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241A -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 Google Patents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241A
KR19990080241A KR1019980013329A KR19980013329A KR19990080241A KR 19990080241 A KR19990080241 A KR 19990080241A KR 1019980013329 A KR1019980013329 A KR 1019980013329A KR 19980013329 A KR19980013329 A KR 19980013329A KR 19990080241 A KR19990080241 A KR 19990080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terminal
transistor
broadband amplifier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241A/ko
Publication of KR1999008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241A/ko

Link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1 입력단, 상기 제1 입력단과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부하 저항,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반전된 전압인 제2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부하 저항을 구비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이 보상된다.

Description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본 발명은 광대역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해상도를 갖는 영상 신호나 큰 전송률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등의 신호 처리에 있어서 원래의 입력 신호를 왜곡 없이 처리하기 위해서는 광대역 신호 처리용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아날로그 영상 신호 등의 신호 처리(증폭)에 있어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 등은 때에 따라서 그 적용 시스템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시스템의 사양 및 필요한 요구 사항에 적절하게 부합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는 NPN 트랜지스터들(111,112,121∼124), 전류원들(141∼144), 저항들(161,162) 및 전원들(151,152)로 구성된다.
상기 저항들(161,162)은 각각 부하 저항들이다.
전원(152)은 트랜지스터들(121,122)을 턴온(turn-on)시키고, 전원(151)은 NPN 트랜지스터들(111,112,121∼124)에 콜렉터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들(121,122)은 트랜지스터들(123,124)의 전류를 저항들(161,162)에 전달하는 역할을 감당하는 것으로서, 에미터 결합형 캐스코드(cascode) 전압 증폭 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들(111,112)은 입력단 버퍼용 트랜지스터들이다.
전류원들(141∼144)은 각각 NPN 트랜지스터(111), NPN 트랜지스터(123), NPN 트랜지스터(124) 및 NPN 트랜지스터(112)의 에미터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해준다. 전류원들(141∼144)은 입력 신호들(131,132)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류를 광대역 증폭기의 바이어스용 전류로 공급한다.
NPN 트랜지스터들(121,122)은 각각 NPN 트랜지스터(123) 및 NPN 트랜지스터(124)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부하 저항들(161,162)에 전달한다.
출력 신호들(Vo,Vob)의 전기적 특성(지연 특성, 상승 시간, 하강 시간)은 상기 저항들(161,162)에 연결되는 기생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에 의하면 NPN 트랜지스터들(121,122)의 기생 성분에 의한 주파수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는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1 입력단, 상기 제1 입력단과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부하 저항,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반전된 전압인 제2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부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차동 증폭하는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들은 각각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본 발명의 광대역 증폭기에 의하여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NPN 트랜지스터들(211,212,221∼224), 전류원들(241,242), 저항들(261,262), 전원들(251,252) 및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들(225,226)로 구성된다.
상기 저항들(261,262)은 각각 부하 저항들이다.
전원(252)은 트랜지스터들(221,222)을 턴온시키고, 전원(251)은 NPN 트랜지스터들(221,222)에 콜렉터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들(221,222)은 트랜지스터들(223,224)의 전류를 저항들(261,262)에 전달하는 역할을 감당하는 것으로서, 에미터 결합형 캐스코드 전압 증폭 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들(211,212)은 입력단 버퍼용 트랜지스터들이다.
전류원들(241,242)은 각각 NPN 트랜지스터(223), NPN 트랜지스터(224), NPN 트랜지스터(225) 및 NPN 트랜지스터(226)의 에미터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해준다. 전류원들(241,242)은 입력 신호들(231,232)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류를 광대역 증폭기의 바이어스용 전류로 공급한다.
NPN 트랜지스터들(221,222)은 각각 NPN 트랜지스터(223) 및 NPN 트랜지스터(224)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부하 저항들(261,262)에 전달한다.
출력 신호들(Vo,Vob)의 전기적 특성(지연 특성, 상승 시간, 하강 시간)은 상기 저항들(261,262)에 연결되는 기생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들(225,226)은 상기 출력 신호들(Vo,Vob)의 고주파 특성을 보상해주기 위한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들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광대역 증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신호들(231,232)이 상기 광대역 증폭기로 입력되면 트랜지스터들(211,212)이 각각 턴온된다. 트랜지스터(211)가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들(223,225)이 턴온되어 전류원(241)을 통해서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221)는 상기 트랜지스터(223)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저항(261)에 전달하며 따라서 출력 전압(Vo)이 발생한다. 트랜지스터(212)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들(224,22)이 턴온되어 전류원(242)을 통해서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222)는 상기 트랜지스터(2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저항(262)에 전달하며 따라서 출력 전압(Vob)이 발생한다. 입력 신호(231)가 입력 신호(232)보다 크면 출력 전압(Vo)이 증가하고, 입력 신호(231)가 입력 신호(232)보다 작으면 출력 전압(Vo)이 감소한다.
입력 신호(231)의 주파수가 증가할 때 트랜지스터(225)에 의하여 트랜지스터(223)의 에미터의 실효 임피던스(Impedance)가 감소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23)의 에미터 전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261)에 연결된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에 의한 응답 출력 특성이 보상된다. 또한, 입력 신호(232)의 주파수가 증가할 때 트랜지스터(226)에 의하여 트랜지스터(224)의 에미터의 실효 임피턴스가 감소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24)의 에미터 전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262)에 연결된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에 의한 응답 출력 특성이 보상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보상된다.

Claims (5)

  1.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1 입력단;
    상기 제1 입력단과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부하 저항;
    입력단 임피던스를 감소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반전된 전압인 제2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부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차동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증폭기.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단은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증폭기.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증폭기.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단은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증폭기.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피킹용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증폭기.
KR1019980013329A 1998-04-14 1998-04-14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KR19990080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29A KR19990080241A (ko) 1998-04-14 1998-04-14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329A KR19990080241A (ko) 1998-04-14 1998-04-14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41A true KR19990080241A (ko) 1999-11-05

Family

ID=6589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329A KR19990080241A (ko) 1998-04-14 1998-04-14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2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4605B1 (en) Amplifier device
US4335360A (en) Class AB push-pull amplifiers
EP0697766B1 (en) Buffer circuit with wide dynamic range
JP3116884B2 (ja) 光受信器用トランスインピーダンスアンプ
US4583052A (en) Amplifier having complete isolation of power sources
GB2095939A (en) Amplifier stage
US4757275A (en) Wideband closed loop amplifier
US20030042975A1 (en) Low power wide bandwidth programmable gain CDS amplifier/instrumentation amplifier
US7253689B2 (en) Low distortion amplifier
US5525931A (en) High-speed video amplifier
US6278299B1 (en)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JP3312911B2 (ja) 結合回路
US5047729A (en)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67507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clamping in feedback amplifiers using resistors
EP0156411A1 (en) Darlington transistor arrangement
KR19990080241A (ko) 에미터 피킹을 이용한 광대역 증폭기
US5376900A (en) Push-pull output stage for amplifier in integrated circuit form
US6404285B1 (en) Transistor amplifier that accommodates large input signals
EP1046282B1 (en) Display driver apparatus
US6246290B1 (en) High gain, current driven, high frequency amplifier
US5170134A (en) Fast buffer
US6008696A (en) Low noise amplifier with actively terminated input
US7518454B2 (en) Operational amplifier selecting one of inputs, and an amplifying apparatus using the OP amplifier the verification method
US6424324B1 (en) Display driver apparatus
US5027080A (en) Source follower light recep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