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461A - 동화상부호화방법및장치및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동화상부호화방법및장치및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461A
KR19990072461A KR1019990004072A KR19990004072A KR19990072461A KR 19990072461 A KR19990072461 A KR 19990072461A KR 1019990004072 A KR1019990004072 A KR 1019990004072A KR 19990004072 A KR19990004072 A KR 19990004072A KR 19990072461 A KR19990072461 A KR 1999007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point
pictures
group
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모토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group of pictures [G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4Adapting the group of pictures [GOP] structure, e.g. number of B-frames between two anch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1Monitoring of the client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될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시될 때, 스킵 시작점의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의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가 이은데 없이 재생되는, 디지털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분석 유니트는 GOPGOP-new-0은 할당된 비트의 미리 설정된 양에 따라 부호화되고, GOPGOP-new-0의 최종 화상의 디코딩의 종료 후 가상 디코더의 비트 기억량 보에(boe)를 산출한다(단계 S24). 이어서, 분석 유니트는 보에의 크기를 비트의 크기와 비교한다(단계 S25). 보에의 크기가 비트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GOPGOP-0의 화상 B0은 I-화상 I0x로 재부호화되는 한편, 아웃-포인트 화상 B1은 새로운 GOPGOP-new-0을 발생하기 위해 p-화상 PIx로 재부호화된다.

Description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불연속 코사인 변환 등의 직교 변환에 의해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불연속 코사인 변환(DCT) 등의 직교 변환에 의한 여분 감소 처리에 따른 압축을 위한 화상 신호들의 부호화와 모션 보상(MC)을 합한 소위 MPEG(동화상 전문가 그룹) 또는 MPEG2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션 보상을 사용하는 예측 부호화를 사용하기 위해, MPG2는 I-, P- 및 B-화상이라는 용어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 화상 그룹의 구조를 사용한다. I-화상(인트라-픽쳐)은 이전의 화상으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관계없이 인트라-픽쳐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다.
예측 부호화를 사용하여 생성된 화상들만이 배열된 경우, 화상들은 랜덤 액세싱으로 순간적으로 검색될 수 없다. 따라서, 액세싱 기준은 랜덤 액세싱에 대처하도록 주기적으로 생성된다. 즉, I-화상들은 GOP 독립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I-화상의 출현 빈도는 신청에 의해 요구되는 랜덤 액세싱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2개의 GOP가 초당 출현되는 경우, 하나의 I-화상이 15 프레임 화상당 사용되도록 하나의 I 화상이 각각의 GOP에 사용된다. GOP는 I-화상으로부터 다음 I-화상에 이르는 화상 군이다. 화상 예측은 하나의 이러한 군을 구성하는 화상들 중에서 이루어진다.
바로 이전의 화상으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의해 이루어진 P-화상들(예측 부호화 화상)은 I-화상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I-화상(인트라-프레임 코딩된 화상)과 구별하여, P-화상은 인트라-프레임 전방 예측 화상으로서 정의된다. B-화상들(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들)은 2가지 화상들, 즉 바로 앞쪽 화상 및 바로 뒤쪽 화상으로부터 예측에 의해 이루어진다.
GOP에서 I-, P- 및 B-화상들 사이의 관계를 더욱 세밀히 조사하면, GOP의 리딩 말단에 놓인 I-화상으로부터 제1-단계 예측이 P-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앞쪽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P-화상은 이후에 생성되는 B-화상을 스키핑하도록 배열된다.
예측의 제2 단계는 2개의 화상, 즉, 초기 I-화상 및 제1 단계에서 부호화된 P-화상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즉, 하나 또는 복수개의 B-화상들은 양방향 예측에 의해 생성된다. 더욱이, B-화상은 마찬가지로 제1 P-화상과 제2 P-화상 사이에서 생성된다. 디코딩 시점에서, B-화상에 대한 모션 보상은 2개의 모션 벡터 및 2개의 기준 화상, 즉, 앞쪽 기준 화상 및 뒤쪽 기준 화상에 의해 2개의 기준 화상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MPEG의 특성인 양방향 예측은 2개의 화상, 즉 시간적으로 과거 화상 및 미래 화상을 사용함으로써 예측하는 데 큰 예측 효율을 제공한다.
한편, 재생되는 MPEG2에 의해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시된 경우들이 있다. 상기 MPEG2 부호화 방법으로 인해, MPEG2 화상은 문제의 화상의 시간적으로 앞쪽 및 뒤쪽의 화상들을 예측에 의해 참조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스킵 시작점 뒤쪽의 화상 및 스킵 종료점 앞쪽의 화상을 예측하기 위한 기준을 만드는 것이 통상적으로 요구되므로, 스킵 시작점으로부터 스킵 종료점에 이르기까지 이은 데 없이 화상들을 재생하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인-포인트 화상이 B-화상인 경우, 이러한 B-화상을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된 I- 또는 P-화상을 미리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재생된 화상들이 중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재생을 위한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시된 경우, 스킵 시작점 앞의 GOP 및 스킵 종료점 뒤의 GOP는 스킵 시작점 앞의 프로그램 및 스킵 시작점 뒤의 프로그램을 이은 데 없이 재생하도록 효율적으로 재부호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위에 기록된 상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갖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화상군의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아웃-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화상군의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아웃-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화상들을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화상들을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화상들을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비트 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제1 지점의 뒤쪽으로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제2 지점의 앞쪽으로 놓인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비트 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제1 지점의 뒤쪽으로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제2 지점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비트 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제1 지점의 뒤쪽으로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제2 지점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공식화된 제어 프로그램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고, 제2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는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고, 제2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는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고, 제2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에 따라,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은 화상군의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되고,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된다. 따라서, 스킵 시작점 앞쪽에 놓인 입력된 비트스트림의 일부는 스킵 시작점의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의 이은 데 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에 따라,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되고, 화상들을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한다. 따라서, 스킵 시작점 앞쪽에 놓인 입력된 비트스트림의 일부는 스킵 시작점의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의 이은 데 없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효과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또한, 화상들의 2군은 함께 그룹화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상들의 후측 군의 I-화상은 부호화 비트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P-화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은 제1 지점의 뒤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은 제2 지점의 앞쪽으로 놓인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2 군으로 재구성된다. 따라서, 재생하는 중에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시된 경우, 스킵 시작점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는 스킵 시작점의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의 효과적인 부호화가 가능하도록 이은 데 없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화상들의 2군은 함께 그룹화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상들의 후측 군의 I-화상은 부호화 비트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P-화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기록 매체에 따라,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은 제1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에 디코딩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은 제2 지점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기 위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에 디코딩된다. 따라서, 재생하는 중에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시된 경우, 스킵 시작점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는 스킵 시작점의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부 및 스킵 종료점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의 효과적인 부호화가 가능하도록 이은 데 없이 재생될 수 있다.
도 1은 비트스트림의 재부호화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VBV 버퍼의 비트 기억량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도 3은 부호화 조건의 압박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시스템(멀티플렉스됨) 스트림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의 일련의 처리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편집 점의 GOP 앞쪽 및 뒤쪽의 재부호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면을 실시하는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에서 아웃-포인트 및 인-포인트를 재부호화 및 리멀티플렉싱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아웃-포인트 측면 상의 비디오 재부호화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1a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b 내지 d는 재부호화에 의해 편집하는 아웃-포인트 상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을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재부호화에 의해 편집 중인 가상 버퍼의 비트 기억 용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재부호화가 110x로서 GOP-0의 화상 B11에 따라 행하여진다고 가정될 때 가상 버퍼의 버퍼 기억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재부호화에 의해 부호화되는 가상 버퍼의 기억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에서 인-포인트를 재부호화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6a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6b 내지 d는 재부호화되는 인-포인트 상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을 예시하는 도면.
도 17은 재부호화되는 인-포인트 상의 가상 버퍼의 비트 기억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재부호화가 110x로서 GOP-0의 화상 Im2에 따라 행하여진다고 가정될 때 가상 버퍼의 버퍼 기억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재부호화되는 인-포인트 상의 가상 버퍼의 비트 기억량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5, 7: 버퍼
4: 인코더
6, 8: 디코더
11: 제어 회로
12: 픽업
21: 판독 유니트
22: 편집 정보 입력 유니트
13, 23: 복조 회로
24, 33: 오류 정정 회로
25: 메모리
27: 분석 유니트
29: 비디오 디코더
30: 비디오 인코더
32: 멀티플렉서
40: 기록 매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 매체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다.
도 1a에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트스트림의 처리는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의 스킵 하의 재생을 지시할 때, 시간축 방향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스킵 시작점인 제1 지점으로서 아웃-포인트 앞쪽에 놓인 프로그램 및 스킵 종료점인 제2 지점으로서 인-포인트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이 이은 데 없이 재생될 수 있도록 행해진다.
본 발명의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서, 동화상 프로그램은 MPEG2 표준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으로서 제공된다.
MPEG2 표준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은 유니트로서 미리 설정된 서열 내의 많은 부호화 화상들의 화상군인 화상군(GOP)에 기초한다. 즉, 도 1의 A에서, 아웃-포인트 화상 B04는 GOP-(-1)에 인접한 아웃-포인트측 GOP인 GOP-0에 포함된다. 이러한 인-포인트측 GOP에는 GOP-(n+1)가 인접한다. GOP-i는 화상 디스플레이 서열에 상응하는 시간축에 따라 i번째 GOP를 의미한다.
각각의 GOP는 다른 화상들로부터 예측 부호화 없이 화상을 부호화함에 따라 얻어진 기준 화상인 인트라-픽쳐(I-화상), 화상들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앞쪽 방향의 예측 부호화를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인 예측 부호화 화상(P-화상), 및 전방 예측 부호화 및 뒤쪽 예측 부호화를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화상인 양방향으로 코딩된 화상(B-화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GOP는 화상 디스플레이 서열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I-화상에 이서, P-화상 및 B-화상으로 구성된다.
도 1의 A에 나타낸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서, 아웃-포인트측 GOP인 GOPGOP-0은 I02, B00, B01, P05, B03, B04, P08, B06 및 B07의 순서로 배열된 화상들로 구성되는 한편, 인-포인트측 GOP인 GOPGOP-n은 In2, Bn0, Bn1, Pn5, Bn3, Bn4, Pn8, Bn6 및 Bn7의 순서로 배열된 화상들로 구성된다.
Iij는 j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순서를 갖는 i번째 GOP의 I-화상을 나타내는 한편, Pij 및 Bij는 각각 i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순서 및 j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순서를 갖는 각각 j번째 GOP의 P-화상 및 B-화상을 나타내는 것에 주의한다.
도 1의 A에 나타낸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아웃-포인트 앞쪽으로 놓인 화상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뒤쪽으로 놓인 화상을 이은 데 없이 재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때문에, 아웃-포인트 화상 Pout으로서 B04를 포함하는 아웃-포인트측 GOP인 GOPGOP-0이 디코딩된다. 이어서, 이러한 GOPGOP-0은 아웃-포인트 화상 Pout인 B04가 디스플레이 서열 내에 뒤쪽으로 놓인 부호화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재부호화된다. 즉, 도 1b에 나타낸 재부호화에 이어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에서, 도 1a에 나타낸 아웃-포인트측 GOP인 GOPGOP-0은 재부호화된 GOP-new-0에 대응한다.
다른 한편, 인-포인트 화상 Pin으로서 Pn5를 포함하는 인-포인트측 GOP인 GOPGOP-n이 디코딩된다. 이어서, 이러한 GOPGOP-n은 인-포인트 화상 Pin인 Pn5가 디스플레이 서열 내에 앞쪽으로 놓인 부호화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재부호화된다. 즉, 도 1b에 나타낸 재부호화에 이어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에서, 도 1a에 나타낸 아웃-포인트측 GOP인 GOPGOP-n은 재부호화된 GOP-new-n에 대응한다.
인-포인트측 GOP 및 아웃-포인트측 GOP의 이러한 재부호화의 결과로서, 인-포인트 앞쪽에 놓인 프레임들 및 아웃-포인트 뒤쪽에 놓인 프레임들은 도 1c에 나타낸 재생된 프레임 F00, F01, F02, F03, F04, Fn5, Fn6, Fn7, Fn8의 배열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은 데 없이 재생된다.
GOP-new-i는 GOPGOP-i의 특정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새로운 GOP를 의미하는 것에 주의하자.
이러한 경우에, GOPGOP-new-0은 GOP-0의 화상들 B00, B01, B02, B03, B04를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프레임들 F00, F01, F02, F03, F04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GOP이다. GOPGOP-new-n은 GOP-n의 화상들 Pn5, Bn6, Bn7, Pn8을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프레임들 Fn5, Fn6, Fn7, Fn8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GOP이다. 프레임 Fij는 대응하는 접미사를 갖는 화상에 대응한다.
MPEG 시스템의 비트스트림에 관한 오퍼레이션의 상기 서열은 재구성 방법을 구성한다.
아웃-포인트측 GOP의 재부호화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예를 들면, 아웃-포인트 화상이 I- 또는 P-화상이고, 아웃-포인트측 GOP가 다시 재부호화되도록 디코딩될 필요가 없는 경우, 아웃-포인트 화상 다음의 P- 또는 I-화상 하류의 화상을 제거하는 데 충분하다.
도 1a에 나타낸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배열에서, 아웃-포인트측 GOP로서 GOPGOP-0의 화상 P05가 아웃-포인트 화상인 경우, 화상 P08 하류의 화상들은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new-0을 생성하도록 제거될 수 있다.
GOP-0: I02 B00 B01 P05 B03 B04 P08 B06 B07
GOP-new-0: I02 B00 B01 P05 B03 B04
아웃-포인트 화상이 B-화상인 경우, 아웃-포인트측 GOP를 디코딩하고, 순차로 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즉, GOP는 아웃-포인트측 화상인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아웃-포인트 화상의 뒤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재부호화된다.
예를 들면, 아웃-포인트측 GOP로서 GOPGOP-0의 B04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포인트 화상 Pout인 경우, 재부호화는 화상 I02, P05로부터 예측 부호화 화상 B03, B04가 예측 기준 없이 생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I02, B00 B01 P05 B03 및 B04는 프레임들 F00, F01, F02, F04, F05로 디코딩되고, 그 후, 프레임들은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재부호화된다.
GOP-0: I02 B00 B01 P05 B03 B04 P08 B06 B07
GOP-0의 디코딩된 화상: F00 F01 F02 F03 F04 F05
이어서, GOPGOP-new-0(a)에서, F03 및 F04는 각각 I02 및 I03으로부터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P-화상들(P03 및 P04)로 재부호화되는 반면, GOPGOP-new-0(b)에서, F04는 P-화상 P04로 재부호화되는 F05는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I04 및 P04로부터 예측으로 코딩된 B-화상 B03으로 재부호화된다.
GOP-new-0(a): I02 B00 B01 P03 P04 또는
GOP-new-0(b): I02 B00 B01 B04 B03
GOP-new-0(a) 및 GOP-new-0(b) 내의 I02, B00 및 B02는 부호화를 사용하지 않고 GOPGOP-0으로부터 복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주목된다.
접미사 I, B, P는 동일한 접미사를 갖는 화상들에 대응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인-포인트측 GOP의 재부호화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인-포인트 화상이 I-화상인 경우, 인-포인트측 GOP는 디코딩되고, 이어서 재부호화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인-포인트 화상 하류의 화상들이 직접적으로 복사되고, 이러한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만족시킨다.
예를 들면, 인-포인트측 GOP로서 GOPGOP-n의 화상 In2를 도 1a에 나타낸 경우, 화상 In2 하류의 화상들은 GOPGOP-new-n으로서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포인트 화상이 P-화상 및 B-화상인 경우, 인-포인트측 GOP를 재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GOP는 인-포인트 화상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 앞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도록 재부호화된다.
예를 들면, Pn5가 도 1a에서 GOPGOP-n에서와 같이 인-포인트 화상 Pin인 경우, 재부호화는 In2로부터 예측으로 부호화된 Pn5가 In2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얻어질 수 있도록 행해진다. 먼저, 화상들 GOPGOP-n의 In2, Bn0, Bn1, Pn5, Bn3, Bn4, Pn8, Bn6 및 Bn7은 프레임들 Fn0, Fn1, Fn2, Fn3, Fn4, Fn5, Fn6, Fn7, Fn8로 디코딩되고, 후속하여 프레임들 Fn5, Fn6, Fn7, Fn8이 재부호화된다.
GOPGOP-new-n에서 접미사 I, B 및 P는 동일한 접미사를 갖는 화상들 F에 대응한다. GOPGOP-new-n에서, Fn5는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I-화상 In5로 재부호화된다.
GOP-n: I02, Bn0, Bn1, Pn5, 3, Bn4, Pn8, Bn6, Bn7
GOP-n의 디코딩된 화상들: Fn0, Fn1, Fn2, Fn3, Fn4, Fn5, Fn6, Fn7, Fn8
GOP-new-0 In5, Pn8, Bn6, Bn7
다른 실시예에서, GOPGOP-n이 인-포인트 화상인 경우, Fn5를 다음과 같이 I-화상 In5로 재부호화되는 것이 추천된다.
GOP-n: I02, Bn0, Bn1, Pn5, Bn3, Bn4, Pn8, Bn6, Bn7
GOP-n의 디코딩된 화상들: Fn0, Fn1, Fn2, Fn3, Fn4, Fn5, Fn6, Fn7, Fn8
GOP-new-n: In5, Bn3, Bn4, Pn8, Bn6, Bn7
즉, GOPGOP-n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 Bn3 하류의 제1 P-화상은 I-화상 In5로 재부호화된다.
재부호화된 GOPGOP-new-n 다음의 GOPGOP-(n+1)에서, closed_gop=0인 경우, GOPGOP-(n+1)의 리딩 말단 B-화상은 예측을 위한 원시 GOP-n 화상을 의미한다.
closed_gop는 MPEG GOP에서 1-비트 플래그이고, GOP 헤드 다음에 놓인 제1의 I-화상 바로 다음의 B-화상에 사용된 예측 유형을 명시한다.
1로 설정된 closed_gop는 GOP 헤더에 연속되는 제1의 I-화상 바로 다음의 B-화상이 후측 예측 또는 인트라-코딩 만을 사용하여 부호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 화상 스트링에서:
Ia0 Pa3 Ba2│Ix2 Bx0 Bx1 Px5 Bx3 Bx4
여기서, │는 GOP 경계를 나타낸다. Ix2로부터 시작하는 GOP의 closed_gop가 "1"로 설정되는 경우, Bx0 및 Bx1은 전방 예측 뿐만 아니라 Pa3 및 Ix2로부터 양방향 예측 없이 Ix2 또는 인트라-코딩으로부터 후측 예측만을 사용함으로써 부호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closed_gop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문제의 GOP는 GOP 바로 전의 화상을 의미한다.
GOPGOP-n을 재부호화함에 따라 얻어진 GOPGOP-new-n은 원시 GOPGOP-n으로부터 화질과 다르므로, 엄격히 말하자면, GOPGOP-(n+1)의 리딩 B-화상의 화질에서 미스매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는 GOPGOP-(n+1)의 리딩 B-화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이 중요한 것으로 유지되는 경우, 물론 원시 GOP-화상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 사용된 GOPGOP-(n+1)의 리딩 B-화상을 재부호화할 가능성이 있다.
재부호화 조건에 대해 부과된 구속이 이하 설명된다.
아웃-포인트측 GOP로서 GOPGOP-0 및 인-포인트측 GOP로서 GOPGOP-n이 각각 GOPGOP-new-0 및 GOPGOP-new-n으로 각각 부호화되는 경우, GOPGOP-n을 GOPGOP-(n+1)로 재생할 때, MPEG에 정의된 디코더의 가상 버퍼로서 VBV 버퍼가 고장 없이 생성되는 것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 VBV 버퍼의 고장은 그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를 의미하는 것에 주의하자.
재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재생하는 적용이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VBV 버퍼로의 입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이것은 단지 버퍼 언더플로우를 유발하지 않기에 충분하다는 것에 주의하다. 하기 예에서, 버퍼 언더플로우를 유발하지 않는 재부호화 조건이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에, 최대 구속은 GOPGOP-new-n의 제1의 I-화상에 대한 비트량을 부호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버퍼 크기가 1.75Mbit인 도 2의 VBV 버퍼의 비트 기억량에서,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인-포인트측 GOP로서 GOPGOP-n의 재부호화된 버전인 GOPGOP-new-n의 제1의 I-화상에 대한 부호화하는 비트량은 도 2의 D보다 더 크지 않을 필요가 있다.
VBV 버퍼의 입력된 비트 전송률이 클수록, GOPGOP-new-n을 재부호화할 때 구속이 더 작아진다. 일반적으로, 적용에 의해 결정된 바의 최대 비트 전송률은 VBV 버퍼의 입력된 비트 전송률이다.
한편, 디지털 인공 위성 방송에 따르는 소위 DVD-비디오, 또는 MPEG2 MP@MI(메인 프로필/메인 레벨)에서, VBV 버퍼의 입력된 비트 전송률의 최대값은 15 Mbps이다. 15 Mbps가 등시성 전송에 의해 IEEE1394 표준의 디지털 버스에 대한 비트스트림의 디지털 출력의 경우에 얻어질 수 있는 경우, 재부호화의 시점에서 VBV 버퍼의 입력된 비트 전송률은 15 bps로 설정될 수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이 입력된 비트 전송률 + 오디오 또는 멀티플렉싱 오버헤드 비트 전송률에 대응하는 비트 전송률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GOPGOP-new-n의 제1의 I-화상의 비트량의 최소값, 즉, 최악의 패턴은 (VBV 버퍼/프레임 속도의 입력된 비트 전송률)이다. 이러한 경우에, GOPGOP-new-n을 고화질로 부호화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최악의 패턴에 가까운 조건은 tout-포인트 화상이 I-화상이거나 또는 GOPGOP-new-0의 화상들의 수는 2 내지 3 정도로 적은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상기한 바의 재부호화 구속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화상들이 도 3a에서 음영으로 나타난 경우, 즉, 편집 아웃-포인트 GOP-(-1) 및 GOP-0 전의 2개의 GOP 및 인-포인트, 즉 GOP-n 및 GOP-(n+1) 후의 2개의 GOP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new-A 및 GOPGOP-new-B를 제공하도록 재부호화되는 경우, 인-포인트 화상 하류의 화상들에 대한 부호화 구속은 어느 정도까지 완화된다.
고화질로 부호화하기 위해, I-화상은 P-화상 및 B-화상에 대해서보다 충분히 더 큰 부호화 비트량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웃하는 I-화상들 간의 간격이 2 내지 3만큼 작은 경우, VBV 버퍼의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고화질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비트량으로부터 I-화상에 대한 부호화 비트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GOP를 고화질로 부호화하기는 곤란하다.
도 1에 나타낸 아웃-포인트측 프로그램에서, 아웃-포인트측 화상이 I-화상이거나 또는 GOPGOP-new-0의 화상수가 2 내지 3만큼 작은 경우, 또는 m-포인트측 프로그램에서, GOPGOP-new-n의 화상수가 2 내지 3만큼 작은 경우, 상기 최악의 패턴에 가까운 상태가 쉽게 일어날 위험이 크다. 이러한 경우에 GOPGOP-new-0 또는 GOPGOP-new-n을 고화질로 부호화하기는 곤란하다.
그러한 경우에, 고화질은 아웃-포인트측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 3에 음영으로 나타낸 화상들을, 즉, 아웃-포인트 화상을 편집하기 전에 2개의 GOP를 단독 GOPGOP-new-A로 재부호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고, 인-포인트측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 3에 음영으로 나타낸 화상들, 즉, 아웃-포인트 화상을 편집하기 전에 2개의 GOP를 단독 GOPGOP-new-B 재부호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화질을 개선시키는 경우는 아웃-포인트측 프로그램에 대해서 나타낸다.
먼저, GOPGOP-(-1) 및 GOPGOP-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고 가정하자.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I2 BO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여기서, │는 GOP 경계를 나타내므로, GOPGOP-(-1) 및 GOPGOP-0은 기호 "│"의 좌측과 우측에 있다.
아웃-포인트 화상으로서 GOPGOP-0의 I2에 따라, GOPGOP-0이 재부호화되는 경우, GOPGOP-new-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I2 BO B1
여기서, GOPGOP-new-0은 기호 "│"의 우측에 놓인다.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아웃-포인트측에 놓인 2개의 GOP, 즉, GOP-(-1) 및 GOP-new-0은 GOP-new-A로 재부호화된다.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P2 BO B1
는 아웃-포인트측 화상(GOP-new-0)을 포함하는 GOPGOP-0의 제1의 I-화상 I2가 GOP-0 직전의 GOPGOP-(-1)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P-화상 P2로 재부호화된다.
인-포인트측 프로그램을 재부호화함으로써 화질이 개선된 경우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GOPGOP-n 및 GOP-(n+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고 가정하자.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I2 BO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여기서, GOPGOP-n 및 GOPGOP-(n+1)은 기호 "│"의 좌측과 우측에 놓인다.
인-포인트 화상으로서 GOPGOP-n의 B9에 따라, GOPGOP-n이 재부호화되는 경우, GOPGOP-new-n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b B9 Ba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여기서, GOPGOP-new-n은 기호 "│"의 좌측에 놓인다.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포인트측에 놓인 2개의 GOP, 즉, GOP-n 및 GOP-(n+1)은 GOP-new-B로 재부호화된다.
Ib B9 Ba P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는 인-포인트측 화상 B9(GOP-new-n)를 포함하는 GOP-n의 바로 뒤쪽에 나타낸 GOP-(n+1)의 I-화상 I2는 화상 GOP-n(GOP-new-n)으로부터 예측된 화상 P2로 재부호화된다.
적용에 의해 GOP의 화상 수에 대한 제한이 이루어지는 경우, GOP-new-A 및 GOP-new-B의 길이가 이러한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GOP들, 즉, GOP-new-A 및 GOP-new-B가 각각 2개의 GOP로 부호화되는 경우를 충족시킨다.
예를 들면, 개선되기 전의 아웃-포인트측 프로그램은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I2 BO B1
이고, 개선된 후는
I2 B0 B1 P5 B3 B4 P8 B6 B7 │Ib B9 Ba P2 BO B1
이다. 2개의 GOP, 즉, GOP-(-1) 및 GOP-new-0은 2개의 GOP, 즉, GOP-new-A1및 GOP-new-A2로 재부호화된다.
또한, 개선되기 전의 인-포인트측 프로그램은
I2 B0 B1 │I2 B0 B1 P5 B3 B4 P8 B6 B7 Pb B9 Ba
이고, 개선된 후는 I2 B0 B1 │ I5 B3 B4 P8 B6 B7 Pb B9 Ba이다. 2개의 GOP, 즉, GOPGOP-(-1) 및 GOP-new-0은 2개의 GOP, 즉, GOP-new-B1및 GOP-new-B2로 재부호화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GOP의 화상의 최대수는 적용에 의해 12로 제한된다.
(멀티플렉스된)시스템 스트림을 설명한다.
MPEG 시스템에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데이터는 패킷이라 부르는 적절한 길이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헤더 등의 부수적인 정보가 이에 추가된다. 생성된 패킷은 스위칭 형식으로 시분할에 의해 멀티플렉스되거나 또는 전송된다.
MPEG 동기화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할 때를 명시하는 타임 스탬프라는 정보는 액세싱 유니트라는 용어의 재생 유니트를 디코딩할 때마다 유니트에 부착된다. 타임 스탬프에는, 시간 기준이 시스템 클록 기준(SCR)이라는 정보에 의해 제공된다.
시간 스탬프는 발현 타임 스탬프(PTS)라 칭하는 기록 출력 시간 관리 정보 및 디코딩 타임 스탬프(DTS)라 칭하는 디코딩 관리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재부호화를 위한 도메인에서, 시스템 부호화 역시 갱신됨으로써, 타임 스탬프가 새롭게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편집점의 앞쪽 및 뒤쪽의 시스템 스트림 상의 타임 스탬프(SCR, PTS 및 DTS)에서 불연속이 발생한다.
타임 스탬프에서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타임 스탬프를 재부착시키기 위한 전체 프로그램을 다시 멀티플렉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시-멀티플렉스하는 시간은 프로그래밍 시간에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기억 매체 상에서 편집하는 등의 용도에서 실질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다시-멀티플렉싱하는 도메인은 재부호화된 도메인으로 제한되고, 타임 스탬프는 새로운_stc 도메인에만 부착된다. 도메인 stc1 및 stc2는 멀티플렉스된 스트림에 본래 부착된 타임 스탬프와 동일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새로운_stc 도메인에 대해, 시스템 부호화는 stc1에 연속적인 시스템 타임 클록(STC)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시스템 스트림을 디코딩할 때, 하기 방법이 이은 데 없는 재생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 디코더측 상에 사용된다.
시스템 디코더는 stc1_PTS_end에 불연속적인 STC가 발생하는 지점에 앞서 놓인다. STC 불연속 지점으로서 stc1_PTS_end는 stc 상의 GOPGOP-new-n 및 화상 디스플레이 시간의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PTS의 합이다.
GOP-new-n의 디코딩이 가까워진 후, 비디오 디코더는 STC 오프셋보다 적은 화상의 DTS가 STC값과 동일할 때 GOP-(n+1)의 화상을 디코딩하기 위해 하기 STC 오프셋을 산출한다.
STC 오프셋 및 GOPGOP-(n+1)의 화상의 디코딩 시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STC 오프셋 = (GOPGOP-(n+1)의 초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PTS) - stc1_PTS_end
GOPGOP-(n+1)의 화상의 디코딩 시간 = GOPGOP-(n+1)의 화상의 DTS - STC 오프셋
stc1_PTS_end가 STC값과 동일할 때, 스위칭은 GOPGOP-(n+1)의 초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PTS에 대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간으로부터와 같이, 화상의 STC 및 DTS가 서로 동일할 때 화상 디코딩이 발생한다.
동화상 부호화 방법의 과정을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낸다.
단계 S1은 아웃-포인트를 포함하는 GOP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아웃-포인트에 이르는 MPEG2 표준의 입력된 비트스트림부를 아웃-포인트 하류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제1 GOP로 재구성하고, 인-포인트를 포함하는 다른 GOP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에 이르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의 다른 부분을 아웃-포인트 상류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제2 GOP로 재구성하는 재구성 과정이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2를 진행된다.
단계 S2에서,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단계 S1에서 재구성에 필요한 기간 동안 지연된다. 다음 단계 S3에서, 선택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해 GOP에 기초하여 단계 S1로부터의 비트스트림과 단계 S2로부터의 비트스트림 사이에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이는 오퍼레이션 서열을 종료시킨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이하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픽업(12), 픽업(12)으로부터 신호들을 비트스트림으로 복조시키기 위한 복조 회로(13), 및 복조 회로(13)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1)를 포함한다.
픽업(12)은 광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회전하면서 운행되는 광디스크(101)의 신호 기록 표면상의 기록 트랙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한다. 복조 회로(13)는 픽업(12)으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를 MPEG2 표준에 따른 비트스트림으로 복조시킨다. 이와 같이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버퍼(1)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버퍼(1)로부터 고정 말단(A 또는 B)중의 하나로 비트스트림(S21)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SW1), 고정된 말단(A)으로부터 화상 신호들로 비트스트림(S21)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유니트(2) 및 디코더 유니트(2)로부터 화상 신호들(S27)을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더(4)를 포함한다.
스위치(SW1)는 버퍼(1)로부터 비트스트림(S21)을 고정 말단(A 또는 B)중의 하나로 스위칭하기 위해 제어 회로(11)로부터 제어 신호들에 반응성이다. 디코더 유니트(2)는 스위치(SW1)로부터 비트스트림(S22)을 화상 신호들(S27)로 디코딩하고, 이는 이어서 인코더(4)에 의해 비트스트림으로 부호화된다.
디코더 유니트(2)는 스위치(SW1)의 고정 말단 A로부터 고정 말단(A 또는 B)중의 하나로 비트스트림(S22)을 설정하는 스위치(9), 스위치(9)의 고정 말단 A로부터 비트스트림(S23)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5) 및 버퍼(5)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6)를 포함한다.
디코더 유니트(2)는 스위치(9)의 고정 말단 B로부터 비트스트림(S24)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7), 버퍼(7)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8), 및 디코더(6)로부터 디코딩된 화상 출력(S25)이 공급된 고정 말단 A 및 디코더(8)로부터 디코딩된 화상 출력(S26)이 공급된 고정 말단 B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0)를 포함한다.
버퍼(5 및 7)는 디코더 유니트(2)에 입력된 스트림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이들 버퍼(5 및 7)는 다운스트림측 디코더(6, 8)에서 MPEG2 표준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버퍼(5 및 7)의 용량은 MPEG2 MP@MI(메인 프로필/메인 레벨)의 표준에 의해 규정되고, 예를 들면 1.75 Mbit의 치수이다.
이들 버퍼(5 및 7)에 전송된 비트스트림은 버퍼(5 또는 7)에 전송될 수 있도록 스위치(9)에 의해 스위칭된다.
디코더(6, 8)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MPEG 시스템에 따라 압축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이들 디코더(6, 8)는 디코딩된 데이터의 각각의 화상에 부착된 디코딩되는 시간 제어 정보(DTS)에 따라 화상들을 디코딩한다.
디코더 유니트(2)는 판독될 비트스트림의 전송률을 조절하기 위해 버퍼(7)의 비트 기억량을 관리하는 제어 회로(11)에 의한 제어 하에 있다. 스킵 재생 중에, 제어 회로(11)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스트림과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다른 스트림 간의 중단 시점에서 스위치(SW1)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디코더 유니트(2)는 비트스트림(S23 및 S24)을 동시에 부호화하기 위해 2개의 디코더(6 및 8)를 포함한다. 이들 디코더(6 및 8)는 비트스트림 내에서 인-포인트 및 아웃-포인트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GOP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스위치(10)는 선택된 신호를 인코더(4)에 출력하기 위해 디코더들(6 및 8)의 신호들 간을 스위칭하는 제어 회로(11)의 제어 신호들로 시간이 정해진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스위치(SW1)의 고정 말단 B로부터 비트스트림(S29)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회로(3), 디코더 유니트(2)의 스위치(10)에 의해 출력된 화상 신호들(S27)을 비트스트림(S28)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더(4) 및 고정 말단들(A 또는 B)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인코더(4)로부터 비트스트림(S28)이 공급된 고정 말단 A와 지연 회로(3)로부터 비트스트림(S30)이 공급된 고정 말단 B 간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지연 회로(3)는 지연이 미리 설정된 스위치(SW1)의 고정 말단 B로부터 비트스트림(S29)을 스위치(SW2)의 고정 말단 B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연 시간은 아래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4-프레임 시간이다.
디코더 유니트(2) 및 인코더(4)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순차로 부호화하기 위한 재부호화 수단을 구성한다. 인코더(4)는 디코더 유니트(2)에 의해 디코딩된 화상들만을 재부호화하고, 인-포인트와 아웃-포인트를 연결시키는데 필요하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스위치(SW2)로부터 비트스트림(S41)을 변환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14), 인터페이스 회로(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11), 스위치(SW1), 디코더 유니트(2), 지연 회로(3), 인코더(4) 및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214)는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스위치(SW2)로부터 비트스트림을 IEEE 1394 표준의 디지털 버스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각각의 부분들의 신호는 도 7을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코더 유니트(2)의 버퍼(5)에는 비트스트림(S23)으로서 화상들 I02, B00, B01, P05, B03, B04, B06, B07의 배열이 도입된다. 이러한 비트스트림(S23)은 디코더(6)에 의해 화상 신호들(S25)로 디코딩된다. 이들 화상 신호들은 프레임 F00, F01, F02, F03 및 F04를 포함한다.
이들 프레임에 할당된 화상 코딩 유형은 원시 화상들의 유형과 일치하여 B, B, I, B, P이다. 비트스트림(S23)으로부터 화상 신호들(S25)의 지연은 개시 지연이 0일 때 1 프레임이다.
디코더(6)로부터 도입된 화상 신호들(S25) 및 화상 코딩 유형을 부호화함에 따라 얻어진 비트스트림S28(S25)은 화상들 I02, B00, B01, P04 및 P05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트스트림(S28)은 4개의 프레임만큼 지연된다.
버퍼(7)에는 화상들 In2, Bn2, Bn1, Pn5, Bn3, Bn4, Pn8, Bn6, Bn로 구성된 인-포인트측 GOP인 GOP-n이 공급된다. 이러한 비트스트림(S24)은 디코더(8)에 의해 디코딩되고, 화상 신호들로 변환된다. 이들 화상 신호는 Fn0, Fn1, Fn2, Fn3, Fn4, Fn5, Fn6, Fn7 및 Fn8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들 중의 프레임 Fn5 내지 Fn8에 할당된 화상 코딩 유형은 원시 화상의 유형과 일치하는 I, B, B, P이다. 비트스트림(S26)으로부터 화상 신호들(S24)의 지연은 개시 지연이 0임에 따라 1프레임이다.
디코더(8)로부터 도입된 화상 신호들(S26) 및 화상 코딩 유형을 부호화함에 따라 얻어진 비트스트림S28(S26 입력)은 화상들 In5, Pn8, Bn6 및 Bn8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트스트림(S28)은 4개의 프레임만큼 지연된다.
GOPGOP-(n+1)이 공급된 지연 회로(3)는 4개의 프레임만큼 지연되고, 비트스트림(S30)으로서 출력된다.
인코더(4)로부터 비트스트림(S28) 및 지연 회로(3)로부터 비트스트림(S30)은 제어 회로(11)에 의한 제어 하에 스위치(SW2)에 의해 스위칭됨으로써, GOPGOP-0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GOPGOP-new-0 및 GOPGOP-n을 재부호화함에 따라 얻어진 GOP-new-n으로 구성된, I02, B00, B01, P04, B03, In5, Pn8, Bn6 및 Bn8 다음의 GOPGOP-(n+1)는 이하 출력된 비트스트림(S31)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의 동화상 데이터에 따른 기록 매체는 광디스크로 제한되지 않고, 단, 출력 신호 형태는 IEEE 1394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40) 상에 이미 기록된 비트스트림을 편집할 때,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부호화하여 편집점(t아웃-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인-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지점)이 이은 데 없이 재생될 수 있도록 기록 매체(40) 상이 재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아웃-포인트 화상(아웃-포인트)은 단독 스트림으로 편집된 2개의 스토리중의 하나의 최종 화상을 의미한다. 인-포인트 화상(인-포인트)은 2개의 스토리의 나머지의 제1 화상을 의미한다. 즉,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부호화하여 아웃-포인트로부터 인-포인트로의 이은 데 없는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는 기록 매체(4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니트(21), 편집될 화상 정보가 도입되는 편집 정보 입력 유니트(22), 복조 회로(23),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 정정 회로(24),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25),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비트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26), 및 분석 유니트(27)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기록 매체(40) 상에 기록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편집하고자 할 때, 편집 정보 입력 유니트(22)는 아웃-포인트 및 인-포인트 상의 편집 정보를 판독 유니트(21) 및 분석 유니트(27)에 전송한다.
판독 유니트(21)는 기록 매체(40)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복조 회로(23) 및 오류 정정 회로(24)를 통해 버퍼 메모리(25)에 전송한다. 디멀티플렉서(26)는 버퍼 메모리(25) 내에 기억된 비트스트림을 판독하여 이를 먼저 분석 유니트(27)에 전송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29) 및 스위칭 회로(31)의 말단 b에 전송하기 위해서 및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32)에 전송하기 위해서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할한다.
분석 회로(27)는 디멀티플렉서(26)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분석하고, MPEG 비디오의 화상 헤더에 의해 정의된 파라메터인 VBV 지연은 랜덤 액세싱 시점에서 버퍼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므로써 비디오 스트림을(재부호화 시점에서 부호화되는 비트량의 할당에 따른 화상 코딩 유형의 변화) 재부호화하는 방법 및 선택된 내용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30) 및 멀티플렉서(32)를 제어하도록 다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한다.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29),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인코더(30), 소스 비디오 스트림들 간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회로(31), 스트림을 멀티플렉스하기 위한 멀티플렉서(32) 및 오류 정정 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오류 정정 회로(33)를 포함한다.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는 비트스트림을 변조시키기 위한 변조 회로(34) 및 기록 매체(40) 상에 비트스트림을 기입하기 위한 기입 유니트(35)를 추가로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29)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30)에 전송하고, 이어서, 분석 유니트(27)에 의한 제어 하에 비트 전송률로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스위칭 회로(31)의 말단에 전송한다. 비디오 디코더(29) 및 비디오 인코더(30)는 최초로 기재된 GOP의 앞쪽 및 뒤쪽에 놓인 인-포인트 및 아웃-포인트 GOP를 포함하는 GOP들을 재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위칭 회로(31)는 재부호화하는 경우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각각 그의 말단 a 또는 b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회로(31)는 비디오 스트림들 중의 하나를 말단 a 또는 b에 출력하여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멀티플렉서(32)에 전송한다.
멀티플렉서(32)는 스위칭 회로(31)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및 디멀티플렉서(26)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여 오류 정정 회로(33) 및 변조 회로(34)를 통해 기입 유니트(35)에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을 발생시킨다.
기입 유니트(35)는 변조 회로(34)로부터 비트스트림을 기록 매체(40) 상에 기록한다.
아웃-포인트측 및 인-포인트측 상의 비디오 스트림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아웃-포인트측 비디오를 인-포인트측 비디오로 연속적으로 재생시킬 때, MPEG 상에 정의된 가상 디코더의 버퍼인 VBV 버퍼의 고장을 유발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VBV 버퍼의 고장은 버퍼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를 의미한다는 점에 주의하자.
상기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에서, 분석 유니트(27)는 재부호화 및 멀티플렉싱을 수행하기 위해 도 9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30) 및 멀티플렉서(32)를 제어한다.
분석 유니트(27)는 재부호화될 인-포인트측 비디오의 제1 화상을 디코딩할 때 VBV 버퍼의 초기 비트 기억량 Bvsd을 결정한다(단계 S11). 초기 비트 기억량 Bvsd으로서, 임의의 적절한 수치가 사용된 용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비트 기억량 Bvsd은 VBV 버퍼의 최대값일 수 있으며, MPEG2MP@ML에 대해 1.75 Mbit 이다. 분석 유니트(27)는 비디오 인코더(30) 및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아웃-포인트측 비디오를 재부호화하고 다시 멀티플렉싱하며(단계 S12), 순차로 인-포인트측 비디오를 재부호화하고, 멀티플렉싱한다(단계 S13).
상기 단계 S12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아웃-포인트의 재부호화 및 멀티플렉싱을 제어한다.
단계 S21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단계 S22로 진행되기 전에, 재부호화될 비디오의 각각의 화상들의 화상 유형을 설정한다.
재부호화 전의 비디오 스트림은 도 11a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록 매체(40) 상에 GOP-0. GOP1, …의 디스플레이 서열로 기록된다고 가정하자. 기호 I, P 및 B는 I-, P- 및 B-화상을 나타내는 한편, 접미사 I, P 및 B 다음의 수치는 GOP에서 화상 디스플레이 서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GOPGOP-0에서, 비트스트림은 I12, B10, B11, …의 서열로 구성되지만,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된 화상들은 B10, B11, B12, …의 서열로 배열된다. 사용자가 아웃-포인트 화상 Pout으로서 GOPGOP-1의 B11을 지정할 때 재부호화를 이하 설명한다.
단계 S1의 처리가 최초로 행하여지는 경우, 화상 B10은 I-화상으로서 설정되고, 화상 B11은 P-화상으로서 설정되며, 나머지 화상들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됨으로써, GOPGOP-1 만이 재부호화될 것이다. 단계 S21의 처리가 단계 S26 후에 행하여지는 경우, 각각의 GOP의 각각의 화상들의 화상 유형이 결정됨으로써, GOPGOP-0 및 GOP-1이 재부호화될 것이다.
단계 S22에서, 재부호화될 비디오의 제1 화상을 디코딩할 때 VBV 버퍼의 비트 기억량 Bos는 단계 S23으로 진행되기 전에 결정된다. 이러한 양은 원시 GOPGOP-1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의 vbv_delay 값으로부터 산출된다.
단계 S23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부호화될 비디오의 각각의 화상의 할당된 비트량을 단계 S24로 진행되기 전에 설정한다.
단계 S24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부호화가 상기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행하여지고, 부호화 후 비디오의 최종 화상에서 디코딩의 종료 후에 가상 디코더의 비트 기억량 Ben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W25에서, 분석 유니트(27)는 Bend1이 초기 비트 기억량 Bvsd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 Bend1이 초기 비트 기억량 Bvsd 이상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 단계 S27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6으로 진행된다.
단계 S26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부호화 화상을 변화시키고, 여기서 재부호화는 아웃-포인트 화상 앞의 GOP 화상으로 시작되고, 이어서 단계 S21로 복귀되어야 한다. 단계 S21에서 분석 유니트(27)는 화상 유형을 결정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S22 하류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27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비디오 인코더(30) 및 멀티플렉서(32)를 제어하여 비디오를 재부호화 및 멀티플렉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S12에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분석 유니트(27)의 제어 내용은 처리가 단계 S26을 통해 진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 처리가 단계 S26을 통해 통과하지 않고 단계 S27로 진행되는 경우, 분석 유니트(27)는 아웃-포인트를 포함하는 GOP, 즉 GOP-1만을 재부호화하고, 비디오 인코더(30)를 제어하여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1-x를 발생시킨다. 즉,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1의 B10을 I-화상의 I10x로 재부호화하는 한편, P-화상의 아웃-포인트 화상 B11 내지 P11x를 재부호화하여 새로운 GOPGOP-1-x를 발생시킨다. 즉, 비디오 인코더(30)는 아웃-포인트 B11의 화상을 포함하는 GOPGOP-1을 화상 I10x 및 P11x를 구성하는 GOPGOP-1-x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 예를 들면 GOPGOP-1에서 I12 또는 B13은 디코딩에서 예측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GOPGOP-1-x의 SQE 서열_end_코드는 GOP의 종료를 의미한다.
가상 디코더의 버퍼의 비트 기억량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되고, 여기서 좌표는 버퍼에서 비트 기억량을 나타낸다. Bmax는 버퍼에서 최대 비트량이고, 횡좌표는 시간 경과를 의미한다. 시간 t(*)는 부호화 화상의 디코딩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t(P08)는 P08의 디코딩 시간을 나타낸다. 우측으로 상승하는 직선은 버퍼로 입력된 비트 전송률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t(P08)는 t(B06)까지이기 때문에, 비트스트림은 버퍼 내의 비트 기억량이 증가되도록 버퍼에 도입된다. 각각의 부호화 화상의 디코딩 시점에서, 문제의 부호화 화상의 비트량은 버퍼로부터 순간적으로 제거되어 버퍼의 비트 기억량을 감소시킨다. 각각의 디코딩 시점에서 감소된 비트 기억량은 화상 유형에 따라 상이하고, I-, P- 및 B-화상들의 서열에서 보다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 GOPGOP-1-x의 각각의 화상들 I10x 및 I11x에 대해 할당된 비트량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된 경우, 비트 기억량 Bend1은 처음부터 초기 비트 기억량 Bvsd 이상인 것으로 보이므로, GOPGOP-1이 직접적으로 재부호화되는 경우에 충분하다.
단계 S26을 통해 단계 S27로 처리가 진행되는 경우, 분석 유니트(27)는 아웃-포인트를 이하 설명하는 바의 2가지 모드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들 모드는 GOP의 최대 길이가 용도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다.
제1 모드로서,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0 및 GOPGOP-1을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 GOPGOP-A-x로 재부호화한다. 이러한 GOPGOP-A-x에서, GOPGOP-0의 화상 I02 내지 B07은 GOPGOP-A-x로 직접적으로 복사된다. GOPGOP-1의 화상 B10 및 B11은 P-화상의 P10x 및 P11x로 재부호화된다. 즉, 비디오 인코더(30)는 아웃-포인트에 이르기까지 GOPGOP-1의 각각의 화상들을 GOPGOP-0의 화상들 및 GOPGOP-1의 화상들의 일부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부호화되는 한편, I13 또는 P15 등의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새로운 GOPGOP-A-x를 발생시킨다.
GOPGOP-0이 재부호화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되는 경우, 가상 디코더의 버퍼의 비트 기억량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되므로써 Bend1은 초기 비트 기억량 Bvsd보다 더 작다. 즉, GOPGOP-1-x의 화상들 I10x, P11x에 할당된 비트량이 단계 S23에서 디코딩되는 경우, Bend1 < Bvsd. 따라서, 비디오 인코더(30)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GOP 바로 앞의 GOP의 화상으로 부호화를 시작하도록 부호화 화상을 변화시킨다. I-화상 대신에 원시 화상 B11 내지 P-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버퍼에서 비트 기억량은 보다 적은 정도로만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Bend1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비트 기억량 Bvsd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서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30)는 2개의 GOP, 즉 GOP-0 및 GOP-1을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A-x1 및 GOP-A-x2로 재부호화시킨다. GOPGOP-0에서, 화상 I02 내지 B04는 직접적으로 GOPGOP-A-x1로 복사되고, P08, B06 및 B07은 GOPGOP-A-x2에서 I08x, B06x, B07x로 재부호화된다. GOPGOP-1에서, 화상 B10 및 B11은 GOPGOP-A-x2에서 P10x, P11x로 재부호화된다. 즉, 비디오 인코더(30)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GOP의 화상을 GOPGOP-0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부호화하여 새로운 GOP, 즉, GOP-A-x1 및 GOP-A-x2를 발생시킴으로써, 디코딩이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가능하다. 한편, GOPGOP-A-x1 및 GOPGOP-A-x2는 상기 GOP-A-x1로부터 생성된 2개의 GOP이다.
제2 모드는 GOP의 최대 길이에 대한 제한이 부과될 때이다. 여기서 최대 GOP 길이는 5개의 화상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는 GOP의 최대 길이가 제한되는 경우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각각에 사용될 수 있다.
분석 유니트(27)는 비트 점유량 Bend1이 버퍼의 고장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버퍼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 비트 기억량 Bvsd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인-포인트는 재부호화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9에 나타낸 단계 S13에 명시된 처리에서와 같이, 인-포인트 재부호화 처리는 도 15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제어된다.
단계 S31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단계 S32로 처리가 진행되도록 부호화될 비디오 화상 유형을 설정한다.
재부호화 전의 비디오 스트림은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고, GOP-n, GOP-m, …의 디스플레이 서열로 기록 매체(40) 상에 기록된다. I, P 또는 B 등의 접미사에 대해서, 우측 접미사는 문제의 화상에 속하는 GOP를 나타내는 한편, 좌측 접미사는 디코딩 후 디스플레이된 문제의 GOP에서 화상들의 서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Bn3은 GOPGOP-n에 속하는 B-화상이고, GOPGOP-n의 3번째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GOPGOP-n의 화상 Pn8을 인-포인트 화상 Pin으로서 명시하는 경우의 재부호화를 설명한다.
화상 유형의 결정에 대해서, 단계 S31의 처리가 최초로 수행되는 경우, 화상 유형은 예를 들면 화상들 Pn8, Bn6 및 Bn7이 I-화상, B-화상 및 B-화상으로 설정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재부호화는 도 16b에 나타낸 바의 GOPGOP-n에 대해서만 수행될 것이다. 단계 S31에서 처리가 최초의 처리가 아닌 경우, 화상 유형들은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n 및 GOP-m의 재부호화를 행하기 위해 GOP의 대표적인 화상들에 대해 설정된다.
단계 S32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단계 S33으로 처리가 진행되기 전에, Im2 등의 재부호화되지 않은 비디오의 제1 화상을 디코딩할 때 VBV 버퍼의 초기 비트 기억량 Bj을 산출한다. 화상 Pn8은 인-포인트 화상이기 때문에, 재부호화되지 않은 GOP는 GOPGOP-m이다. 따라서, 디코딩 시점에서 초기 비트 기억량 Bj는 GOPGOP-m의 제1 화상 Im에 대해 산출된다. 초기 비트 기억량 Bj는 예를 들면 GOPGOP-m의 화상 Im2의 vbv_delay 값으로부터 산출된다.
단계 S33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단계 S34로 처리가 진행되기 전에 재부호화될 각각의 비디오 화상들의 할당된 비트량을 설정한다.
단계 S34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부호화가 할당된 비트의 설정량 대로 수행되고, 단계 S35로 처리가 진행되기 전에 재부호화될 최종 비디오 화상을 디코딩함에 따라 가상 디코더의 비트 기억량 Bend2를 산출한다.
단계 S35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단계 S34에서 비트 기억량 Bend2가 비트 기억량 Bj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검증한다. 비트 기억량 Bend2가 비트 기억량 Bj보다 더 큰 경우 단계 S37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3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6에서, 분석 유니트(27)는 최종 시점 동안 재부호화될 부호화 화상을 단계 S31로 복귀되는 인-포인트 화상 바로 다음의 GOP의 화상으로 변경시킨다. 단계 S31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도 16c에 나타낸 화상 유형을 설정함으로써 단계 S32에서와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37에서, 분석 유니트(27)는 비디오 인코더(30) 및 멀티플렉서(32)를 제어하여 비디오를 재부호화 및 멀티플렉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S13에서 처리를 종료시킨다. 분석 유니트(27)의 제어 내용은 처리가 단계 S36을 통해 진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 처리가 단계 S36을 통해 통과하지 않고 단계 S37로 진행되는 경우, 분석 유니트(27)는 인-포인트를 포함하는 GOP-n 만을 재부호화하고, 비디오 인코더(30)를 제어하여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n-x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시점에서, 비디오 인코더(30)는 새로운 GOPGOP-n-x를 발생시킴으로써, 인-포인트 화상으로서 화상 Pn8, Bn6 및 Bn7은 I-화상의 In8x, B-화상의 Bn6x 및 B-화상의 Bn7x 각각으로 도어 새로운 GOPGOP-n-x를 발생시킨다. 즉, 인-포인트 화상 Pn8을 포함하는 GOPGOP-n은 화상들 In8x, Bn6x 및 Bn7x를 포함하는 GOP-n-x로 재부호화됨으로써, GOPGOP-n에서 Bn3 또는 Bn4 등의 인-포인트 화상 앞의 화상들이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다. 한편, GOPGOP-n-x의 서열_헤더(SH)는 문제의 GOP의 시작을 의미한다.
이 때에, 가상 디코더의 버퍼의 비트 기억량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비트 기억량 Bend2가 처음부터 초기 비트 기억량 Bj 이상인 경우, 및 GOPGOP-n이 단독으로 재부호화되는 경우, VBV 버퍼가 고장날 위험이 없다.
반대로, 처리가 단계 S36을 통해 단계 S39로 진행되는 경우, 분석 유니트(27)는 아웃-포인트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모드로 재부호화되도록 비디오 인코더(30)를 제어한다. 이들 2가지 모드는 용도에 의해 최대 GOP 길이에 제한이 부과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제1 모드에서,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n 및 GOP-m을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GOPGOP-B-x로 재부호화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n의 화상들 In8, Bn6 및 Bn7을 In8x, Bn6x 및 Bn7x로 재부호화하는 한편, GOPGOP-m의 Im2를 Pm2x로 재부호화하고, GOPGOP-m의 Im2 뒤에 놓인 화상을 원시 화상의 그것과 동일한 화상 유형으로 재부호화한다.
GOPGOP-m이 재부호화되지 않는 경우, 가상 디코더의 버퍼의 비트 기억량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됨으로써, Bend2는 최초 비트 기억량 Bj보다 더 작다. 즉, GOPGOP-n-x의 화상들 InBx, Bn6x, Bn7x의 비트 할당량이 단계 S32에서 설정된 경우, Bend2 < Bj이므로, 재부호화는 GOPGOP-n-x 및 GOP-m에 대한 비트 기억량의 연속 궤도를 제공하도록 행하여질 수 있다. 비디오 인코더(30)가 원시 화상 Im2를 I-화상 대신에 화상 Pm2x로 재부호화되는 경우, 버퍼에 의해 요구되는 비트 기억량은 재부호화가 인-포인트측 비디오 버퍼의 비트 기억량의 연속 궤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감소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비디오 인코더(30)는 2개의 GOP, 즉, GOP-n 및 GOP-m을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GOP-B-x1 및 GOPGOP-B-x2로 재부호화한다.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n의 Pn8, Bn6 및 Bn7을 In8x, Bn8x 및 Bn7x 각각으로 재부호화하는 한편, Im2, Bm0 및 Bm1을 Pm2x, Bm0x 및 Bm1x 각각으로 재부호화한다. 또한, 비디오 인코더(30)는 GOPGOP-m의 Pm2를 GOPGOP-B-x2의 Im5x로 재부호화하는 한편, GOPGOP-m의 Pm5 뒤에 놓인 화상을 원시 화상의 그것과 동일한 화상 유형으로 재부호화한다.
한편, GOPGOP-B-x1 및 GOPGOP-B-x2는 GOPGOP-B-x의 2개의 GOP에 대응한다.
제1 및 제2 모드가 선택되는 것은 아웃-포인트 부호화와 연관시켜 논의하는 바와 같이 결정된다. 즉,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GOP의 최대 길이가 제한될 때 또는 제한되지 않을 때 각각 사용되는 경우에 충족된다.
따라서, 버퍼 고장은 비트 기억량 Bend2가 초기 비트 기억량 Bj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분석 유니트(27)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로부터, 동화상 기록/재생 장치(20)에 의해, 아웃-포인트측 비디오 및 인-포인트측 비디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재부호화되는 경우, 재부호화된 아웃-포인트측 비디오로부터 재부호화된 인-포인트측 비디오로의 연속 재생은 가상 디코더 버퍼의 고장 위험 없이 정상적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아웃-포인트 및 인-포인트를 명시하는 스킵 편집 시점에서 편집된 프로그램의 공식화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삽입 편집에도 역시 적용된다. 즉, 삽입 편집에서, 삽입 목적지 측 프로그램 내의 삽입 시작점 및 삽입 종료점은 삽입을 위한 비디오 서열이 새롭게 부호화된 후에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포인트측 비디오의 재부호화 방법은 이러한 시점에서 삽입 소스측 프로그램의 삽입 시작점의 비디오 재부호화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포인트측 비디오의 재부호화 방법은 삽입 소스측 프로그램의 삽입 종료점의 비디오 재부호화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연관시켜 설명한 인-포인트 및 아웃-포인트 재부호화 방법은 제어 프로그램이 위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 상의 상기 처리의 서열을 기재한 동화상 부호화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그 위에 설치된 컴퓨터는 기능적으로 도 6 또는 8에 나타낸 바의 구조를 가지므로, 동화상을 재생하는 중에 동화상 프로그램의 일부를 스킵하도록 명령받은 경우, 스킵 시작점 앞쪽 및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는 스킵 시작점의 앞쪽 및 뒤쪽에 놓인 프로그램부의 이은 데 없는 재생을 실현시키도록 효과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Claims (30)

  1. 인트라-픽쳐(intra-picture)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화상군을 포함하는 동화상들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표시 순서로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군의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inter-picture)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 뒤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가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내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가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들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가상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를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4.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화상군을 포함하는 동화상들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된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수단이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내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수단이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들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가상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를 행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7.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화상군을 포함하는 동화상들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화상군의 초기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들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재구성하고, 아웃-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는 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내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다른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기록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들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가상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그의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제1 디스플레이 화상으로부터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에 이르는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상기 아웃-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를 행하는 것인 기록 매체.
  10.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화상군을 포함하는 동화상들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상기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가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뒤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가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제1의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을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가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다음의 화상군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디코더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의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이르는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 디스플레이 화상에 이르는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재구성 단계는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것인 동화상 부호화 방법.
  14.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동화상군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상기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수단이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뒤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수단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제1의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을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수단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다음의 화상군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디코더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이르는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 디스플레이 화상에 이르는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재구성 수단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것인 동화상 부호화 장치.
  18.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시작하여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복수개의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후속하는 화상군을 포함하는 동화상들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에 이르기까지 동화상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공식화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재부호화함으로써 입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구성하고, 상기 인-포인트 화상 앞에 놓인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군으로 재구성하는 기록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뒤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기록 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인-포인트 화상 뒤쪽에 놓인 제1의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을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기록 매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다음의 화상군의 제1의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하는 시점에서 디코더 버퍼에 대해 요구되는 초기 비트 기억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또한,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의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이르는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들을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는 경우에 사용된 할당된 비트량에 따라 부호화가 행해진다고 가정할 때, 가상 디코더의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비트량을 산출하도록 부호화를 위해 최종 화상을 디코딩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인-포인트 화상으로부터 최종 디스플레이 화상에 이르는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화상들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 이상인 경우에 단독 화상군으로 재부호화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의 바로 뒤쪽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군의 제1의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을 디코딩의 종료 시점에서 기억된 상기 비트량이 초기 비트 기억량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인-포인트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군의 화상으로부터 예측된 인터-픽쳐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 재부호화하는 기록 매체.
  22.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및 상기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에 기초하여 예측된 복수개의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비트스트림에 대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 비트스트림인, 상기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비트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상기 제1 지점의 뒤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상기 제2 지점의 앞쪽에 놓인 화상들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부호화 화상들이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재구성 단계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 동안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지연시키는 지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5.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및 상기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에 기초하여 예측된 복수개의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비트스트림에 대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 비트스트림인, 상기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비트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상기 제1 지점의 뒤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상기 제2 지점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6.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및 상기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에 기초하여 예측된 복수개의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비트스트림에 대한 출력 신호들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로서,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 비트스트림인, 상기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이 입력된 비트스트림에서,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바로 전의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상기 제1 지점의 뒤쪽에 놓인 화상에 대한 예측 기준 없이 디코딩될 수 있는 화상들의 제1 군으로 재구성하고,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군 바로 다음의 유니트 도메인의 다른 화상군을 상기 제2 지점의 제2 군으로 재구성하는 기록 매체.
  27. 입력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신호들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이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전방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복수개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 화상 신호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그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인 상기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이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고, 제2 지점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2 지점 뒤쪽에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는 재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재구성 단계에 대해 요구되는 시간 동안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지연시키는 지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29. 입력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신호들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이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전방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복수개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 화상 신호들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그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인 상기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제1 지점이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고, 제2 지점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는 재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30. 입력된 비트스트림에 대한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공식화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이 인트라-픽쳐 부호화 화상,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전방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들 및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에 따라 얻어진 복수개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들로 구성된 부호화 화상 신호들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부호화 화상들은 유니트 도메인으로서 화상군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은 그의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으로 스킵하는 상기 입력된 비트스트림인,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지점이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1 지점에 이르기까지 화상들을 재부호화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지점이 전방 예측 부호화 화상 또는 양방향으로 예측 부호화 화상인 경우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유니트 도메인의 화상군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시퀀스 내의 상기 제2 지점 뒤쪽으로 놓인 화상들을 재부호화하는 기록 매체.
KR1019990004072A 1998-02-06 1999-02-06 동화상부호화방법및장치및기록매체 KR19990072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26142 1998-02-06
JP2614298 1998-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61A true KR19990072461A (ko) 1999-09-27

Family

ID=1218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072A KR19990072461A (ko) 1998-02-06 1999-02-06 동화상부호화방법및장치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35395A2 (ko)
KR (1) KR19990072461A (ko)
CN (1) CN1237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85B1 (ko) * 2004-08-25 2012-03-15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295347B2 (en) 2004-08-25 2012-10-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7374B2 (ja) * 1999-06-01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並びに多重化装置及び多重化方法
US6587506B1 (en) * 1999-11-02 2003-07-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diting apparatus, video editing method, and data storage medium for a video editing program
JP3607598B2 (ja) 2000-11-08 2005-01-05 株式会社東芝 スキップ機能を備えた画像記録再生装置
EP1324615A1 (en) 2001-12-28 2003-07-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ranscoding MPEG bitstreams for adding sub-picture content
CN100370821C (zh) * 2002-04-10 2008-02-20 索尼株式会社 数据记录装置、数据记录方法、程序存储介质以及程序
US7088776B2 (en) * 2002-07-15 2006-08-0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accuracy inter-picture timing specification for digital video encoding
US6728315B2 (en) 2002-07-24 2004-04-27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accuracy inter-picture timing specification for digital video encoding with reduced requirements for division operations
EP2320659B1 (en) * 2002-08-08 2014-10-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JP4737003B2 (ja) 2006-08-10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編集システム
CN101868977B (zh) * 2007-11-15 2014-07-30 汤姆森特许公司 用于对视频进行编码的系统和方法
US20110211633A1 (en) * 2008-11-12 2011-09-01 Ferran Valldosera Light change coding
WO2010056327A1 (en) 2008-11-13 2010-05-20 Thomson Licensing Multiple thread video encoding using hrd information sharing and bit allocation wai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85B1 (ko) * 2004-08-25 2012-03-15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295347B2 (en) 2004-08-25 2012-10-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5395A2 (en) 1999-08-11
CN1237066A (zh)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631B1 (ko) 편집 장치, 편집 방법, 재부호화 장치, 재부호화 방법,스플라이싱 장치 및 스플라이싱 방법
US5838876A (en) Frame-accurate edit and playback in digital stream recording
US8260122B2 (en) MPEG picture data recording apparatus, MPEG picture data recording method, MPEG picture data recording medium, MPEG picture data generating apparatus, MPEG picture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PEG picture data reproducing method
JP3716328B2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再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KR100615340B1 (ko) 편집 방법 및 편집 장치
KR19990072461A (ko) 동화상부호화방법및장치및기록매체
US6483945B1 (en)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4337248B2 (ja) 画像情報の伝送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伝送方法
JPH11196376A (ja) 画像圧縮ストリーム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
US6683911B1 (en) Stream editing apparatus and stream editing method
EP0869679A2 (en) Encoding, decoding and editing
JPH11289541A (ja)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537392B1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복호 방법, 및 그 장치, 및 기록 매체
JP3918332B2 (ja) 多重化装置、多重化方法及び記録媒体
JPH11220694A (ja) 信号伝送方法、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記録媒体
JP2005278207A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再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H1128500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JP2008005519A (ja) Mpeg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4289872A (ja) Mpeg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