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074A -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 Google Patents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074A
KR19990071074A KR1019980006300A KR19980006300A KR19990071074A KR 19990071074 A KR19990071074 A KR 19990071074A KR 1019980006300 A KR1019980006300 A KR 1019980006300A KR 19980006300 A KR19980006300 A KR 19980006300A KR 19990071074 A KR19990071074 A KR 1999007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electrochemical reaction
electrochemical
treating
treat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양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최규양
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양, 정동현 filed Critical 최규양
Priority to KR10199800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1074A/ko
Publication of KR1999007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074A/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오폐수처리공정인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의 전 및/또는 후의 특정단계에 적용되어서 오폐수의 처리시간단축 및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은, 유입되는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생물화학적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1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2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침전 및 방류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기화학반응조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케이스(12); 상기 외부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세 측면에 전극지지홈(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내부케이스(14); 상기 내부케이스(14)의 전극지지홈(16)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절연물질로 감싸인 전극판(22); 상기 전극판(22)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서 전기화학반응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류기가 일체화된 전력증폭기(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본 발명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오폐수처리공정인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의 전 및/또는 후의 특정단계에 적용되어서 오폐수의 처리시간단축 및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서 선반을 사용한 절삭가공등에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또한 고속회전에 의한 냉각을 위하여 수분이 포함된 절삭유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절삭유의 사용은 다른 대체 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가피한 것이지만 대규모의 폐수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폐수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고 있는 형편이다. 유분을 포함하는 폐수는 그 특성상 난분해성 처리물질로서 현재 산업폐수, 유분, 및 폐유는 소각처리하거나 또는 원심분리장치를 사용하여 물과 기름성분을 분리하여 각각 폐기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소각처리방식은 물과 기름성분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페수 및 폐유중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수분에 의하여 소각이 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수 및 폐유중에는 계면활성제(극압첨가제,유화제)가 첨가되어 있으므로 소각시 유독성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또한 원심분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통상 1개 중소규모의 공장에서 연간 수 백톤의 폐수 또는 폐유가 발생되므로 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며 결과적으로 중소기업에 비용부담이 되었다. 이와는 달리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는 유분보다는 음식물찌꺼기와 세제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오폐수처리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지만 구분없이 특정방법, 예를 들어서 생물학적방법이나 화학적방법이 혼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질소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오폐수처리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 오폐수(원수)가 유입되면 유기성질소를 투입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먼저 협기성반응이 수행된 후에 호기성반응조에서 호기성반응이 수행되면서 질소가 제거되고 처리수가 배출됨을 알 수 있다. 호기성처리는 오수중에 미생물을 넣어서 폭기하면 오수중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여러 가지 호기성미생물이 번식하는데 폭기에 의해 교반작용으로 오수중의 부유물과 콜로이드상물질이 응집되어 오수처리에 유용한 미생물 슬러지가 배양된다. 이 슬러지는 다수의 호기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젤라틴상 플록(floc)으로 이루어진 생물슬러지는 유기물의 흡착능력과 산화능력이 우수하며 침강성도 좋다. 혐기성처리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유기물의 생물분해를 말하며 이 방법은 고분자 유기물질이 유기산과 알콜로 분해되는 산성발효와 이 고분자의 유기물질이 메탄생성균에 의해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메탄발효의 2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반응들은 각각 호기성반응(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과 혐기성반응조에서 발생되는 탈질반응(아질산호흡, 질산호흡)시의 반응식들이다.
이러한 결과 드러난 문제점으로서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경우에는 유량변동, 기후변화, 난분해성물질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처리효율과 처리시간이 달라질 수 밖에 없어서 대규모적으로 건설된 오폐수처리장치를 항상 가동하지 못하므로 효율이 떨어지며 영양염류인 질소, 인의 제거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의 경우에는 화학약품과 오염된 물질이 반응할 때 통상적으로 당량대 당량으로 반응하여야 하지만 실제로 화학약품과 오염물질의 반응비율이 6∼8 : 1 정도로 응집반응을 일으키므로 약품이 과다하게 소비되어서 처리비용이 높아지며 슬러지 과잉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처리공정인 화학적 처리, 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전 및/또는 후의 특정단계에 적용되어서 오폐수의 처리시간단축 및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여기에 처리효율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 전기화학반응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오폐수를 침전조에서 침전시킨 후에 방류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1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2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침전 및 방류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며,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기화학반응조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부케이스(12); 상기 외부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세측면에 전극지지홈(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바닥면이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내부케이스(14); 상기 내부케이스(14)의 전극지지홈(16)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절연물질로 감싸인 전극판(22); 상기 전극판(22)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서 전기화학반응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류기가 일체화된 전압증폭기(26)를 포함하며, 다단의 전기화학반응조를 설치시에는 각각에 정류기를 설치하며 양전극판보다 음전극판의 갯수를 더욱 많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생물학적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전기화학반응조의 사시도,
도 4a는 전기화학반응조를 두 개의 유닛으로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전기화학반응조의 측단면도,
도 5는 전기화학반응조의 내부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평면도,
도 6는 전기화학반응조의 사용시 전극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화학반응조, 10a,10b: 유닛,
10c: 이동로, 12: 외부케이스,
14: 내부케이스, 16: 전극지지홈,
18: 유입구, 20: 유출구,
22: 전극판, 24: 코우팅,
26: 전압증폭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과 전기화학반응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오폐수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되기 전에 또는 처리된 후에 전기화학반응처리를 수행하여 화학촉매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서 안정된 처리수의 배출, 처리시간의 단축, 폐수처리의 운전비용, 유지비등의 절감, 및 설치부지절감이 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2를 참고하면, 오폐수를 유입시키고(s1) 1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s2)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s3)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다시 2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s4)는 제3단계; 및 무해폐수를 방류하고(s5) 슬러지를 배출하여 처리하는(s6) 제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기화학방법의 반응상태는 다음과 같다.
화학물질은 원자 또는 분자간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빠르게 가속된 전자를 충돌시키면 높은 에너지의 전자 자체에 의해 또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반응성이 큰 라디컬(radical)에 의해 분자간의 결합이 끊어지거나 새로운 결합이 형성되면서 기존의 물질과는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지닌 물질이 생성된다. 물속에서 전자는 연속적으로 주위의 물분자와 만나며 자신의 에너지를 잃을 때까지 여기된 전자를 생성시키는데 이 과정은 10-15sec 정도의 시간안에 이루어지고 이들이 여러 가지 물의 분해로 인한 라디컬을 생성시키는 과정은 1ns(10-9sec) 정도의 시간에 마무리된다. 최종적으로 폐수중에 유해물제거에 관여하는 물의 분해산물은 이 과정에서 생긴 라디칼이 주가되며 폐수중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물분해산물과의 반응은 1㎲(10-6sec) 정도에서 마무리된다. 물의 분해반응에 의한 라디칼 및 이온들의 생성계수, 확산계수, 및 산화환원전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항 목 e- aq H OH- O H2 H2O2 H+ aq OH- aq
라디칼및 이온들의 생성계수(1/100eV) 2.8 0.6 2.8 0.007 0.45 0.75 3.3 0.5
확산계수(10-5cm2/s) 4.96 7 2.1
산화환원전위 -2.87 -2.3 -2.3
상기에 표시된 것과 같이 폐수의 유해대상물 제거에 이용될 수 있는 물의 분해산물은 산화,환원전위차가 높고 반응성이 큰 수화전자(e- aq), 수소원자(H), 그리고 Hydroxyl 라디칼(OH)이다. 발생수율은 pH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다. 그것은 산성의 조건에서는 e- aq는 수소원자로, 염기성조건에서는 수소원자가 다시 e- aq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화원자는 모든 중금속이나 탄소와 산소사이의 결합, 수소원자(H+)와 OH-라디칼은 주쇄를 이루는 탄소사슬의 이중결합과 잘 반응한다. 폐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pH의 조절과 촉매의 첨가로 전자의 이동성이 극대화될 때 전기화학적인 효과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을 유동적으로 설치하는 것과 음극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최적의 상태로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전기화학반응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전기화학반응으로 오폐수중에 포함된 세균이 살균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살균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실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폐수가 처리되면 생물학적처리방법 또는 화학적처리방법이 적용되기 전에 외부탄소원의 투입량이 1/4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1차처리된 경우에 반응시간이 촉진되므로 오폐수의 폭기조(미생물반응조)의 체류시간이 단축되어서 설치면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실험에 의하면 폭기조의 면적을 약 1/2로 감소시켜도 처리효율은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반응이 신속하게 일어나고 외부탄소원의 투입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며 더욱이 슬러지의 침강성이 우수하여 침전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응집반응시에 화학약품 투입의 경우에도 약품의 감소에 의하여 비용절감효과가 있다. 하기의 표들은 상기한 전기화학반응을 먼저 수행하고 후에 생물화학적 또는 화학적 처리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총인, 총질소의 함유량, 세탁폐수 및 섬유폐수에서의 오염물질함유량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표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것과 유출된 오폐수에 포함된 총량의 현저함에 주목하라. 2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된 오폐수는 침전조에서 침전되고 무해한 폐수는 외부로 방류되고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고 처리하여 오폐수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구 분 유 입 된 오 폐 수 유 출 된 오 폐 수
총 질 소 300 PPM 1 PPM
총 인 25 PPM 0.1 PPM
항 목 처리전(mg/l) 처리후(mg/l)
COD 250 8
ABS 35 0.3
SS 98 5
항 목 처리전(mg/l) 처리후(mg/l)
COD 550 15
유분 15 0.7
SS 120 5
도 3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전기화학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화학반응조(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오폐수처리능력이 향상되고 오폐수의 종류 및 성상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화학반응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는 철구조물 또는 콘크리트구조물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스(12)와, 상기 외부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세측면에 전극지지홈(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PVC 또는 PE와 같은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내부케이스(14)와, 상기 내부케이스(14)의 전극지지홈(16)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절연물질로 코우팅(22)된 전극판(22)과, 상기 전극판(22)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서 전기화학반응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력증폭기(미도시됨)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2)와 내부케이스(14)를 관통하여서 유입구(18)와 유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2중구조로 인하여 전기화학반응조(10)는 내구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다.
더욱이 내부케이스(14)의 내측표면에 다수의 전극지지홈(16)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화학반응조(10)의 전기화학반응처리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폐수의 유입량, 종류, 또는 성상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수의 전극지지홈(16)은 상기와 같이 내부케이스(14)의 표면에 형성하거나 또는 사각평판형상의 별도의 전극지지판을 제조하고 그 표면에 전극지지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반응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내부를 둘 또는 그 이상의 유닛(10a,10b)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유닛(10a,10b)에 각각 다수의 전극판(22)들을 설치한 것이다.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는 전극판(22) 사이를 통과한 후에 이동로(10c)를 통하여 인접한 유닛(10b)으로 이동하면서 전기화학반응처리가 수행된다. 이 때 전기화학반응처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유닛(10a,10b)들에는 별도의 전압증폭기(26)들과 정류기(전압증폭기와 일체화 시킴)들을 설치한다. 이것은 유닛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닛의 갯수에 맞추어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측단면도로서 전극판(22)들이 상부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바닥면에 의하여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의 양단부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서 이것은 슬러지의 축적에 의하여 전극판(22)의 작용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축적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한다. 바닥면의 표면에는 도 5와 같은 전극지지홈(1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서 전극판(22)들의 수명이 연장되고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전극지지홈(16)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지지홈(16)을 구성하면 오폐수에 따라서 전극판(22)들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극고정도 전극판(22)들을 수직으로 삽입함으로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전극지지홈(16)의 두께는 전극판(22)이 압입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두께로 하거나, 후에 설명되는 코우팅을 용이하게 삽설할 수 있는 두께로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22)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군의 전극판(22)들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은 실제적으로 일군의 전극판(22)들을 차단수단을 사용하여 분리함으로써 다수의 유닛(unit)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수의 유닛으로 구획의 이점은 오폐수의 용량과 성상, 농도에 따라서 대응하기 용이하다. 이 때 오폐수의 이동을 위하여 전극판(22)들의 일측단부가 절단되어 있다. 실제 도면에서는 전기화학반응조(10)의 절반만을 표시하였기 때문에 상세히 표시되지 않았지만 대향위치에도 역시 전극판의 일단부가 절단되어서 지그재그형태를 이룬다. 이것을 도 4를 기준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전극의 수보다 음전극의 수를 1~3개 정도 더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화학반응조(10)의 내부에는 음극에서 생성되는 OH-를 활발하게 하여 pH(7.1∼7.5)가 약한 약알칼리가 된다. 또한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화작용과 함께 연계하여 산환환원작용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생기산소(O-)의 발생으로 인하여 살균과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양극 및 음극에서의 전해반응은 다음과 같다.
음극반응 : 2H2O + 2e-- 2H2+ 2OH-, 2H++ 2e-- H2,
양극반응 : H2O + 2e-- 1/2O2+ 2H+
또는 전기화학반응에서 촉매로 사용되는 염소는 pH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HOCl은 강력한 산화제역할을 하며 전자의 산화환원작용을 받아 오염물질을 응집시키는 촉매역할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럭(floc)의 응집을 효율적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염소이온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염소이온 : 2Cl-+ 2e-- Cl2
Cl2+ H2O ↔ HOCl + H++ Cl-
HOCl ↔ H++ OCl-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극판(22)은 스테인레스스틸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식방지를 위하여 전극판(22)의 외주면을 따라서 코우팅(24)을 형성한다. 코우팅(24)은 예를 들면 PVC 또는 PE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스틸을 사용하는 이점은 원자재의 절감이 있다. 즉 종래 전극판은 주로 철, Al, 등을 사용하는데 -극(불용성전극)은 전혀 소비되지않고 주역할을 하는 +전극(가용전극)만이 소모되지만 스테인레스스틸은 전기적인 에너지만을 이용함으로서 전극판의 소모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극판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판(22)의 연결전선에는 전압증폭부(26)를 더 연결시켜서 전극판(22)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전기화학반응방법의 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전압증폭부(26)는 음,양전극판(22)에 대하여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수처리공정인 화학적 처리, 또는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의 전 또는 후의 특정단계에 적용되어서 오폐수의 처리시간단축 및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전기화학반응법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여기에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오폐수를 침전조에서 침전시킨 후에 방류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1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2차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처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침전 및 방류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2. 전기화학반응을 수행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전기화학반응조에 있어서,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스(12);
    상기 외부케이스(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세측면에 전극지지홈(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바닥면이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연물질로 구성되는 내부케이스(14);
    상기 내부케이스(14)의 전극지지홈(16)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절연물질로 감싸인 다수의 전극판(22); 및
    상기 전극판(22)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서 전기화학반응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정류기가 일체화된 전압증폭기(26)를 포함하며, 양전극판보다 음전극판의 갯수를 더욱 많이 설치하여 수산기를 더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반응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14)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유닛에 설치되는 전극판(22)들에 각각 정류기가 일체화된 전력증폭기(26)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반응조.
KR1019980006300A 1998-02-27 1998-02-27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KR19990071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300A KR19990071074A (ko) 1998-02-27 1998-02-27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300A KR19990071074A (ko) 1998-02-27 1998-02-27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074A true KR19990071074A (ko) 1999-09-15

Family

ID=6589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300A KR19990071074A (ko) 1998-02-27 1998-02-27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107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57B1 (ko) * 1999-04-22 2002-02-02 김효근 전기동력에 의한 슬러지에서 유해 중금속 제거방법
KR100416653B1 (ko) * 2001-04-17 2004-01-31 주식회사 나인댑스 전기화학적 접촉산화환원반응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에서의슬러지 감량방법
KR100454165B1 (ko) * 2002-10-12 2004-10-26 (주) 테크윈 실내용 미생물 오염 음용수 전해 살균 처리 및 기능성음료 공급 장치
KR100626842B1 (ko) 2006-03-03 2006-09-20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전기분해 및 생물학적 처리공법을 병합한 고농도 질소함유 폐수처리방법
KR100690449B1 (ko) * 2005-10-24 2007-03-09 한국돌기 주식회사 산화체 생성에 의한 적조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WO2018101649A3 (ko) * 2016-11-30 2018-08-09 주식회사 비엘에이치아쿠아텍 수 처리 장치
KR20180102906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기응집장치
KR20180102908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KR102254586B1 (ko) * 2020-11-02 2021-05-20 길현영 분말전극 고정장치
WO2022163880A1 (ko) * 2021-01-26 2022-08-04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염색 폐수 및 고농도 폐수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57B1 (ko) * 1999-04-22 2002-02-02 김효근 전기동력에 의한 슬러지에서 유해 중금속 제거방법
KR100416653B1 (ko) * 2001-04-17 2004-01-31 주식회사 나인댑스 전기화학적 접촉산화환원반응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에서의슬러지 감량방법
KR100454165B1 (ko) * 2002-10-12 2004-10-26 (주) 테크윈 실내용 미생물 오염 음용수 전해 살균 처리 및 기능성음료 공급 장치
KR100690449B1 (ko) * 2005-10-24 2007-03-09 한국돌기 주식회사 산화체 생성에 의한 적조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6842B1 (ko) 2006-03-03 2006-09-20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전기분해 및 생물학적 처리공법을 병합한 고농도 질소함유 폐수처리방법
WO2018101649A3 (ko) * 2016-11-30 2018-08-09 주식회사 비엘에이치아쿠아텍 수 처리 장치
KR20180102906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기응집장치
KR20180102908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KR102254586B1 (ko) * 2020-11-02 2021-05-20 길현영 분말전극 고정장치
WO2022163880A1 (ko) * 2021-01-26 2022-08-04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염색 폐수 및 고농도 폐수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3119B (zh) 垃圾渗滤液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2786182B (zh) 垃圾渗滤液的处理装置
CN106396270A (zh) 一种高浓度制药废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631818A (zh) 有机废水处理工艺
CN104829068A (zh) 一种高浓度难降解废水的处理方法
CN110642480B (zh) 一种用于垃圾渗滤液处理的方法及系统
CN102249501B (zh) 一种发制品废水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810718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오수를 중수로 생산하는 방법
CN109205954A (zh) 微电解催化氧化、生化处理高浓度废水工艺
KR19990071074A (ko)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및 전기화학반응조
CN102363549A (zh) 一种无膜工业有机废水的深度处理系统
CN205442899U (zh) 一种耦合式反渗透浓水处理系统
KR19990026365A (ko) 펜톤산화와 전기전해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CN102101740B (zh) 一种电子行业高浓度有机废水的处理方法
CN112520913A (zh) 一种电絮凝处理难降解有机废水预处理工艺
CN104529019B (zh) 一种适用于高盐度难降解废水的电催化组合处理方法
KR20040059026A (ko) 고농도 질소함유 폐수처리를 위한 연속식 전기분해장치
Vijayaraghavan et al. In situ hypochlorous acid generation for the treatment of syntan wastewater
CN111995132A (zh) 一种针对高浓度高盐的las废水处理系统及其工艺
CN211226819U (zh) 橡胶助剂废水处理系统
KR20020018572A (ko) 순환와류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 장치
CN111995177A (zh) 一种电子束辐照全量化处理垃圾渗滤液的方法
CN215288450U (zh) 一种垃圾渗滤液生化水处理系统
CN219991338U (zh) 一种垃圾填埋场渗滤液全量化处理系统
KR20050078465A (ko) 복합 공정에 의한 염색폐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