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195A -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195A
KR19990070195A KR1019980004928A KR19980004928A KR19990070195A KR 19990070195 A KR19990070195 A KR 19990070195A KR 1019980004928 A KR1019980004928 A KR 1019980004928A KR 19980004928 A KR19980004928 A KR 19980004928A KR 19990070195 A KR19990070195 A KR 1999007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steam
pip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894B1 (ko
Inventor
박경순
Original Assignee
박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순 filed Critical 박경순
Priority to KR101998000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8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6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버섯과 같은 작물 재배 재료를 살균하고, 또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난방을 위한 보일러로도 사용될 수 있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밀폐된 통체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공되는 도어, 상부 개방부를 가지는 원통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포트를 가지는 본체와; 원통체와 인접하여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 탱크와; 원통체와 동심으로 원통체 내에 설치되며, 급수 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의 내부에 제공되어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실, 및 가열실에 의하여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수용하며, 증기를 원통체 내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포트를 구비한 증기실을 가지는 증기 발생부와;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 수단과; 무화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물 입자와 저수조 내의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A heating, humidif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 하우스와 같은 밀폐 공간 내에서 버섯과 같은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 조절 및 환기를 제공하는 한편, 작물의 종자 및 균주의 유해한 균을 살균할 수 있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 또는 화훼와 같은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작물은 종자(씨앗 또는 균주)의 보관 및 파종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관리가 필요하고, 종자가 다른 세균에 감염되는 경우에, 그 종자로부터 수확을 거두는 시간 동안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작물은 종자에 세균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자를 배양하기 위한 나무, 솜 또는 볏짚과 같은 버섯 재배 재료(베지)의 살균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베지의 살균 작업은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된 파종 목판(베지)은 비닐 하우스와 같이 밀폐된 공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다. 파종 목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식용 버섯 및 화훼와 같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종류의 작물은 공간 내부의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을 버섯과 화훼의 생장 조건에 알맞은 조건으로 유지되어야 함과 동시에, 공간 내부의 공기가 항상 신선하게 유지되도록 외기와 환기되어야 한다.
또한, 공간 내부와 실외의 기온이 차이가 있을 경우 즉, 실외 온도가 공간 내부의 온도 보다 높을 경우에는 공간 내부의 공기가 건조하게 됨에 따라, 작물들이 고사(枯死)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물에 직접 물을 뿌리거나 또는 종자가 파종된 목판 상부에 위치되는 파이프의 배수공을 통하여 물(관수)을 작물에 분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실외 온도가 공간 내부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유지시켰다.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정은 종래에 각각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즉, 별도의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베지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관수 장치를 이용하여 작물에 물을 공급하거나 하우스 내의 습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살균 장치를 이용하여 베지를 살균한 후에, 살균된 목판(베지)을 하우스 내에 배치하고 적당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베지의 살균과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하여 각각 별개의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이 실내 공기의 건조시 물을 직접 작물 위에 뿌리거나 또는 별도의 파이프라인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여 밀폐 공간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작물의 생육 진행 상태에 따라서 온도 및 습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한 필요한 관수량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수량의 증가에 따라 실내공간의 과습을 초래하여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 및 실외 기온에 따른 밀폐 공간 내의 건조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간 내의 공기를 수시로 환기시켜야 하므로 작물 재배 과정이 번거로움은 물론 정확한 환기량을 조절하기 어려우며, 특히 환기량이 증가될 때 실내의 습도가 외기에 의하여 저하되어 작물이 고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베지를 살균하고, 또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을 위한 보일러로도 사용되어,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의 온도를 작물 재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공기 흡입 포트 부분이 단면도로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급수 탱크, 저수조 및 버너의 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무화 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무화 수단에 의하여 무화된 물 입자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선Ⅶ-Ⅶ을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공기 흡입 포트
3 : 급수 탱크 4 : 증기 발생부
5 : 하부 케이싱 6 : 버너
7 : 무화 수단 8 : 사각 통체
9 : 원통체 10 : 도어
11 : 실외기 포트 12 : 실내기 포트
13 : 흡기 포트 개폐 모터 14 : 축
15,16 : 필터 17 : 급수구
18 : 급수 파이프 19 : 저수조
21 : 가열실 22 : 증기 통로
23 : 증기실 24 : 관형 부재
25 : 노즐 26 : 연료 공급 파이프
27, 30,31 : 물 순환 파이프 28 : 순환 펌프
29 : 라디에이터 32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33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34 : 임펠러 팬
36 : 제 1 모터 37 : 브러시
38 : 제 2 모터 39 : 물 충격 부재
41 : 증기 포트 42 : 상부 케이싱
43 : 개방부 44 : 물받이
46 : 연통 47,48 : 통로
49 : 드레인 파이프 50 : 바퀴
51 : 조작반 52 : 조작 버튼
53 : 드레인 밸브 54 : 설정 버튼
55 : 설정부 56 : 난방용 파이프
57 : 파이프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밀폐된 통체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공되는 도어, 상부 개방부를 가지는 원통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포트를 가지는 본체와; 원통체와 인접하여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 탱크와; 원통체와 동심으로 원통체 내에 설치되며, 급수 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의 내부에 제공되어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실, 및 가열실에 의하여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수용하며, 증기를 원통체 내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포트를 구비한 증기실을 가지는 증기 발생부와;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 수단과; 무화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물 입자와 저수조 내의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에서, 공기 흡입 포트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내기 포트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외기 포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포트는 밸브판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밸브판들은 90°의 위상차를 가지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도록 90°회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 포트는 바람직하게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다.
급수 탱크는 저수조로 일정한 물을 공급하도록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플로터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라디에이터는 상기 저수조와 제 1 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1 파이프에 설치된 순환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물을 공급받고, 제 2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무화 수단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에서. 제 2 파이프는 중간 지점에서 상기 증기실과 소통하는 제 3 파이프가 분기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파이프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제 2 및 제 3 파이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가 상기 급수 탱크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된다.
무화 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 1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임펠러 팬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 2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어 공급된 물을 입자로 분쇄하기 위한 브러시와; 브러시에 의하여 분쇄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물 충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디에이터는 임펠러 팬과 브러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브러시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바람직하게 저수조에 설치되는 난방용 파이프와, 상기 난방용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고온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난방을 위하여 상기 난방용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순환되는 온수를 위한 배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또한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개방부는 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물받이가 상기 개방부의 하부 외주변에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와, 본체(1) 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한 쌍의 공기 흡입 포트(2),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 탱크(3, 도 3 참조), 급수 탱크(3)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여 가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기 발생부(4), 증기 발생부(4)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6), 증기 발생부(4)와 파이프를 통하여 소통되며, 증기 발생부(4)로부터 공급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 수단(7,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본체(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사각 통체(8)와, 사각 통체(8)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원통체(9), 및 좌우 측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10)를 가진다. 급수 탱크(3)는 급수된 물의 양에 따라서 물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플로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급수 탱크(3)와 증기 발생부(4)에 물이 일정량만큼 공급되었을 때, 급수 탱크(3)의 측부에 제공된 급수구(17)가 플로터에 의하여 폐쇄된다.
본체(1)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공기 흡입 포트(2)는 실외기를 본체(1) 내로 흡입하기 위하여 개방되는 실외기 포트(11)와, 비닐 하우스와 같은 실내기를 본체(1) 내로 흡입하기 위한 실내기 포트(12)로 구분된다. 도 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트(11,12)는 포트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판(11a,12a)이 설치되며, 밸브판(11a,12a)들은 서로 90°의 위상차를 가진다. 이러한 밸브판(11a,12a)들은 축(14)을 통하여 흡기 포트 개폐 모터(13)에 연결되고,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된다. 밸브판(11a,12a)들이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밸브판(11a,12a)은 모터(13)의 작동에 의하여 1개의 밸브판(11a 또는 12a)만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공기 흡입 포트(2)의 실외기 포트(11)와 실내기 포트(12)는 본체(1)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하여 필터(15,16)가 각각 제공된다.
증기 발생부(4)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9)와 동심으로 설치되며 급수 파이프(18)를 통하여 급수 탱크(3)와 연결되는 저수조(19), 저수조(19)에 의하여 둘러싸며 버너(6)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실(21), 버너(6)에 의하여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연기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연기 통로(22), 저수조(19)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를 수용하기 위한 증기실(23) 및 증기실(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포트(41)를 가진다. 버너(6)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연소 가스는 가열실(21)의 일측부에 설치된 연통(46)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가열실(21)과 연통(46)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증기 포트(41)는 증기 차단 밸브(45)가 설치되며, 증기 차단 밸브(45)는 증기실(23)에 대한 압력 증가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증기실(23)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될 때 개방되고 소정 압력 이하일 때에는 폐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9)는 급수 파이프(18)를 통하여 급수 탱크(3)와 연결되며, 또한 물 순환 파이프(27)를 통하여 라디에이터(29)에 연결된다. 저수조(19)와 라디에이터(29) 사이의 파이프(27)에는 저수조(19)의 물을 라디에이터(29)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28)가 설치된다. 라디에이터(29)는 물 순환 파이프(30,31)를 통하여 무화 수단(7)과 증기실(23)과 소통되며, 파이프(30)에는 무화 수단(7)으로의 소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32)가 설치되며, 파이프(31)에는 증기실(23)로의 소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가 설치된다.
파이프(30)의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 수단(7)에 위치되고, 무화 수단(7)은 본체(1)의 상부 케이싱(32)에 설치되는 제 1 모터(36)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임펠러 팬(34)과, 상부 케이싱(32)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 케이싱(5)에 설치되는 제 2 모터(38)에 의하여 작동되어 공급된 물을 입자로 분쇄하기 위한 브러시(37)와, 브러시에 의하여 분쇄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물 충격 부재(39)를 포함한다. 물 충격 부재(39)는 물이 제 2 모터(38)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모터(38)에 밀봉 상태로 설치되며, 임펠러 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라디에이터(29)는 임펠러 팬(34)과 브러시(37)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파이프(30)의 단부가 브러시(37) 위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파이프(30)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브러시(37) 위로 낙하되고, 브러시(37) 위로 낙하된 물은 브러시(37)의 회전에 의하여 보다 작은 물 입자로 분쇄되고, 작은 입자로 분쇄된 물은 브러시(37)의 회전력에 의하여 원심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물 입자는 원심 운동에 의하여 브러시(37)를 에워싸도록 설치된 물 충격 부재(39)의 외벽에 부딪히게 된다.
물 충격 부재(39)에 부딪힘으로써, 보다 작은 크기의 물 입자로 분쇄됨으로써 무화되고, 무화된 물 입자는 상부 케이싱(32)에 설치된 제 1 모터(36)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 팬(34)의 회전에 의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무화된 물 입자는 위로 상승하게 되는 동안 가이드 판(20)에 의하여 임펠러 팬(34)으로 안내되어, 임펠러 팬(34)의 송풍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42)에 형성된 통로(47)를 따라서 원통체(9)와 저수조(19) 사이에 형성된 통로(48)로 이동되고, 원통체(9)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4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개방부(43)의 외부면에는 개방부(43) 보다 낮게 위치되는 원통벽으로 형성되는 물받이(44)가 제공되어, 개방부(43)를 통하여 물입자의 배출시에 원통체(9)의 외면을 따라서 흐르는 물이 물받이(44)에 고이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통상적으로 비닐 하우스와 같은 밀폐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이를 위하여 본체(1)의 하부에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50)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조작반(51)에 제공되는 다수의 버튼(51)들 중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물이 급수 탱크(3)로부터 저수조(19)에 공급된다.
또한, 공기 흡입 포트(2)들중 실외기 포트(11) 또는 실내기 포트(12)가 모터(13)의 90°회전 작동에 의하여 개방되며, 공기는 임펠러 팬(34)의 작동으로 개방된 포트를 통하여 장치 내로 흡입된다.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세균은 포트에 설치된 필터(15 또는 16)에 의하여 여과 및 살균 처리된다. 공기가 실외기 포트(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경우에, 실외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실외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지는 튜브가 실외기 포트(11)에 연결된다.
저수조(19)에 공급된 물은 순환 펌프(28)의 작동으로 파이프(27)를 통하여 라디에이터(29)로 펌핑된다. 라디에이터(29)로 공급된 물은 제 1 솔레노이드 밸브(32)가 개방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가 폐쇄된 경우에, 파이프(30)를 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 수단(7)의 브러시(37)로 낙하된다.
브러시(37)로 낙하된 물은 브러시(37)와 접촉되는 순간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고, 브러시(37)의 회전력에 의하여 원심력을 받는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하여,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 물은 바깥 방향으로 비산되며, 이러한 비산은 브러시(37)의 외부에 배치된 물 충격 부재(39)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보다 작은 입자로 분쇄되어 무화된다. 물 입자는 브러시(37) 상부에 위치된 임펠러 팬(34)의 작동에 의하여 위로 상승된다. 무화된 물 입자가 위로 상승되는 동안 라디에이터(29)를 통과하며, 라디에이터(29)를 통과하는 동안 라디에이터(29) 내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된다.
라디에이터(29)를 통과한 물 입자는 라디에이터(29) 위에 위치된 임펠러 팬(34)의 송풍력에 의하여 통로(47)를 따라서 원통체(9)와 저수조(19)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48)로 이동하여 개방부(43)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되는 물 입자의 양에 따라서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의 습도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에,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출되는 물 입자의 온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설정부(55)에 동파 방지, 수온 및 물 입자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설정 버튼(54)이 제공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설정 버튼(54)의 조작에 의하여 버너(6)가 작동되며, 버너(6)의 작동으로 저수조(19)에 저장된 물이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저수조(19) 내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무화 수단(7)으로 공급되며, 무화 수단(7)에 의하여 무화되고, 물 입자로 변환되어 무화되는 동안 냉각된 물 입자는 라디에이터(29)를 통과하는 동안, 라디에이터(29) 내를 흐르는 온수와 열교환된 상태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통로(47,48)로 이동된다.
한편, 저수조(19) 내의 물은 버너(6)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되는 동안 기화되어 증기로 변환되고, 연기 통로(22)를 통하여 증기실(23)로 이동된다. 증기실(23)로 이동된 증기는 소정의 압력을 가지도록 증기실(23) 내에서 압축되어 증기 포트(41)를 통하여 배출되어, 개방부(43)를 통하여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 내로 배출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무화된 물 입자가 라디에이터(29)를 통과하는 동안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는 한편, 가열된 물 입자가 고온의 증기와 통로(48)에서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물 입자는 소정의 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 내의 온도는 고온의 물 입자에 의하여 상승되어, 공간 내의 습도 조절과 더불어 온도가 조절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버너(6)를 작동하여 고온의 증기 및 무화된 물 입자를 배출함으로써, 제 1 솔레노이드 밸브(32)는 개방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는 폐쇄됨으로써, 버너(6)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된 물은 저수조(19)로부터 순환 펌프(28)의 작동에 의하여 라디에이터(29)로 공급되고, 파이프(30)를 통하여 브러시(37)로 공급된다.
개방부(43)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튜브가 개방부(43)에 연결될 수 있다. 베지의 살균은 상기된 바와 같이 하우스 내의 가습 및 난방을 위한 작동 상태에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폐쇄시킨 후에, 개방부(43)에 튜브(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용기 또는 목판과 같은 베지에 고온의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가함으로써, 베지에 기생하는 세균 등이 고온의 증기에 의하여 살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는 난방용 보일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를 보일러로서 사용할 때는 저수조(19)와 소통하는 여분의 난방용 파이프(56)에 별도의 순환 펌프(도시되지 않음)와 난방용 배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고, 제 1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폐쇄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를 개방함으로써, 버너(6)에 의하여 가열된 물은 파이프(31)에 설치된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를 통하여 저수조(19) 내로 순환되며, 저수조(19)의 물은 별도의 순환 펌프의 작동으로 난방용 파이프(56)를 통하여 난방용 배관으로 공급됨으로써, 난방용 보일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3)는 순환 펌프(28)가 작동되지 않을 때, 물의 순환을 방해하는 물의 대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저수조(19)에 저장된 물은 급수 파이프(27)에 연결된 드레인 파이프(49)를 통하여 드레인될 수 있으며, 드레인 파이프(49)에는 드레인 밸브(53)가 설치되어, 저수조(19) 내의 물이 드레인될 때 드레인 밸브(53)는 드레인 파이프(49)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며, 저수조(19)의 물이 사용될 때는 드레인 파이프(49)를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또한, 물이 무화 수단(7)에 의하여 무화될 때, 무화 수단(7)의 밑에 고이는 물은 파이프(5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에 의하면,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균주가 이식되는 목재, 솜 또는 볏짚과 같은 버섯 재배 재료인 베지를 살균하고, 또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을 위한 보일러로도 사용되어, 비닐 하우스와 같은 공간의 온도를 작물 재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밀폐된 통체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공되는 도어, 상부 개방부를 가지는 원통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 및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포트를 가지는 본체와;
    원통체와 인접하여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 탱크와;
    원통체와 동심으로 원통체 내에 설치되며, 급수 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의 내부에 제공되어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실, 및 가열실에 의하여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수용하며, 증기를 원통체 내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포트를 구비한 증기실을 가지는 증기 발생부와;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 수단과;
    무화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물 입자와 저수조 내의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 포트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내기 포트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실외기 포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포트는 밸브판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밸브판들은 90°의 위상차를 가지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도록 90°회전되는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포트는 바람직하게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는 저수조로 일정한 물을 공급하도록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플로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저수조와 제 1 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1 파이프에 설치된 순환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물을 공급받고, 제 2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무화 수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는 중간 지점에서 상기 증기실과 소통하는 제 3 파이프가 분기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파이프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제 2 및 제 3 파이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가 상기 급수 탱크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 1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임펠러 팬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 2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어 공급된 물을 입자로 분쇄하기 위한 브러시와; 브러시에 의하여 분쇄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물 충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디에이터는 임펠러 팬과 브러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브러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는 난방용 파이프와, 상기 난방용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고온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난방을 위하여 상기 난방용 파이프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순환되는 온수를 위한 배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물받이가 상기 개방부의 하부 외주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KR1019980004928A 1998-02-18 1998-02-18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KR10025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928A KR100258894B1 (ko) 1998-02-18 1998-02-18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928A KR100258894B1 (ko) 1998-02-18 1998-02-18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195A true KR19990070195A (ko) 1999-09-15
KR100258894B1 KR100258894B1 (ko) 2000-06-15

Family

ID=1953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928A KR100258894B1 (ko) 1998-02-18 1998-02-18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389A (zh) * 2015-12-25 2016-03-30 重庆秀才湾果蔬专业合作社 温控箱
KR20210076449A (ko) * 2019-12-16 2021-06-24 이호경 모듈형 양액 공급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2285A1 (fr) 2006-06-19 2007-12-21 Guy Negre Procede et dispositif de desinfection des sols par generation d'air comprime chaud humidifie
KR101046709B1 (ko) * 2008-06-05 2011-07-06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살균기 및 살균방법
CN105724125B (zh) * 2016-04-13 2019-01-15 平湖市报本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大棚升温装置
KR101994202B1 (ko) 2016-12-05 2019-06-28 이익범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KR102443524B1 (ko) * 2019-03-04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46977B1 (ko) * 2019-03-04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389A (zh) * 2015-12-25 2016-03-30 重庆秀才湾果蔬专业合作社 温控箱
KR20210076449A (ko) * 2019-12-16 2021-06-24 이호경 모듈형 양액 공급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8894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343B1 (ko)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KR100258894B1 (ko)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112584696B (zh) 谷物发芽装置
KR101930424B1 (ko)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JP2008283908A (ja) ハウス栽培の換気システム
CN212393394U (zh) 北方绿色种茶机
CN112638148B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RU1887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08798428U (zh) 一种蝴蝶兰培育的保温加湿装置
RU26763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0364381Y1 (ko) 농업용 냉난방 및 습도 제어 장치
KR0172102B1 (ko) 식물작물용 습도조절장치
CN215736056U (zh) 一种用于花卉种植的培育箱
KR100353493B1 (ko) 버섯재배사나 버섯종균배양실의 환기 및 난방장치
KR20070117035A (ko) 자동분무재배기
KR20180023192A (ko) 버섯 배지 살균장치를 갖는 모듈러 버섯 재배 시스템
KR200424541Y1 (ko) 자동분무재배기
KR101818738B1 (ko) 자연광을 이용한 모듈러 버섯 재배 시스템
KR101818733B1 (ko) 친환경 모듈러 식물 재배 시스템
KR200195644Y1 (ko) 버섯재배사나 버섯종균배양실의 환기 및 난방장치
KR100713232B1 (ko) 분무형 재배기
KR200331855Y1 (ko) 가정용 상황버섯 재배용기
KR20200089773A (ko) 온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638763B1 (ko) 라지에이터를 이용한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