 기밀 전해질(두께가 약 40 마이크로 미터임)은 전체 활동 전지 길이를 따라 약 9mm 너비의 스트립을 제외하고 공기 전극을 덮는다. 노출된 공기 전극의 이러한 스트립은 도핑된 란탄 크로마이트의 얇은 고밀도 기밀층으로 덮힌다. 전지 상호접속부(cell interconnection)라 언급되는 이 층은 인접 전지 또는 전력 접점에 대한 전기적 접촉 영역으로 작용한다. 연료 전극은 니켈 지르코니아 서밋(cermet)이며 상호접속부의 주변부를 제외한 전해질의 표면을 덮는다.
작동을 위해, 공기가 일반적으로 인젝터 튜브를 통해 연료 전지내로 도입된다. 전지의 폐쇄 말단 부근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전지에 의해 형성된 환상 공간과 그의 동축 인젝터 튜브를 통해 유동한다. 연료는 전지의 외부에서 유동한다. 전형적으로, 연료중 85%는 활성 연료 전지 섹션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이용된다(반응한다). 가스 불투과성 전해질은 질소가 공기 측면으로부터 연료 측면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연료가 질소 없는 환경에서 산화되어 NOX의 형성을 방지한다. 전지의 개방 말단에서, 잔여의 연료는 전지에서 유출되는 공기 흐름과 반응함으로써 추가의 유용한 열을 제공한다. 천연 가스 및 탄화 수소를 함유한 기타 연료의 개선은 필요할 경우 발전기 내부에서 달성될 수 있다. 유입 연료는 발전기 내에서 H2및 CO로 개선될 수 있으므로, 외부 개선물(reformer)의 필요성이 배제된다. 전체의 가스가 유동하고 반응물이 발전기내에서 제어된다.
전기적 SOFC 발전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개별 전지들은 직렬 및 병렬로 전기 접속된 연료 전지의 어레이로 "묶여져서" 기본 발전기 제작 블록인 반 강성 구조체를 형성한다. 개별 번들(bundle)은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용도에 따라 발전기 전압 또는 전류를 형성하고 그리고 서브모듈(submodule)을 형성한다. 전지를 번들내부에 병렬로 전기 접속하면 발전기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서브모듈은 병렬 또는 직렬 접속으로 추가로 조합되어 발전기 모듈을 형성한다. 관상 연료 전지 및 그 동작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이센베르그(Isenberg)의 미국 특허 제 4,395,468 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2를 참조하면, 연료 전지 발전기(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절연층(16)은 철, 강, 스텐인레스 강, 니켈 합금 또는 기타 적절한 금속으로만 제조될 수 있는 발전기 하우징(20)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을 둘러싼다. 발전기는 내부 절연층(14)의 내부에 인접한 내부 실린더, 캐니스터 또는 벽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또는 외부 절연층(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하우징의 상부(22)를 덮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산화제 분배 매니폴드(24)가 도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공기가 이를 통해 발전기 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소된 배기 가스 매니폴드(26)가 소모 연료 및 소모 산화제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는 배관(28)과 같은 연료 입구 수단을 통해 발전기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22)의 절단된 섹션은 일체식 냉각 덕트(30)를 갖는 상부 하우징(20)과 외부 절연층(14)을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20)의 하부의 상세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하우징(20)은 내부 절연층(14)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유형이다. 하우징(2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내부 절연층 및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측면을 구비한다. 냉각 덕트(30)는 하우징(20)의 측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을 둘러싼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냉각 덕트(30)의 하부는 산화제 분배 매니폴드(24)로부터 하부 공기 플리넘(32)과 같은 기체 산화제 입구와 연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발전기의 내부(12)는 내부 절연층(14)으로 둘러싸인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연료 전지를 수용한다. 기체 연료 입구가 연료 입구 배관(28)으로부터 전달 채널에 연결되어 연료가 연료 전지의 외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기체 산화제 전달 채널은 냉각 덕트(30)를 통해 상기 냉각 덕트의 상부에 기체 산화제를 공급하여 산화제를 연료 전지의 내부로 통과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이들 산화제 및 연료 통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물론, 산화제는 연료와 유사하게 연료 전지에 직접 공급될 수도 있고, 물이나 기타 액체 또는 기체의 연속 유동에 의해 냉각을 달성할 수 있다. 내부 절연층은 항상 내부 가스와 접촉하기 쉽다. 도 3의 하우징(20)은 모서리를 없앤 정방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측면 섹션이 연속 튜브로 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절단한 절연 발전기의 단면도로서, 연료 전지 번들(34)을 도시하며, 각 번들은 전극 및 그 사이에 끼워진 전해질을 갖는 관상 SOFC 유형으로 도시된 다수의 상호접속된 연료 전지(36)를 포함한다. 내부 절연층(14) 및 외부 절연층(16)으로 둘러싸인 하우징(20)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외주 둘레에 냉각 덕트(30)를 구비한다. 내부 절연층(14)에는 일체의 내부 하우징, 금속이나 기타 벽 또는 구조체가 접촉하지 않는다. 하우징(20)은 내부 절연층(14)을 내부 캐니스터 또는 기타 부재 사이에 끼우지 않는다. 연료는 연료 입구 배관(28)에 유입되어, 바람직하게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이젝터(38)로 통과되며, 여기서 재순환 가스가 공급 연료와 주입 혼합되어 개선 섹션(40)에 유용한 흐름을 제공하고 그리고 변형예로는 최적의 작동 조건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다음, 연료 흐름(42)이 개선기(40)에서 유출되고 연료 플리넘(44)을 통과하여 연료 공급 라인에 유입된다. 상기 연료 공급 라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선된 연료를 연료 전지(36)의 외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통과시키며, 연료는 관상 연료 전지(36) 외부의 기다란 연료 전극 표면을 따라 반응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제는 냉각 덕트(30)를 통하여 상부 공기 분배 플리넘(50)으로 상부로 통과하는 산화제 흐름(48)으로서 공기 플리넘(32)에 유입된다. 그다음, 산화제 흐름은 개별 산화제 공급관(52)을 거쳐 각 연료 전지(36)의 하측 내부로 전달되고 통과하고, 산화제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산화제 공급관과 내부 공기 전극간의 환상 공간에서 역류하고 통과하며, 또 산화제는 공기 전극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반응한다. 반응한 산화제는 최종적으로 소비된 산화제로서 연소 섹션(54)에 유입된다(유동은 도시되지 않음). 그다음 소비된 산화제는 소비된 연료와 함께 연소되어 배기 가스(56)를 제공한다. 상기 배기 가스중 일부는 이젝터(38)로 재순환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 가스(56)중 나머지 일부는 배기 덕트(58)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배기 가스 매니폴드(26)내로 유입된다. 이젝터 시스템의 사용 뿐만아니라 이들 유동 패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레이츠너(Reichner)의 미국 특허 제 5,169,730 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0개의 절연된 모노 컨테이너가 파워 블록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덕트(30)를 수용하는 하우징(20)은 외부 절연층(16)으로 둘러싸여 있다(명확하게 하기 위해 연료 전지 발전기는 도시하지 않았다). 내부 측면 섹션(64) 뿐만 아니라 외부 발전기 측면 섹션(62)은 냉각 덕트(30)를 통과하는 기체 산화제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은 어레이(60)의 캐니스터 내부(66)에서 특히 중요하며, 이러한 냉각에 의해 밀접하게 채워진 발전기 어레이와 관련된 과열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그리고 컨테이너 하우징(20)에 대해 넓은 단면의 강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모듈 사이를 냉각하지 않으면, 모듈 사이의 공간은 1000℃ 또는 그이상의 적층 온도에 접근할 것이다. 이러한 온도에서 장기간동안 사용하기에 안정적인 금속 구조체는 매우 고가의 외래 합금(exotic alloy)을 요구할 수도 있다. 도 2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배기 가스 매니폴드(26)는 발전기들간에 함께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연료 공급 배관(28)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300MW의 일체식 석탄 기화/연료 전지 증기 터빈 발전소(70)를 도시한 것이다. 석탄 기화 유니트(72)와, 공기 분리(산소) 플랜트(74)와, 직류/교류 전환 및 전기 스위치 기어 및 전력 제어 유니트(76)와 함께 5개의 50,000톤 석탄 저장 사일로스(silos)(78)가 도시되어 있다. 석탄 기화 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는 전술한 8개의 SOFC 파워 블록 어레이(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각 파워 블록 어레이(60)는 열 회수 증기 터빈(80) 및 열 회수 증기 발생기(82)와 결합된 12개의 SOFC 발전기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SOFC 블록은 터빈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가압 SOFC 파워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는 연료 전지에 공급될 수 있는 예열된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다. 파워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가스는 연소기에 고압으로 압송됨으로써 더욱 가열된 고온 가스를 생성할 수 있고, 더욱 가열된 고온 가스는 터빈내에서 팽창되어 전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터빈은 브룸필드(Bloomfield) 등의 미국 특허 제 3,972,73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산화제 증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를 구동시킨다. 또한, 가압된 SOFC 파워 블록에 있어서, 파워 블록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가스는 연료가 공급되는 토핑 연소기에 의해서 터빈으로 지향되어 더욱 가열된 고온 가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다음 더욱 가열된 고온 가스는 도머락키(domeracki) 등의 미국 특허 제 5,413,87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터빈 장치로 유입되고 팽창된다. 일체식 가스 터빈/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시스템의 주 요소는 압축기와, 터빈과, 로터(터빈이 상기 로터에 의해 발전기 및 압축기를 구동시킴)와, 연료 예열기와, 공기 예열기와, 연소실을 갖는 연료 탈황기와, 토핑 연소기와, 배기 적층체이다.
작동에 있어서, 고정 베인 및 회전 블레이드의 열을 포함하는 압축기는 주위 공기를 유도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압축된 공기는 토핑 연소기를 통해 유동한 후에 공기 예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핀이 달린 튜브(finned tube) 유형일 수도 있는 공기 예열기는 열전달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 표면은 연료 예열기에 의해 배출되는 터빈 배기 가스로부터 압축 공기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가열된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압축된 공기는 약 500℃ 내지 60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그다음 가열된 압축 공기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발전기로 지향된다. 천연 가스 또는 석탄에서 유도한 연료 가스일 수도 있는 기체 연료는 연료 예열기를 통하여 펌프에 의해 유동한다. 핀이 달린 튜브 유형일 수도 있는 연료 예열기는 열전달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전달 표면은 터빈에 의해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로부터 연료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가열된 연료를 생성한다. 연료는 약 40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그다음, 가열된 연료는 탈황기로 지향되며, 상기 탈황기는 연료가 통과하는 황 솔벤트의 베드(bed)를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탈황기로부터 유출되는 연료는 0.1ppm 미만의 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대체로 SOFC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의 연료 전지를 그러한 시스템내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밀접하게 채워진 파워 블록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구조이다. 또한, 그러한 어레이는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는 SOFC 동시발전 시스템과, 액화 천연 가스 연료 SOFC와, 모든 전기 발전소와, 기존의 화석 연료로 재가동되는 발전소와, 군함용 전기 추진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파워 블록 어레이를 사용하면, 상업용 SOFC의 대기 또는 가압 이용이 허용되며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동시발전 용도에 대해 80%의 높은 총 효율(50% 전기)과 천연 가스 연료 중앙 스테이션 발전소에 대해 50% 이상의 효율을 얻는다.
- 황이 연료로부터 제거되지만, SOx는 방출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온도가 단지 적절하게 높으며, NOx방출은 0.5ppm으로 측정되고 그리고 그보다 낮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저 방출과, 정숙한 저 진동 작동과, 연료의 융통성으로 인해 SOFC 시스템을 로드 센터(load center) 부근이나 도시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 폭넓은 전력 범위에 걸쳐 부하의 변화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고 그리고 부분적 부하 동작에서 효율이 높으므로 상업, 공업 및 설비 시장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 작동의 융통성으로 인해 말기 사이클에 대해 그리고 동시발전 시스템에 대해 양질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과 양립가능한 배기 온도를 생성할 수 있다.
- 처리 공기로 냉각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액체 또는 액체/공기 냉각 회로의 필요성이 배제되고 그리고 고체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의 처리와 관련된 문제점을 배제한다.
- 모듈러 구조체 및 공장 제조 SOFC 모듈의 이용가능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부하 증가 요구에 응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본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8)

  1.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에 있어서,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을 갖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극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가 상기 내부 절연층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발전기는 약 650℃ 이상의 내부 온도로 작동 가능하고,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는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하우징 재료의 감성 온도 이하로 제어하는 능력을 갖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 산화제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수단과, 기체 연료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 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에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재료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금속 복합물, 금속 및 세라믹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의 두께 비는 약 1:0.2 내지 약 1:3인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다수의 냉각 덕트를 일체식으로 수용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관상 연료 전지의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부 절연층은 실질적으로 실리카가 없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평판 연료 전지의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주름진 모놀리식(monolithic)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기, 산소 또는 공기 예열기, 연료 가스 압축기, 연료 탈황기, 산소 또는 공기 압축기, 터빈, 열교환기 및 토핑 연소기로부터 선택되는 그와 결합된 적어도 3개의 보조품을 구비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9. 제 1 항의 다수의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는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어 발전기의 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외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 및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은 상기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냉각시키는 것을 돕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냉각 액체 또는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냉각 덕트를 수용하는
    다수의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산화제와 연료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 수단이 상기 연료 전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발전기는 터빈 장치로 통과하는 고온 가스 출구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1.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에 있어서,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부, 하부 및 측면 섹션을 갖는 단일 금속 하우징과; 상기 내부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와; 기체 산화제 입구와; 연료 채널에 연결되어 연료를 상기 연료 전지로 통과시키는 기체 연료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중 적어도 상기 측면 섹션은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섹션은 그 내부에 냉각 덕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측면 섹션내의 상기 냉각 덕트는 냉각 액체 또는 가스의 소스와 연통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와,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는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하우징 금속의 감성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산화제 채널이 상기 산화제 입구로부터 상기 냉각 덕트에 연결되어 기체 산화제가 상기 냉각 덕트를 통해 상기 연료 전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기체 산화제는 냉각 가스로서 작용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재료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금속 복합물 및 금속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내부 절연층의 두께 비는 약 1:0.2 내지 약 1:3인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기체 산화제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수단과 기체 연료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 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에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관상 연료 전지의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부 절연층은 실질적으로 실리카가 없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평판 연료 전지의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주름진 모놀리식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제어기, 산소 또는 공기 예열기, 연료 가스 압축기, 연료 탈황기, 산소 또는 공기 압축기, 터빈, 열교환기 및 토핑 연소기로부터 선택된 그와 결합된 적어도 3개의 보조품을 구비하는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0. 제 11 항의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는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어 발전기의 어레이를 제공하며,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 및 외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은 산화제를 상기 연료 전지로 통과시키기 위한 냉각 덕트를 수용하며, 상기 산화제의 통과는 상기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냉각시키기에 효과적인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와 연료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가 상기 연료 전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발전기는 터빈 장치로 통과하는 고온 가스 출구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2.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에 있어서,
    각 발전기는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과;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 사이에 제공되고 상부, 하부 및 측면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섹션은 그 내부에 냉각 덕트를 구비하는 단일 금속 하우징과; 상기 내부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다수의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연결된 연료 입구 및 연료 전달 채널과; 상기 연료 전지에 연결된 산화제 입구 및 산화제 전달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발전기는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어 밀접하게 채워진 발전기의 어레이를 제공하고, 상기 각각의 발전기는 약 650℃ 이상의 내부 온도로 작동 가능하며,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과 외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은 상기 어레이의 내부 발전기 하우징 측면 섹션의 경계부에서 상기 냉각 덕트를 통과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재료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금속 복합물, 금속 및 세라믹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내부 절연체와 상기 외부 절연체의 두께비는 약 1:0.2 내지 약 1:3인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와, 상기 내부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층의 조합체는 상기 내부 하우징 측면 섹션의 온도를 상기 하우징 금속의 감성 온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산화제 채널이 상기 산화제 입구로부터 상기 냉각 덕트에 연결되어 기체 산화제가 상기 냉각 덕트를 통해 상기 연료 전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기체 산화제는 냉각 가스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산화제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체 연료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 기체를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제어기, 산소 또는 공기 예열기, 연료 가스 압축기, 연료 탈황기, 산소 또는 공기 압축기, 터빈, 열교환기 및 토핑 연소기로부터 선택된 그와 결합된 적어도 3개의 보조품을 구비하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와 산소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기 수단이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발전기의 어레이는 터빈 장치로 통과하는 고온 가스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KR1019980706642A 1996-12-26 1996-12-26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KR19990087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6/020749 WO1998029917A1 (en) 1996-12-26 1996-12-26 Self-cooling mono-container fuel cell generators and power plants using an array of such gener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241A true KR19990087241A (ko) 1999-12-15

Family

ID=6595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642A KR19990087241A (ko) 1996-12-26 1996-12-26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72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8504A (zh) * 2019-03-15 2020-09-2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具有电绝缘的壳体的电结构单元以及动力传动系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8504A (zh) * 2019-03-15 2020-09-2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具有电绝缘的壳体的电结构单元以及动力传动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0278A (en) Self-cooling mono-container fuel cell generators and power plants using an array of such generators
EP1428276B1 (en) Atmospheric and pressurized sofc power generation systems
US5573867A (en) Purge gas protected transportable pressurized fuel cell modules and their operation in a power plant
US6656623B2 (en) Low-cost atmospheric SOFC power generation system
CA2256730C (en) Solid oxide fuel cell generator with removable modular fuel cell stack configurations
US6689499B2 (en) Pressurized solid oxide fuel cell integral air accumular containment
US20030054215A1 (en) Compact integrated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US8021794B2 (en) Fuel cell with cross-shaped reformer
WO1991011034A1 (en) Molten carbonate fuel cell power plant
US20090130533A1 (en) Fuel cell
US6756144B2 (en) Integrated recuperation loop in fuel cell stack
AU678482B2 (en) High-temperature fuel cell installation
US4824742A (en) Manifold, bus support and coupling arrangement for solid oxide fuel cells
EP0894344A1 (en) Self-cooling mono-container fuel cell generators and power plants using an array of such generators
JP2004146343A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US7041410B2 (en) Fuel cell stack in a pressure vessel
US6942940B2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19990087241A (ko) 자동 냉각식 모노 컨테이너 연료 전지 발전기 및 그러한 발전기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CZ270298A3 (cs) Samochladicí jednoobalový generátor z palivových článků a energetická jednotka, využívající soustavu takových generátorů
JP2010238440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4849201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KR20210116616A (ko) 연료 전지 카트리지, 연료 전지 모듈 및 복합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