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304A - 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inflammation treatment - Google Patents

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inflammation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304A
KR19990069304A KR1019980003453A KR19980003453A KR19990069304A KR 19990069304 A KR19990069304 A KR 19990069304A KR 1019980003453 A KR1019980003453 A KR 1019980003453A KR 19980003453 A KR19980003453 A KR 19980003453A KR 19990069304 A KR19990069304 A KR 1999006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icrospheres
release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89075B1 (en
Inventor
최인자
이재용
김지향
서민효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8000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075B1/en
Publication of KR1999006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0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이한 분해도를 갖는 두 가지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스피어를 각각 제조하고 이들 마이크로스피어를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한 후 바, 쉬트 또는 스트립 형태로 성형 제조한 서방성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tained-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ion, in particular, using two biodegradable polymer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composition, to prepare microspheres containing different drugs, respectively, and mixed these microspheres with water-soluble polym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tained release inflammation therapeutic agent prepared in a bar, sheet or strip form.

Description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inflammation treatment

본 발명은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이한 분해도를 갖는 두 가지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스피어를 각각 제조하고 이들 마이크로스피어를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한 후 바, 쉬트 또는 스트립 형태로 성형 제조한 서방성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tained-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ion, in particular, using two biodegradable polymer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composition, to prepare microspheres containing different drugs, respectively, and mixed these microspheres with water-soluble polym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tained release inflammation therapeutic agent prepared in a bar, sheet or strip form.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는 혈행성 및 국소 세균성 감염에 의한 염증 질환, 수술후 야기되는 감염 및 동통을 수반하는 질환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차적으로는 두가지 유효 성분을 독립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투여용 제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이한 분해 양상을 지닌 두가지 종류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유효성분을 지닌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고 이를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의 바, 쉬트 또는 스트립 형태로 성형 제조하여 국소 부위에 투여하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된 고분자 기제의 분해도 및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에 따라 목적하는 기간동안 약물을 이상성(biphasic)의 방출할 수 있도록 만든 서방성 약물 전달 제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aims at effectively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aused by hematologic and local bacterial infections, infections caused by surgery, and diseases involving pain, and secondly, the two active ingredients can be independently released. It is a formula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More specifically, by using two kinds of biodegradable polymers having different degradation patterns, microspheres having different active ingredients are prepared, mixed with water-soluble polymers, and molded into a bar, sheet or strip in a convenient form. A drug delivery agent administered topically, is a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formulation that allows the release of a drug biphasic for a desired perio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polymer base and the size of the microspheres used.

이렇게 제조된 염증 치료용 임플란트는 약물 복용시 국소적으로 약물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감염 부위에서 약물을 유효농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항생제를 과량으로 장기 투약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진 세균성 감염 질환에 적절하며, 일회 투여로 병소 부위에서 약물을 유효농도 이상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두가지 유효 성분에 대한 제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약물을 독립적으로 방출시킬 수 없는 병용 제제에 적용가능할 뿐 아니라 생분해성 물질을 사용하여 치료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국소투여형 생분해성 제제이다.Inflammatory implants prepared in this way are suitable for bacterial infections that have the disadvantage of overdosing antibiotics in the long term due to difficulty in keeping the drug abov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at the site of infection because the drug is not delivered locally when taking the drug. One-time administration can maintain the drug at the site of the lesion for longer than the effective concentration, and is applicable to concomitant formulations in which the formulation of the two active ingredients is not possible to release the drug independently, as well as post-treatment with biodegradable substances. Topical biodegradable formulations that do not need to be removed.

또한 두가지 유효성분의 병용 사용을 목적으로 하여 같은 계열의 유효 성분을 함께 사용하여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배합 제제나 항염 치료, 동통 경감 등 두가지 적응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독립적인 약물 방출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이상적인 제형이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active ingredients of the same series together for the purpose of the combination of the two active ingredients to effectively treat the two indications of synergistic action, anti-inflammatory treatment, pain relief, etc. One ideal formulation.

미생물에 의한 감염은 인간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염증과 함께 동통을 수반하는 특징이 있다.Infection by microorganisms is a disease that occurs frequently in humans and is characterized by pain and inflammation.

미생물 감염에 대한 치료에는 감염 부위에서 항균제를 세균억제농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항균제는 비경구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antimicrobial agent at the site of bacterial infection at the site of infection, and the antimicrobial agent is preferably administered parenterally.

특히, 두가지 이상의 유효성분을 병용하는 치료는 여러면에서 합리적이다.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in combination is rational in many respects.

첫 번째로는, 일부 감염증들은 일반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세균에 의해 발병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세균에 선택적으로 민감한 항균제를 병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대장의 장파열 후 나타나는 감염은 주로 호기성, 혐기성 및 호기성 그람양성구균(연쇄상 구균), 박테로이드 프라질리스(Bacteroides fragilis)와 같은 호기성 간균과 클라스트리디움(Clastridium)과 같은 그람 양성 간상균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 경우에는 호기성 균에 대한 항균제인 아미노글리코시드와 비. 프라질리스를 포함하는 혐기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제인 클린다마이신 또는 메트로니다졸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치료효과가 높다.First, some infections are usually caused by two or more bacteria, in which case it is effective to treat them in combination with an antimicrobial agent that is selectively sensitive to each bacteria. For example, infections that occur after intestinal rupture of the large intestine are mainly aerobic, anaerobic, and aerobic Gram-positive cocci (streptococci), aerobic bacillus such as Bacteroides fragilis , and Gram-positive rodents such as Clastridium . In this case, aminoglycosides and antibacterial agents against aerobic bacteria. The use of a mixture of clindamycin or metronidazole, an antimicrobial agent against anaerobic microorganisms, including praxilis, has a high therapeutic effect.

두 번째로는, 원인을 모르는 심한 감염증의 경우에는 가능한 모든 균에 적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항균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cond, in the case of severe infections of unknown origin, it is desirable to use a wide range of antimicrobial agents that can be applied to all possible bacteria.

세 번째로는, 특정한 감염증의 경우에는 동일 계열의 항균제를 병용하는 치료가 상승 효과가 클 뿐 아니라 저항성 균주 출현의 예방에도 아주 효과적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세균은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항균제에 대한 저항성을 얻으므로 여러 항균제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저항성 세균의 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rd, in the case of certain infections, treatment with the same class of antimicrobial agents is not only synergistic, but also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which generally lead to bacterial resistance to natural antibiotics. This is because the use of several antimicrobial agents in combination can prevent the emergence of resistant bacteria most effectively.

이처럼 두가지 이상의 유효성분을 병용하는 치료는 국소적 치료가 요구되는 여러 적응증에 매우 유용하다.This combination of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is very useful for many indications that require local treatment.

대표적인 예로 치주질환을 들 수 있는데, 치주질환은 국소 세균성 감염 질환으로 치은 열구에서 자라는 세균의 대사 산물인 독소에 의해 치아 주변 지지조직에 생긴 염증으로, 초기 상태인 치은염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이를 방치할 경우 잇몸이 붓고 출혈과 심한 구취를 동반하는 치주염으로 발전하게 되고 치주염이 계속 진행되면 치근막을 지지하는 콜라겐이 파괴되고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이 용해되며 이로 인해 치주 인대가 분리되어 치주낭이 형성되고 심한 경우 치아를 손상시키는 진행성 치주 질환으로까지 발전한다.A typical example is periodontal disease, which is a local bacterial infection disease caused by the toxin, a metabolite of bacteria growing in the gingival fissures. If the gums swell, develop gingivitis with bleeding and severe bad breath, and if the periodontitis continues, the collagen supporting the periodontal membrane is destroyed and the alveolar bone supporting the tooth dissolves, which causes the periodontal ligament to separate and form the periodontal sac. It develops into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that damages teeth.

진행성 치주 질환의 치료법으로는 치주낭내의 치태 제거법과 스케일링, 치근 활택술을 이용한 기계적 요법, 항생제 용액으로 감염 부위를 세척하거나 전신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화학요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감염부위에서 약물의 유효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치은 연하의 깊은 부위까지 항생제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reatments for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include removal of plaque in periodontal pockets, scaling, mechanical therapy using root root gliding, and chemotherapy for washing the infected area with antibiotic solutions or administering antibiotics system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ibiotic does not reach the deep area of the gingival swallowing can not continue.

이를 개선한 방법으로 치주낭내에 직접 약제를 투여할 수 있는 국소 투여형 임플란트(implant)가 개발되어 상품화되었으나, 대부분의 치료제가 항생 작용을 갖는 생리활성 물질만을 함유한 염증 치료제로 염증 부위의 소독과 염증에 수반되는 통증을 경감시키고 감염된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두가지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진 치료제에 대해서는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As an improved method, a topically administered implant (implant)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at can directly administer a drug into the periodontal pocket. However, most of the therapeutic agents are anti-inflammatory drugs containing only bioactive substances that have antibiotic action.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gent consisting of two active ingredients to alleviate the pain associated with and to treat an infected site is insufficient.

또한 류마치스성 관절염의 경우에도, 혈액막의 만성적 비대 및 염증 반응으로 관절 연골과 그 주위 조직이 파괴되는데 초기에는 관절의 부종과 동통이 유발되고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 관절 변형 및 강직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류마치스성 관절염 치료의 궁극적 목적은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의 변형을 막는데 있다.Also in the case of rheumatoid arthritis, the joint cartilage and surrounding tissues are destroyed by chronic hypertrophy and inflammatory reactions of the blood membrane.In the early stages, joint swelling and pain are caused and joint deformation and stiffness occur as inflammation progresses. The ultimate goal of treating arthritis is to reduce pain and inflammation and to prevent joint deformation.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관절염 치료법에는 전신적인 치료, 약물 요법 및 관절에 대한 국소적인 치료가 있다.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강한 진통 작용과 항염 효과를 동시에 갖는 단일 약물로 아스피린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스피린은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그 대신 아세트산살리실산(acetylsalyclic acid),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이부프로펜(Ibuprofen), 페노프로펜 칼슘(fenoprofen calcium), 톨메틴 나트륨염(tolmetin sodium), 나프록센(Naproxen), 피록시캄(piroxicam) 및 스테로이드계 약물 등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진통 작용은 있으나 소염 작용은 없으므로,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는 소염 작용을 갖는 약물과의 병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약물이 가지고 있는 독성과 잇점을 잘 비교하여 두가지 약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제의 포뮬레이션이 요구되고 있다.Commonly used arthritis therapies include systemic treatment, drug therapy and topical treatment for joints. Aspirin is well known as a single drug that has a strong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However, aspirin has side effects that cause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stead, acetylsalyclic acid, phenylbutazone, indomethacin, ibuprofen, fenprofen calcium, Tolmetin sodium, naproxen, piroxicam, and steroid drugs are being used. However, since these drugs have analgesic action but no anti-inflammatory action, the combination with drug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on is required to treat arthritis.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a formulation of a drug that can release the two drugs independently by comparing the toxicity and benefits of drugs.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국소 치료법으로 관절 부위에 스테로이드 약물을 주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약물을 10일 간격으로 자주 투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약물의 반복 투여로 인한 이차 감염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절염 치료에 있어서도 일회 투여로도 장기간 유효 농도 이상의 약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면서 동시에 약물 방출 후 몸안에서 자연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제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Currently used topical treatment is a method of injecting steroid drugs in the joint area, but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secondary infection due to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the drug with the cumbersome administration of the drug every 10 days. Therefore, even in the treatment of arthriti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gent that can be continuously released into a drug having a long-term effective concentration even at a single dose and can be naturally removed from the body after drug release.

한편, 정형외과 부분의 세균 감염성 질환중의 하나인 골수염도 국소 투여형 제제가 요구되는 질환이다. 골수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a coil),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폐렴구균(Pneumococc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호혈균속(Hemophylus)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으로, 주로 일차적 원발 병소에서 경미한 균혈증을 일으키고 이후 혈류를 통해 일어나는 혈행성(hematogenous)이고, 수술 치료 후에도 병원성 세균의 감염으로 인해 재발 가능성이 큰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뼈의 해부학적인 특징으로 골수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감염 부위에서 일종의 생체막(biofilm)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생체막에 쌓여 있는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해서는 최소저지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보다 높은 농도의 항생제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항생제가 정상 뼈에서 보다 감염된 뼈속으로 더 잘 침투됨에도 불구하고, 주사를 통한 전신투여와 같은 기존의 항생 치료법으로는 항생제가 감염부위에 국소적으로 도달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osteomyelitis, one of the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of the orthopedic part, is also a disease requiring a topical dosage form. Osteomyelitis is an inflammation caused by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schericha coil), Streptococcus genus (Streptococcus),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Pseudomonas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hohyeol Species (Hemophylus) bacteria, mainly primary It is known to be a hematogenous disease that causes mild bacteremia in the primary lesion and subsequently occurs through the bloodstream, and is highly likely to recur due to inf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even after surgical treatment. Bone-causing osteomyelitis, a type of bone anatomy, forms a biofilm at the site of infection, and antibiotics at concentrations abov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re used to remove the bacteria that accumulate on the biofilm. Should be. However, even though antibiotics penetrate better into infected bones than in normal bones, there is a limitation that conventional antibiotics, such as systemic administration by injection, do not reach the affected area locally.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골수염의 치료법으로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배농과 부골을 제거한 후 생리 식염수 또는 정제수에 혼합한 과량의 항생제로 염증 부위를 세척하는 관주 요법과, 수술 후 주사제나 경구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전신 투여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발병 부위에서의 항생제 농도가 체 조직의 경우에서보다 낮아 효과적이지 못하고, 항생제 과다 투여로 인해 투여 부위의 연조직 손상, 신장과 간에 독성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갖고 있으며, 항생제의 반복 투여 및 장기간 투여의 번거로움이 문제가 되고 있다.Currently used osteomyelitis treatments include surgical treatment to remove drainage and bones, and then use irrigation to clean the inflammatory site with an excess of antibiotics mixed with saline or purified water, followed by continuous injection or oral administration. There is systemic administration. However, these treatments are not effective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antibiotics at the site of infection is lower than in the case of body tissues, and they have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soft tissue damage at the site of administration and kidney and liver toxicity due to overdose of antibiotics. The hassle of administration and long term administration is a problem.

이에 따라 전신 투여보다는 외과적 수술로 임플란트를 도입하는 국소 전달형 약물체의 도입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약물 방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면서 투여 부위에 대한 적합성 및 점착성이 좋고, 과민 반응을 일으키지도 않으며, 치료 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제제학적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두가지 유효 성분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독립적인 방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병용 제제의 포뮬레이션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a topical delivery drug that introduces an implant surgically rather than systemic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it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to control the rate of drug release and good adhesion and adhesion to the site of administration. It requires pharmaceutical properties that do not cause hypersensitivity reactions and do not need to be remove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formulation of a combination preparation which can exhibit an independent release pattern while simultaneously using two active ingredients in order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

이러한 제제가 설계된다면 항균 및 항생 치료와 더불어 감염시 수반되는 동통 경감을 위하여 소염 진통제 및 국소 마취제와의 병용 사용이 용이하게 되고 일차 항생제에 의해 발생되는 내성균에 대한 2차 항생제와의 포물레이션이 유용하게 되어 제한적 요소를 많이 안고 있는 항생 치료에 개선책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If such formulations are designed, the combin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local anesthetics, combined with antimicrobial and antibiotic treatment, eases the pain associated with infection, and is useful for the formation of secondary antibiotics against resistant bacteria caused by primary antibiotic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ntibiotic treatment that has many limitations.

이를 위해 우선 약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기제는 몸안에 삽입된 후 약물을 방출하고 생체내에서 분해가 가능하며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 안전해야 하고 약물 방출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물성 및 기능성을 갖는 물질이어야 한다.For this purpose, first, the polymer base containing the drug should be inserted into the body to release the drug, decompose in vivo, be biocompatible, safe, and have a physical and functional substance capable of controlling drug release. .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한 방출 조절 시스템(controlled release system)으로 이용되고 있는 국소 약물 송달 체제(local drug delivery)로는, 미국특허 제 5,599,553 호에 미노싸이클린(minocycline) HCl 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혼합하여 제조한 치주염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정형 외과 제제로 항생제를 함유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비이드(polymethylmethacrylate bead)를 수술전 후 골강내에 삽입하게 한 국소 투여형 골수염 치료제도 보고된 바 있으나[Tsukayama et al,Orthopedics, 11, 1285, 1988], 이 제제는 비분해성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고분자 기제로 사용함으로써 일정 기간 후 재수술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재수술시 이차적 세균 감염의 우려가 남는다.As a local drug delivery system used as a controlled release system containing a bioactive substance, US Pat. No. 5,599,553 mixes minocycline HCl and polycaprolactone. A periodontitis therapeutic agent prepa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There have also been reports of topical administration of osteomyelitis, in which antibiotic-containing polymethylmethacrylate beads were inserted into the bone cavity before and after surgery [Tsukayama et al, Orthopedics , 11, 1285]. , 1988], the use of non-degradable polymethylmethacrylate as a polymer base has the need to be removed by reoper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leaving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 during reoperation.

이에 따라 체내에서 소멸되는 국소 투여용 제제로서 고분자량과 저분자량의 생분해성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에 겐타마이신(gentamycin)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미세한 입자나 필름 형태로 제조한 다수의 제형이 보고되고 있으나(Mauduit et al.,J. Control. Rel. 23, 209-230(1993)), 이 제형은 약물의 초기 방출량이 매우 많고 약물의 방출이 균일하지 못하고 완전하지도 못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As a result, many formulations prepared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or films after homogeneous mixing of gentamycin with high-molecular-weight and low-molecular-weight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 are reported. (Mauduit et al., J. Control. Rel. 23 , 209-230 (1993)), however, this formulation has the limitation that the initial release of the drug is very high and the release of the drug is not uniform or complete.

생분해성 물질을 기제로 하여 현재 상품화가 이루어 지고 있는 제품으로 시오스 노바사(Scios Nova, 미국)가 개발한 셉타신(SEPTACIN) 임플란트가 있다. 이 상품은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인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를 이용한 바이오델(BIODEL) 약물 전달체에 겐타마이신(gentamycin)을 포뮬레이션한 것으로 고농도의 국소 약물 농도를 유지하고 있고 낮은 혈중 농도(low circulating level)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One product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based on biodegradable materials is the SEPTACIN implant developed by Scios Nova (USA). This product is formulated with gentamycin in the biodell drug carrier using biodegradable polymer polyanhydride, which maintains high concentration of local drug and low circulating By maintaining the level) it was intended to improve the problem.

그러나 이 제형들은 한가지 유효 성분의 방출만을 다룬 제제들로 이 제형에 두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성분이 독립적으로 방출되지 못하고 또한 완전하게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가지 이상의 유효성분의 방출을 위해서는 새로운 약물 전달체가 도입되어야 한다.However, these formulations are intended only for the release of one active ingredient. When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are applied to the formulation, the respective ingredients are not independently released and are not completely released. Therefore, new drug carriers must be introduced for the release of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두가지 유효 성분을 방출하는 복합 제제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 제형이 미국 특허 제 4,933,182 호에 개시되고 있는데, 이 제형은 치주염과 같은 국소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국소 투여용 임플란트 제제로, 제 1 약물을 비수용성 생분해성 고분자와 혼합하여 미세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제 2 약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기제에 분산시켜 성형 제조한 제제이다. 이 제형에서는 수용성 고분자 기제에 포함되어 있던 제 2 약물이 일차적으로 다량 방출되고 이후 생분해성 고분자 기제가 분해됨에 따라 제 1 약물이 이차적으로 서서히 방출된다. 따라서 이 제형에서는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인 생분해성 고분자의 용해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두가지 약물의 독립적인 방출 양상을 얻고 있다.As a combination formulation that releases two active ingredients, a formulation using a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 is disclosed in US Pat. No. 4,933,182, which is a topical administration implant formulation for treating topical bacteri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To prepare a fine particles by mixing with a water-insoluble biodegradable polymer and dispersed in a water-soluble polymer base containing a second drug is a formulation prepared. In this formulation, the first drug is released slowly, primarily as the second drug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polymer base is first releas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n the biodegradable polymer base is degraded. In this formulation, the difference in solubility between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water-insoluble biodegradable polymer is used to obtain the independent release of the two drugs.

또한, 미국 특허 제 5,268,178 호에는 고분자량과 저분자량의 생분해성 고분자 기제에 두가지 고분자와 두가지 약물과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혼합함으로써 약물의 이상성 방출을 시도하였으나, 복수 약물의 독립적인 방출 양상을 이루지는 못했다.In addition, U.S. Patent No. 5,268,178 attempts to release the drug abnormally by mixing the high molecular weight and low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mer bases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of the two polymers and the two drugs. I could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고유 특성인 분해도를 주요 요인으로 이용하여 서로 다른 분해도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약물을 함유하는 두가지 이상의 마이크로스피어라는 미세입자를 제조함으로써 2가지 이상의 약물의 독립적인 방출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마이크로스피어 제조조건을 달리하여 크기에 따른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하여 이상성(biphasic)을 갖는 제제를 만들고자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wo or more microspheres containing different drugs with different degrees of decomposition using the degree of decomposition, which is an inherent property of biodegradable polymers, to achieve independent release of two or more drugs In order to prepare a formulation having biphasic by controlling the rate of drug release according to the size by varying the microsphere manufacturing condi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이 독립적으로 방출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in which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can be released independently and show continuous efficacy.

도 1은 수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제제의 약물 방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drug release of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soluble polymer.

도 2(a) 및 2(b)는 크기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어의 약물 방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 (a) and 2 (b) are graphs showing drug release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size.

도 3은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어의 약물 방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drug release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types of biodegradable polymers.

도 4 내지 9는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바의 약물 방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to 9 are graphs showing drug release of strips or bars prepared in Examples 1-6.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1) 제 1 약물 및 제 1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 1 마이크로스피어; (2) 상기 제 1 약물과 상이한 제 2 약물 및 제 2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 1 마이크로스피어와 상이한 분해도를 갖는 제 2 마이크로스피어; 및 (3)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성 약물 방출하는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1) a first microsphere consisting of the first drug and the first biodegradable polymer; (2) a second microsphere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decomposition than the first microsphere, consisting of a second drug different from the first drug and a second biodegradable polymer; And (3) a water-soluble polymer, there is provided a 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treating an ideal drug-releasing inflammation.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조성물은 2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두가지 이상의 마이크로스피어라는 새로운 형태의 약물 전달체를 점착성과 유연성을 주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혼합한 후 필름, 로드 및 스트립으로 성형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감염 부위에 직접 삽입 또는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병소의 체액 성분에 의해 일차적으로 분해가 빠른 제 1 마이크로스피어가 분해 또는 붕해되어 제 1 약물이 다량 방출되고, 이차적으로 분해가 늦은 제 2 마이크로스피어가 서서히 분해 또는 붕해되어 제 2 약물이 방출된다.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피어의 분해도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구성성분, 결정성 및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방출된 제 1 약물은 약효에 따라 병소의 세균 대부분을 짧은 시간 내에 사멸시키거나 소염 진통 효과를 내게 되고, 이차적으로 방출된 제 2 약물이 확산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를 통해 서서히 방출되어 약물을 유효 농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감염 부위에 남아 있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 초기에 다량의 약물을 방출시켜 약효를 증대시키고, 장기간 병소에 약물을 유효 농도 이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치료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복합 성분의 독립적인 방출을 이루는 혼합 제제이다.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to films, rods and strips by mixing two or more new forms of drug carriers, called microspheres comprising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with water-soluble polymeric materials that provide adhesion and flexibility.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rectly inserting or attaching to the site of infection, whereby the first microsphere, which is rapidly degraded, is first degraded or disintegrated by the body fluid component of the lesion to release a large amount of the first drug, and secondary degradation is The late second microspheres are slowly degraded or disintegrated to release the second drug.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spheres can be controlled by the molecular weight, constituents, crystallinity and size of the microspher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The first drug released primarily kills most of the bacteria in the lesion or has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effect in a short time, and the second released drug is slowly released through diffusion or degradation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abov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to inhibit or kill the growth of bacteria remaining at the site of infection. 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formulation which releases a large amount of drug at the beginning of administration to increase the drug efficacy and maintains the drug at an effective concentration above the long-term lesion for effective treatment as well as to achieve independent release of complex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제 성형시 제조 공정상 간편하게 하고 균일한 분해 양상을 갖으며 초기 약물 방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점착성을 갖는 수용성 고분자를 혼합함으로써 용해도 및 유연성을 개선시키고자 하였으며, 병소내의 체액 등 수용성 성분과 접촉하여 수시간 또는 하루 이내에 수분을 머금게 하여 균일한 분해 양상을 갖도록 하여 유효 성분을 고르게 방출시키게 하고, 이차적으로 마이크로스피어내의 유효 성분을 서서히 방출시켜 장기간 동안 약물을 유효 농도 이상으로 유지시켜 이상성(biphasic)의 방출 양상을 갖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tended to improve the solubility and flexibility by mixing a water-soluble polymer having a tackin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itial drug release in a simple and uniform decomposi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water-soluble components such as body fluid in the lesion In contact with water and within a few hours or a day to have a uniform decomposition pattern to evenly release the active ingredient, secondly to slowly release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microsphere to keep the drug abov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biphasic).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기제로는 생분해성 물질로 물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등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생성하는 알파-하이드록시 카르복시산 유도체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분해도를 달리 가질 수 있도록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의 폴리글리콜산, D,L-폴리락트산(D,L-polylactic acid), L-폴리락트산(L-polylactic acid),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이 적합하며, 이 고분자는 약물의 담체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방출 조절 기능을 가지며 생분해성이고 생체적합성을 가진다.As the biodegradable polymer base, a polymer of an alpha-hydroxy carboxylic acid derivative that is hydrolyzed by water to produce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water and carbon dioxide is preferable. In particular, low molecular weight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glycolic acid, D, L-polylactic acid, L-polylactic acid, copolymers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to have different decomposition degrees [poly (lactic-co-glycolic acid)] and polycaprolactone (polycaprolactone) are suitable, and these polymers act as carriers of drugs, have release control functions, and are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피어 제조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0 이고 2,000 내지 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2종의 마이크로스피어 중 일차적으로 분해거동을 나타내는 제 1 마이크로스피어에 사용되는 저분자량의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내지 15,0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종의 마이크로스피어중 이차적으로 분해거동을 보이는 제 2 마이크로스피어에 사용되는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저분자량의 생분해성 고분자보다 분해도가 느린 것으로,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정성을 갖고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제 1 마이크로스피어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제 2 마이크로스피어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to prepare the micro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00 to 500,000 and 2,000 to 200,0000. In particular, the low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mers used in the first microspheres exhibiting degradation behavior among the two types of microspheres preferabl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and more preferably 2,000 to 15,000. . In addition, as the high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mer used in the second microsphere of the two types of microspheres exhibiting secondary decomposition behavior, the degree of decomposi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mer, an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is 5,000 to 500,000.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crystallinity an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s are 30,000-200,000. Howeve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for the first microspher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used for the second microsphere.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피어의 분해거동은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 이외에도 구성 성분 및 결정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decomposition behavior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spher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tituents and crystallinity in addition to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상기 약물로는 항원-단백질(Ag-protein), 글리세릴 요오드(glyceryl iodide), 페놀(phenol) 등의 살균제;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 테트라싸이클린계, 클로람페니콜,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에리스로마이신계 등의 항균제 및 항생제;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플루비프로펜,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이부페낙,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소염진통제; 프리드니솔론, 덱사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및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부신 피질 호르몬 및 염산 테트라카인, 리도카인, 디부카인, 프로카인, 벤조카인, 에틸 아미노벤조에이트등의 국소마취제 및 파클리탁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약물이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ug may be a disinfectant such as an antigen-protein, glyceryl iodide, phenol, etc .; Antibacterial agents and antibiotics such as penicillin, cephalospor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aminoglycoside, and erythromycin; Anti-inflammatory analgesics, such as aspirin, naproxen, ibuprofen, flubiprofen, indomethacin, diclofenac, ketoprofen, pyroxicam, tenoxycam, ibufenac, acetaminophen; Examples of corticosteroids such as pridnisone, dexamethasone, triamcinolone, acetonide, and prostaglandin, and local anesthetics such as tetracaine, lidocaine, dibucaine, procaine, benzocaine, and ethyl aminobenzoate, and paclitaxel, The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항균제로서는 반코마이신, 겐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가나마이신, 미노싸이클린, 테트라싸이클린, 또는 그의 염산염이 이용될 수 있고, 항생제로서는 오플록사신, 메트로니다졸, 암피실린, 에리스로마이신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antimicrobial agent, vancomycin, gentamicin, tobramycin, kanamycin, minocycline, tetracycline, or hydrochloride thereof may be used, and as antibiotics, oploxacin, metronidazole, ampicillin, erythromycin may be used.

또한 제 1 또는 제 2 약물에는 하나의 약물이 사용될 수 도 있고 두가지 이상의 약물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drug may be used for the first or second drug, or two or more drugs may be mixed and used.

특히, 초기에 다량 방출되는 약물로는 항균 범위가 넓은 항생제, 소염진통제가 바람직하고, 서서히 방출되는 약물로는 특정 항균범위를 갖는 항생제가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 drug that is initially released in a large amount is preferably an antibiotic having a broad antimicrobial range and an anti-inflammatory drug, and a drug having a specific antibacterial range is preferable as a slowly released drug.

상기 약물의 함량은 마이크로스피어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이며, 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drug is 1 to 50%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microspheres, preferably 5 to 30% by weight.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피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0 내지 99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이다.The content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sphere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50 to 99% by weight, preferably 50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균제, 항균제, 항생제, 소염 진통제 및 국소 마취제의 조합은 물론 장기간 항생 치료시 발생하는 내성균에 대한 2차 항생제를 포함한 항생 제제의 포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제제학적 특징을 가진다.Accordingly,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harmaceutical feature that allows the combination of fungicides, antimicrobials, antibiotics,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local anesthetics, as well as formulations of antibiotics, including secondary antibiotics against resistant bacteria that arise during long-term antibiotic treatment.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긴산나트륨, 펙틴, 카라기난, 겔란,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카보폴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가수분해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도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30 내지 37℃의 온도에서 필름, 로드 또는 스트립의 유연성을 증대시켜 투여에 이로움을 주고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As the water-soluble polymer, a polysaccharide-based polymer may be used, and sodium alginate, pectin, carrageenan, gellan, chitosan,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and carbopol are preferable. These water-soluble polymers do not directly affect the hydrolysi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but can control the drug release rate according to the solubility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film, rod or strip at a temperature of 30 to 37 ℃ Benefit from administration and facilitate molding.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약물의 방출속도 및 제제의 강도, 유연성 등의 물리 화학적인 성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수분을 머금는 양이 많아져 분해도를 촉진시킬 수 있고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수분을 머금는 양이 적어져 분해 기간이 길어지나 강도가 높아 쉽게 부서지며 제제의 유연성이 떨어져 사용시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5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The content of water-soluble polymer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and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preparation. Too much content of water-soluble polymers can increase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therein, which promotes the degree of decomposition, while too little content of water-soluble polymers reduces the amount of water containing less water, resulting in a longer decomposition period but higher strength and easier breakage. There is inconvenience when using it apart.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 to 50% by weight, preferably 10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착색제, 점성조절제, 항산화제 등 기타 첨가제 등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other additives such as colorants, viscosity regulators, antioxidants, etc.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 쉬트, 로드, 필름 또는 스트립의 형태로 가공되어 임플란트로 성형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rocessed into the form of a bar, sheet, rod, film or strip and molded into an implant.

이하, 약물 함유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drug-containing microsphere will be described.

약물 함유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자들이 이미 대한민국 특허 제 95-10671 호로 출원한 바 있는 수용성 항생제를 함유하는 서방성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약물을 막자 사발 또는 제트 밀 등으로 잘게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조절한 후 생분해성 고분자와 균일하게 혼합하고 디클로로메탄을 넣어 균일하게 현탁시켜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다. 이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을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록사머 수용액에 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킨 후 여과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함량 및 수득률을 계산한다. 다른 약물에 대해서도 분해도가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함유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한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drug-containing microspheres may use a method for preparing the sustained-release microspheres containing water-soluble antibiotics, which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ready filed in Korean Patent No. 95-10671. That is, the drug is pulverized finely in a mortar or jet mill to adjust the particle size, and then uniformly mixed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and put into dichloromethane to uniformly prepare a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is added to an aqueous polyvinyl alcohol or poloxamer solution to emulsify, dichloromethane is evaporated, filtered off,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dried to calculate the content and yield. Drug-containing microspheres are prepared using the same method as above using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gradation for other drugs.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스피어의 평균 크기는 지름 20 내지 200㎛가 적합하다.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는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시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화 단계에서 교반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는 약물의 방출속도 및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크기가 클수록 방출속도는 느려지고 방출기간은 길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단계에서 조건을 조절하여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방출 속도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average size of the microsphere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is preferably 20 to 200 탆 in diameter. The size of the microspher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 the preparation of the microspheres, for example, the size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in the emulsification step.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microsphere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release rate and duration of the drug. The larger the size, the slower the release rate and the longer the release perio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lease rate and dura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microspheres by adjusting the conditions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microspher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구성 성분, 결정성 및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에 의해 2가지 마이크로스피어의 분해도를 조절하게 되고, 더 나아가 약물의 이상성 방출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two microspheres can be controlled by the molecular weight, constituents, crystallinity, and size of the microspher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and further, the ideal release of the drug can be controlled.

이하, 임플란트 제형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paring an implant formul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가지의 약물 함유 마이크로스피어를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한 후 여기에 증류수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고분자 현탁액 또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한다. 이때, 증류수의 첨가량은 조성물을 필름, 로드 또는 스트립으로 성형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증류수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필름 또는 스트립으로의 성형이 어렵고 증류수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약물 함유 마이크로스피어를 수용성 고분자 기제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렵다. 이점을 고려하여 하이드로겔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농도가 50 중량% 이하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농도가 1 내지 2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는 것이다.Two drug-containing microsphere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are mixed with a water-soluble polymer, and then distilled water is added thereto and mixed well to prepare a polymer suspension or a hydrogel. In this case,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added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the composition into a film, rod or strip. If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too large, it is difficult to form into a film or strip, and if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too small, the drug-containing microspheres may be used as a water-soluble polymer Difficult to evenly distribute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referable to add distilled wate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hydrogel is 5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distilled water is add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hydrogel is 1 to 20%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5 to 15% by weight.

상기 하이드로겔을 아크릴판 또는 금속판에 고르게 펴고, 그 위에 실리콘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은 후 롤러로 압착하여 두께를 균일하게 한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거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하여 필름을 얻는다.The hydrogel is evenly spread on an acrylic plate or a metal plate, covered with a polyester film coated with silicon on it, and then pressed with a roller to make the thickness uniform. The polyester film is then removed and dried in air to yield a film.

병소 부위의 크기를 고려할 때 최종 제형인 필름, 로드 또는 스트립의 두께는 5 mm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이다. 또한 투여 제형의 크기는 가로 5 내지 10 mm와 세로 1 내지 3 mm로, 가로 6mm와 세로 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 size of the lesion site, the thickness of the final formulation film, rod or strip is preferably 5 mm or less, more preferably 1 to 4 mm. In addition, the dosage form is preferably 5 to 10 mm wide and 1 to 3 mm long, 6 mm wide and 2 mm long.

또한 바 및 로드는 유효성분, 서로 다른 성분의 마이크로스피어를 함유한 하이드로겔을 주사기에 넣은 후 피스톤을 밀어 넣어 주면서 지름 1 내지 3 mm이고 길이 6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2 mm, 길이 10 mm인 로드를 제조한다.In addition, the bar and the rod are 1 to 3 mm in diameter, 6 to 15 mm in length, preferably 2 mm, and 10 mm in length while inserting a hydrogel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microspheres of different components, into the syringe and then pushing the piston. The phosphorus rod is prepared.

상기 필름 또는 스트립은 2가 또는 3가 양이온 염의 수용액으로 코팅하여, 수화후의 점착성을 제거하고 스트립의 분해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양이온 염으로는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바륨 및 염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한데, 특히 염화칼슘은 3시간 이내의 짧은 기간 내에 타액에 의해 수화되는 제형에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고, 염화바륨은 1 내지 2주일 동안 제형이 유지되는 장기간 제형에 적당하다. 이들 2가 또는 3가 양이온 염의 수용액 중 농도는 1내지 10%가 바람직하며, 특히 2 내지 5%가 더욱 바람직하다. 코팅 방법으로는 염 수용액에 필름 또는 스트립을 담근 후 건조시키는 방법과 필름 또는 스트립에 염 수용액을 스프레이하는 방법이 있는데, 스프렝이에 의하여 코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film or strip may be coat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a divalent or trivalent cation salt to remove tack after hydration and to prolong the decomposition time of the strip. Preferred cationic salts ar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barium chloride and aluminum chloride, in particular calcium chloride is suitable for use in formulations which are hydrated by saliva within a short period of up to 3 hours, and barium chloride is formulated for 1-2 weeks. It is suitable for long term formulations to be maintained. The concentration of these divalent or trivalent cation salts in an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1 to 10%, more preferably 2 to 5%. Coating methods include a method of dipping a film or strip in an aqueous salt solution and then drying and a method of spraying an aqueous solution of salt in a film or strip, and a method of coating by sprue is preferable.

또한 양이온 금속의 종류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 및 팽윤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치료기간 등을 고려한 적당한 금속 이온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ubility in water and the swelling rate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ationic metal, an appropriate metal ion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reatment period.

본 발명에서는 두가지 유효 성분의 독립적인 약물 방출을 위해 체내에서 분해되는 의료 고분자인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기제로 사용하고 두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을 독립적으로 함유한 마이크로스피어 약물 전달체를 도입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이 단순한 분산이 아닌 분산과 분해 메카니즘에 따라 더욱 이상적으로 서방출하고 두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의 독립적인 방출 양상을 보이며 균일하고 완전한 방출과 더불어 장기간 방출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that is a medical polymer that is decomposed in the body for the independent drug release of the two active ingredients as a polymer base and by introducing a microsphere drug carrier containing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independently, the release of the drug According to the dispersing and decomposition mechanism, rather than simple dispersion, ideally sustained release and independent release of two or more active ingredients are achieved, resulting in long-term release with uniform and complete releas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임플란트 제형은 발병 부위 즉, 병소 부근에 삽입되어 1회 삽입으로 2가지 약물을 연속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여 국소 감염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Therefore, the implant formula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near the site of onset, that is, near the lesion, and slowly release the drug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succession with two drugs in a single insertion to treat a local infectious diseas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제조예 1: 소염 진통제 함유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containing microspheres

분자량 3,000 인 폴리락트산 1.6 g 및 입자 크기 10 ㎛ 이하인 이부프로펜 분말 0.4 g 을 디클로로메탄 2 ㎖ 에 가하고 저어서 이부프로펜이 분산된 폴리락트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5%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500 ㎖에 가하고 6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실온에서 서서히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스피어를 여과하고, 증류수 세척한 후 건조시켜 이부프로펜 함유 폴리락트산 마이크로스피어를 얻었다. 수득된 마이크로스피어는 입자 크기가 평균 100 ㎛ 이며 약물 함량은 약 27 내지 28 중량% 이다.1.6 g of polylact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 and 0.4 g of ibuprofen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μm or less were added to 2 ml of dichloromethane to prepare a polylactic acid solution in which ibuprofen was dispersed. This solution was added to 500 ml of 5%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stirred at a speed of 600 rpm to emulsify, and dichloromethane was slowly evaporated at room temperature to prepare microspheres. The microspheres were filtered,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dried to obtain ibuprofen-containing polylactic acid microspheres. The microspheres obtained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0 μm and a drug content of about 27 to 28% by weight.

제조예 2, 3: 소염 진통제 함유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3: Preparation of microspheres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

하기 표 1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다.A microspher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able 1 below.

조성Furtherance 크기(㎛)Size (μm) 약물함량(%)Drug content (%)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 약물drug 종류Kinds 분자량Molecular Weight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락트산과 글리콜산의공중합체 (50:50)Copolymers of lactic and glycolic acids (50:50) 6,7006,700 디클로페낙Diclofenac 120120 24 - 2524-2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D,L-폴리락트산D, L-polylactic acid 7,2007,200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0100 22 - 2322-23

제조예 4 내지 7: 항생제 함유 생분해성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Preparation Examples 4 to 7: Preparation of antibiotic-contain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하기 표 2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다.A microspher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of Table 2 below.

조성Furtherance 크기(㎛)Size (μm) 약물함량(%)Drug content (%)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 약물drug 종류Kinds 분자량Molecular Weight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D,L-폴리락트산D, L-polylactic acid 7,2007,200 미노싸이클린 염산염Minocycline Hydrochloride 100100 17 - 1817-18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D,L-폴리락트산D, L-polylactic acid 12,50012,500 오플록사신Ofloxacin 120120 27 - 2827-28 제조예 6Preparation Example 6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75:25)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75:25) 100,000100,000 반코마이신Vancomycin 80-9080-90 27 - 2827-28 제조예 7Preparation Example 7 락트산과 글리콜산 공중합체 (50:50)Lactic and Glycolic Acid Copolymers (50:50) 72,50072,500 암피실린Ampicillin 9090 14 - 1514-15

제조예 8 내지 10: 교반속도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Preparation Examples 8 to 10: Preparation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stirring speed

하기 표 3의 조성 및 교반속도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다.A microspher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the composition and stirring speed of Table 3 below.

조성Furtherance 교반속도(rpm)Stirring Speed (rpm) 크기(㎛)Size (μm) 약물함량(%)Drug content (%)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 약물drug 종류Kinds 분자량Molecular Weight 제조예 8Preparation Example 8 D,L-폴리락트산D, L-polylactic acid 12,50012,500 오플록사신Ofloxacin 900900 60-8060-80 27 - 2827-28 제조예 9Preparation Example 9 D,L-폴리락트산D, L-polylactic acid 12,50012,500 오플록사신Ofloxacin 1,5001,500 20-4020-40 26 - 2726-27 제조예 10Preparation Example 10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75:25)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75:25) 100,000100,000 오플록사신Ofloxacin 1,5001,500 30-6030-60 26 - 2726-27

비교예 1: 수용성 고분자 종류에 따른 제제의 약물 방출 시험Comparative Example 1: Drug Release Test of Formulation According to Water-Soluble Polymer Type

제조예 1 또는 5의 마이크로스피어에 카보폴, 알긴산 나트륨 또는 펙틴을 첨가하고 여기에 증류수 1.5g을 가하고 잘 혼합한 후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이 하이드로겔을 가로 10 cm, 세로 10 cm 및 높이 0.5 mm이고 밑면이 막힌 아크릴 상자에 넣고 고르게 편 후, 그 위에 실리콘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고 롤러로 압착한 다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필름은 가로 6 mm 및 세로 2 mm 내외의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스트립을 얻었다.Carbopol, sodium alginate or pectin was added to the microspheres of Preparation Example 1 or 5, and 1.5 g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mixing well to prepare a hydrogel. The hydrogel is placed in an acrylic box 10 cm wide, 10 cm long and 0.5 mm high, with a closed base, evenly folded, covered with a silicone coated polyester film on it, pressed with a roller, and then removed from the polyester film at room temperature. Dried. The film was cut to a suitable size of about 6 mm wide and 2 mm long to obtain a strip.

이 제제를 50 ㎖ 코니칼 튜브에 넣고 여기에 인산염 완충 용액(pH 7.4) 10 ㎖를 채운 후 37 ℃ 항온 수조에서 50 rpm으로 교반하였다. 약물의 방출량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로 매 2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The formulation was placed in a 50 ml conical tube, filled with 10 ml of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7.4) and stirred at 50 rpm in a 37 ° C.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The amount of drug released was measured every 24 hours with an ultraviolet / visible spectrophotometer.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measurement result is as showing in FIG.

도 1로 알 수 있듯이, 수용성 고분자 종류에 따라 약물 방출량의 차이를 보이나 마이크로스피어의 방출 양상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difference in drug release amount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soluble polymer,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lease pattern of the microspheres.

비교예 2: 마이크로스피어 크기에 따른 제제의 약물 방출 시험Comparative Example 2: Drug Release Test of Formulation According to Microsphere Size

제조예 5, 6, 8, 9 또는 10의 마이크로스피어의 방출량은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release amount of the microspheres of Preparation Example 5, 6, 8, 9 or 10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측정 결과는 도 2(a)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measurement results are as shown in Figs. 2 (a) and 2 (b).

도 2(a) 및 2(b)로 알 수 있듯이, 교반속도가 빠를수록 생성된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는 작고 초기 방출량이 많으며 방출기간이 짧아짐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s 2 (a) and 2 (b), the faster the stirring speed,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roduced microspheres, the larger the initial emission amount and the shorter the release period can be seen.

비교예 3: 생분해성 고분자 종류에 따른 제제의 약물 방출 시험Comparative Example 3: Drug Release Test of Formulation According to Biodegradable Polymer Type

제조예 1, 3, 5 또는 6의 마이크로스피어의 방출량은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release amount of the microspheres of Preparation Example 1, 3, 5 or 6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measurement result is as showing in FIG.

도 3으로 알 수 있듯이,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클수록 장기간 동안 약물이 방출되고 고분자의 구성성분에 따라 방출기간이 조절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larg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the drug is released for a long time and the release period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olymer.

실시예 1: 소염 진통제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스트립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Strips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Antibiotics

상기 제조예 1 및 4의 마이크로스피어 각각 0.4 g 씩을 알긴산 나트륨 0.2 g과 잘 혼합한 후 여기에 증류수 1.5 g을 가하고 잘 혼합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이 하이드로겔을 가로 10 cm, 세로 10 cm 및 높이 0.5 mm이고 밑면이 막힌 아크릴 상자에 넣고 고르게 편 후, 그 위에 실리콘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고 로울러로 압착한 다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필름은 가로 6 mm 및 세로 2 mm 내외의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스트립을 얻었다.0.4 g of each of the microspheres of Preparation Examples 1 and 4 was mixed well with 0.2 g of sodium alginate, and 1.5 g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mixing well to prepare a hydrogel. The hydrogel is placed in an acrylic box 10 cm wide, 10 cm long and 0.5 mm high and closed underneath, evenly folded, covered with a silicone coated polyester film on it, pressed with a roller, and then removed from the polyester film at room temperature. Dried. The film was cut to a suitable size of about 6 mm wide and 2 mm long to obtain a strip.

실시예 2: 소염 진통제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로드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a Rod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Antibiotics

상기 제조예 1 및 5의 마이크로스피어 각각 0.45 g씩을 펙틴 0.1 g 과 잘 혼합한 후, 여기에 증류수 2.0 g을 가하고 잘 혼합하여 마이크로스피어 함유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이드로겔을 주사기에 넣고 피스톤을 밀어 넣어 지름 2 mm 및 길이 10 mm 의 로드를 얻었다.0.45 g of each of the microspheres of Preparation Examples 1 and 5 was mixed well with 0.1 g of pectin, and then 2.0 g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hereto and mixed well to prepare a microsphere-containing polymer hydrogel. The hydrogel was placed in a syringe and the piston was pushed in to obtain a rod having a diameter of 2 mm and a length of 10 mm.

실시예 3: 소염 진통제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스트립의 제조Example 3: Preparation of a Strip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Antibiotics

제조예 1 및 4의 마이크로스피어와 알긴산 나트륨 대신에 제조예 2 및 6의 마이크로스피어와 카보폴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립을 제조하였다.Strip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using microspheres and Carbopol of Preparation Examples 2 and 6 instead of the microspheres and Sodium Alginate of Preparation Examples 1 and 4.

실시예 4 내지 8: 소염 진통제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스트립 또는 바의 제조Examples 4 to 8: Preparation of Strips or Bars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d Antibiotics

하기 표 4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립 또는 바를 제조하였다.Strips or bar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or 2 except for the compositions in Table 4 below.

마이크로스피어의 조성Microsphere Composition 수용성 고분자Water soluble polymer 마이크로스피어와 수용성고분자의 조성비Composition ratio of microspheres and water-soluble polymers 제형Formulation 실시예 4Example 4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제조예 7Preparation Example 7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40/40/2040/40/20 스트립strip 실시예 5Example 5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제조예 6Preparation Example 6 카보폴Cabopol 40/40/2040/40/20 스트립strip 실시예 6Example 6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펙틴pectin 45/45/1045/45/10 bar 실시예 7Example 7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40/40/2040/40/20 스트립strip 실시예 8Example 8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카보폴Cabopol 40/40/2040/40/20 스트립strip

실시예 9: 약물 방출 시험Example 9: Drug Release Test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바의 약물 방출 시험을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Drug release test of the strip or bar prepared in Examples 1 to 6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약물 방출량의 측정 결과는 도 4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measurement result of drug release amount is as showing in FIGS.

도 4 내지 9로 알 수 있듯이, 서로 다른 약물을 함유한 마이크로스피어는 고분자의 분해도에 따라 독립적인 방출양상을 나타내며 고분자의 분해도에 따라 원하는 약물 방출기간을 갖는다.As can be seen in Figures 4 to 9, microspheres containing different drugs have independent release patter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polymer and have a desired drug release perio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polymer.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감염부위에서 2가지 이상의 약물을 독립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일회 투여로도 병소부위에서 약물이 유효농도 이상으로 장기간 유지되며, 두가지 유효성분의 병용 제제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dependently releasing two or more drugs at the site of infection, keeps the drug at an effective concentration for longer than the effective concentration even at a single administration, and can be applied to a combination preparation of two active ingredients.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균성 감염 질환에 유용한데, 동일 계열의 약물을 함께 포함하는 배합제제는 약물이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항생제와 소염진통제와 같이 다른 계열의 약물을 함께 포함하는 병용 제제는 항염 치료 및 동통 경감 등 두가지 적응증의 동시 치료에 매우 유용하며, 일차 항생제에 의해 발생하는 내성균에 대한 2차 항생제와의 제형화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감염 부위에서 약물을 유효농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과량으로 장기 투약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bacterial infection disease, the formulations containing the same series of drugs together is very effective because the drugs can exhibit a synergistic effect with each other, and together with other classes of drugs, such as antibiotics and anti-inflammatory drugs The combination preparation is very useful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wo indications, such as anti-inflammatory treatment and pain relief, and is useful for formulating with secondary antibiotics against resistant bacteria caused by primary antibiotic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ong-term administration in excess of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drug at an effective concentration or more at the site of infection by conventional methods.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분해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치료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removed separately after treatment by using a biodegradable substance.

Claims (9)

(1) 제 1 약물 및 제 1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 1 마이크로스피어;(1) a first microsphere consisting of a first drug and a first biodegradable polymer; (2) 상기 제 1 약물과 상이한 제 2 약물 및 제 2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 1 마이크로스피어와 상이한 분해도를 갖는 제 2 마이크로스피어; 및(2) a second microsphere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decomposition than the first microsphere, consisting of a second drug different from the first drug and a second biodegradable polymer; And (3)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을 이상성으로 방출하는 염증 치료용 서방성 임플란트 조성물.(3) A sustained release implant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ion that ideally releases a drug, comprising a water-soluble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또는 제 2 마이크로스피어의 분해도가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구성 성분, 결정성 및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A composition wherein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first or second microspheres is controlled by the molecular weight, constituents, crystallinity, and size of the microspher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또는 제 2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글리콜산, D,L-폴리락트산, L-폴리락트산,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프로락톤인 조성물.The first or second biodegradable polymer is a polyglycolic acid, D, L-polylactic acid, L-polylactic acid, a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or polycaprolact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또는 제 2 생분해성 고분자가 평균분자량이 2,000 내지 200,000의 범위인 조성물.A composition wherein the first or second biodegradable polymer has an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2,000 to 200,00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또는 제 2 마이크로스피어의 평균 크기가 지름 20 내지 200㎛인 조성물.A composition wherein the average size of the first or second microspheres is between 20 and 200 μm in diame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1 또는 제 2 약물이 항원-단백질, 글리세릴 요오드, 페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클로람페니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반코마이신, 겐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가나마이신, 미노싸이클린, 테트라싸이클린, 오플록사신, 메트로니다졸, 암피실린, 에리쓰로마이신, 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플루비프로펜,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이부페낙, 아세트아미노펜, 프리드니솔론, 덱사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프로스타글란딘, 염산 테트라카인, 리도카인, 디부카인, 프로카인, 벤조카인, 에틸 아미노벤조에이트, 파클리탁셀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first or second drug may be an antigen-protein, glyceryl iodine, phenol, penicillin, cephalosporin, chloramphenicol, aminoglycoside, vancomycin, gentamycin, tobramycin, ganamycin, minocycline, tetracycline, oploxacin, Metronidazole, Ampicillin, Erythromycin, Aspirin, Naproxen, Ibuprofen, Flubiprofen, Indomethacin, Diclofenac, Ketoprofen, Pyroxycam, Tenoxycamp, Ibufenac, Acetaminophen, Pridnisolone, Dexamethasone , Triamcinolone acetonide, prostaglandin, tetracaine hydrochloride, lidocaine, dibucaine, procaine, benzocaine, ethyl aminobenzoate, paclitaxel and salts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로서 알긴산나트륨, 펙틴, 카라기난, 겔란,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또는 카보폴인 조성물.The water-soluble polymer is a polysaccharide-based polymer, sodium alginate, pectin, carrageenan, gellan, chitosan, hydroxyprop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or carbopo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마이크로스피어가 50 내지 99 중량%이고 수용성 고분자가 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 조성물.50 to 99% by weight of microspheres and 1 to 50% by weight of a water-soluble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성물이 추가로 다가 금속 양이온으로 코팅된 조성물.The composition is further coated with a polyvalent metal cation.
KR1019980003453A 1998-02-06 1998-02-06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flammation KR1002890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453A KR100289075B1 (en) 1998-02-06 1998-02-06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flam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453A KR100289075B1 (en) 1998-02-06 1998-02-06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flam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304A true KR19990069304A (en) 1999-09-06
KR100289075B1 KR100289075B1 (en) 2001-07-12

Family

ID=3769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453A KR100289075B1 (en) 1998-02-06 1998-02-06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flam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0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88A (en) * 2001-07-16 2003-01-23 이승진 Sustained release polymeric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CN109549682A (en) * 2018-11-28 2019-04-02 北京天星博迈迪医疗器械有限公司 A kind of anti-infective structure and anti-infective drill bit
CN111166729A (en) * 2020-03-19 2020-05-19 珠海赛隆药业股份有限公司 Oral tigecycline enteric coated microspher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2382676A1 (en) * 2021-11-05 2024-05-23 G2Gbio, Inc. Pharmaceutical kit for parenteral co-administ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88A (en) * 2001-07-16 2003-01-23 이승진 Sustained release polymeric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CN109549682A (en) * 2018-11-28 2019-04-02 北京天星博迈迪医疗器械有限公司 A kind of anti-infective structure and anti-infective drill bit
CN111166729A (en) * 2020-03-19 2020-05-19 珠海赛隆药业股份有限公司 Oral tigecycline enteric coated microspher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9075B1 (en)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994B1 (en) Locally administrable, biodegradable and sustained-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eriodontiti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Sah et al. Potential of chitosan-based carrier for periodontal drug delivery
KR0138651B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by sustained delivery of a therapeutic agent to the periodontal pock
US5286763A (en) Bioerodible polymers for drug delivery in bone
EP1457172A1 (en) Joint prosthesis with substained release of a therapeutic agent
EP3589326B1 (en) Periodontal ge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IL148704A (en) Sustained release prepara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antibiotics and polymer
CS221526B2 (en) Method of making the shaped material resorbable in the body on the base of colagene
US8501230B2 (en) Self solidifying bioerodible barrier implant
PL209943B1 (en) Use of quinolonyl- and quinolizine derivatives as chemical therapeutic agents
EP0476045B1 (en) Bioerodible polymers for drug delivery in bone
KR100289075B1 (en)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flammation
MXPA05002589A (en) Antibiotic microspheres for treatment of infections and osteomyelitis.
KR100232645B1 (en) Topical biodegradable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of gingivoperiodontitis therapeutic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186908B1 (en) Topical administration type composition for therapy of paradentitis
US6395288B1 (en) Subversion of bacterial resistance by low solubility antibiotics
DE202011111037U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gum disease
DK175150B1 (en) Microcapsules for the relief of dental diseases and containing a therapeutic agent
Stemberger et al. Drug carrier systems based on resorbable polyester collagen and/or biomaterial combinations
WO202124570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eriodontal disease
KR100186909B1 (en) Topical adhesive for therapy of oral disease
JPH045227A (en) Gum disease treating system
Anusha Rajagopalan Effectiveness of Metronidazole as Local Drug Delivery in Periodontal Diseases–A Review
JA et al. PERIODONTAL DRUG DELIVERY SYSTEM 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S
US20160022669A1 (en) Self-solidifying barrier implant and method of making the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