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886A -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 Google Patents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886A
KR19990075886A KR1019980010374A KR19980010374A KR19990075886A KR 19990075886 A KR19990075886 A KR 19990075886A KR 1019980010374 A KR1019980010374 A KR 1019980010374A KR 19980010374 A KR19980010374 A KR 19980010374A KR 19990075886 A KR19990075886 A KR 1999007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liquid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68762B1 (en
Inventor
지선집
Original Assignee
지선집
유성기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선집, 유성기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선집
Priority to KR101998001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762B1/en
Publication of KR1999007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7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05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downward filtration without specifications about the filter material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0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2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는 하우징, 여과층, 공급 챔버, 세척 챔버, 여과 챔버, 여과 노즐, 그리고 흡입관 등으로 구성된다. 여과층은 제 1 여과재와 이 제 1 여과재보다 큰 입경을 갖는 제 2 여과재로 구성된다. 제 1 여과재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불순물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제 1 여과재는 불순물과 함께 흡입관을 통하여 세척 챔버로 이동된다. 세척 챔버로 이동된 제 1 여과재는 불순물과 분리되어 세정되고, 중력에 의해서 다시 여과층으로 이동된다. 공급 챔버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포트가 연결되어 있다. 여과 챔버에는 여과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있다. 여과 노즐은 여과층 아랫면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여과층의 아랫면과 여과 챔버 사이에 위치되며, 여과층에서 여과된 액체가 세척 챔버로 유입되도록 한다. 흡입관은 제 1 여과재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여과층의 아랫면과 세척 챔버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The downflow fluidized bed sand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using, a filtration layer, a supply chamber, a washing chamber, a filtration chamber, a filtration nozzle, and a suction pipe. The filter layer is composed of a first filter medium and a second filter medium having a larger particle diameter than the first filter medium. The first filter medium circulates inside the housing, and serves to discharge impurities to the outside. This first filter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cleaning chamber through the suction pipe together with the impurities. The first filter medium moved to the cleaning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impurities, washed, and moved back to the filter bed by gravity. The supply chamber is connected with a first port for supplying liquid from the outside. A second port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chamber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liquid to the outside. The filtration nozzle is formed to be loca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layer, and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filtration chamber, allowing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ration layer to enter the wash chamber. The suction tube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cleaning chamber to allow the liquid to flow to convey the first filter medium.

Description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본 발명은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폐수로부터 부유하는 그리고 콜로이드같은(colloidal) 고형체들(solids)의 여과를 제한없이 하기 위한 많은 여과기 및 방법들이 제안되거나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과기 및 방법들은, Hjelmner 등에 의한 USP NO. 4,126,546 및 4,197,20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모래 등의 미세한 여과재의 층을 통하여 액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액체를 여과한다.Many filters and methods have been proposed or realized for limiting the filtration of suspended and colloidal solids from wastewater. Such filters and methods are described in USP NO. As shown in 4,126,546 and 4,197,201, the liquid is filtered by flowing the liquid through a layer of fine filter media such as sand.

Stevens에 의한 USP NO. 5,454,959에서 밝힌 여과기는 여과 노즐과 워시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또, 가는 모래와 굵은 모래의 여과재로 구성된 여과층을 사용하고 있다. 여과기의 상부에 액체 유입구를 두고, 하부에 여과된 액체의 배출구를 두고 있다. 상기 여과기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매니폴드(manifold)를 두고 있다.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는 상기 여과층을 통과하여 상기 매니폴드로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액체는 상기 여과 노즐을 통하여 상기 매니폴드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여과층을 구성하는 여과재에서 가는 모래는 워시박스로 유입되어 세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는 모래는 상기 워시 박스에서 세척되어, 액체로부터 여과된 부유물질 또는/그리고 콜로이드같은 오염물과 분리된다.USP NO. By Stevens. The filter described in 5,454,959 uses filtration nozzles and washboxes. Moreover, the filtration layer which consists of a thin sand and a coarse sand filter medium is used. There is a liquid inlet at the top of the filter and an outlet of the filtered liquid at the bottom.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has a manifold connected to the outlet. The liquid supplied through the inlet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by the manifold through the filtration layer. At this time, the liquid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um is introduced into the manifold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On the other hand, the fine sand from the filter medium constituting the filter layer is introduced into the wash box to be washed. The fine sand is washed in the wash box to separate from suspended solids and / or contaminants such as colloids from the liqui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여과기는 액체를 공급하여 여과된 액체를 얻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액체가 불안정하게 여과된 상태로 매니폴드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여과재가 워시 박스에서 완전히 세척되지 않아서, 여과기 내부에 부유물질 또는/그리고 콜로이드같은 오염물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예컨대, Stevens에 의한 USP NO. 5,454,959에서 밝힌 여과기에서, 여과된 액체를 매니폴드로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 노즐은 봉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 수개의 여과 노즐들이 매니폴드의 둘레로 설치된다. 이 여과 노즐은 여과된 액체를 수용하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 즉, 액체의 수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여과 노즐을 많이 설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상기 여과 노즐이 액체가 유입되는 부분과 비교적 가까우므로, 여과되지 않은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여과 노즐은 여과재가 워시박스(washbox)로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된다. 한편, 상기 워시박스는 단순히 상기 여과재가 이동된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서 다시 여과기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또는/그리고 콜로이드같은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지 못할 수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ilter takes a long time to obtain a filtered liquid by supplying the liqu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manifold in the unstable filtered state. In addition, the filter medium was not completely washed in the wash box, causing a problem of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matter and / or colloids remaining inside the filter. See, eg, USP NO. In the strainer disclosed in 5,454,959, the filtration nozzle, which allows the filtered liquid to flow into the manifol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d. Thus, several filtration nozzles are installed around the manifold. This filtration nozzle has limitations in receiving the filtered liquid.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a liquid, many filtration nozzle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filtration nozzle is relatively close to the portion where the liquid flows in, unfiltered liquid may flow in. In addition, the filtration nozzle is a factor that prevents the filter medium from moving to the washbox. On the other hand, the washbox has a structure to be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again by gravity in the state that the filter medium is simply moved. Thus,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and / or colloids attached to the filter medium may not be effectively separa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다량의 액체를 여과시킬 수 있는 그리고 액체가 불안정하게 여과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고 여과재로부터 부유물질 또는/그리고 콜로이드같은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of which is to filter a large amount of liqui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nd to prevent the liq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n unstable filtered state and from the filter medium To provide a new type of downflow fluidized bed filter that can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and / or colloi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여과 노즐의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ltration nozzle in FIG. 1;

도 3은 도 1에서 세척 챔버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eaning chamber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여과기 12 : 하우징10 filter 12 housing

13 : 제 1 여과재 14 : 제 2 여과재13: 1st filter medium 14: 2nd filter medium

16 : 여과층 18 : 제 1 포트16: filtration layer 18: first port

20 : 제 2 포트 22 : 공급 챔버20: second port 22: supply chamber

24 : 여과 챔버 26 : 흡입관24 filtration chamber 26 suction tube

28 : 배플 30 : 세척 챔버28: baffle 30: washing chamber

32 : 통로 40 : 여과 노즐32: passage 40: filtration nozzle

42 : 홈 오프닝 50 : 밸브 컨트롤러42: home opening 50: valve controller

52 : 밸브 54 : 센서52: valve 54: sensor

56 : 오염물 방출구 58 : 오버 플로우56: pollutant discharge port 58: overf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여과재로 구성되며, 윗면과 아랫면을 갖는 여과층과; 여과시키기 위한 액체를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포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여과된 액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포트와; 상기 제 1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흐르도록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되고, 액체가 통과되지 않는 윗면과 측면을 갖는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윗면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오픈된 바닥면을 갖는 공급 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윗면의 위에 위치되고, 상기 여과층에 의해서 상기 제 2 포트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여과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흐름으로 상기 제 1 여과재를 재생시키기 위한 세척 챔버와; 상기 제 1 여과재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여과층의 아랫면과 상기 세척 챔버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여과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측면의 소정 높이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소정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여과층에서 여과된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 포트와 연결된 여과 챔버와; 상기 여과층 아랫면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층의 아랫면과 여과 챔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여과층에서 여과된 액체가 상기 세척 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 노즐 및; 상기 여과 노즐이 위치되는 상기 여과 챔버의 경사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노즐을 통과한 액체가 상기 여과 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홀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comprises a housing; A filtration laye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composed of at least one filter material, the filter lay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port for supplying a liquid for filtration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 second por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liquid inside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upply chamber connected with the first port to flow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port, the supply chamber having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through which liquid does not pass and an open bottom surface located below the filter layer; A cleaning chambe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bove the filtration layer, separated from the second port by the filtration layer, for regenerating the first filter material in a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iltrate Wow; A suction pip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for transporting the first filter medium, the suction pipe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layer and the cleaning chamber to allow liquid to flow;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angle from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pport the filtering layer in the housing,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ering layer is accommodated, and the contained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ltration chamber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A filtration nozzle which is formed to be locat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filtration chamber, and allows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ration layer to flow into the cleaning chamber;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filtration chamber in which the filtration nozzle is located, and allow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to flow into the filtration cha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의 상기 여과 노즐은 윗면과 아래면이 개방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설치된 상태에 대하여 상기 여과층에 수직되도록 다수 개의 홈 오프닝(slotted openin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 챔버는, 상기 제 1 여과재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주름 모양의 통로(shirred passageway)를 가질 수 있다.The filtration nozzle of the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bottom surfaces, and a plurality of slotted openings are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ltration layer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state. Can be. The cleaning chamber may have a pleated passagewa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lter medium is moved.

본 발명의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는 여과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여과기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세척 챔버에 주름 모양의 통로는 여과재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여과 노즐은 액체의 여과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깨끗이 여과된 액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downflow fluidized bed sand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 the flow of the filter mediu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impurities to keep the inside of the filter clean. In particular, a pleated passageway in the cleaning chamber allows for effective separation of the filter media and impurities. 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nozzle is able to obtain a filtered liquid while reducing the filtration time of the liqui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n addition, in thes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여과기(10)는 하우징(12), 여과층(16), 제 1 포트(18), 제 2 포트(20), 공급 챔버(22), 여과 챔버(24), 흡입관(26), 세척 챔버(30), 그리고 여과 노즐(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층(16)은 제 1 여과재(13)와 이 제 1 여과재(13)보다 큰 입경을 갖는 제 2 여과재(14)로 구성된다. 여과기(10)의 성능은 상기 여과재들(13,14)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여과재들(13,14)은 모래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고품질의 다등급 실리카 모래(silica sand)를 사용한다. 상기 여과재들(13,14)의 입경이 작으면 더 우수한 필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여과층에 작용되는 압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1 여과재(13)는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에 근접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2 여과재(14)는 상기 제 1 여과재(13)에 둘러 쌓여 상기 하우징(12)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재질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은 가능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코너들(corners)을 최소로 만들기 위함이다. 상기 코너들은 여과층에서 사역들(dead zones)을 만드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1, the filter 10 includes a housing 12, a filtration layer 16, a first port 18, a second port 20, a supply chamber 22, a filtration chamber 24, and a suction pipe ( 26), the cleaning chamber 30, and the filtration nozzle 40. The filter layer 16 is composed of a first filter medium 13 and a second filter medium 14 having a larger particle diameter than the first filter medium 13.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10 is often determined by the filter media 13, 14. The filter media 13 and 14 may use sand or the like, in particular, high quality multi-grade silica sand. If the particle diameters of the filter media 13 and 14 are smaller, a better filtering effect can be obtained, bu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layer is increased.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located close to the side of the housing 12. The second filter medium 1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12 surrounded by the first filter medium 13. Various types of materials of the housing 12 may be used. For example,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or the like may be used. The side of the housing 12 is as cylindrical as possible. This is to minimize the corners. This is because the corners cause dead zones in the filtration layer.

여과시키기 위한 액체는 제 1 포트(18)를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제 1 포트(18)는 공급 챔버(22)와 액체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급 챔버(22)는 액체가 통과되지 않는 윗면과 측면을 갖으며, 오픈된 바닥면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포트(18)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는 상기 공급 챔버(22)를 통하여 여과층(16)을 흐르면서 여과된다. 이 여과된 액체는 여과 노즐(40)을 통하여 여과 챔버(24)로 흐른다. 상기 여과 챔버(24)는 상기 하우징(12)에서 상기 여과층(16)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 여과 챔버(24)는 상기 하우징(12) 측면의 소정 높이로부터 상기 하우징(12)의 바닥면으로 소정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다. 이 여과 챔버(24)는 상기 여과층(16)에서 여과된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 포트(2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여과 챔버(24)의 경사면상에는 다수 개의 홀들(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들(25)은 상기 여과 노즐(40)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 홀들(25)은 상기 여과 노즐(40)을 통과한 액체가 상기 여과 챔버(24)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여과 노즐(40)은 상기 여과층(16) 아랫면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 여과 노즐(40)은 상기 여과층(16)의 아랫면과 여과 챔버(24) 사이에 위치된다. 이 여과 노즐(4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과 아래면이 개방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설치된 상태에 대하여 상기 여과층(16)에 수직되도록 다수 개의 홈 오프닝(slotted opening)(42)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 노즐(40)을 통과하여 상기 여과 챔버(24)에 수용된 액체는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로부터 여과된 상태이다. 이 액체는 제 2 포트(2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액체의 배출은 밸브(52)의 제어에 의해서 조절된다. 상기 밸브(52)는 밸브 컨트롤러(50)에 의해서 교번으로 제어된다. 예컨대, 상기 밸브 컨트롤러(50)는, 센서(54)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2)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밸브(52)를 오픈/클로즈시켜서, 상기 하우징(12)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54)는 초음파 레벨 센서와 같은 레벨 센서이다. 상기 여과기(10)에는 상기 컨트롤러(50)의 오동작 또는 고장시 상기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오버 플로우(58)가 설치되어 있다.Liquid for filtration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rt 18. The first port 18 is connected to the supply chamber 22 so that liquid flows. The supply chamber 22 ha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through which liquid does not pass and has an open bottom surface.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port 18 is filtered while flowing through the filtration layer 16 through the supply chamber 22. This filtered liquid flows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40 into the filtration chamber 24. The filtration chamber 24 is formed to support the filtration layer 16 in the housing 12. The filtration chamber 24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2. The filtration chamber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20 so that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ration layer 16 is received and the contained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holes 25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ltration chamber 24. These holes 25 ar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filtration nozzle 40 is located. These holes 25 allow the liquid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40 to enter the filtration chamber 24. The filtration nozzle 40 is formed to be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16. This filtration nozzle 40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16 and the filtration chamber 24. As shown in Fig. 2, the filtration nozzle 4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pen, and a plurality of slotted openings are perpendicular to the filtration layer 16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state. 42 is formed. The liquid contained in the filtration chamber 24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40 is filtered out of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and / or colloids. This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2 through the second port 20. The discharge of the liquid is regulated by the control of the valve 52. The valve 52 is alternately controlled by the valve controller 50. For example, the valve controller 50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12 by the sensor 54, opens and closes the valve 52, and adjusts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12. The sensor 54 is a level sensor such as an ultrasonic level sensor. The filter 10 is provided with an overflow 58 in order to adjust the internal water level in case of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controller 50.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흡입관(26)이 설치된다. 이 흡입관(26)은 상기 제 1 여과재(13)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 흡입관(26)은 상기 여과층(16)의 아랫면과 세척 챔버(30)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제 1 여과재(13)는 상기 흡입관(26)을 통하여 상기 세척 챔버(30)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여과재(13)는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과 같이 이동된다. 상기 세척 챔버(30)에서 상기 제 1 여과재(13)는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과 분리된다. 이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들은 오염물 방출구(5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여과재(1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등의 가스에 의해서, 상기 흡입관(26)을 통하여 상기 세척 챔버(30)로 이동된다. 상기 가스는 가스 공급라인(도시 않음)을 통하여 상기 흡입관(26)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스 공급라인은 가스 소스부(도시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여과재(13)는 상기 흡입관(26)을 통하여 상기 세척 챔버(30)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여과재(13)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 챔버(30)에서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 등과 분리된다. 이는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여과재(30)는 상기 하우징(12)의 하부로 이동되고, 부유물질 그리고/또는 콜로이드같은 오염물 등은 상기 세척 챔버(30)에서 위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제 1 여과재(30)는 상기 세척 챔버(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여과재(3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주름 모양을 갖는 통로(shirred passageway)(32)를 통과하게 된다. 이 통로(32)는 상기 제 1 여과재(30)의 세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 통로(32)를 통과한 제 1 여과재(30)는 중력에 의해서 배플(28)를 따라 상기 여과층(16)의 밑으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ipe 26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The suction pipe 26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first filter medium 13. The suction pipe 26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16 and the cleaning chamber 30 to allow liquid to flow.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moved to the cleaning chamber 30 through the suction pipe 26. At this time,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moved with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matter and / or colloid. In the cleaning chamber 30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separated from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and / or colloids.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matter and / or colloid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minant outlet 56.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moved to the cleaning chamber 30 through the suction pipe 26 by a gas such as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gas is supplied into the suction pipe 26 through a gas supply line (not shown). The gas supply line is connected to a gas source part (not shown). When the gas is supplied,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moved to the cleaning chamber 30 through the suction pipe 26.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ilter medium 13 is separated from the suspended solids and / or contaminants such as colloid in the cleaning chamber 30. This is because the first filter medium 30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12 by gravity, and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matter and / or colloids are lifted up in the cleaning chamber 30.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dium 3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chamber 30, and passes through the passage (shirred passageway) 32 having a corrugated shap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lter medium 30 is moved. Done. This passage 32 further enhances the cleaning effect of the first filter medium 30. The first filter medium 30 passing through the passage 32 is moved under the filter layer 16 along the baffle 28 by gravity.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여과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여과기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세척 챔버에 주름 모양의 통로는 여과재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여과 노즐은 액체의 여과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깨끗이 여과된 액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 the flow of the filter mediu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impurities to keep the inside of the filter clean. In particular, a pleated passageway in the cleaning chamber allows for effective separation of the filter media and impurities. 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nozzle is able to obtain a filtered liquid while reducing the filtration time of the liquid.

Claims (3)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에 있어서,In a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여과재로 구성되며, 윗면과 아랫면을 갖는 여과층과;A filtration laye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composed of at least one filter material, the filter lay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여과시키기 위한 액체를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포트와;A first port for supplying a liquid for filtration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여과된 액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포트와;A second port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liquid inside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 1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흐르도록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되고, 액체가 통과되지 않는 윗면과 측면을 갖는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윗면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오픈된 바닥면을 갖는 공급 챔버와;A supply chamber connected with the first port to flow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port, the supply chamber having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through which liquid does not pass and an open bottom surface located below the filter layer; 상기 하우징의 내부 그리고 상기 여과층 윗면의 위에 위치되고, 상기 여과층에 의해서 상기 제 2 포트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여과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흐름으로 상기 여과재를 재생시키기 위한 세척 챔버와;A cleaning chambe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bove the filtration layer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port by the filtration layer and for regenerating the filter medium in a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iltrate; 상기 여과재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여과층의 아랫면과 상기 세척 챔버를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흡입관과;A suction pip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for transporting the filter medium and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layer and the cleaning chamber to allow liquid to flow;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여과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측면의 소정 높이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소정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갖고, 상기 여과층에서 여과된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2 포트와 연결된 여과 챔버와;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angle from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pport the filtering layer in the housing,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ering layer is accommodated, and the contained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ltration chamber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상기 여과층 아랫면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층의 아랫면과 여과 챔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여과층에서 여과된 액체가 상기 세척 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 노즐 및;A filtration nozzle which is formed to be locat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filtration chamber, and allows the liquid filtered in the filtration layer to flow into the cleaning chamber; 상기 여과 노즐이 위치되는 상기 여과 챔버의 경사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노즐을 통과한 액체가 상기 여과 챔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ltration chamber in which the filtration nozzle is located, and allow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nozzle to enter the filtration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여과 노즐은 윗면과 아래면이 개방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설치된 상태에 대하여 상기 여과층에 수직되도록 다수 개의 홈 오프닝(slotted openin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The filtration nozzle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downflow fluidized bed yar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d opening (slotted opening)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lter layer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 챔버는, 상기 여과재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주름 모양의 통로(shirred passagewa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류 유동상 사 여과기.And said washing chamber has a shredred passagewa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said filter medium is moved.
KR1019980010374A 1998-03-25 1998-03-25 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KR100268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74A KR100268762B1 (en) 1998-03-25 1998-03-25 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74A KR100268762B1 (en) 1998-03-25 1998-03-25 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86A true KR19990075886A (en) 1999-10-15
KR100268762B1 KR100268762B1 (en) 2000-10-16

Family

ID=1953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374A KR100268762B1 (en) 1998-03-25 1998-03-25 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7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4453A (en) * 2017-11-02 2018-03-06 无锡市庆环保设备有限公司 Active sand filter sand-was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959A (en) * 1993-10-29 1995-10-03 Stevens; Jay S. Moving bed fil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4453A (en) * 2017-11-02 2018-03-06 无锡市庆环保设备有限公司 Active sand filter sand-was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8762B1 (en)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959A (en) Moving bed filters
US5516434A (en) Single cell gas flotation separator with filter media
US4643836A (en) Radial flow filter having air fluidizing backwash means
US6143186A (en) Device for continuous filtration of liquids
EP0562182A1 (en) Filter underdrain block
US4118322A (en) Filtering apparatus for liquids
US6319413B1 (en) Method of filtering liquid using a vertical filter
US5112504A (en) System and method of decreasing waste fluid in continuous backwash filtration
JPH0655018A (en) Continuous filter
US5730886A (en) Continuous self-cleaning filtration unit
KR100267899B1 (en) Filtering device
US5591347A (en) Single cell gas flotation separator with filter media
CA2141615C (en) Treatment device
US11684876B2 (en)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US6387283B1 (en) Descending bed, continuously regenerating type filter with an adjustable length wash chamber
US5176826A (en) Purge construction for a vibrating sieve filter
KR100268762B1 (en) Downflow sand filter with continuous backwashing
JP3668259B2 (en) Filtration device
KR200220279Y1 (en) Filter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US6077426A (en)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JPS589609Y2 (en) packed bed filter
SU1725963A1 (en) Liquid cleaning filter
CA2068778A1 (en) Continuous backwash filter and method of operation
SU1487943A1 (en) Filter for primary purifying liquid from suspension
KR20010079252A (en) Drum filter of which drum is wrink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