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082A -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082A
KR19990079082A KR1019980011484A KR19980011484A KR19990079082A KR 19990079082 A KR19990079082 A KR 19990079082A KR 1019980011484 A KR1019980011484 A KR 1019980011484A KR 19980011484 A KR19980011484 A KR 19980011484A KR 19990079082 A KR19990079082 A KR 1999007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compressor
low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의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082A/ko
Publication of KR1999007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082A/ko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상온 고압의 냉매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에서 저압으로 된 냉매액을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모세관에 병렬로 연결된 제2모세관으로 흐르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개방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2모세관에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저장 보관하는 리시버 탱크와, 상기 리시버 탱크에 저장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경우에 개방되는 제2전자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은 냉방표준조건의 건구온도이하일 경우에 냉매의 일부를 리시버 탱크에 회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고온으로 될 경우에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스와 함께 리시버 탱크에 회수 저장된 냉매와 혼합시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온시에 압축기의 가동율을 줄여 압축기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냉매의 순환량이 다소 감소되므로 소비 전력량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서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건구온도이하일 경우에 냉매의 일부를 리시버 탱크에 회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고온으로 될 경우에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스와 함께 리시버 탱크에 회수 저장된 냉매와 혼합시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온시에 압축기의 가동율을 줄여 압축기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냉매의 순환량이 다소 감소되므로 소비 전력량이 저감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란, 어떤 방 또는 건물내의 공기를 그 방의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이라고 정해진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그 목적이 주로 인간을 위한 것을 보건 공조 또는 쾌감 공조라 하고, 물품의 생산, 저장 또는 시험, 기계 장치의 기능 유지 등을 목적으로 할 때는 산업 공조라 불리고 있다.
공기조화는 공기의 온도(냉각, 제습), 습도(제습, 가습), 공기의 흐름 및 공기의 정화 즉, 청정도 유지등에 대하여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 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를 공기조화기라 하며, 공기조화의 규모,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장치가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다수의 실내 공간마다 각각 공기조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운전 및 냉방운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은 압축기(30), 응축기(40), 모세관(50), 증발기(60)로 구성되며, 이 속에 일정한 냉매를 봉입하여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를 반복하면서 순환시키고 있다.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20)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10)로 구분되는 바,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증발기(60)가 설치되고, 실외기(20)에는 압축기(30), 응축기(40), 모세관(50)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60)내에 있는 액냉매는 증발기(60)의 주위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어 간다. 열을 빼앗긴 공기는 냉각되어 자연 대류 또는 상기 증발기(60)의 일측에 설치된 블로워(61)에 의해 실내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상기 증발기(60)내에는 상기 모세관(50)으로부터 유입된 액냉매와 증발된 기체 냉매가 공존하고, 액체로부터 기체로의 상태 변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60)내에서 증발한 기체 냉매는 상기 압축기(30)로 흡입되고, 입 흡입된 냉매는 상온의 냉각수나 공기에 의해 쉽게 액화되는 상태로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변화된다.
상기 압축기(30)로부터 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응축기(40)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40)의 일측에 설치된 프로펠러 팬(41)에 의해 상온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상온 고압의 액냉매로 상변화된다.
상기 응축기(40)에서 상온 고압으로 상변화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60)로 보내지기 전에 미리 증발하기 쉬운 상태까지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모세관(5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모세관(50)을 거치면서 냉매는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증발기(60)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세관(50)에서 저온 저압의 상태로 상변화된 냉매는 다시 증발기(60)로 유입되어 완전 기체 상태의 냉매로 상변화되어 다시 압축기(30)내에 유입되어 압축기(30)의 단열 압축 작용에 의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화하는 것으로 공기조화하려는 실내에는 항상 온도차가 존재하고, 벽, 천정, 바닥, 창등을 통과하여 열은 항상 고온 쪽에서 저온 쪽으로 이동하면서 열손실(열부하)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손실을 줄여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열손실에 상당하는 열량을 계속해서 공급하여야 하는 바,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과 열부하(냉방부하, 난방부하)가 맞지 않으면, 냉방 또는 난방이 잘되지 않아 능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열부하 이상의 능력을 가진 공기조화기를 선정하면 경비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손실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열부하는 공기 조화 공간의 넓이, 창의 수, 방의 방향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데, 한국의 냉방 표준 조건은 실내의 건구 및 습구 온도는 각각 27℃, 19.5℃와, 실외의 건구 및 습구 온도는 각각 35℃, 24℃로 정하여 상기한 냉방 표준 조건에서 최적의 냉방싸이클을 형성하도록 공기조화기를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모세관(50)의 길이는 그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과 관계되고,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실내의 건구온도가 27℃(냉방표준온도)일 경우 상기 모세관(50)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는 보통 8℃∼10℃로 되고, 이 때, 최적의 냉매싸이클이 형성되는 바, 상기한 실내 및 실외의 건구온도 즉, 냉방 표준 조건(실내 27℃, 실외 35℃)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상기 모세관(50)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은 고압측(모세관 입구) 및 저압측(모세관 출구)에서 온도 및 압력차이(팽창도)가 현저하지 않음에 따라 냉매가 상기 증발기(60)에서 완전히 증발되지 않고 액냉매의 상태로 압축기(30)로 유입됨으로 인하여 압축기(30)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어떤 온도 조건에서나 압축기(30)에서 압축되는 냉매량은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압축기(30)의 가동이 비효율적이고 저온시에 최적의 냉방 싸이클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및 실외의 온도가 냉방 표준 온도보다 저온일 경우 상기 모세관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여 최적의 냉매싸이클을 형성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상온 고압의 냉매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에서 저압으로 된 냉매액을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모세관에 병렬로 연결된 제2모세관으로 흐르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개방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2모세관에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저장 보관하는 리시버 탱크와, 상기 리시버 탱크에 저장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경우에 개방되는 제2전자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내기 20 : 실외기
30 : 압축기 40 : 응축기
41 : 프로펠러팬 50 : 모세관
51 : 제2모세관 52 : 제1전자밸브
53 : 리시버 탱크 54 : 제2전자밸브
60 : 증발기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0)와, 상기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0)와, 상기 응축기(40)로부터 응축된 상온 고압의 냉매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모세관(50)과, 상기 모세관(50)에서 저압으로 된 냉매액을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60)와, 상기 응축기(40)에서 응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모세관(50)에 병렬로 연결된 제2모세관(51)으로 흐르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개방되는 제1전자밸브(52)와, 상기 제2모세관(51)에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저장 보관하는 리시버 탱크(53)와, 상기 리시버 탱크(53)에 저장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60)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30)로 유입되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경우에 개방되는 제2전자밸브(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모세관(51)의 직경은 상기 모세관(50)의 직경과 같고, 서로의 길이는 상기 제2모세관(51)이 모세관(50)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방표준조건의 건구온도는 실내 27℃, 실외 35℃로 되어 있는 바, 실내 및 실외의 온도가 상기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상기 제1전자밸브(52)는 개방되고, 상기 제2전자밸브(54)는 폐쇄되며, 실내 및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 이상일 때에는 반대로 제1전자밸브(52)는 폐쇄되고, 제2전자밸브(54)는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30)의 압축 작용으로 냉매는 고온 고압으로 되고, 상기 압축기(30)로부터 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응축기(40)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40)의 일측에 설치된 프로펠러 팬(41)에 의해 상온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상온 고압의 액냉매로 상변화된다. 이 상온 고압의 액냉매는 상기 모세관(50) 및 제2모세관(51)을 통과하면서 급격히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환하는 바, 상기 제2모세관(51)의 입구에는 제1전자밸브(52)가 설치되어 감지된 실내 및 실외온도가 냉방표준조건(실내 : 27℃, 실외 : 35℃)보다 낮은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응축기(40)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상기 제2모세관(51)과 모세관(50)으로 나뉘어 흐르게 하고, 상기 제2모세관(51)에서 팽창되어 저온 저압으로된 냉매는 리시버 탱크(53)에 저장되고, 실내 및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이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제1전자밸브(52)는 폐쇄되고 제2전자밸브(54)가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모세관(50)을 흘러 증발기(60)에서 증발된 냉매가스와 상기 리시버 탱크(53)의 냉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30)로 유입된다.
즉,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저온시, 냉방표준조건의 건구온도이하일 경우에 냉매의 일부를 리시버 탱크(53)에 회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고온으로 될 경우에 증발기(60)에서 증발된 냉매가스와 함께 리시버 탱크(53)에 회수 저장된 냉매와 혼합시켜 압축기(3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온시에 압축기(30)의 가동율을 줄여 압축기(3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냉매의 순환량이 다소 감소되므로 소비 전력량이 저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세관(50) 및 제2모세관(51)에서 저온 저압으로 된 냉매는 증발기(60)로 유입되어 증발기(60)의 주위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고, 열을 빼앗긴 공기는 냉각되어 자연 대류 또는 상기 증발기(60)의 일측에 설치된 블로워(61)에 의해 실내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상기 증발기(60)내에는 상기 모세관(50)으로부터 유입된 액냉매와 증발된 기체 냉매가 공존하고, 액체로부터 기체로의 상태 변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60)내에서 증발한 기체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30)로 흡입되고, 흡입된 냉매는 상온의 냉각수나 공기에 의해 쉽게 액화되는 상태로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에 의하면,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저온시, 냉방표준조건의 건구온도이하일 경우에 냉매의 일부를 리시버 탱크에 회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실외 및 실내의 온도가 고온으로 될 경우에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가스와 함께 리시버 탱크에 회수 저장된 냉매와 혼합시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온시에 압축기의 가동율을 줄여 압축기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냉매의 순환량이 다소 감소되므로 소비 전력량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상온 고압의 냉매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에서 저압으로 된 냉매액을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발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모세관에 병렬로 연결된 제2모세관으로 흐르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개방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2모세관에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저장 보관하는 리시버 탱크와, 상기 리시버 탱크에 저장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냉매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냉방표준조건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경우에 개방되는 제2전자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세관의 직경은 상기 모세관의 직경과 같고, 서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모세관이 모세관보다 작지 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KR1019980011484A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KR1999007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484A KR19990079082A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484A KR19990079082A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082A true KR19990079082A (ko) 1999-11-05

Family

ID=6586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484A KR19990079082A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0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67B1 (ko) * 2000-05-31 200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관이 마련된 냉동냉장시스템
KR20040051050A (ko) * 2002-12-11 2004-06-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동시스템의 모세관 이원화 구조
KR100564444B1 (ko) * 2003-10-20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액 냉매 누적 방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67B1 (ko) * 2000-05-31 200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관이 마련된 냉동냉장시스템
KR20040051050A (ko) * 2002-12-11 2004-06-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동시스템의 모세관 이원화 구조
KR100564444B1 (ko) * 2003-10-20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액 냉매 누적 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601B2 (en) Air conditioner
US5309725A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efficiency air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JP649476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798462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16042B1 (ko) 이중 회로 히트펌프를 이용한 열회수 환기장치
JP2003172525A (ja) 除湿機
CN104848497A (zh) 一种空气调节器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JP2006317012A (ja) エアコン
US20090032228A1 (en) Recuperative climate conditioning system
KR100728590B1 (ko) 절전형 고효율 히트펌프 환기장치
CN215892596U (zh) 一种除湿机
KR19990079082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Cao et al. Comprehensive analysis of exhaust air heat pump heat recovery efficiency in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KR19990079077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KR100452807B1 (ko) 폐열회수식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00252666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율 제어장치
CN116972462B (zh) 一种热泵式溶液深度除湿一体机组
CN214332967U (zh) 新型除湿新风机
Maqbool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ybrid Air Conditioning System Based on Transcritical CO2 Cycle
KR200261348Y1 (ko) 폐열회수식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9990079079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CN219454111U (zh) 一种双级蒸发调节的新风除湿机
CN212565999U (zh) 环境优化系统
KR19990079078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