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050A - Shadow mask of flat CRT - Google Patents

Shadow mask of flat C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050A
KR19990075050A KR1019980009033A KR19980009033A KR19990075050A KR 19990075050 A KR19990075050 A KR 19990075050A KR 1019980009033 A KR1019980009033 A KR 1019980009033A KR 19980009033 A KR19980009033 A KR 19980009033A KR 19990075050 A KR19990075050 A KR 1999007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hole
mask
alignment
flat c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5050A/en
Publication of KR1999007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050A/en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새도우마스크의 스트레칭 작업시 새도우마스크에 균일한 인장력이 작용되도록 한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C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dow mask of a flat CRT so that a uniform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hadowmask during stretching of the shadowmask.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자빔의 랜딩영역으로 무수한 구멍(4a)이 형성된 유효면(A)과, 상기 유효면의 각 변에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구멍(4a)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면(B)과, 구멍(4a)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브랭크부(C)등으로 구성된 평면형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4)의 외곽 끝단에 마스크 인장장치에 의해 로딩할 때 기준이 되는 얼라인먼트 홈(9)이 형성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ive surface A in which a myriad hole 4a is formed as a landing region of an electron beam, and a hole 4a are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oint near each side of the effective surface, but are not actually used. In the planar shadow mask which consists of the effective surface B and the blank part C etc. in which the hole 4a is not formed at all; At the outer end of the shadow mask 4, an alignment groove 9 as a reference when loading by a mask tensioning device is formed.

Description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Shadow mask of flat CRT

본 발명은 평면 브라운관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얼라인먼트 홀에 비해 작은 점유면적의 얼라인먼트 홈을 새도우마스크의 끝단부에 형성하여 스트레칭시 응력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flat CRT,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n alignment groov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existing alignment hole at the end of the shadow mask to prevent the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in one place. It relates to the shadow mask of a flat CRT.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을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전면이 평편한 판상의 패널(1)과, 상기 패널의 전면에 레진수지로 고정되어 브라운관의 방폭특성을 유지하는 안전유리(2)와, 상기 패널의 배면에 프릿그라스로 고정되는 사각틀형태의 레일(3)과, 상기 레일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자빔의 색선별역할을 하도록 작은 구멍(4a)이 무수히 형성된 새도우마스크(4)와, 상기 패널(1)에 프릿그라스로 고정되며, 후방에 네크부(5a)가 일체로 형성된 펀넬(5)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봉입되어 적,녹,청 3색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6)과,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도시는 생략함)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flat CRT, a flat panel having a flat front surface, a safety glass 2 fixed to a resin paper on the front of the panel to maintain the explosion-proof characteristics of the CRT, and A rectangular frame rail (3) fixed to the back of the panel with frit glass, a shadow mask (4) having numerous holes (4a) formed to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rail, and to serve as color selection of the electron beam, An electron gun which is fixed to the panel 1 by fritsgrass, and has a funnel 5 formed integrally with a neck portion 5a at the rear, and is enclosed in the neck portion of the funnel to emit red, green, and blue electron beams. (6) and a deflection yoke (not shown)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and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따라서 상기 전자총(6)의 음극(도시는 생략함)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빔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자빔은 가속전극과 집속전극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속 및 집속된 다음 편향코일에 의해 편향된 상태로 새도우마스크(4)를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면에 충돌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므로 화상이 재현된다.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athode (not shown) of the electron gun 6 and the electron beam is generated, the generated electron beam is accelerated and focu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cceleration electrode and the focusing electrode in turn, and is then deflected by the deflection coil. The image is reproduced because the fluorescent material is emitted by colliding with the fluorescent surfac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1 through (4).

이때, 새도우마스크(4)에 형성된 구멍(4a)을 통과하여 형광체를 발관시키는 전자빔은 전체의 약 20%정도이며, 나머지 전자빔은 새도우마스크에 부딪혀 열에너지로 변환되므로 브라운관의 동작시 새도우마스크(4)가 불룩하게 팽창되는 도밍(domming)현상을 일으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hole 4a formed in the shadow mask 4 is about 20% of the total phosphor, and the remaining electron beam hits the shadow mask and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so that the shadow mask 4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T. The bulging phenomenon causes domming.

이러한 도밍현상을 새도우마스크(4)에 무수히 형성된 구멍(4a)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므로 결국 형광면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샛선별을 초래하게 된다.Since the doming phenomenon changes the positions of the holes 4a which are formed in the shadow mask 4 innumerably, the position of the electron beams landing on the fluorescent surface is changed, thereby causing X-selection.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도우마스크(4)를 열팽창이 적은 인바아(invar)재질(강철+니켈)로하여 제조하던지, 새도우마스크(4)를 패널(1)에 고정시키는 스프링을 바이메탈로하여 도밍현상을 억제하였으나, 이는 고가의 인바아 재질을 사용하므로 인해 브라운관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또한 스프링의 사용에 따른 부품의 증가로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Conventionally,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shadow mask 4 is manufactured by using an invar material (steel + nickel) with low thermal expansion, or the spring for fixing the shadow mask 4 to the panel 1 is bimetallic. However, the domming phenomenon was suppressed, but this caused the production cost of the CRT due to the use of the expensive in-bar material, and also caused the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due to the increase of the par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pring.

이에 따라, 최근에는 플랫 포일 텐션마스크(flat foil tension mask)라고 일컫는 새도우마스크(4)를 이용하여 도밍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shadow mask 4, which is called a flat foil tension mask, is used to prevent the doming phenomenon in advance, thereby improving the resolution.

즉, 상기 새도우마스크(4)를 패널(1)에 고정되어 있던 레일(3)에 고정하기 전에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인장력이 작용되도록 한 다음, 레일(3)과 용접에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브라운관의 동작시 상기 새도우마스크(4)에 전자빔이 충돌하여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강제적으로 인가한 기구적인 장력에 의해 열팽창(도밍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새도우마스크에 형성된 구멍(4a)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다.That is, before the shadow mask 4 is fixed to the rail 3 fixed to the panel 1, it is forcibly pulled out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and then the CRT is fixed by welding with the rail 3,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RT is performed. Even when the electron beam collides with the shadow mask 4 an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hermal expansion (dom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due to a forcibly applied mechanical tension,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hole 4a formed in the shadow mask is not changed.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4)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자빔의 랜딩영역(landing area)으로 무수한 구멍(4a)이 형성된 유효면(A)과, 상기 유효면의 각 변에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구멍(4a)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면(B)과,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브랭크부(C), 유효면과 근접되게 도면상 가상선으로 나타낸 레일고정지점(D)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adow mask 4 which serves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ive surface A in which a myriad hole 4a is formed as a landing area of the electron beam, and a point close to each side of the effective surface. A non-effective surface B having a hole 4a formed therein but not actually used, a blank portion C having no hole formed at all, and a rail fixed point indicated by an imaginary line close to the effective surface. It consists of (D).

상기 비유효면(B)에 구멍(4a)을 형성한 이유는 새도우마스크(4)에 인장력을 가할 때 발생되는 변형이 비유효면(B)상에 형성된 구멍(4a)부근에서 최대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유효면(A)에 형성된 구멍(4a)의 위치가 가변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hole 4a is formed in the ineffective surface B is that the deformation generat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hadow mask 4 is generated to the maximum near the hole 4a formed on the ineffective surface B. This is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position of the hole 4a formed in the effective surface A is variable.

한편, 상기 새도우마스크(4)의 양측에 형성된 비유효면(B)에는 다른 부위에 형성된 구멍크기에 비해 큰 공경을 가진 얼라인먼트 홀(7)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effective surface (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dow mask (4) is formed with an alignment hole (7) having a large pore size compared to the hole size formed in other portions.

상기 얼라인먼트 홀(7)은 새도우마스크(4)를 마스크 인장장치에 로딩(roading)할 때 이 마스크 인장장치에 형성된 얼라인먼트 홀(8)에 끼워 로딩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The alignment hole 7 is formed so that when loading the shadow mask 4 into the mask tensioning device, the alignment hole 7 is always positioned at a constant position when loading.

즉, 새도우마스크(4)의 로딩시에는 얼라인먼트 홀(7)을 인장기기의 얼라인먼트 돌기(8)에 끼운상태에서 그리퍼(griper)(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새도우마스크의 사방을 잡아 고정시킨다.That is, when the shadow mask 4 is loaded, the shadow mask 4 is held in place by a gripper (not shown) while the alignment hole 7 is inserted into the alignment protrusion 8 of the tensioning device.

이어 상기 얼라인먼트 돌기(8)가 새도우마스크(4)로부터 이격되면 그리퍼가 새도우마스크(4)를 사방으로 잡아당겨 인장잡업을 시행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alignment protrusion 8 is spaced apart from the shadow mask 4, the gripper pulls the shadow mask 4 in all directions to perform the tensioning operation.

그러나 종래의 얼라인먼트 홀(7)은 상술한 바있듯이 다른 부위에 형성된 구멍(4a)들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도우마스크(4)가 정상적인 로딩위치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는 스트레칭(stretching)시 새도우마스크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게 되므로 취약부분인 얼라인먼트 홀(7)로 응력이 집중되어 새도우마스크(4) 파손의 원인이 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lignment hole 7 is formed larger than the holes 4a formed in other portio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adow mask 4 is out of the normal loading position, it acts on the shadow mask during stretching. Since the tensile force is partially different,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alignment hole (7), which is a weak part, causing the shadow mask (4) to be damaged.

설사 새도우마스크가 정상적인 위치에 로딩이 되었다 하더라도 다른 부분에 비해 얼라인먼트 홀(7)의 공경이 크므로 스트레칭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었다.Even if the shadow mask is loaded in the normal position, the alignment hole 7 has a larger pore diameter than the other parts,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stress concentration from stretching.

또한, 얼라인먼트 홀(7)이 얼라인먼트 돌기(8)에 끼워지거나 빠질 때 얼라인먼트 홀(7) 주위가 변형되어 새도우마스크(4)의 파손시점을 제공하기도 한다.In addition, when the alignment hole 7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alignment protrusion 8, the periphery of the alignment hole 7 may be deformed to provide a break point of the shadow mask 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새도우마스크의 스트레칭시 새도우마스크의 어느 한 곳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any one of the shadow mask during the stretching of the shadow mas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빔의 랜딩영역으로 무수한 구멍이 형성된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각 변에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면과,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브랭크부등으로 구성된 평면형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외곽 끝단에 마스크 인장장치에 의해 로딩할 때 기준이 되는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 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ive surface having a myriad of holes as a landing area of an electron beam, an invalid surface hav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close to each side of the effective surface, but not actually used; In the planar shadow mask composed of a blank portion, etc. in which no hole is formed; It is to provide a shadow mask of a flat CRT tube, characterized in that an alignment groove which is a reference when loading by a mask tensioning device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shadow mask.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flat CRT

도 2는 평면 브라운관에 적용되는 종래의 새도우마스크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adow mask applied to a flat CRT

도 3a는 본 발명 새도우마스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3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adow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 새도우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새도우마스크의 정면도Figure 3b is a front view of the shadow mask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dow mask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새도우마스크의 정면도Figure 3c is a front view of a shadow mask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새도우마스크 9 : 얼라인먼트 홈4: shadow mask 9: alignment home

이하,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새도우마스크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hadow mas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전자빔의 랜딩영역(landing area)으로 무수한 구멍(4a)이 형성된 유효면(A)과, 상기 유효면의 각 변에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구멍(4a)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면(B)과,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브랭크부(C)와, 유효면과 근접되게 도면상 가상선으로 나타낸 레일 고정지점(D)으로 구성되어 있는 평면형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새도우마스크(4)는 장변 또는 단변 외단부 중앙이나 각 모서리측에 마스크 인장장치로 로딩할 때 기준이 되는 원호형(圓弧型)의 얼라인먼트 홈(9)이 형성된 것이다.An effective surface A in which a myriad hole 4a is formed as a landing area of the electron beam, and a hole 4a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point close to each side of the effective surface, but is not effectively used. In the planar shadow mask which consists of the surface B, the blank part C in which a hole is not formed at all, and the rail fixed point D shown by the virtual line in drawing in proximity to an effective surface, The shadow mask 4 has an arc-shaped alignment groove 9, which is a reference when loading the mask tensioning device at the center or each corner of the long side or short side outer end thereof.

도 3a 내지 도 3c는 이와 같은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의 여러형태를 도시한 것이다.3A to 3C illustrate various types of shadow masks in which such alignment grooves are formed.

도 3a는 새도우마스크(4) 장변측 단부 중앙에 얼라인먼트 홈(9)이 형성된 타입이고, 도 3b는 새도우마스크(4)의 단변측 단부 중앙에 얼라인먼트 홈(9)이 형성된 타입이며, 도 3c는 새도우마스크(4)의 각 모서리에 얼라인먼트 홈(9)이 형성된 타입이다.FIG. 3A illustrates an alignment groove 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of the shadow mask 4, and FIG. 3B illustrates an alignment groove 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of the shadow mask 4. An alignment groove 9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hadow mask 4.

이외에도 새도우마스크(4)의 로딘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얼라인먼트 홈(9)을 새도우마스크(4)의 장변과 단변에 모두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alignment groove 9 may be formed on bo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shadow mask 4 as long as it does not become a problem of Rodinshi of the shadow mask 4.

이때, 얼라인먼트 홈(9)이 정렬되는 위치에 상응하도록 얼라인먼트 돌기(8)도 마스크 인장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alignment protrusion 8 should also be set in advance in the mask tensioning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alignment groove 9 is aligned.

이와 같은 얼라인먼트 홈(9)은 새도우마스크(4)의 로딩시 마스크 인장장치의 얼라인먼트 돌기(8)로 끼우거나 뺄 때 발생할 수 있는 로딩변형을 최소화함은 물론 스트레칭시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라인먼트 돌기(8)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이다.Such an alignment groove 9 is for minimizing the loading deformation that may occur when the shadow mask 4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alignment protrusion 8 of the mask tensioning device and also prevents stress concentration during stretching. And a method of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lignment protrusion 8 to set the position.

즉, 본 발명은 얼라인먼트 홈(9)은 원호형으로 되어 기존 원형의 얼라인먼트 홀에 비해 새도우마스크(4)에서의 점유율이 작으므로 응력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lignment groove 9 is arcuate, the occupancy in the shadow mask 4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circular alignment hole,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tres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새도우마스크는 마스크 인장장치의 얼라인먼트 돌기에 끼우는 방식이 아니라 원호형의 얼라인먼트 홈을 얼라인먼트 돌기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얼라인 하는 방식이므로 얼라인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스트레칭시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새도우마스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hadow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a method of fitting to the alignment protrusion of the mask tensioning device, but a method of aligning an arc-shaped alignment groov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lignment protrusion,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during alignment. By dispersing the stress during stretch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hadow mask.

Claims (4)

전자빔의 랜딩영역으로 무수한 구멍이 형성된 유효면과, 상기 유효면의 각 변에 근접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면과,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브랭크부등으로 구성된 평면형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An effective surface having a myriad of holes formed as a landing area of the electron beam, an invalid surface which is formed to be positioned at a point proximate to each side of the effective surface, but an unused surface which is not actually used, and a blank portion where no hole is formed. A planar shadow mask constructed;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외곽 끝단에 마스크 인장장치에 의해 로딩할 때 기준이 되는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A shadow mask of a flat CRT tube, characterized in that an alignment groove which is a reference when loading by a mask tensioning device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shadow mas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얼라인먼트 홈이 새도우마스크의 장변측 단부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A shadow mask of a flat CRT tube, wherein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end portion of the shadow mas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얼라인먼트 홈이 새도우마스크의 단변측 단부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A shadow mask of a flat CRT tube, wherein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end portion of the shadow mas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얼라인먼트 홈이 새도우마스크의 각 모서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A shadow mask of a flat cathode ray tube, wherein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shadow mask.
KR1019980009033A 1998-03-17 1998-03-17 Shadow mask of flat CRT KR199900750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033A KR19990075050A (en) 1998-03-17 1998-03-17 Shadow mask of flat C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033A KR19990075050A (en) 1998-03-17 1998-03-17 Shadow mask of flat C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50A true KR19990075050A (en) 1999-10-05

Family

ID=6590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033A KR19990075050A (en) 1998-03-17 1998-03-17 Shadow mask of flat C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50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89B1 (en) * 2002-02-07 2004-01-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The Color Cathode-ray Tub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89B1 (en) * 2002-02-07 2004-01-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The Color Cathode-ray Tu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0754A (en) Structure of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9990075050A (en) Shadow mask of flat CRT
KR20020011102A (en) Color cathode-ray tube and mask frame
KR100271708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200262572Y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20011101A (en) Color cathode ray tube
EP1306875B1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KR100215770B1 (en) Shadow mask of flat cathode-ray tube
KR100215769B1 (en) Shadow mask of flat cathode-ray tube
KR100215775B1 (en) Flat cathode-ray tube
KR100186579B1 (en) Apparatus of reducing vibration of shadow mask of flat color crt
KR100215772B1 (en) Flat cathode-ray tube
KR100712904B1 (en) Cathode Ray Tube
KR200202671Y1 (en) A deflection yoke
KR100350622B1 (en) The Color Cathode Ray Tube
JPH0850860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14495B1 (en) Transposed scan CRT
KR100269367B1 (en) Device for damping shadow mask in flat braun tube
KR100603273B1 (en) Electron gun and a cathode ray tube utilizing the same
KR200176207Y1 (en) A permalloy compensation plate combination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KR20010046135A (en) shadow mask of plat type cathode ray tube
KR19990086343A (en) Flat CRT Band
WO1997031388A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9990046878A (en) Shadow Mask Vibration Damping Device with Flat CRT
US20010048270A1 (en) Shadow mask in color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