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815A -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815A
KR19990069815A KR1019980004308A KR19980004308A KR19990069815A KR 19990069815 A KR19990069815 A KR 19990069815A KR 1019980004308 A KR1019980004308 A KR 1019980004308A KR 19980004308 A KR19980004308 A KR 19980004308A KR 19990069815 A KR19990069815 A KR 1999006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ignal
rate
real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광
Original Assignee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8000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9815A/ko
Publication of KR1999006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815A/ko

Links

Landscapes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이용하여 PN 동기가 반칩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선택 신호(S1)에 의거하여,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0); 상기 멀티플렉서(100)로 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하여 출력하는 제곱부(110);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온타임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누적부(120);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레잇 타임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 1 누적부(120)와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 2 누적부(130); 상기 제 1 누적부(120) 및 제 2 누적부(130)에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신호 및 상기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다 크기가 큰 온타임 신호 또는 레잇 타임 신호에 PN 동기를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판단부(140)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본 발명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함)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간편한 회로로 구성된 동기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확한 동기를 찾는다는 것은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광대역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은 일반적인 통신 방법과 다른점이 많은데 그중 특기할점은 변조 방법에 있어서, 원래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훨씬 넓게 신호를 확산시킨다는점이다.
이에 따라, 수신단에서 확산된 신호를 원래의 좁은 대역으로 역확산시키지 못한다면, 송신측에서 전달하려하는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되므로, 수신단에서는 송신시 확산된 신호를 다시 역확산해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의 두가지 전제 조건이 선결되어야 하는데, 그 첫째로는 송신시에 신호를 확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PN코드의 패턴은 수신단에서 사용되는 코드와 일치해야하며, 둘째로는 수신단에서 발생된 PN코드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PN 코드와 동기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한편, 상술한 두 번째 전제 조건, 즉 동기 과정은 기본적으로 동기 획득 과정과 동기 추적 과정으로 분류되며, 각각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선택할수 있는 기법이 달라진다.
여기에서, 수신측에서 송신시 대역을 확산시키기 위해 사용한 코드와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여 대역을 역확산시킬 때 PN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동기 획득 과정이고, 일단 동기 획득 과정이 끝나면 수신측의 기준 신호를 송신측에서 사용한 PN 코드 패턴과 1 칩(chip) 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동기 추적 과정이다.
특히, 동기 획득 과정에는 통상 두단계를 거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송신측에서 전송되어 오는 PN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한 PN 코드간의 상관을 이용하여, PN 동기가 한칩 이상 벗어나지 않게 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PN 동기가 반칩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본원 발명은 PN 동기가 반칩 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 획득 과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이에 대한 종래 기술의 동기 획득 장치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동기 획득 장치에는 온타임 리얼 신호(On time real signal)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On time image signal), 레잇 타임 리얼 신호(Late time real signal),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Late time image signal)로 각각 분류되어 입력된다.
여기에서, 온타임 리얼 신호는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I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I채널의 온타임 PN 코드가 상관(correlation)된 신호로서,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I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I채널의 온타임 PN 코드간에는 1칩 이내에서 PN 동기가 획득되어질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한 온타임 이미지 신호는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Q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Q채널의 온타임 PN 코드가 상관(correlation)된 신호로서,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Q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Q채널의 온타임 PN 코드간에는 1칩 이내에서 PN 동기가 획득되어질 가능성을 갖고 있다.
레잇 타임 리얼 신호는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I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I채널의 레잇 타임 PN 코드가 상관된 신호이며, I채널의 온타임 PN 코드와 I 채널의 레잇 타임 PN코드간에는 반칩의 위상차이가 있다.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는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Q채널의 PN 코드와, 수신측에서 발생된 Q채널의 레잇 타임 PN 코드가 상관된 신호이며, Q채널의 온타임 PN 코드와 Q채널의 레잇 타임 PN 코드간에는 반칩의 위상 차이가 있다.
한편,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및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는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제곱기(10,11,12,13)에 입력된다. 각 제곱기(10,11,12,13)는 일대일 대응되게 입력되는 각 신호를 제곱하여 출력함으로서, 시간 변화에 따른 입력 신호의 주파수 에러에 대한 영향을 줄여준다.
제곱기(10)와 제곱기(11)의 출력은 누적기(21)에 입력되고, 제곱기(12)와 제곱기(13)의 출력은 누적기(22)에 입력된다.
누적기(21)는 제곱기(1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곱기(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온타임 신호를 생성하고, 누적기(22)는 제곱기(12)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곱기(13)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가산하여 레잇 타임 신호를 생성한후 각각 판단부(30)에 제공한다.
판단부(30)는 누적기(21) 및 누적기(22)에서 출력되는 온타임 신호 및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온타임 및 레잇 타임에 대한 PN 동기 획득 여부를 판별한다.
즉,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한후, 두 신호를 가산한 온타임 가산치와,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한후, 두신호를 가산한 레잇 타임 가산치중에서, 예를들어 온타임 가산치가 레잇 타임 가산치보다 크다면, 온타임 신호가 보다 정확한 PN 동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레잇 타임 가산치가 온 타임 가산치보다 크다면, 레잇 타임 신호가 보다 정확한 PN 동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판단부(30)는 온타임 신호의 크기가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보다 클 경우, PN 동기를 온타임 신호에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고,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가 온 타임 신호의 크기보다 클 경우, PN 동기를 레잇 타임 신호에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동기 획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곱기가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및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에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어 있어, 4개의 제곱기를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회로 구성이 매우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단순한 구조의 동기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이용하여 PN 동기가 반칩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 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하여 출력하는 제곱부; 제 2 선택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온타임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누적부; 제 2 선택 신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레잇 타임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 1 누적부와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 2 누적부; 상기 제 1 누적부 및 제 2 누적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신호 및 상기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다 크기가 큰 온타임 신호 또는 레잇 타임 신호에 PN 동기를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판단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동기 획득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획득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플렉서 110 : 제곱부
120,130 : 누적부 140 : 판단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획득 장치의 세부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획득 장치는 멀티플렉서(100), 제곱부(110), 제 1 누적부(120), 제 2 누적부(130), 판단부(140)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는 멀티플렉서(100)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선택 신호(S1)에 의거하여,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제곱부(110)에 출력한다.
제곱부(110)는 멀티플렉서(100)로 부터 다중화되어 순차 출력되는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하여 출력함으로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 각각에 대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주파수 에러의 영향을 줄인다.
한편, 제 1 누적부(120)와 제 2 누적부(13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서로 교번적으로 작동한다. 예를들어 제 2 선택 신호(S2)가 하이 상태일 경우에는 제 1 누적부(120)가 작동하여 제곱기(110)의 출력을 수신하는 반면 제 2 누적부(130)는 작동을 중지하고, 제 2 선택 신호(S2)가 로우 상태일 경우에는 제 2 누적부(130)가 작동하여 제곱기(120)의 출력을 수신하는 반면 제 1 누적부(120)는 작동을 중지한다.
제 1 누적부(120)는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제곱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수신한후, 두신호(제곱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온타임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누적부(130)는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제곱된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수신한후, 두신호(제곱된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레잇 타임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누적부(120)의 출력과 제 2 누적부(130)의 출력은 판단부(140)에 입력되고, 판단부(140)는 제 1 누적부(120) 및 제 2 누적부(130)에서 출력되는 온타임 신호 및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온타임 및 레잇 타임에 대한 PN 동기 획득 여부를 판별한다. 즉, 온타임 신호의 크기가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보다 클 경우, 판단부(140)는 PN 동기를 온타임 신호에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고,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가 온 타임 신호의 크기보다 클 경우, 판단부(140)는 PN 동기를 레잇 타임 신호에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기 획득 장치의 입력단에 멀티플렉서를 채용하는 대신, 하나의 제곱기만으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하여 출력함으로서, 제곱기의 개수를 대폭 줄일수 있게되어, 결국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온타임 이미지 신호, 레잇 타임 리얼 신호,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이용하여 PN 동기가 반칩이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기 획득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선택 신호(S1)에 의거하여,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0);
    상기 멀티플렉서(100)로 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온타임 이미지 신호, 상기 레잇 타임 리얼 신호, 상기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각각 제곱하여 출력하는 제곱부(110);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온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온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온타임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누적부(120);
    제 2 선택 신호(S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곱부(11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리얼 신호와, 상기 제곱된 레잇 타임 이미지 신호를 가산하여 레잇 타임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 1 누적부(120)와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제 2 누적부(130);
    상기 제 1 누적부(120) 및 제 2 누적부(130)에서 출력되는 상기 온타임 신호 및 상기 레잇 타임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보다 크기가 큰 온타임 신호 또는 레잇 타임 신호에 PN 동기를 맞추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판단부(140)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동기 획득 장치.
KR1019980004308A 1998-02-13 1998-02-13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KR19990069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308A KR19990069815A (ko) 1998-02-13 1998-02-13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308A KR19990069815A (ko) 1998-02-13 1998-02-13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815A true KR19990069815A (ko) 1999-09-06

Family

ID=6589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308A KR19990069815A (ko) 1998-02-13 1998-02-13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9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52B1 (ko) * 2001-12-26 2004-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코드 획득 장치 및코드 획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52B1 (ko) * 2001-12-26 2004-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코드 획득 장치 및코드 획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3499C (en) Acquisition circuit for low chip rate option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0711477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subscriber equipments, a base station and a subscriber equipment
EP068847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control messages in a cdma cellular radio system
KR10053232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피.엔시퀀스식별장치
USRE38523E1 (en) Spreading code sequenc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fast acquisition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s
JPH1022874A (ja) 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000073917A (ko)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동기워드 생성 및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9990069815A (ko)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EP07679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acquisition and channel estimation using multiple antennas
KR100332064B1 (ko) 순환코드를 이용한 파일럿/트래픽 채널신호 전송장치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기지국 코드 획득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76607A (ko) 부분 상관기를 이용한 비동기 아이엠티2000용 세단계 동기획득 방법 및 그장치
JP2762406B1 (ja) 直接拡散符号分割通信システム
US2002015467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ling
KR100827139B1 (ko) 비동기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간 동기화장치 및 방법
KR20020058553A (ko) 시분할 듀플렉스 모드에서의 채널 코딩 장치
JP2001308780A (ja) 目標セル信号を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1352273A (ja) 符号分割多重アクセス受信方法及び符号分割多重アクセス受信機
KR100270279B1 (ko) 적응 동기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
JP3258944B2 (ja) 移動無線受信装置
JPH08204674A (ja) 時分割多重通信装置およびpll回路
KR19990061351A (ko) 코드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에서의 미세 동기 추적 회로
JP2005318316A (ja) アレイアンテナ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