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914A -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914A
KR19990070914A KR1019980006040A KR19980006040A KR19990070914A KR 19990070914 A KR19990070914 A KR 19990070914A KR 1019980006040 A KR1019980006040 A KR 1019980006040A KR 19980006040 A KR19980006040 A KR 19980006040A KR 19990070914 A KR19990070914 A KR 19990070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piston
water tank
certai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신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병철 filed Critical 신병철
Priority to KR101998000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914A/en
Publication of KR1999007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914A/en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1)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변기 세척액을, 물을 내릴 때마다 일정량만 물탱크에 투입하는 기술Technique to put toilet cleaning liquid into water tank only a certain amount every time water is lowered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2)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변기 세척제는 물탱크에 투입된 후로는 계속해서 물에 풀어지기 때문에 세척제의 낭비가 심하다. 예를 들어 한 달간 집을 비우고 여행을 다녀 오면 세척제가 완전히 풀어져 새 것으로 갈아 넣어야 하며, 이것은 강에다 세척제 하나를 집어 던지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이 발명의 목적은 변기 물탱크의 물이 갈릴 때마다 일정량 만큼의 세척액만 투입하는 것이다.The commercially available toilet cleanser is wasted on the cleaning agent since it is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water after being put into the water tank. For example, if you leave your home for a month and go on a trip, the cleanser must be completely unwound and replaced with a new one, which is no different than throwing a cleaning agent into the ri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ject only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liquid each time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is crushe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The poin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변기 물탱크 안의 물은, 사용자가 물을 내릴 때마가 수위가 변하며 이 변화는 곧 에너지를 뜻한다. 따라서 수위의 변화로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장치에서는, 수위 변화에 따른 두 피스폰의 부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변기의 물을 내릴 때마다 일정량 만큼(세척액 공급 구멍을 막는 고무공이 위로 떠올라 있는 동안 구멍으로부터 나오는 양)의 세척액을 투입한다.The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changes the mark level when you lower the water, and this change means energ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apparatus by changing the water level. In this apparatus, by using the difference in buoyancy of the two piston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wl Lt; RTI ID = 0.0 > of the < / RTI >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모든 가정의 변기에 장치 가능하며, 특히 물을 내리는 횟수가 많지 않으면서도 위생관리가 중요한 숙박업소나 이용자가 계속해서 바뀌는 공중화장실에 필요하다.It can be installed in all household toilets, especially in public toilets where hygiene control is important and the users are constantly changing, even if the water is not frequent.

Description

변기세척액 투입 장치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변기 세척제를 자동으로 일정량만 투입하는 기술로 시중에 판매되는 변기 세척제는 고체형태이며 물에 계속해서 녹기 때문에 정량 투입은 불가능하다.It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puts a certain amount of toilet cleanser into the market. As a commercially available toilet cleanser, it is solid form.

변기 물탱크의 수위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변기 세척제를 일정량만 투입한다.A certain amount of toilet cleanser is automatically injected using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water tank.

그림 1은 세척액 정량 투입장치를 변기 물탱크에 설치한 단면도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liquid dosing device installed in a toilet water tank

그림 2는 세척액 정량 투입장치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liquid dosing device

그림 3은 투입장치의 부품1(도드레 달린 케이스)Figure 3 shows the part 1 (dodded case)

그림 4는 투입장치의 부품2(끈으로 연결된 밸브피스톤과 부력피스톤)Figure 4 shows part 2 of the dosing device (valve piston and buoyant piston connected by straps)

그림 5는 피스톤의 작동 조건Figure 5 show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iston

그림 6은 변기 세척액 정량 투입장치Figure 6 shows the flow rate

그림 1에는 변기 세척액 정량 투입장치를 물탱크에 넣은 모습이 담겨 있다. 물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무거운 사기 받침을 사용하며 그 위에 플라스틱 케이스를 설치한다. 그림 2에서 케이스 안에는 재충전용 '세척액 튜브'가 담겨 있고 그 세척액 튜브에 주사바늘이 꽂혀서 세척액을 피스톤 장치에 공급한다. 도르레에는 속이 빈 유리로 만들어진 밸브피스톤과 부력피스톤이 매달려 있는데 밸브피스톤은 아랫쪽이 넓적한 원판 모양으로 튀어나왔다(그림 2에서 밸브피스톤에 검게 수평으로 퍼진 모습). 밸브피스톤은 케이스의 '실린더 1'안으로 들어가며 부력피스톤을 '실린더 2'안에서 위·아래로 이동한다. 그림은 실물크기 이며, 'L'은 각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이다.Fig. 1 shows the state of putting the toilet flushing liquid dosing device in the water tank. Use a heavy scaffold to prevent water from drifting and install a plastic case on top of it. In Figure 2, the case contains a rechargeable "wash tube" and the needle is plugged into the wash tube to feed the wash solution to the piston device. The dowels consist of a hollow glass buoyancy piston and a buoyancy piston, which protruded into a disk with a flat bottom (Fig. 2). The valve piston enters the 'cylinder 1' of the case and moves the buoyancy piston up and down in 'cylinder 2'. The figure is a real size, and 'L' is the distance that each piston moves.

투입장치는 크게 '케이스 부분'과 '피스톤 장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케이스 부분은 그림 3에 도시되었다. 그림 3은 사용자가 물을 내려서 변기 물탱크 안의 물이 바닥난 상태이다. 투입장치의 '실린더 1'과 세척액과 튜브가 담긴 '위 터진 상자'는 차 있는 액체의 수위(물의 높이)가 서로 같고, 현재 튜브에 담긴 세척액을 한동안 사용하여 튜브가 찌그러진 모습이지만 그래도 수위에는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실린더 1으로 '주사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의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한다(세척액의 밀도가 물의 밀도에 가까울수록 정확한 세척액 공급이 가능하다). 실린더 1안의 액체는 물과 세척액의 혼합물이며, 아래쪽의 고무공이 '세척액 공급용 주사바늘'의 구멍을 막고 있기 때문에 고무공 아래의(주사바늘안의) 세척액의 농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수평선을 그어, 그 끝에 케이스의 해당 위치의 단면 형상을 나타냈다. 실린더 1으로 세척액을 빨아올리기 위해서 피스톤 장치가 필요하며(주사바늘이 고무공으로 막혀있기 때문) 그림 4에 도시하였다. 그림 4에서 첫 번째는 피스톤 장치를 케이스에 설치한 모습이다. 현재 물탱크에 물이 꽉 찬 상태를 보이며, 밸브피스톤이 내려와서 고무공 위에 닿아 있다(고무공을 약간 눌러줌). 밸브피스톤의 원판부분(검게 표시된)은 실린더1과 0.1~1.0mm의 둘레 간격을 확보하며, 이것은 밸브피스톤이 실린더1을 통해 내려갈 때, 이미 빨아올려진 세척액이 이 틈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밸브피스톤의 상단과 부력피스톤은 그들과 접촉한 실린더와 0.5~2.0mm의 보다 큰 간격을 유지하며, 각 피스톤들의 이동을 빠르게 하기 위한 물빠짐용 틈이다.The injection device can be roughly divided into 'case part' and 'piston device part'. The case part is shown in Fig. Figure 3 shows that the user drains the water in the toilet tank. The 'cylinder 1' of the injector and the 'upper box' containing the washing liquid and the tube have the same liquid level (the height of the water) and the tube is crushed by using the cleaning solution in the tube for a while. However, . By keeping the water level constant,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liquid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needle' to the cylinder 1 is made constant (as the density of the washing liquid is close to the density of the water, accurate washing liquid can be supplied). The liquid in the cylinder 1 is a mixture of water and the washing liqui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washing liquid (in the injection needle) under the rubber bore is not changed because the rubber ball at the bottom is blocking the hole of the 'washing liquid supplying needle'. A horizontal line was draw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ase was shown at the end thereof. A piston device is required to suck up the flushing fluid with cylinder 1 (because the injection needle is clogged with a rubber ball), as shown in Fig. The first one in Figure 4 shows the piston device installed in the case. The water tank is now filled with water, and the valve piston comes down and touches the rubber ball (pushing the rubber ball slightly). The disc portion of the valve piston (marked in black) has a circumferential spacing of 0.1 to 1.0 mm with cylinder 1, so that as the valve piston descends through cylinder 1, the already sucked wash fluid escapes into this gap. The upper end of the valve piston and the buoyant pist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reater distance of 0.5 to 2.0 mm from the cylinder in contact therewith, which is used to accelerate the movement of each piston.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그림 4의 상태(물탱크에 물이 꽉 찬 상태)에서 변기 물탱크의 물이 빠지게 되면 밸브피스톤이 위로 이동하여(부력피스톤은 하강), 고무공이 위로 떠서 막혔던 주사바늘의 구멍이 열리면 실린더 1안의 압력이 낮으므로 세척액이 위로 빨려 나오게 된다(이 때,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틈이 있으므로 세척액은 피스톤의 이동거리보다 작은 거리에 해당하는 부피만큼 빨려나오지만 그 양은 일정). 밸브피스톤의 이동속도가 떨어지면 고무공이 제자리로 돌아가, 세척액의 공급이 중단된다. 물탱크에는 곧 다시 물이 차게되며 물속에서는 밸브피스톤의 무게가 부력피스톤의 무게보다 무거워서 하강하게 되며(이 때, 부력피스톤은 상승), 이 과정에서 밸브피스톤 아래로 빨려 나왔던 세척액은 밸브피스톤과 실린더1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가 주변의 물에 섞이게 된다. 밸브피스톤은 세척액을 밀어낸 후 고무공을 살짝 눌러 세척액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The operation sequence is as follows. When the water in the toilet water tank is drain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ure 4 (water in the water tank is full), the valve piston moves upward (the buoyant piston descends) As the pressure is low, the cleaning fluid is sucked upwards. (There is a gap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so the cleaning fluid is sucked out by a volume that is smaller than the travel distance of the piston, but the amount is constant).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valve piston drops, the rubber ball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upply of the cleaning liquid is stopped. The water tank is soon filled with water. In the water, the weight of the valve piston is lower than the weight of the buoyancy piston (in this case, the buoyancy piston rises). In this process, the washing liquid, which has been sucked under the valve piston, 1, and mix it with the surrounding water. The valve piston pushes out the cleaning fluid and presses the rubber ball gently to prevent the cleaning fluid from leaking.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려면 피스톤 장치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To repeat this process, the piston device shall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그림 5][Figure 5]

첫째, 공기 중에서 밸브피스톤은 부력피스톤 보다 가볍다.First, the valve piston in air is lighter than the buoyant piston.

둘째, 밸브피스톤과 부력피스톤은 둘 다 물에 가라앉는다.Second, both the valve piston and the buoyant piston sink into the water.

셋째, 물 속에서 밸브피스톤은 부력피스톤 보다 무겁다.Third, the valve piston in the water is heavier than the buoyancy piston.

위의 관계는 유체역학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The above relationship is expressed in terms of hydrodynamics as follows.

밸브피스톤의 질량 : m1 Mass of valve piston: m 1

부력피스톤의 질량 : m2 Mass of buoyancy piston: m 2

밸브피스톤의 부피 : V1 Volume of valve piston: V 1

부력피스톤의 부피 : V2 Volume of buoyancy piston: V 2

물의 밀도 :ρu Density of water: ρ u

일 때, 물 속에서 밸브피스톤이 부력피스톤 보다 무거우려면, If the valve piston in the water is heavier than the buoyant piston

(m1w*V1)(m2w*V2)을 만족해야 한다. 고쳐쓰면(m 1w * V 1 ) (m 2w * V 2 ). Rewrite

ρw*(V2-V1)(m1-m2)이 되며, 이 때 V2-V1이어야 한다.ρ w * (V 2 - V 1 ) (m 1 - m 2 ), where V 2 - V 1 .

따라서, 위의 세가지 작동 조건은Therefore, the above three operating conditions

과 같이 표현 되는데, 이 발명에서 제시된 세척액 투입기는 두 피스톤을 각각의 실린더에 가둬두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부력피스톤의 밀도를 물의 밀도보다 크게 하여 물에 가라앉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Since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pistons are held in respective cylinders,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density of the buoyant pistons larger than the density of the water to sink into the water. therefore,

이렇게, 식 2에서 부력피스톤의 부피 V2를 증가시켜 부력 피스톤의 밀도를 물의밀도 보다 작게 하면Thus, in Equation 2, if the volume V 2 of the buoyant piston is increased and the density of the buoyant piston is made smaller than the density of water

이 되므로 식 3을 만족하게 된다. , So that Equation 3 is satisfied.

그러므로 이 장치를 위한 조건은Therefore, the conditions for this device are

이며 설명하면Explaining

첫째, 대기중에서 부력피스톤이 밸브피스톤 보다 무겁다.First, the buoyancy piston in the atmosphere is heavier than the valve piston.

둘째, 부력피스톤은 물에 뜬다.Second, the buoyant piston floats in the water.

셋째, 밸브피스톤은 물에 가라앉는다.Third, the valve piston sinks in the water.

이 조건식들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설계한다.The piston is designed using these conditional expressions.

이 발명의 세척액 정량 투입기는 물탱크 수위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변기 세척제를 일정량만 투입하여 숙박업소 객실의 변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변기세척제가 계속해서 녹아 낭비되지 않고 물을 내릴 때만 정해진 양만큼 투입되어 자원을 절약한다.The wash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nges the level of the water tank to a predetermined amount to automatically remove the toilet cleaner even when the toilet bowl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t saves resources by putting in a fixed amount.

Claims (1)

물의 밀도와 공기의 밀도가 서로 다름을 이용하여, 장치가 물 속에 잠겼을 때는 밸브피스톤의 무게가 무겁고, 물이 빠져 장치가 대기중에 드러나면 반대로 밸브피스톤 보다 부력피스톤의 무게가 무겁게 설계, 변기 물탱크의 수위 변화에 따른 두 피스톤의 펌프작용으로 매번 일정량의 변기 세척액을 물탱크에 풀어 넣는 방법.(그림 1, 그림 2)When the device is immersed in water, the weight of the valve piston is heavy. When the device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 weight of the buoyancy piston is designed to be heavier than that of the valve piston. A method of pumping a certain amount of toilet flushing liquid into a water tank by pumping two piston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Figure 1, Figure 2).
KR1019980006040A 1998-02-26 1998-02-26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KR199900709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40A KR19990070914A (en) 1998-02-26 1998-02-26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40A KR19990070914A (en) 1998-02-26 1998-02-26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14A true KR19990070914A (en) 1999-09-15

Family

ID=6589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040A KR19990070914A (en) 1998-02-26 1998-02-26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91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1A1 (en) * 2018-06-29 2020-01-02 최정삼 Toilet water tank for cleaning and toilet equipped with same
KR20230159993A (en) * 2022-05-16 2023-11-23 박민태 Apparatus for supplying cleaning solu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1A1 (en) * 2018-06-29 2020-01-02 최정삼 Toilet water tank for cleaning and toilet equipped with same
KR20230159993A (en) * 2022-05-16 2023-11-23 박민태 Apparatus for supplying cleaning sol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9128A (en) A kind of self-cleaning device of achievable closestool
KR19990070914A (en) Toilet flushing liquid injection device
CA1103854A (en) Metering pump
CN107724489A (en) A kind of device that can realize that closestool is self-cleaning
KR20060106023A (en) Chamber pot washing apparatus
KR100676924B1 (en) Cleaning liquid of low specificgravity using the toilet bowl
CN211228773U (en) Toilet bowl capable of flushing by using water pump
CN208501827U (en) A kind of cleaning solution adding set
CN105544674B (en) A kind of closestool
CN201635154U (en) Water saving device
US8032953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CN207685948U (en) A kind of cistern liquid release
CN204876000U (en) Practice thrift interpolation device of closestool sanitizer
CN217399835U (en) Cleaning bottle and closestool using same
WO2003104086A3 (en) Dispensing device for cleaning agents
CN219364821U (en) Cleaning liquid filling device for cistern of water closet
DE69104355D1 (en) Dosing device for a toilet water tank.
KR100711611B1 (en) Toilet stool system using drainaged water
CN213682323U (en) Energy-saving water supply system
CN211037236U (en) Quick drainage launching structure
CN108951803A (en) Convenient for taking the disinfection by ultraviolet light closestool of toilet paper
CN213682338U (en) Energy-saving water supply system for hand washing sink
JP3049695U (en) Direct water-saving toilet
CN211346356U (en) Automatic moisturizing and automatic wet-type scraper blade machine water charging system who washes
CN217379133U (en) Low-pressure flushing system with foaming function and close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