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805A -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 Google Patents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805A
KR19990073805A KR1019980006940A KR19980006940A KR19990073805A KR 19990073805 A KR19990073805 A KR 19990073805A KR 1019980006940 A KR1019980006940 A KR 1019980006940A KR 19980006940 A KR19980006940 A KR 19980006940A KR 19990073805 A KR19990073805 A KR 1999007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call
voice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시 오노
Original Assignee
오노 미호꼬
가부시키가이샤 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미호꼬, 가부시키가이샤 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오노 미호꼬
Priority to KR101998000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805A/en
Publication of KR1999007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805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 등으로 음악 등을 청취하고 있을 때 전화기의 착신을 알리도록 CD 플레이어 본체 및 전화기와 수화용 헤드폰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사이에서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adapter capable of mutu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 CD player body and a telephone and a sign language headphone so as to notify the reception of a telephone when listening to music or the like with headphones. It aims to do it.

CD 플레이어 본체 (2) 및 휴대형 전화기 (4) 와 수화용 헤드폰 (3)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사이에서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어댑터 (1) 로서, 이 어댑터 (1) 는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의 착신을 검지하는 검지부 (6) 와, 이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의 통화신호 또는 상기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한쪽의 신호를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하는데 관한 절환을 하는 절환부 (8) 를 구비하고, 이 절환부 (8) 는 상기 검지부 (6) 의 검지에 의거하여 신호송신에 관한 절환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전화기용 어댑터 (1) 에 의해 달성된다.An adapter (1) interposed between a CD player body (2) and a portable telephone (4) and a sign language headphone (3),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therebetween, which is a portable telephone ( 4) The detection unit 6 which detects the incoming call and the signal of either the call signal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or the audio signal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are transmitted to the headphone 3 for sign language. A switching section 8 for switching over the switch, which is achieved by the telephone adapter 1 which is set to switch over a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ction 6; do.

Description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Adapter device for telephone

본 발명은 수신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귀에 자유롭게 장착되는 음성재생장치와 전화기, 그리고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상기 음성재생장치를 접속하여 음성화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통화할 수 있는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elephone freely mounted on the ear for 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to a voice, and an adapter for connecting and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apparatus and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o an adapter device.

종래의 전화기로서는 책상 등에 놓아두는 설치형 전화기와 자유롭게 갖고 다니는 휴대형 전화기 등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 telephones are known as mounting telephone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portable telephones that can be carried freely.

상기 설치형 전화기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전화회선에 접속하여 설치되는 전화기 본체와, 통화음성을 발하는 수화기 및 송화음성을 받는 송화기로 구성되는 송수화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전화기 본체와 이 송수화기 사이에서 전기신호 또는 전파 등의 형태에 있는 통화신호 및 송화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전화기이다.The installed type telephone has a telephone body which is installed by connecting to a telephone lin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handset composed of a handset for making a voice call and a handset receiving a voice call, thereby provid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telephone body and the handset. Or a telephone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call signal and a call signal in a form of radio wave or the like are performed.

상기 설치형 전화기는, 착신을 알리는 방법으로써, 착신과 동시에 전화기 본체 또는 통화기 등에서 버저음이나 벨음 등의 음성을 발하여 착신을 알리는 방법, 착신과 동시에 전화기 본체 등에 설치된 점멸램프 등에서 빛을 점멸시켜 착신을 알리는 방법, 및 상기 두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착신을 알리는 방법 등의 세가지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The installation-type telephone is a method of notifying an incoming call, a method of informing the incoming call by emitting a buzzer or a ringing tone from the main body of a telephone or a telephone while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incoming call, or by receiving a flashing light from a flashing lamp installed in the telephone body at the same time. Three methods have been adopted, such as the notification method,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한편, 상기 휴대형 전화기는 통신신호 및 송화신호를 전파형태로 송신 및 수신함과 동시에,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갖고 다닐수 있는 형태의 전화기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lephone is a type of telephone capable of carrying and carry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transmitted signal in the form of radio waves, and at the same time as the radio waves reach.

이러한 휴대형 전화기는, 착신을 알리는 방법으로써, 설치형 전화기에 대하여 상술한 세가지 방법에 추가하여 네 번째 방법으로 상기 휴대형 전화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신과 동시에 진동하도록 설정된 진동부를 설치하고, 항상 이 진동부가 신체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휴대형 전화기를 휴대함으로써 착신시에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신체에 전하여 착신을 알리는 방법 등이 채택되고 있다.In such a portable telephone, as a method of notifying an incoming call, in addition to the three method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telephone, a vibrator set to vibrate at the same time as the incoming call is install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ortable telephone main body. By carrying the portable telephone so as to com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mobile phone, a method of informing the incoming call by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unit to the body at the time of incoming call has been adopted.

따라서, 음성재생장치로써의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음성신호출력장치로써의 라디오나 헤드폰 스테레오 등으로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을 청취하고 있을 때에 전화기가 착신을 받았을 때에는, 사용자는 전화기에서 발한 음성을 귀로 직접 듣거나, 전화기에서 점멸되는 빛이나 진동부의 진동을 알아차림으로써 착신을 알고, 라디오나 헤드폰 스테레오 등을 손으로 끄고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귀에서 떼어낸후 전화를 받고 있었다.Therefore, when a user receives an incoming call while listening to a radio program or music through a radio or headphone stereo as an audio signal output device by attaching an earphone or a headphone as a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o the ear, Listening directly to the ear, or by noticing the vibration of the light or vibrating part blinking on the phone to know the incoming call, and turned off the radio or headphone stereo by hand, the earphone and headphones were removed from the ear to answer the call.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는 이하에 열거하는 세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lephone has three problems listed below.

첫번째, 사용자가 전화기의 착신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다.Firs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notice the incoming call.

설치형 전화기는 헤드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헤드폰 스테레오 등으로 음악 등을 청취할 때에는 상기 헤드폰 등이 외이도 (外耳道) 를 외계로부터 차단하기 때문에 착신시에 전화기로부터 발하여진 착신음성이 상기 헤드폰 등으로 차단되어 잘 들리지 않고, 청취하고 있는 음악 등의 음량이 대음량일 때에는 상기 착신음성을 더욱 듣기 어려워진다.The installed telephone has a headphone or the like attached to the ear, and when the headphone or the like is used to listen to music, the external ear canal is blocked from the outside. When the volume of the music or the like that is being listened to is high volume without being heard, the incoming voice becomes more difficult to hear.

휴대형 전화기는 착신을 받을 때의 상황이 전차안이나 공사현장 등 소리가 범람하고 있는 소음하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상황하에서 헤드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헤드폰 스테레오 등으로 음악 등을 청취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헤드폰 등이 착신음성을 차단할 뿐 아니라 외계로부터 발하여진 대음량의 음성이 상기 착신음성을 소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신시에 전화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상기 착신음성을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Since portable telephones often receive incoming noises, such as in trains or construction sites, when a user listens to music through headphones or stereo with headphones attached to the ears under such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headphone or the like not only blocks the incoming voice, but also a large volume of voice from the outside world eliminates the incoming voice, so that the user may not be able to hear the incoming voice from the telephone at the time of incoming call.

또한, 빛을 점멸시켜 착신을 알리는 방법 및 진동부의 진동을 신체에 전하여 착신을 알리는 방법은, 설치형 전화기에 관해서는 전자에서는 전화기가 눈에 보이는 범위내에 있고, 후자에서는 상기 진동부가 신체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는 한 헤드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헤드폰 스테레오 등으로 청취하고 있는 음악 등의 음량이나 외계에서 발하는 음성에 상관없이 착신을 알리는 유효한 방법이 되는데, 한편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는 핸드백, 가방 등에 수납하여 갖고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상황 아래에서 착신을 받았을 때에는 사용자는 빛의 점멸이나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알아차릴 수 없다.In addition, a method of informing the incoming call by blinking light and transmitting the vibration by vibrating the vibrating part to the body is known in the former as to the installed type phone, and in the latter, the vibrating part contacts part of the body. As long as you are wearing headphones, you can use the headphones stereo to listen to the incoming call regardless of the volume of music and external voices. Since many users receive the call under this situation, the user may not notice the blinking of the light or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unit.

다음 두번째, 착신을 알아차리고 전화를 받기까지 요하는 동작이 번거롭다는 점이다.Second, it is cumbersome to notice the incoming call and answer the call.

상기 설치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이어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라디오 등으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청취하고 있을 때, 상술한 네가지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전화기의 착신을 알아차렸을 때에는 전화를 받기전에 사용자가 상기 라디오 등을 수동조작으로 정지시킨 후, 귀에서 상기 이어폰 등을 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착신을 알아차린 후 신속하게 전화를 받을 수 없음은 물론 빨리 전화를 받으려고 서두르다가 상기 라디오나 전화기 등의 기기를 실수로 고장낼 우려가 있다.When listening to a radio program by a radio or the like with earphones or the like mounted on the ear of the installed telephone and the portable telephone, when the user notices the incoming call by any one of the four method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receive the call before the radio or the like. After the manual operation is stopped, the earphones, etc. need to be removed from the ear, so not only can you quickly receive a call after noticing an incoming call, but also hastened to pick up the call quickly and accidentally broke a device such as a radio or telephone. There is a fear.

그리고 세번째, 휴대형 전화기는 착신을 받았을 때의 상황에 따라서는 송화음성 이외의 불필요한 음성도 전화의 상대방에게 전달된다.And thirdly, the portable telephone also transmits unnecessary voices other than the call voice to the other par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n the portable telephone is received.

상기 휴대성 전화기에 있어서는 착신을 받는 등 전화를 할 때에 처하는 상황은 자동차나 전차안이나 공사현장 등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상황하에서 전화를 하면, 송화기가 송화음성과 동시에 외계로부터 발하여진 음성도 캐치하여 신호로 변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한 송화음성이 전화의 상대방에게는 잘 들리지 않을 우려가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lephones,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a call is received, such as receiving an incoming call, in a car, a train, or a construction site. Therefore, when a call is made in such a situation, the caller catches the voice of the call and voice from outside. Because the voice is converted into a signal, the voice made by the user may not be heard well by the other party of the tele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첫번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써, 헤드폰 등을 귀에 장착하여 헤드폰 스테레오 등으로 음악 등을 청취하고 있는 중에 전화기가 착신을 받았을 때, 상기 헤드폰 등으로 착신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헤드폰 스테레오 등 및 상기 전화기와 상기 헤드폰 등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전화기를 위한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첫번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when the phone is received while listening to music, such as a headphone stereo, such as wearing a headphone or the like, the headphone stereo, etc. so as to notify the incoming call to the headphone, etc. And an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for a telephone which mutual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lephone and the headphones.

본 발명은 상술한 두번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써, 라디오 등을 수동조작으로 정지시킨 후 이어폰 등을 귀에서 빼지 않아도 상기 이어폰 등을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화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전화기 및 상기 라디오 등과, 상기 이어폰 등 및 송화음성을 집음 (集音) 하는 집음장치 사이에 개재하여,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두번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econd problem, the phone and the radio to quickly receive a call in the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attached to the ear,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earphone from the ear after stopping the radio, such as by manual operation 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n earphone and the like and a sound collecting device that collects voice calls.

본 발명은 상술한 세번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써, 전차안이나 공사현장 등의 상황하에서도 집음장치는 송화음성만을 집음하도록 골전도 (骨傳導) 로 상기 송화음성을 집음하는 골도 (骨導 ; bone conduction) 마이크를 구비하여, 전화기 및 헤드폰 스테레오 등과, 헤드폰 등 및 상기 골도 마이크 사이에 개재하여,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세번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third problem, and even in a train or a construction site, the sound collecting device collects the voiced sound by bone conduction so as to collect only the voiced sound. 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having a microphone, interposed between a telephone, a headphone stereo, a headphone, and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어댑터 장치에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1 shows a block diagram in an adapter devic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어댑터 장치에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Fig. 2 shows a block diagram in the adapter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 는 도 2의 절환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 는 절환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3b 는 절환동작이 이루어 진 때의 상태도이다.3A and 3B show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witching part of FIG. 2, FIG. 3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FIG. 3B is a state diagram when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CD 플레이어 본체 (음성신호 출력장치)2: CD player main body (audio signal output device)

3 : 수화용 헤드폰 (음성재생장치)3: Sign language headphones (voice playback device)

4 : 휴대형 전화기 (전화기)4: portable telephone (telephone)

5 : 송화용 헤드폰 (집음장치)5: headphone for sound transmission

6 : 검지부6: detection unit

7 : 훅 스위치부 (호출부 및 정지부)7: Hook switch part (calling part and stop part)

8 : 절환부8: switching part

12 : 절환부12: switching part

13 : 송수화용 헤드폰 (음성재생장치 및 집음장치)13: handset headphones (voice playback device and sound collector)

14 : 리모트 컨트롤러14: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목적은 수신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는 음성재생장치와 전화기 사이, 그리고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이 음성재생장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하여 이들 사이에서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로서, 이 어댑터는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신호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통화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출력장치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송신하는데 관한 절환동작을 실시하는 절환부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절환부에 절환동작의 실행을 지령하는 절환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통화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받아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환지령신호에 의해 상기 통화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중 상기 통화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하며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소정의 신호레벨까지 낮추어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송신하여 절환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인 첫번째 발명으로 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bject is to intervene between a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elephone freely mounted on the ear for 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to voice, and between a voice signal output apparatus and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hereby generating a signal for speech. An adapter for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m, the adapter detects an incoming signal from the telephone, and transmits a call signal from the telephone and a voice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output device to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a switching unit that switches over to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detection unit issues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he switching unit to execute the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switching unit transmits the call signal and the audio signal. Receive and transmit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llowing the call signal or the voice signal to be selected by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or by lowering the signal level of the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Is achieved with the firs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목적은, 전화기는 송화음성을 집음하여 송화신호로 변환하는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는 집음장치에 의해 송화할 있도록 되어 있고, 어댑터는 상기 전화기가 갖는 통화기능 및 송화기능을 작동시키는 호출신호를 발할 수 있는 호출부와, 상기 통화기능 및 상기 송화기능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정지부를 내장하는 것인 두번째 발명으로 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bject is that the telephone is to be picked up by a sound collecting device that is freely mounted on the ear to pick up the voice and convert it into a call signal, the adapter calls to activate the call function and the call function of the phone A second invention is achieved in which a call unit capable of emitting a signal and a stop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call function and the talk function are incorporated.

또한 상기 두번째 목적은, 상기 두번째 발명의 검지부는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호출부에 호출신호의 송신을 지령하는 호출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지령신호를 받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후에 상기 호출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etection unit of the second invention issues a call command signal for commanding the transmission of a call signal to the call unit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call unit sends the call command signal at the same tim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also achieved by causing a call signal.

그리고 상기 두번째 목적은, 상기 두번째 발명의 정지부는 정지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절환부에 착신시 이전의 상태로 음성신호가 음성재생장치에 송신되도록 지령하는 복귀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복귀지령신호를 받아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착신 이전의 상태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top unit of the second invention transmits a stop signal and issues a return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n a state prior to the recep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 unit It is also achieved by receiving a return comman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n a state before the reception.

또한 상기 두번째 목적은, 상기 두번째 발명의 음성재생장치는 음성신호의 출력동작 및 신호레벨의 설정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적어도 호출신호 또는 정지신호 중 어느 한쪽 신호의 송신동작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도 달성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second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the output operation of the audio signal and the setting of the signal level by a remote controller, and at least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call signal and a stop signal. It is also achieved by enabling remote control with a controller.

그리고 상기 두번째 목적은, 상기 두번째 발명의 음성재생장치는 좌우의 귀 중 어느 한쪽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이어폰으로서, 집음장치는 다른 한쪽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마이크로폰인 것으로도 달성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second invention is an earphone that is freely mount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ears, and the sound collecting apparatus is a microphone that is freely mounted on the other e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목적은, 상기 두번째 발명의 음성재생장치는 좌우의 귀 각각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두 개의 헤드폰을 갖는 헤드기어로서, 적어도 한쪽의 헤드폰에는 외이도에서 골전도에 의해 집음하는 골도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으로 달성된다.In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gear having two headphones that are freely mounted on each of left and right ears, and at least one headphone is collected by bone conduction from the ear canal. Achieved with a microphone.

즉 첫번째 발명은, 전화기가 착신을 받기 전에는 어댑터에 내장된 절환부를 거쳐 음성신호 출력장치에서 음성재생장치로 음성신호가 송신되어 음성으로 변환된다. 상기 전화기는 착신을 받으면 착신신호를 검지부로 송신한다. 상기 착신신호를 받은 상기 검지부는 절환부에 절환지령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절환지령신호를 받은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통화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중의 이 통화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소정의 신호레벨까지 낮추어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송신하여 절환된다. 이에 따라 이 음성재생장치에서 0 또는 소정레벨로 저하된 음량의 음성과, 착신신호에 의거한 착신음성과, 통화신호에 의거한 통화음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발하여 지므로 사용자는 통화의 착신을 알게 된다.That is, in the first invention, before a telephone receives an incoming call, a voi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output device to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via a switching unit built in the adapter and converted into voice. When the telephone receives an incoming call, the telephone transmits an incoming signal to the detection unit. The detection unit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transmits a switching command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he switching unit receiving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allows the call signal from the telephone or the voice signal to be selected, or lowers the signal level of the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t is switche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voice of the volume lowered to 0 or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he incoming voice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call voice based on the call signal is issued, so that the user knows the incoming call.

또한 두번째 발명은, 사용자는 음성재생장치로 듣고 있던 음성의 음량저하에 의해 전화의 착신을 안 후, 어댑터에 내장된 호출부를 조작함으로써 호출신호를 전화기로 송신시킨다. 상기 호출신호를 받은 상기 전화기는 통화기능을 시동시켜 절환부로 통화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송화기능을 시동시킨다. 상기 통화신호는 상기 절환부를 거쳐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송신되어 통화음성으로 변환된다. 한편, 집음장치로 집음된 송화음성은 송화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전화기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음성신호 출력장치를 정지시키므로 상기 음성재생장치를 귀에서 탈착하지 않아도 이 음성재생장치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hears a call due to a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voice heard by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he user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telephone by operating a call unit built in the adapter. The telephone receiving the call signal starts a call function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nd simultaneously starts a call function.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via the switching unit and converted into a call voice. On the other hand, the call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apparatus is converted into a cal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Accordingly, the voice signal output device is stopped, so that a quick response to the telephone can be made while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ear even when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is not detached from the ear.

그리고, 세번째 발명은, 한쪽 귀에 장착된 헤드폰에 설치된 골도 마이크는 외계로부터 발하여진 음성을 캐치하지 않고, 귀에서 골전도로 송화음성만 집음한다. 그럼으로써, 외계에 기인하는 잡음을 포함하지 않는 깨끗한 송화음성이 송화신호로 변환되어 절환부를 거쳐 전화기로 송신되어 전화의 상대방에게 전달된다.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nstalled in the headphone attached to one ear does not catch the voice from the outside world, and collects only the sound of the voice from the ear to bone conduction. As a result, a clear talk voice that does not contain noise due to the outside world is converted into a talk signal,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via a switching unit,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of the phone.

이하, 첨부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은 제 1 실시예의 어댑터 (1) 및 이에 접속되는 기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er 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vice connected thereto.

상기 어댑터 (1) 는 예컨대 음성신호 출력장치로써의 CD 플레이어 본체 (2) 를 음성재생장치로써의 이어폰 등의 수화용 헤드폰 (3) 과 접속함과 동시에 휴대형 전화기 (4) 를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및 집음장치로써의 마이크로폰 등의 송화용 헤드폰 (5) 과 접속하고 있다.The adapter 1 connects, for example, a CD player main body 2 as a voice signal output device with a headphone 3 for hydration such as earphones as a voice playback device,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he portable telephone 4 to the headphone for hydration headphone ( 3) and a headphone 5 for a telephone such as a microphone as a sound collecting device.

상기 어댑터 (1) 의 내부에는 검지부 (6), 호출부 및 정지부로써의 훅 스위치부 (7) 와, 절환부 (8) 와, 앰프 (9) 와, 인터페이스 (10) 가 내장되어 있다.Inside the adapter 1, a detection section 6, a hook switch section 7 as a calling section and a stop section, a switching section 8, an amplifier 9, and an interface 10 are incorporated.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경로 (C)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검지하는 검지부 (6) 와, 이 검지시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호출지령신호를 경로 (D) 를 통해 훅 스위치부 (7) 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호출지령신호는 상기 훅 스위치 (7) 에서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 이 휴대형 전화기 (4) 가 갖는 통화기능 및 송신기능을 작동시키는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훅 스위치 (7) 에 지령하는 신호이다.A detection unit 6 for detecting an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C, and a hook switch unit 7 via a path D with a call command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detection time. Is set to transmit. Here, the call command signal transmits a call signal for activating a call function and a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4 from the hook switch 7 to the portable telephone 4 to instruct the hook switch 7. It is a signal.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검지부 (6) 에 의한 호출지령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착신신호의 검지로부터 소정시간 후에 설정되어 있는데, 이 타이밍은 상기 착신신호의 검지와 동시에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call command signal by the detection unit 6 is set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detection of the incoming signal, and this timing may be simultaneously with the detection of the incoming signal.

상기 검지부 (6) 로부터의 호출지령신호를 수신하는 훅 스위치부 (7) 는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편성된 스위칭 회로 (도시하지 않음) 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가 닫혀 상기 스위칭 회로 (도시하지 않음) 를 폐회로로 할 때에는 상기 호출신호를, 또 상기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가 열려 상기 스위칭 회로 (도시하지 않음) 를 개회로로 할 때에는 상기 통화기능 및 상기 송화기능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 경로 (A) 를 통해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hook switch unit 7 which receives the call command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6 has a built-in switching circuit (not shown), which is formed by a hook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and the hook switch (not shown). ), The call signal is set when the switching circuit (not shown) is closed, and the hook switch (not shown) is opened, and when the switching circuit (not shown) is opened, the call function and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talk function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A. FIG.

또한 상기 훅 스위치부 (7) 는, 상기 폐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신한 호출지령신호에 의거하여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가 닫히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상기 훅 스위치부 (7) 에 사용자가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의 개폐를 수동조작하기 위한 훅 (도시하지 않음) 을 설치함으로써, 수동조작으로 상기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ok switch 7 is set so that the hook switch (not shown) is closed based on the received call command signal in order to form the closed circuit. The hook switch 7 is hooked by the user. By providing a hook (not shown) for manuall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not show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ok switch (not shown) can be controlled by manual operation.

그리고, 상기 훅 스위치부 (7) 는 호출신호를 휴대형 전화기 (4) 로 송신함과 동시에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받고 있는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의 음성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의 음성을 받도록 하는 절환동작을 실행하도록 지령하는 절환지령신호를 경로 (B) 를 통하여 절환부 (8) 로 송신한다.The hook switch unit 7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portable telephone 4 and at the same time cuts off the voice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which is received by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for receiving audio from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8 via the path B. FIG.

또한, 상기 훅 스위치부 (7) 는 상기 정지신호를 휴대형 전화기 (4) 로 송신함과 동시에 착신시 이전의 상태로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하도록 절환부 (8) 에 대하여 지령하는 복귀지령신호를 경로 (B) 를 통해 이 절환부 (8) 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Further, the hook switch unit 7 transmits the stop signal to the portable telephone 4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audio signal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to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in a state prior to the incoming call. The return command signal commanded to the switching section 8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section 8 via the path B. FIG.

이상의 구성의 훅 스위치부 (7) 에 의해 상기 호출지령신호 또는 사용자에 의한 훅 (도시하지 않음) 의 수동조작에 의거한 호출신호가, 나아가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훅 (도시하지 않음) 의 두번째 수동동작에 의거한 정지신호가, 각각 상기 훅 스위치부 (7) 에서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 경로 (A) 를 통해 송신된다.By the hook switch 7 of the above structure, the call command signal or the call signal based on the manual operation of the hook (not shown) by the user is made, and the second manual operation of the hook (not shown) by the user is carried out. The stop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hook switch portion 7 to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A, respectively.

상기 훅 스위치부 (7) 와 접속되어 있는 절환부 (8) 에는 스위치 소자 (도시하지 않음) 와 릴레이 소자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편성된 스위칭 회로 (도시하지 않음) 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소자 (도시하지 않음) 는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인터페이스 (10) 를 거쳐 경로 (J,G) 를 통해 송신된 통화신호, 또는 CD 플레이어 본체 (2) 에서 경로 (E) 를 통해 송신된 음성신호의 2 개의 신호 중 어느 한쪽의 신호가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되도록 경로 (F) 와 경로 (E) 또는 경로 (G) 중 어느 한쪽을 접속한다. 상기 릴레이 소자 (도시하지 않음) 는 상기 절환지령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경로 (G) 와 경로 (F) 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귀지령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경로 (E) 와 경로 (F) 를 접속하도록 상기 스위치 소자 (도시하지 않음) 를 제어한다.The switching section 8 connected to the hook switch section 7 incorporates a switching circuit (not shown) formed by a switch element (not shown), a relay element (not shown), or the like. The switch element (not shown) is a call signal transmitted via the path (J, G) via the interface (10) in the portable telephone (4), or transmitted via the path (E) in the CD player body (2). One of the path F, the path E, or the path G is connected so that one of the two signals of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The relay element (not shown) connects the path G and the path F when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is received, and connects the path E and the path F when the return command signal is received. Control switch elements (not shown).

상기 구성의 절환부 (8) 가 상기 절환지령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 송신된 통화신호만이 상기 절환부 (8) 를 거쳐 수화용 헤드폰 (3) 에 송신되고, 또한 복귀지령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 송신된 음성신호가 착신시 이전의 상태로 상기 절환부 (8) 를 거쳐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에 송신된다.When the switching section 8 of the above configuration receiv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only the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is transmitted to the sign language headphone 3 via the switching section 8, and also the return command signal. Is received,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is transmitted to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via the switching unit 8 in the state before the reception.

상기 송화용 헤드폰 (5) 과 접속되어 있는 앰프 (9) 는 송화용 헤드폰 (5) 에서 경로 (H) 를 통해 송신된 송화신호를 증폭하여 경로 (I) 를 통해 인터페이스 (10) 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amplifier 9 connected to the headphone 5 is set to amplify a tal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ath H in the headphone 5 and transmit it to the interface 10 through the path I. .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와 절환부 (8) 및 앰프 (9) 사이에 개재하는 인터페이스 (10) 는 경로 (J) 를 통해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송신된 통화신호의 신호레벨을, 수화용 헤드폰 (3) 이 수신할 수 있는 신호레벨로 조정하여 경로 (G) 를 통해 절환부 (8) 에 송신함과 동시에 앰프 (9) 에서 증폭되어 경로 (I) 를 통해 송신된 송화신호의 신호레벨을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레벨로 조정하여 경로 (K) 를 통해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interface 10 interposed between the portable telephone 4, the switching section 8, and the amplifier 9 receives a signal level of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a path J for sign language. The signal level of the talk signal transmitted by the amplifier 9 and amplified by the amplifier 9 at the same time as the headphone 3 is adjusted to a signal level that can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8 through the path G. Is adjusted to a signal level that can be received by the portable telephone 4, and is set to transmit to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K. FIG.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형 전화기 (4) 와, 수화용 헤드폰 (3) 및 송화용 헤드폰 (5) 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호레벨이 다를 때의 어댑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상기 신호레벨이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및 상기 송화용 헤드폰 (5) 에서 동일 레벨일 때에는 어댑터에 인터페이스 (10) 를 내장시킬 필요는 없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apter when the signal level used in the portable telephone 4,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and the headphone 5 is different has been described. ), It is not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interface 10 into the adapter when the hydration headphones 3 and the headphone 5 are at the same level.

이상의 구성에 의한 어댑터 (1) 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절환동작이 이루어진다.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adapter 1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following process.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의 착신신호의 일부가 인터페이스 (10) 로 경로 (L) 를 통해 송신되어 수화용 헤드폰 (3) 이 수신할 수 있는 신호레벨로 조정된 후, 경로 (F) 를 통해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되어 소정의 음성레벨의 착신음성으로 변환되어 외이도 (도시하지 않음) 로 전달된다.A part of the incoming signal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10 via the path L, adjusted to a signal level that the headphone 3 for reception can receive, and then through the path F. It is transmitted to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converted into a ringing voice of a predetermined voice level, and delivered to the ear canal (not shown).

한편,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경로 (C)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받으면 검지부 (6) 가 호출지령신호를 경로 (D) 를 통해 훅 스위치부 (7) 로 송신한다. 상기 호출지령신호를 받은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는 닫히고, 상기 훅 스위치부 (7) 에서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 경로 (A) 를 통해 호출신호가 송신됨과 동시에 경로 (B) 를 통해 절환지령신호가 절환부 (8) 로 송신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table telephone 4 receives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ath C, the detection unit 6 transmits a call command signal to the hook switch unit 7 via the path D. The hook switch (not shown) receiving the call command signal is closed, and a cal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hook switch unit 7 to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A, and is switched through the path B. The command signal is sent to the switching section 8.

상기 절환부 (8) 는 절환지령신호를 받은 릴레이 소자 (도시하지 않음) 가 스위치 소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경로 (G) 와 경로 (F) 를 접속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통화신호만 경로 (F) 를 통해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The switching section 8 controls the relay element (not shown) that receiv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to connect the path G and the path F by a switch element (not shown), so that only the call signal is the path F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dphone 3 for sign language.

한편,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는 훅 스위치부 (7) 로부터의 호출신호를 받아 통화신호 (F) 를 경로 (J) 를 통해 인터페이스 (10) 로 송신함과 동시에 송화용 헤드폰 (5) 으로부터의 송화신호를 경로 (K) 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lephone 4 receives the call signal from the hook switch unit 7 and transmits the call signal F to the interface 10 via the path J and at the same time the call from the headphone 5 for the call. The signal can be received through the path K.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경로 (J) 를 통해 송신된 통화신호는 인터페이스 (10) 에 의해 수화용 헤드폰 (3) 이 수신할 수 있는 신호레벨로 조정된 후, 경로 (G) 를 통해 절환부 (8) 로 송신되며, 그리고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경로 (F) 를 통해 송신되어 송화음성으로 변환되어 외이도 (도시하지 않음) 로 전달된다.The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J is adjusted by the interface 10 to a signal level that can be received by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and then the switching unit via the path G. (8),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th (F) to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which is converted to a talk voice and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not shown).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의 어댑터 (1) 에 의해 휴대형 전화기 (4) 의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는데, 예컨대 상기 어댑터 (1) 에 내장되어 있는 검지부 (6) 와 인터페이스 (10) 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도 착신을 알릴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of the portable telephone 4 is notified to the user by the adapter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detection unit 6 and the interface 10 built in the adapter 1 are next connected. Call forwarding can also be announced by setting as described above.

즉, 먼저 상기 어댑터 (1) 에 내장되어 있는 검지부 (6) 가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 경로 (C)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검지하고, 이 검지에 의거하여 절환부 (8) 로 경로 (D′;파선) 를 통해 절환지령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한다.That is, first, the detection unit 6 built in the adapter 1 detects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C, and based on this detection, the detection unit 6 receives the path ( D '; is set to transmit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through a broken line).

이어서, 상기 어댑터 (1) 에 내장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10) 가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 경로 (L;파선)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수화용 헤드폰 (3) 이 수신가능한 신호레벨로 조정한 후, 이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interface 10 embedded in the adapter 1 receives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L (dashed line) and adjusts it to a signal level that the headphone 3 can receive.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set it to transmit to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즉,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 경로 (C)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검지부 (6) 가 경로 (D′) 를 통해 절환부 (8) 로 절환지령신호를 송신한다.That is,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C, the detection unit 6 transmits a switching command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8 via the path D '.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절환지령신호를 받은 절환부 (8) 는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 경로 (E) 를 통해 송신되는 음성신호와, 휴대형 전화기 (4) 로부터 경로 (J,G) 를 통해 송신되는 통화신호 중에서 통화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경로 (F) 를 통해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하도록 절환된다.The switching unit 8, which has received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from the detection unit, transmits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through the path E an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4 through the path J and G. The call signal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call signals so that the cal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through the path F. FIG.

한편,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에서 경로 (L)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수신한 인터페이스 (10) 는 수화용 헤드폰 (3) 이 수신가능한 신호레벨로 상기 착신신호를 조정하여 경로 (M) 을 통해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으로 송신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10 receiving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ath L in the portable telephone 4 adjusts the incoming signal to a signal level that the headphone 3 can receive and adjusts the path M. Is transmitted to the headphone 3 for the sign language.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10) 에서 경로 (M) 를 통해 송신된 착신신호를 받은 수화용 헤드폰 (3) 은 이 착신신호를 소정의 음성의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이 착신음성을 듣고 휴대형 전화기 (4) 의 착신을 알고 훅 스위치부 (6) 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이 훅 스위치부 (6) 에서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통화기능 및 송화기능을 작동시켜 통화 및 송화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ceiver headphone 3, which has received the incom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ath M in the interface 10, converts the incoming signal into an incoming signal of a predetermined voice and outputs the incoming voice. By knowing the incoming call of the telephone 4 and manually operating the hook switch 6, the hook switch 6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portable telephone 4 to activate a call function and a call function to call and talk. You can do

한편, 상기 송화용 헤드폰 (5) 에 의해 집음된 송화음성은 송화신호로 변환되어 앰프 (9) 에서 증폭되어 경로 (I) 를 통해 인터페이스 (10) 로 송신된 후, 이 인터페이스 (10) 에 의해 휴대형 전화기 (4) 가 수신가능한 신호레벨로 조정되어 경로 (K) 를 통해 상기 휴대형 전화기 (4) 로 송신됨으로써, 상기 송화음성이 전화 상대방에게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ll sound collected by the call headphone 5 is converted into a call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9 and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10 through the path I, and then portable by the interface 10. The telephone 4 is adjusted to a receivable signal level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4 via the path K, so that the talk voice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counterpart.

이상의 과정으로 통화동작 및 송화동작이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훅 (도시하지 않음) 을 수동조작하여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를 개방함으로써, 훅 스위치부 (6) 에서 경로 (A) 를 통해 정지신호를 휴대형 전화기 (4) 로 송신시켜 전화를 끊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ll operation and the call operation are per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A (not shown) is opened by manually operating a hook (not shown) to thereby open the path A in the hook switch section 6. The sto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4 through the telephon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화용 헤드폰 (3) 을 거쳐 CD 플레이어 본체 (2) 로 음악 등의 음성을 청취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전화를 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훅 (도시하지 않음) 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훅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 를 닫고, 훅 스위치부 (7) 에서 경로 (A) 를 통해 호출신호를 전화기 (도시하지 않음) 로 송신시켜 통화기능 및 송화기능을 작동시키며, 그리고 휴대형 전화기 (4) 가 갖는 다이얼 기능으로 전화 상대의 전화번호 등을 다이얼함으로써 전화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while listening to the voice of music or the like with the CD player main body 2 via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At this time, by manually operating a hook (not shown), the hook switch (not shown) is closed, and the hook switch 7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telephone (not shown) via the path A to make a call. The call is made by activating the function and the calling function, and by dial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with the di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4.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댑터 장치 (1) 를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CD 플레이어 본체 (2) 는 음성신호를 경로 (E) 를 통해 절환부 (8) 까지 송신을 계속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CD 플레이어 본체 (2) 를 정지시키고,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CD 플레이어 본체 (2) 를 재개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D player main body 2 continues to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8 via the path E while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adapter device 1. The CD player body 2 may be stopped while the CD player body 2 is stopped, and the CD player body 2 may be restarted at the same time as the call is terminated.

이를 위해서는 상기 CD 플레이어 본체 (2) 에 음성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도록 지령하는 출력시동신호 및 출력을 정지하도록 지령하는 출력정지신호가 송신가능한 제어부 (도시하지 않음) 를 어댑터 (1) 에 내장시키고, 검지부 (6) 는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 (도시하지 않음) 로 상기 출력정지신호의 송신을 지령하는 정지지령신호를 발하여 훅 스위치부 (7) 가 전화기 (도시하지 않음) 로 정지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 (도시하지 않음) 로 상기 출력시동신호의 송신을 지령하는 시동지령신호를 발하도록 하면 된다.To this end, the adapter 1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n output start signal for instructing the CD player main body 2 to start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an output stop signal for instructing the output to stop. The detection unit 6 issues a stop command signal for commanding the transmission of the output stop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hook switch unit 7 transmits a stop signal to the telephone (not shown).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issue a start command signal for commanding the transmission of the output start signal.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2 및 도 3a 및 3b 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2 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A and 3B. In addition, in FIG. 2, the thing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s 1st Embodiment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도 2 는 제 2 실시예의 어댑터 (11) 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adapter 11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어댑터 (11) 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후술할 절환동작을 실시하는 절환부 (12) 가 내장되며, 또한 음성재생장치와 집음장치를 겸하는 송수화용 헤드폰 (13) 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 (11) 와 수화용 헤드폰 (3) 및 상기 송수화용 헤드폰 (13) 사이에는 CD 플레이어 본체 (2) 에 관한 음성신호의 출력동작 및 신호레벨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14) 가 개재되어 설치되어 있다.The adapter 11 has a switching unit 12 which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is connected to a handset headphone 13 which also serves as 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sound collecting apparatus. Then, between the adapter 11, the sign language headphones 3, and the handset headphones 13, a remote controller 14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utput operation and signal level of the audio signal related to the CD player main body 2; Is interposed.

상기 절환부 (12) 는 도 3a 및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 (15,16) 와, 릴레이 소자 (17) 등으로 편성된 스위칭 회로 (도시하지 않음) 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절환부 (12) 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14) 까지 연장된 경로 (F) 에 신호레벨을 소정의 레벨로 떨어뜨리기 위한 부하 (18) 를 갖는 경로 (F′) 가 새롭게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switching unit 12 includes switching elements 15 and 16 and a switching circuit (not shown) formed by a relay element 17 or the like, and the switching unit 12 ), A path F 'having a load 18 for dropping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level is newly connected to the path F extending from the remote controller 14 to the remote controller 14.

도 3a 및 도 3b 는 각각 착신전후의 스위칭 소자 (15,16) 의 접속상태를 나타낸다.3A and 3B show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witching elements 15 and 16 before and after reception, respectively.

착신시에는 스위칭 소자 (15) 에 의해 경로 (E) 와 경로 (F) 가 접속하고 있을 뿐이므로 수화용 헤드폰 (3) 및 송수화용 헤드폰 (13) 에는 CD 플레이어 본체 (2) 로부터의 음성신호만 송신된다.At the time of reception, only the path E and the path F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element 15, so that only the audio signal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is provided in the headphone 3 and the headphone 13 for the handset. Is sent.

상기 릴레이 소자 (17) 는 훅 스위치부 (7) 에서 경로 (B) 를 통해 송신된 절환지령신호를 받아 경로 (E) 와 경로 (F′) 가 접속하고, 경로 (G) 와 경로 (F) 가 접속하도록 스위칭 소자 (15,16) 를 제어한다.The relay element 17 receiv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ok switch unit 7 via the path B, and the path E and the path F ′ are connected, and the path G and the path F are connected. The switching elements 15 and 16 are controlled to be connected.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어댑터 (11) 에 의해 CD 플레이어 본체 (2) 에서 출력된 음악 등의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낮추어 통화중에 백그라운드 뮤직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apte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lower the signal level of audio signals such as music output from the CD player main body 2 and use it as background music during a call.

상기 송수화용 헤드폰 (13) 은 수화기용 헤드폰 (3) 과 동일한 수화기능을 갖는 것을 비롯하여 골도 마이크 (도시하지 않음) 가 적어도 일부를 외이도 (도시하지 않음) 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성의 것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골도 마이크 (도시하지 않음) 가 골전도 작용에 의해 송화음성을 이주연골부 (耳珠軟骨部 : tragal cartilage portion) 에서 집음하여 송화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송화가 이루어진다.The handset headphone 13 has a configuration provided such that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not shown) can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ear canal (not shown) as well as having the same hydration function as the handset headphone 3. In additio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not shown) collects the speech sound from the tragal cartilage portion by bone conduction and converts the speech into a signal.

상기 골도 마이크 (도시하지 않음) 를 집음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전화를 하는 동안 외계로부터 발하여진 음성을 주위로부터 캐치하지 않으므로 전화의 상대방에게 선명한 송화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By us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not shown) as the sound collec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lear call voice to the other party of the telephone since the voice from outside is not caught from the surroundings during the telephone call.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14) 는 절환부 (12) 를 거쳐 경로 (E) 를 통해 CD 플레이어 본체 (2) 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함과 동시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환지령신호 및 호출지령신호를 경로 (N) 를 통해 훅 스위치부 (7) 로 송신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14) 에는 사용자가 수동조작하는 절환지령기능 버튼 (도시하지 않음) 및 호출지령기능 버튼 (도시하지 않음) 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14) 는 절환지령기능 및 호출지령기능을 구비한다.The remote controller 14 controls the start and stop of the CD player main body 2 via the path E via the switching unit 12, and simultaneously switch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and the call command signal to the path ( It can transmit to the hook switch part 7 via N). Thus, the remote controller 14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command function button (not shown) and a call command function button (not shown) which are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remote controller 14 has a switching command. Function and call command function.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14) 에 의해 CD 플레이어 본체 (2) 의 시동 및 정지를 원격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형 전화기 (4) 가 갖는 통화기능 및 송신기능도 원격조작함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14 can remotely start and stop the CD player main body 2 as well as operate the call function and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4 by remote operation.

그리고,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어댑터는 음성신호 출력장치를 음성재생장치에 접속함과 동시에 전화기를 집음장치 및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접속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 통화신호 및 송화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어댑터 장치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상기 음성재생장치 사이에, 나아가서는 전화기와 집음장치 및 상기 음성재생장치 사이에 어댑터를 개재시켜 음성신호, 통화신호 및 송화신호의 송수신을 전파로 변환하여 실시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voice signal output device to a voice reproducing device,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a telephone to the sound collecting device and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Voice signals, call signals, and talk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As another type of adapter device, an adapter is interposed between the voice signal output device and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and also between a telephone, a sound collecting device, and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It is conceivable to conver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signals, call signals, and talk signals into radio waves.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어댑터는 전화기,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어댑터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를 어댑터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화기와 상기 어댑터를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서로 접속하는 형태나,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전화기와 커넥터를 일체화시킨 형태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telephone and the audio signal output device. As another form of the adapter, it is possible to fit the connector installed in the telephone. By attaching the connector to the adapter, the phone and the adapte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or, or the voice signal output device, the phone and the connector can be integ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첫번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는 착신을 받으면 검지부로 송신하고, 이 검지부는 착신신호를 받아 절환부로 절환지령신호를 송신하고, 이 절환부는 이 절환지령신호를 받아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통화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중 상기 통화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소정의 신호레벨까지 낮추어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송신하여 절환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음성재생장치에서 0 또는 소정레벨로 저하된 음량의 음성과, 착신신호에 의거한 착신음성과, 통화신호에 의거한 통화음성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발하여지도록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사용자는 전화기의 착신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the telephone receives the incoming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receives the incom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receives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and receives the call signal from the telephone. The voice signal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voice signals, or the signal level of the voice signal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for switching. By setting in advance that at least one of the volume of the voice, the incoming voice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incoming voice based on the call signal is selected and made, the user can reliably know the incoming call of the telephone.

또한, 두번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신호를 받은 검지부가 호출지령신호를 호출부로 송신하고, 이 호출부는 이 호출지령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화기에 호출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호출신호에 의해 이 전화기가 갖는 통화기능 및 송화기능이 작동되어 사용자는 음성신호 출력장치를 정지하지 않아도 음성재생장치를 귀에 장착한 상태로 이 음성재생장치 및 집음장치에 의해 통화 및 송화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음성신호 출력장치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음성재생장치를 귀에서 빼는 번거로운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신속하게 통화 및 송화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which has received the incoming signal from the telephone, transmits the calling command signal to the calling unit, and the calling unit transmits the calling signal to the telephone based on the calling command signal. The telephone call function and the telephone call function of the telephone are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make a call and a call by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sound collecting apparatus with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mounted on the ear without stopping the voice signal output apparatus.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stop the voice signal output device or to perform the cumbersome operation of removing the voice reproducing device from the ear,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perform the call and talk operation.

그리고, 세번째 발명에 의하면 한쪽 귀에 장착된 헤드폰에 설치된 골도 마이크는 외계로부터 발하여진 음성을 캐치하지 않고, 이주연골부를 통해 골전도에 의해 송화음성만 집음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골도 마이크는 상기 송화음성을 송화신호로 변환하여 절환부를 통하여 전화기로 송신하여 전화의 상대방에게 선명한 송화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nstalled in the headphone mounted on one ear does not catch the voice from the outside world, and collects only the speech sound by bone conduction through the migration cartilage. By converting to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switching unit to the phone can be delivered clear call voice to the other party of the phone.

Claims (7)

수신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귀에 자유롭게 장착되는 음성재생장치와 전화기 사이, 그리고 음성신호 출력장치와 이 음성재생장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음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하여 이들 사이에서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로서, 이 어댑터는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신호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전화기로부터의 통화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출력장치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송신하는데 관한 절환동작을 실시하는 절환부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절환부에 절환동작의 실행을 지령하는 절환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통화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받아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절환지령신호에 의해 상기 통화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 중 상기 통화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하며 또는 상기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소정의 신호레벨까지 낮추어 상기 음성재생장치로 송신하여 절환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Interposed between a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elephone freely mounted on the ear for 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to a voice, and between the voice signal output apparatus and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 signal for speeching can be issued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m. As an adapter, the adapter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incoming signal from the telephone, and a switching unit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for transmitting a call signal from the telephone and an audio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output device to th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the detecting unit issues a switching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he switching unit to execute the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switching unit receives the call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he call signal by the switching command signal Or telephone adap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speech signal of the speech signal, or by lowering a signal level of the audio signal to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to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to transmit to sai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전화기는 송화음성을 집음하여 송화신호로 변환하는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는 집음장치에 의해 송화할 있도록 되어 있고, 어댑터는 상기 전화기가 갖는 통화기능 및 송화기능을 작동시키는 호출신호를 발할 수 있는 호출부와, 상기 통화기능 및 상기 송화기능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발할 수 있는 정지부를 내장하도록 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2. 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lephone set is adapted to be picked up by a collecting apparatus freely mounted on an ear which picks up the telephone voice and converts it into a telephone signal, and the adapter generates a call signal for activating the telephone call function and the telephone call function of the telephone. And a stop unit capable of emitting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call function and the talk function. 제 2 항에 있어서, 검지부는 착신신호에 의거하여 호출부에 호출신호의 송신을 지령하는 호출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지령신호를 받은 동시 또는 소정의 시간후에 상기 호출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3.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etection unit issues a call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ransmission of a call signal to the call unit based on the incoming signal, and the call unit issues the call signal at the same time 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the call command signal.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제 3 항에 있어서, 정지부는 정지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절환부에 착신시 이전의 상태로 음성신호가 음성재생장치에 송신되도록 지령하는 복귀지령신호를 발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복귀지령신호를 받아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재생장치에 착신 이전의 상태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top unit transmits a stop signal and simultaneously issues a return command signal for instructing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n a state prior to the reception of the switch unit, and the switch unit transmits the return command signal. Receiving the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n a state before the reception.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음성재생장치는 음성신호의 출력동작 및 신호레벨의 설정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적어도 호출신호 또는 정지신호 중 어느 한쪽 신호의 송신동작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5.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can remotely control the output operation of the audio signal and the setting of the signal level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at least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call signal and a stop signal.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that allows remote control by a controller.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재생장치는 좌우의 귀 중 어느 한쪽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이어폰이며, 집음장치는 다른 한쪽 귀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마이크로폰인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6. The telephone adapt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s an earphone that is supported to be freely attached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ears, and the sound collecting apparatus is a microphone that is freely mounted to the other ear.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재생장치는 좌우의 귀 각각에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지지되는 두 개의 헤드폰을 갖는 헤드기어이며, 적어도 한쪽의 헤드폰에는 외이도에서 골전도로 집음하는 골도 마이크를 구비하는 전화기용 어댑터 장치.6. The bone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is a headgear having two headphones which are supported to be freely mount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ears, and at least one headphone collects bone from the ear canal to bone conduction. Adapter device for a telephone having a microphone.
KR1019980006940A 1998-03-03 1998-03-03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KR199900738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40A KR19990073805A (en) 1998-03-03 1998-03-03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40A KR19990073805A (en) 1998-03-03 1998-03-03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805A true KR19990073805A (en) 1999-10-05

Family

ID=658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40A KR19990073805A (en) 1998-03-03 1998-03-03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8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98A (en) * 2002-08-23 2004-03-03 주식회사 현원 Apparatus for call signal processing of mobile phone in digital audio devic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98A (en) * 2002-08-23 2004-03-03 주식회사 현원 Apparatus for call signal processing of mobile phone in digital audio de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0329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nd audio system
GB2308775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entertainment unit having wireless headset
JPH10200989A (en) Earphone
JPH10285696A (en) Hearing aid device
JPH10173764A (en) Adaptor for telephone set
JP2996389B2 (en) Simultaneous two-way communication device using ear microphone
EP0939497A1 (en) Adapter apparatus for telephone
KR19990073805A (en) Adapter device for telephone
JPH10126466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H11285069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speech device used for it
JP3654186B2 (en) Wireless intercom system
JP2004187191A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54411Y1 (en) Automatic switching radio on the phone's earphone
KR100371449B1 (en) Wireless exchanging phone having the earphone and the mic of wireless
JPS63187844A (en) Radiotelephony equipment
JPS63187845A (en) Radiotelephony equipment
JP2956346B2 (en) Telephone equipment
JP3053695B2 (en) Loudspeaker cordless telephone
JPH0984139A (en) Portable telephone set used in common with radio
KR830002168B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or recording and transmission
JPH10233834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H10304027A (en) Telephone system
JPH11252221A (en) Earphone and earphone microphone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H04845A (en) Cordless telephone set
JPH1084403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