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054A -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054A
KR19990069054A KR1019980003073A KR19980003073A KR19990069054A KR 19990069054 A KR19990069054 A KR 19990069054A KR 1019980003073 A KR1019980003073 A KR 1019980003073A KR 19980003073 A KR19980003073 A KR 19980003073A KR 19990069054 A KR19990069054 A KR 1999006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zone
ionizing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646B1 (ko
Inventor
홍영기
신수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6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인가된 고전압이 방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상당량이 곧바로 분해되어 산소로 환원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제품을 사용시에 오존의 냄새에 의한 불괘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접지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1)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방전극(2)으로 구성된 전리부(A)와,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B)로 구성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를 구성하는 각 방전대응극의 방전극 대향면 일부에 오존분해물질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전압을 방전하여 먼지입자를 전리시키는 전리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흡착제거하는 필터로서, 공기정화기 및 에어컨디셔너 등의 공조기 제품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기집진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은 고전압을 방전하여 먼지입자를 전리시키는 전리부(A)와, 상기 전리부에 의해 전리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B)로 되어 있다.
상기 전리부(A)는 접지되어 있으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1)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복수개의 방전극(2)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포집부(B)는 접지전극이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포집극(3)과, 상기 각 포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복수개의 포집대응극(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제품이 동작될 때 공기는 전리부(A)와 포집부(B)를 연속적으로 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리부(A)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가 하전되고, 이 하전된 먼지입자는 포집부(B)에 포집되므로 결국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가 제거된다.
이하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가 전리부(A)에서 하전된 다음 포집부(B)에서 포집되기 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리부(A)를 구성하는 각 방전극(2)으로 DC+펄스로된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대응극(1)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므로 무수히 많은 전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전자는 곧바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에 대전되므로 상기 먼지입자가 이온화되어 +극을 띠는 하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극으로 하전된 먼지입자는 계속해서 공기와 함께 포집부(B)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포집부를 구성하는 포집대응극(4)으로 DC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접지전극인 포집극(3)이 -극을 띠고 있음에 따라 상기 포집부(B)를 지나는 공기중의 먼지입자가 포집극(3)에 달라붙게 되어 결국 포집부(B)를 지난 공기는 먼지입자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이다.
한편 전기집진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리부의 방전극으로 인가된 고전압이 방전될 때 발생된 많은 전자가 상기 전리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공기이온과 충돌하면서 전기음성도가 큰 산소분자를 산소이온으로 전리시키고, 이 전리된 산소이온은 다시 산소와 재결합하여 많은 오존(O3)을 발생시킴을 감안할 때 상기한 전리부의 종래 구조에 의해서는 발생된 오존을 줄일 수는 없으므로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오존의 냄새인 비릿 내음이 심화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인가된 고전압이 방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상당량이 곧바로 분해되어 산소로 환원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제품을 사용시에 오존의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접지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방전극으로 구성된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로 구성된 전기 집진필터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를 구성하는 각 방전대응극의 방전극 대향면 일부에 오존분해물질층을 형성하여서 된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및 본 발명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오존 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전대응극 2. 방전극
3. 오존분해물질층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접지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1)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방전극(2)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1)의 방전극(2) 대향면 일부에 형성되어 고전압의 방전에 따라 발생되는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분해물질층(3)으로 구성한다.
상기 오존분해물질층(3)은 방전대응극(1)의 방전극(2) 대향면중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전후끝단부에 형성하거나 상기 전후끝단부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만 형성한다.
한편 상기 오존분해물질층(5)은 산화망간(MnO2), 산화백금(PtO), 산화은(AgO)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코팅에 의해 형성한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 발명 전리부에 의해 고전압을 코로나 방전시켜 많은 전자를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전리부를 지나는 공기중의 먼지입자가 대전에 의해 이온화되면서 +극을 띠는 일반적인 작용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방전대응극(1)에 형성된 오존분해물질층(5)에 의해 일어나는 작용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리부(A)에서 고전압이 방전됨에 따라 발생된 많은 전자는 상기 전리부를 지나는 공기이온과 충돌하면서 전기음성도가 큰 산소분자를 산소이온으로 전리시키고, 이 전리된 산소이온은 다시 산소와 재결합하므로 많은 오존이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된 오존은 방전대응극(1)의 방전극(2) 대향면중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전후끝단부에 형성된 오존분해물질층(5)의 표면에 일부가 곧바로 흡착되는 불균일 접촉반응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오존은 산소로 해리가 일어나는 분해현상이 일어나므로 결국 오존이 산소로 환원됨에 따라 그 환원된 산소량 만큼 오존발생량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작용에서 방전대응극(1)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전후끝단부중 어느 한 부분에 오존분해물질층(5)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후끝단부 모두에 오존분해물질층을 형성하거나 하는 것은, 전부분에 오존분해물질층(5)을 형성할 경우 상기 방전대응극(1)이 접지전극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고, 상기 오존분해물질층(5)이 제외된 방전대응극(1) 부분을 가운데로 한 것은, 방전극(2)과의 거리가 가운데 부분이 가장 짧기 때문에 상기 가운데 부분에서의 방전효율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전압의 방전에 따라 발생된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분해물질층(5)은 산화망간(MnO2), 산화백금(PtO), 산화은(AgO)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는데, 상기 각 물질은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오존의 분해력이 우수한 그런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 구조의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와 종래 구조의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를 사용시 고전압의 인가시간에 따른 오존발생농도를 측정한 결과 도 3과 같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로 볼 때 본 발명 전리부를 갖는 전기집진팔터의 오존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은 이해 가능하다.(본 발명 전리부에서의 오존분해물질층(5)은 산화망간을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가된 고전압이 방전되는 과정에서 오존이 발생되더라도 이 오존의 대부분이 곧바로 분해되어 산소로 환원되므로 상기 오존의 발생량이 상당량 줄어들게 되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오존의 냄새인 비릿내음을 느끼지 않아 제품을 사용함에 따른 불쾌감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접지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방전극으로 구성된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에서 전리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로 구성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를 구성하는 각 방전대응극의 방전극 대향면 일부에 오존분해물질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분해물질층을 방전대응극의 방전극 대향면중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전후끝단부에 형성하거나 상기 전후끝단부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분해물질층은 산화망간(MnO2), 산화백금(PtO), 산화은(AgO)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코팅에 의해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전리부 구조.
KR1019980003073A 1998-02-04 1998-02-04 전기집진장치의전리부구조 KR10026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73A KR100262646B1 (ko) 1998-02-04 1998-02-04 전기집진장치의전리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73A KR100262646B1 (ko) 1998-02-04 1998-02-04 전기집진장치의전리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054A true KR19990069054A (ko) 1999-09-06
KR100262646B1 KR100262646B1 (ko) 2000-08-01

Family

ID=1953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073A KR100262646B1 (ko) 1998-02-04 1998-02-04 전기집진장치의전리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4755A (zh) * 2017-09-11 2018-02-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33B1 (ko) 2008-07-02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510A (ko) * 1991-10-29 1993-05-20 이헌조 공기청정기의 오존 분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4755A (zh) * 2017-09-11 2018-02-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646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5683B (zh) 气体处理装置
JP3852429B2 (ja) 空気清浄機
KR100625425B1 (ko) 방전장치 및 공기정화장치
JPH0427906B2 (ko)
JP2013063430A (ja) ガス状流動体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8034220A (ja) 放電電極素子およびイオナイザー
JPH11221489A (ja) 低温弱電離プラズマと静電フィルターを併用した空気清浄 ユニット
KR100262646B1 (ko) 전기집진장치의전리부구조
JP2004351310A (ja) 空気浄化装置
JP2002346334A (ja) プラズマ式ガス浄化装置
JPH05154408A (ja) 電気集塵装置
KR100934133B1 (ko)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청정기
JP2005013554A (ja) 空気浄化装置
WO2014092668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терилизатор воздуха
RU2803470C1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JP2020078516A (ja) 空気清浄装置
JP2835480B2 (ja) 気体清浄装置
KR20200139866A (ko) 공기정화기
RU21596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пыли и аэрозолей
JP3502969B2 (ja) 気体清浄装置用のイオン化電極の構造
KR100479072B1 (ko) 공기청정기
JPH0479180A (ja) イオン化気体発生装置
JPH0478456A (ja) 空気清浄機
JP2606013Y2 (ja) 気体清浄装置を具備した額
SU9028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ионизации и озонировани возд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