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906A -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906A
KR19990085906A KR1019980018600A KR19980018600A KR19990085906A KR 19990085906 A KR19990085906 A KR 19990085906A KR 1019980018600 A KR1019980018600 A KR 1019980018600A KR 19980018600 A KR19980018600 A KR 19980018600A KR 19990085906 A KR19990085906 A KR 1999008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ing
stored
memory
frequency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009B1 (ko
Inventor
전선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00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화번호가 등록가능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무선 휴대 단말기에 이미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들을 관리하고 관리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와 그에 해당하여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인덱스와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 횟수에 비례하여 가변 되는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하는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정보 메모리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에 저장된 각 다이얼링 횟수가 입력되어 입력된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가 비교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에서 비교되어 결정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 순서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저장된 인덱스들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되는 전화번호, 문자정보, 단축번호가 상기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저장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될 때마다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의 다이얼링 횟수를 가변 시켜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탐색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를 통해 크기가 판별되도록 처리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이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따른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로 구현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전화번호가 등록가능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무선 휴대 단말기에 이미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들을 관리하고 관리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휴대 단말기에 구현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은 사용자가 필요한 전화번호와 그에 해당하는 이름과 같은 문자정보를 하나 또는 두자리 정도로 이루어지는 단축번호로 지정한 후 저장해 두면, 실제 통화 수행시, 지정된 단축번호만을 눌러 해당 전화번호가 자동적으로 다이얼링 되는 기능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떤 전화번호를 어떤 단축번호에 할당해 놓았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됨에 따라, 이의 다양한 해결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대표적 일 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출원번호 97-62809호, "휴대형 무선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에 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출원된 97-62809호에 제시된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은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지정된 전화번호들에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알파벳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방법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전화번호를 손쉽게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이 구현된 근본적인 이유는, 사용자들이 몇몇 특정한 전화번호들에 한해서 다이얼링 빈도수가 크다는 특성 하에 자주 다이얼링 되는 전화번호들을 미리 저장해두고 단축번호의 입력만으로 해당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다이얼링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함인데, 상기 기출원된 97-62809호에 개시된 방법이나 그 외 종래 구현된 무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들은 자주 다이얼링 되는 전화번호들에 대해서 별도로 검색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었다. 즉, 다이얼링 빈도수에 따라 정렬된 전화번호들의 검색 기능이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자들로부터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는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참고로, 미합중국 특허 특허번호 5,592,546에 제시된 메모리 다이얼링 제어 시스템에서 다이얼링 빈도수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이 구현되고 있으나, 상기 기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에는 구체적인 구현 방법의 언급이 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관점으로, 무선 휴대 단말기는 전원 공급 특성상 최소의 전력 사용이 요구되는데, 상기 기출원된 97-62809호의 방법이나 종래 구현된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들은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키의 입력 횟수를 필요로 하고 있어, 무선 휴대 단말기의 최소 전력 사용 측면에 상반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즉, 종래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구현에 있어서는 증가된 키 입력 횟수를 요구하며 이와 더불어 증가된 전력 사용이 요구되는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본 발명은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이 구현된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검색하고 다이얼링 하는데 있어, 다이얼링 빈도수를 기준으로 전화번호들을 정렬하고 관리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구현에 그 목적을 가진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최소 전력이 사용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와 그에 해당하여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인덱스와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 횟수에 비례하여 가변 되는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하는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정보 메모리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에 저장된 각 다이얼링 횟수가 입력되어 입력된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가 비교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에서 비교되어 결정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 순서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저장된 인덱스들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되는 전화번호, 문자정보, 단축번호가 상기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저장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될 때마다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의 다이얼링 횟수를 가변 시켜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탐색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를 통해 크기가 판별되도록 처리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이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따른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링 빈도수에 따라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을 만드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상기 도 3a에 나타낸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의 동작에 따른 수행되는 빈도수 비교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구현을 위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나타나는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필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부가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 10은 기지국과 상기 무선 휴대 단말기간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RF송수신부 20은 안테나 10을 통해 기지국과 주고받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표시부 30은 단말기의 상태, 송수신상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 등을 제어부 50의 제어하에 표시하는 장치이며, 이는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된다. 키입력부 40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화번호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숫자 키패드와, 단말기의 통상적인 기능을 사용하는 기능키들과,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 정렬 및 탐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SEARCH'키 42, 입력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 단축번호를 저장시키는 'STORE'키 43이 구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키입력부 40에 구현된 각 키들의 명칭은 본 발명의 실시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단말기 제조자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 예로, 상기 'SEARCH'키 42는 '탐색키'라 칭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제어부 5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 50 내부에는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롬과, 실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휘발성 메모리(RAM)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정보 메모리 8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단축번호를 인덱스(Index)에 대응시켜 저장하며, 별도의 저장영역을 구현하여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은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들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레지스터(Register)로서, 출력 결과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으로 전달된다.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에서 비교되어 결정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 순서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의 인덱스(Index)들을 저장하게 되며,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에 있어 상기 표시부 30에 표시되는 정보들의 표시 순서는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에 저장된 순서로 표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링 빈도수에 따라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을 만드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입력 정보 메모리 80과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에 저장된 구체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정보 메모리 80은 등록되는 전화번호(Tel. No.) 및 문자정보(Name)와 그에 해당하여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각 입력정보 저장영역은 대응되는 인덱스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 각각에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될 때마다 횟수가 +1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을 헤더파일(Header File)로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은 2Byte 저장 용량으로 할당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은 핵사(Hex) 코드를 사용 00~FF 까지 256번의 다이얼링 횟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을 4Byte로 할당할 경우에는 보다 많은 다이얼링 횟수 저장이 가능하게 되며, 저장 용량은 실시자의 의도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입력정보 메모리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덱스 0에 등록된 전화번호는 다이얼링된 횟수가 05번임을 나타내고, 인덱스 1은 40번, 인덱스 2는 1F번, 인덱스 10은 02번, 인덱스 11은 5F번, 인덱스 99는 27번 다이얼링 되었음을 나타낸다.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은 상기 입력 정보 메모리 80의 각 인덱스에 해당하는 다이얼링 빈도수들의 크기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에서 비교된 후 빈도수가 큰 순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 정보 메모리 80의 인덱스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즉, 가장 큰 다이얼링 빈도수 5F를 가지는 입력 정보 메모리 80의 인덱스 11이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0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다이얼링 빈도수가 그 다음으로 큰 인덱스 1(40회)은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1에, 인덱스 2(1F회)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2에, 인덱스 99(27회)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3에, 인덱스 0(05회)은 상기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4에, 인덱스 10(02회)은 상기 인덱스 테이블 60의 인덱스 5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의 정렬 순서는 다이얼링 빈도수가 큰 순으로 하여 내림차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의 비교 동작 상태는 첨부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에 나타낸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의 동작에 따른 수행되는 빈도수 비교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 50은 310단계에서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에 할당된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들을 모두 독출한다. 312단계에서는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에 구현된 A레지스터 72로 상기 310단계에서 독출된 임의의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시키고, 314단계에서는 B레지스터 74로 상기 A레지스터 72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를 제외하고 독출된 다른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시킨다. 316단계에서 상기 A레지스터 72에 저장된 횟수에서 B레지스터 74에 저장된 횟수의 크기를 비교한다. 즉, 다이얼링 횟수를 비교하는 것이다. 상기 316단계에서 B레지스터 74의 정보가 A레지스터 72의 횟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317단계에서 상기 B레지스터 74의 횟수를 상기 A레지스터 72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314단계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316단계에서 A레지스터 72의 횟수가 상기 B레지스터 74의 횟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318단계에서 상기 A레지스터 72의 횟수가 상기 310단계에서 독출된 모든 다이얼링 횟수와의 비교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독출된 모든 다이얼링 횟수와의 비교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31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독출된 모든 다이얼링 횟수와 비교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320단계에서 상기 A레지스터 72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에 해당하는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의 인덱스를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에 저장한다. 그리고, 322단계에서 상기 A레지스터 72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를 상기 310단계에서 수행되는 다이얼링 횟수 독출 동작에서 제외시킨다. 그리고, 310단계를 재수행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322단계에서 제외된 다이얼링 횟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횟수들을 독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 동작을 통해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에 저장된 다이얼링 빈도수들의 비교동작이 수행되어, 빈도수가 큰 순서대로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테이블 60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므로, 또 다른 수단 및 비교 동작을 통해 다이얼링 빈도수의 크기 비교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구현을 위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는 통상적인 무선 휴대 단말기에 구현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에 따른 등록 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412단계에서 'STORE'키 43이 입력된다. 그리고 414단계에서 임의의 단축번호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단축번호는 통상적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을 위한 것이다. 416단계에서는 상기 414단계에서 입력된 단축번호와 동일한 단축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416단계에서 동일한 단축번호가 이미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414단계에서 다른 단축번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재 수행한다. 상기 416단계에서 동일한 단축번호가 이미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418단계에서 이름(Name)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420단계에서 상기 'STORE'키 43이 입력되면, 422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들, 즉, 전화번호, 단축번호, 이름을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의 소정 인덱스에 대응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10단계에서 상기 'SEARCH'키 42가 1회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SEARCH'키 42가 1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511단계에서 저장된 이름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을 작성한다. 이는 통상적인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에 있어 수행되는 기능으로, 이러한 기능의 일 예들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나타나 있다. 한편, 상기 511단계의 동작이 완료되면, 하기 설명되는 520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512단계에서 상기 'SEARCH'키 42가 2회 연속하여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514단계에서 상기 입력 정보 메모리 80에 저장된 다이얼링 빈도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516단계에서 다이얼링 빈도수들의 크기를 비교한다. 상기 516단계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70의 비교 동작을 통해 수행된다. 518단계에서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결과에 다라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을 작성한다. 즉, 다이얼링 빈도수의 크기순으로 정렬된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이 작성되는 것이다. 520단계에서는 상기 'SEARCH'키 42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522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60에 따른 순서로 등록된 이름 및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 30을 통해 표시한다. 한편, 모든 이름 및 전화번호가 한번에 표시되는 것은 실제 단말기 구현에 있어 불가능하므로,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 60의 최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SEARCH'키 42가 입력될 때마다 그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이름 및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524단계에서는 단말기의 통화(Send)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통화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526단계에서 상기 522단계에서 표시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다. 그리고, 528단계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링 빈도수를 +1하여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80의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다이얼링 횟수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첨부된 상기 도 2에 도시된 입력정보 메모리 80에 단축번호 저장 영역이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상세한 설명이 언급되지 않았는데, 이는 단축번호 저장 영역이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이 구현되는 통상적인 무선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저장 영역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함에 따른 것이다.
또한, 상기 도 5에 도시된 동작 과정에 설명되었듯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이미 등록된 전화번호들이 다이얼링된 빈도수 크기에 따라 표시 및 검색되도록 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키 입력 횟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SEARCH'키 42의 3회 입력만으로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 몇몇 특정한 전화번호들에 한해서 다이얼링 빈도수가 크다는 특성을 이용, 자주 다이얼링 되는 전화번호들 순서로 이미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정렬하고 관리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최소 전력이 사용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5)

  1. 다수의 전화번호가 등록가능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와 그에 해당하여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인덱스와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 횟수에 비례하여 가변되는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하는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정보 메모리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에 저장된 각 다이얼링 횟수가 입력되어 입력된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가 비교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에서 비교되어 결정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 순서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저장된 인덱스들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와;
    입력되는 전화번호, 문자정보, 단축번호가 상기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저장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될 때마다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의 다이얼링 횟수를 가변 시켜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탐색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를 통해 크기가 판별되도록 처리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이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따른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2. 다수의 전화번호가 등록가능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수행 방법에 있어서,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와 그에 해당하여 등록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입력정보 저장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 각각은 대응되는 인덱스와 등록된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 횟수에 비례하여 가변 되는 다이얼링 횟수를 저장하는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정보 메모리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영역에 저장된 각 다이얼링 횟수가 입력되어 입력된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가 비교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에서 비교되어 결정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 순서 기준으로 정렬된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결합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전화번호, 문자정보, 단축번호가 상기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저장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될 때마다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의 다이얼링 횟수를 가변 시켜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탐색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를 통해 크기가 판별되도록 처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빈도수 크기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상기 입력정보 저장영역의 인덱스들이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4과정과,
    제4과정에서, 상기 메모리 인덱스 테이블에 따른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가 소정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5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메모리 다이얼링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다이얼링 빈도 비교 레지스터 내부에 인가되는 다이얼링 빈도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A레지스터와 B레지스터를 구비시킨 후,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에 할당된 다이얼링 빈도수 영역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들을 모두 독출한 후, 독출된 다이얼링 횟수들 중, 임의의 다이얼링 횟수를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시키도록 처리하는 제3-1과정과,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를 제외한 다른 다이얼링 횟수를 상기 B레지스터에 저장시키도록 처리하는 제3-2과정과,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와 상기 B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처리하는 제3-3과정과,
    상기 B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시키도록 처리한 후 상기 제3-2과정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3-4과정과,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B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와 상기 제1단계에서 독출된 모든 다이얼링 횟수와 비교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처리하는 제3-5과정과,
    상기 제5단계에서 비교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2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3-6과정과,
    상기 제3-5과정에서 비교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에 해당하는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의 인덱스를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에 저장시키도록 처리하는 제3-7과정과,
    상기 A레지스터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가 상기 제3-1과정에서 독출되는 다이얼링 횟수들에서 제외되도록 처리하는 제3-8과정과,
    상기 제3-8과정에서 제외된 다이얼링 횟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다이얼링 횟수들을 독출하도록 하여 상기 제3-1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3-9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메모리 다이얼링 수행 방법.
  4. 소정 탐색키 및 통화키를 구비하고,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들과 상기 전화번호들 각각의 다이얼링 횟수가 저장되는 입력정보 메모리와,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각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가 비교되는 다이얼링 빈도수 비교 레지스터와,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의 인덱스들을 소정 정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과,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 표시가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무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탐색키가 미리 지정된 소정 횟수만큼 입력되면,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각각의 다이얼링 횟수들을 검출하는 다이얼링 횟수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된 다이얼링 횟수들의 크기를 상기 다이얼링 비교 빈도수 레지스터를 통해 비교하는 다이얼링 횟수 비교과정과,
    다이얼링 횟수의 크기가 큰 전화번호 순으로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의 인덱스들을 정렬하여 상기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을 작성하는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 작성과정과,
    상기 탐색키가 입력되면, 상기 작성된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에 따라 해당되는 입력정보 메모리의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과정과,
    상기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과정에서 표시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 되고,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링 횟수를 증가시켜 상기 입력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다이얼링 횟수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다이얼링 횟수 갱신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키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작성된 메모리 다이얼링 인덱스 테이블에 따른 해당되는 입력정보 메모리의 전화번호 및 문자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표시과정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방법.
KR1019980018600A 1998-05-22 1998-05-22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27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0A KR100272009B1 (ko) 1998-05-22 1998-05-22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0A KR100272009B1 (ko) 1998-05-22 1998-05-22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06A true KR19990085906A (ko) 1999-12-15
KR100272009B1 KR100272009B1 (ko) 2000-11-15

Family

ID=1953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00A KR100272009B1 (ko) 1998-05-22 1998-05-22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0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04A (ko) * 2000-05-01 2001-11-16 이승용 전화번호 저장 방법 및 다양한 검색 방법
KR20020056987A (ko) * 2000-12-30 2002-07-11 윤종용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KR20040005459A (ko) * 2002-07-10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724884B1 (ko) * 2001-02-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1036145B1 (ko) * 2005-02-01 2011-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번호 셀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우선 순위관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04A (ko) * 2000-05-01 2001-11-16 이승용 전화번호 저장 방법 및 다양한 검색 방법
KR20020056987A (ko) * 2000-12-30 2002-07-11 윤종용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KR100724884B1 (ko) * 2001-02-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40005459A (ko) * 2002-07-10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1036145B1 (ko) * 2005-02-01 2011-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번호 셀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우선 순위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009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3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JPH11331354A (ja) 通信端末機のダイヤル方法
KR1004389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EP1004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stored entries in an electronic telephone directory
US6370519B1 (en)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telephone numbers of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272009B1 (ko) 개선된 메모리 다이얼링 기능 수행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US6624809B1 (en) Display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P0920168A2 (en) Speed dialing method and telephone apparatus
US7110529B2 (en) Bookmar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phone book
KR0149594B1 (ko) 통신단말장치에서 다이얼정보 등록 및 검색방법
KR20020096578A (ko) 휴대전화기에서의 누적 전화사용횟수별 수신 및 발신표시방법
KR1002678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라스트호관리목록관리방법
KR201200821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247039B1 (ko) 휴대형 무선 전화기의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GB2333930A (en) Handling data in a telephone directory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0309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640441B1 (ko) 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분류 검색방법
KR100539878B1 (ko)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0900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30151B1 (ko) 디렉토리 구조를 이용한 휴대폰의 폰북 등록 및 검색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20010058798A (ko) 폰북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전화번호 등록 및 검색방법
JPH11225200A (ja) 電子電話帳
KR1006316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