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65A -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65A
KR19990085265A KR1019980017571A KR19980017571A KR19990085265A KR 19990085265 A KR19990085265 A KR 19990085265A KR 1019980017571 A KR1019980017571 A KR 1019980017571A KR 19980017571 A KR19980017571 A KR 19980017571A KR 19990085265 A KR19990085265 A KR 1999008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play
variable
display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은규
우상욱
김헌수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8001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265A/en
Priority to JP11097906A priority patent/JPH11344967A/en
Publication of KR1999008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6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및 변수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변수 조절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변수를 조절한다.The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variable adjustment device. The display device processes and displays the input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detects a scree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s display variable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 조절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ystem in which the display stat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최근 각종 제품들의 사용자들은, 물리적인 편리 제공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들 중 하나는, 제품의 디자인의 변화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능동적인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생리적 상태에 따라서 제품의 기능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생리적 상태란, 신체적 상태 및 심리적 상태를 포함한다.Recently, users of various products tend to prefer products that can satisfy not only physical convenience but also user's emotion. One of the easiest ways to do this is to pursue a change or diversity of product design. However, as a more active method, the function of the product should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physiological state. Here, the physiological state includes a physical state and a psychological state.

현대 사회에서는, 업무 시간뿐만 아니라 여가 시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와 무관하게 그 사용 환경이 설정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자신에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사용 환경을 조절하겠지만, 그 정확도 및 정밀도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In modern society, the time spent with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television or a monitor, is increasing not only in working hours but also in leisure time. Nevertheless, in a typical display device, its usage environment is set regardless of the physiological state of each user. Of course, the user will adjust the use environment to the conditions most suitable for him, but its accuracy and precision is limited. Accordingly, it is a general view that the display device is not beneficial to the health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 조절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system in which the display stat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ystem of FIG. 1.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신호 처리 장치, 2...변수 조절 장치,1 ... signal processing unit, 2 ... variable control unit,

3...디스플레이 장치, 11...생리적 신호 측정부,3 ... display device, 11 ...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12...신호 계산부, 13...변수 계산부,12 ... signal calculator, 13 ... variable calculator,

14...신호 전송부.14 ... signal transmitter.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및 변수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변수 조절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변수를 조절한다.The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lay device,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variable adjustment device. The display device processes and displays an input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senses a scree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s a display variab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의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 및 변수 조절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 제어되므로,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 조절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the display state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3), 신호 처리 장치(1) 및 변수 조절 장치(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3)에는, 발향(發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3)의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변수 조절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3)의 화면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 처리 장치(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의 디스플레이 변수를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3, a signal processing device 1, and a variable adjustment device 2. The display device 3 processes and displays the input image signal, and simultaneously processes the input sound signal to generate sound. This display device 3 is provided with a smell diffusion devic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3.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2 detects a scree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3 and adjusts display variables of the display device 3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의 신호 처리 장치(1)는 생리적 신호 측정부(11), 신호 계산부(12), 변수 계산부(13) 및 신호 전송부(14)를 포함한다. 생리적 신호 측정부(11)는 사용자의 생리적 신호를 감지하여 측정한다. 신호 계산부(12)는 생리적 신호 측정부(1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분석한다. 변수 계산부(13)는 신호 계산부(12)로부터의 분석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변수의 조절값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 전송부(14)는 변수 계산부(13)로부터의 조절값 신호를 처리하여, 변수 조절 장치(도 1의 2)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system of FIG. 1 includes a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11, a signal calculating unit 12, a variable calculating unit 13, and a signal transmitting unit 14.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11 detects and measures a physiological signal of a user. The signal calculator 12 analyzes an output signal from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er 11. The variable calculator 13 generates an adjustment value signal of the display varia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signal from the signal calculator 12. The signal transmitter 14 processes the adjustment value signal from the variable calculator 13,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2 in FIG. 1).

사용자의 생리적 신호는 피부의 전기 전도도, 혈압, 맥박, 뇌파, 심박수 및 호흡 주기이다. 피부의 전기 전도도, 혈압 및 맥박은 사용자의 긴장 정도에 비례한다. 뇌파로서의 알파( α )파의 진폭은, 사용자의 긴장 정도에 반비례한다. 일정한 시간 동안 최대 심박수와 최소 심박수의 차이는 사용자의 긴장 정도에 비례한다. 이 심박수의 차이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 동안 최대 호흡 주기와 최소 호흡 주기의 차이는 사용자의 긴장 정도에 비례한다.The physiological signals of the user a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kin, blood pressure, pulse rate, brain wave, heart rate and respiration cycl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k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re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user. Alpha as brain wave ( α The amplitude of the wav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us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heart rate and the minimum heart rate for a given time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user. This difference in heart rate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breathing periods over a period of time is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tension of the user.

디스플레이 변수는, 화면 전체의 색상, 채도, 명도, 휘도, 음향의 주파수, 및 발향 장치의 출력 레벨이다. 변수 조절 장치(2)의 동작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긴장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시감(視感) 및 청감(聽感)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변수를 조절한다. 이때, 부드러운 청감이 되게 하려면, 음향의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아야 한다. 한편, 사용자가 졸린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를 적용시킨다. 또한, 음향의 주파수 및 발향 장치의 출력 레벨을 보다 높여서 청감 및 후감(嗅感)으로써 자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졸린 상태임을 확인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다.The display variables are hue, saturation, brightness, brightness, frequency of sound, and output level of the smell diffusion apparatus of the entire scree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variable adjusting device 2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tense state, the display variable is adjusted to have a relatively soft feeling and hearing. At this time, in order to have a soft hear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should be relatively low.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leepy, a relatively high luminance is applied to the user to detect.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sound and the output level of the smell diffusion apparatus are further increased to stimulate the hearing and the sense of smell. Accordingly, the user may confirm that he or she is sleepy and perform a desirable action.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도 2의 1)는 일반적인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화면 및 음향 상태가 제어되게 한다. 생리적 신호 측정부(11)는 원격 제어기의 외부 중에서 사용자의 손이 가장 자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 of FIG. 2) is included in a general remote controller. Here, the remote controller allows the screen and sound state to be controlled by a user's operation.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11 is installed at a part where the user's hand is most frequently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3)가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인 경우, 신호 처리 장치(1)는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에 설치된다. 이때, 생리적 신호 측정부(11)는, 키보드의 키 중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장 자주 접촉되는 키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중지와 검지가 자주 닿는 "K", "L", "D" 및 "S" 등의 키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3 in Fig. 1) is a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 is provided on the keyboard of the personal computer. At this time,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11 is installed on a key of which the user's finger is most frequently touched among the keys of the keyboard. For example, it is installed in keys such as "K", "L", "D", and "S" which are frequently touched by the middle finger and the index finger.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자동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및 건강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stat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nvenience and health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4)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n input image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처리 장치; 및A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physiological state of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An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변수를 조절하는 변수 조절 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variable adjusting device for detecting a scree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ing a display variab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상기 사용자의 생리적 신호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생리적 신호 측정부;A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d measure a physiological signal of the user; 상기 생리적 신호 측정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계산부;A signal calculator for analyz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er; 상기 신호 계산부로부터의 분석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변수의 조절값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수 계산부; 및A variable calcul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adjustment value signal of the display variable according to the analysis signal from the signal calculator; And 상기 변수 계산부로부터의 조절값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변수 조절 장치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signal transmitter for processing the control value signal from the variable calculator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variable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ysiological signal is 피부의 전기 전도도, 혈압, 맥박, 뇌파, 심박수 및 호흡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t least one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kin, blood pressure, pulse rate, brain wave, heart rate, and breathing cy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상기 변수 조절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조절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sound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variable control device to generate soun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화면 및 음향 상태가 제어되게 하는 원격 제어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creen and sound state by a user's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5, 상기 원격 제어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remote control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신호 측정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상기 원격 제어기의 외부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이 가장 자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user's hand is most ofte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변수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variable, 상기 발생되는 음향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frequency of said generated s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개인용 컴퓨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Self-regulating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personal compu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9,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n automatic adjustment display system installed on the keyboard of the personal compu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신호 측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hys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상기 키보드의 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장 자주 접촉되는 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user's finger among the keys of the keyboard is installed on a key that is touched most frequ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변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variable, 상기 화면 전체의 색상, 채도, 명도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t least one of hue, saturation, brightness, and luminance of the entir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발향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Self-adjusting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mell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변수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variable, 상기 발향 장치의 출력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n output level of the fragrance apparatus.
KR1019980017571A 1998-05-15 1998-05-15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KR19990085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71A KR19990085265A (en) 1998-05-15 1998-05-15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JP11097906A JPH11344967A (en) 1998-05-15 1999-04-05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71A KR19990085265A (en) 1998-05-15 1998-05-15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65A true KR19990085265A (en) 1999-12-06

Family

ID=1953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71A KR19990085265A (en) 1998-05-15 1998-05-15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44967A (en)
KR (1) KR199900852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90A (en) * 2001-12-11 200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presenting a color bar using brain wa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0759B2 (en) * 2002-12-11 2007-09-05 中部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living body specific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90A (en) * 2001-12-11 200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presenting a color bar using brain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44967A (en) 199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969A (en) Sensory-driven controller
KR100281650B1 (en) EEG analysis method for discrimination of positive / negative emotional state
EP2296535B1 (en) Method and system of obtaining a desired state in a subject
US103633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leep slow wave activity based on cardiac characteristics o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US664882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outputting an estimate of a patient&#39;s mental state
US3942516A (en) Biofeedback training method and system
FI114199B (en) Method and device to measure stress
EP37561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a user based on a sleep architecture model
WO2000033731A1 (en) Brain-body actuated system
WO1999041654A1 (en) Biofeedback apparatus
JPH07501154A (en) computer system operation
EP3226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restorative value of a nap
CN113646845A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ensory simulation based on evoked response quantification
KR100255877B1 (en) Inn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KR20000006630A (en) Game machine using brain waves and method therefor
KR19990085265A (en) Auto adjustable display system
KR1019730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inguishing optimal visual stimulation
WO2019096659A1 (en) System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a user to enhance a cognitive domain in the user
JP2002125945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using brain wave by biological feedback
JPH09294724A (en) Tranquilization training system
KR100497133B1 (en) Self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a remembrance
JPH09262216A (en) Estimating apparatus of degree of concentration
KR19980068684A (en) Sleeping prevention apparatus using an EEG-based arc and its control method
JPH08317919A (en) Sound oscillation evaluating device
KR2019005783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bio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