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362A -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 Google Patents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362A
KR19990068362A KR1019990015300A KR19990015300A KR19990068362A KR 19990068362 A KR19990068362 A KR 19990068362A KR 1019990015300 A KR1019990015300 A KR 1019990015300A KR 19990015300 A KR19990015300 A KR 19990015300A KR 19990068362 A KR19990068362 A KR 1999006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adhesive frame
cutting lin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9001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362A/ko
Publication of KR1999006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이다.
(2)발명의 목적
종래의 포장용 용기(트레이)는 그 내부에 가스탈취제를 내입하였던 바,생산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제기 되었으나. 이 발명은 용기 자체의 설계만으로도 그 생성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을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접착용테(10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면에 부착되어질 덮개(200)는; 임의 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절단선(201)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선(201)의 저면에는 적정압에 대응할 수 있는 절단선(221)이 있는 가스배출부(220)를 융착(202)으로서 일체화 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부(220)는 상기 절단선(201)의 하방에 맞 닿으면서 그 외주에 접착되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편향된 형태의 접착부(223)가 공간(222)을 중심으로하여 그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용기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 일 형태로 된 가스배출부를 통하여 그 생성된 가스가 배출됨으로 내용물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AAAAA}
본 발명은 발효된 가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부를 임의 일부위에 형성한 특징이 있는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특출96-22709호,98-10391호가 있었다.
종래의 선행기술중(본 발명인의) 특출98-10391호는, 그 사용에 있어 가스배출부를 적용하기 위하여는 그 상면이 비교적 두껍게 되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 발명은 종래의 특출98-10391호를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단면도이며, 도 1c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a,b,c∼도 4a,b,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각a는 사시도이고,
도 2b, 도 4b는 종단면도, 도 3b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c, 도 4c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b∼도 8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각a는 종단면도이고,
각b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용기
100:본체
101,222,105:공간
102:접착용테
103:가스배출로
104:홈
106,107,109:결속부
200:덮개
201,206,210,211,214,216,218,221:절단선
108, 202,203,203' ,208:융착
205,207,209:미접착부
212,213,215,217:마개부
220:가스배출부
223:접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덮개의 임의 일 부위에는 발효된 가스가 적정압을 넘게 되면 가스압에 의해 절단선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가스가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선은 비교적 얇게 된 덮개에서도 적응이 잘 될수 있도록 공간과 절단선이 이 있는 가스배출부를 덮개의 저면부나 상면부의 임의 일 부위에 형성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가)는 본체(100)와 덮개(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본체(100)는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외환부는 사각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등으로 된 접착용테(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 접착용테(10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면에 부착되어질 덮개(200)는, 임의 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절단선(201)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선(201)의 저면에는 적정압에 대응할 수 있는 절단선(221)이 있는 가스배출부(220)를 융착(용착)(202)으로서 일체화 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부(220)는 상기 절단선(201)의 하방에 맞 닿으면서 그외주에 접착되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편향된 형태의 접착부(223)가 공간(22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본체(100)의 공간(101)에는 김치등의 내용물을 넣고, 접착용테(102)에는 그 상부로 덮개(200)를 위치시키어 융착(용착)(203) 시킨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4)는 안내부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공간(101)에 내입된 내용물이 발효되어 가스가 생성되게 되면 도 1c와 같이 가스배출부(220)의 절단선(221)이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공간(222)으로 가스가 이동되게 되고, 동 가스는 덮개(200)의 절단선(201)을 일시 확장 시키면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절단선(201)을 통해 가스가 방출되게 되면, 도 1c와 같은 용기(가)의 가스배출부(220)는 도 1b와 같은 원상태로 즉시 복귀되는 것이며, 용기(가)에 든 내용물을 꺼내고자 할 때는 안내부(20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융착(203) 부위가 강제 이격 되면서 덮개(200)가 본체(100)로 부터 분리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2a∼도 2c),본체(100)의 접착용테(102)에는 하방으로 움푹파인 홈(104)이 있는 가스배출로(103)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덮개(200)를 위치하여, 상기 접착용테(102)의 상면에 융착(203,203')시킴에 있어, 상기 융착(203')면의 일 부위를 미접착부(205)로 하며, 상기 미접착부(205)의 반대편에 형성된 홈(104)의 그 상부측에는 절단선(206)을 형성한다.
사용시에는, 도 2a∼b와 같은 상태에서 공간(222)에 내용물이 들어 있고, 동상황에서 내용물이 발효되어 가스가 생성되게 되면 도 2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차로 가스압에 의해 미접착부(205) 부위(A)가 순간적으로 상향되면서 동 가스는 홈(104)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어 그 가스는 양측 또는 일방향으로 편중되어 반대편의 방향인 홈(104)을 따라 이동되다가 절단선(206)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홈(104)에서는 더이상 이동되지 못하고 정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절단선(206)의 부위에 가스압이 일정 이상 가해지게 되면 상기의 절단선(206)은 동 가스압을 견디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가스가 제거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가스압이 제거되면 절단선(206)과 미접착부(205)는 원래의 상태로 즉시 복귀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a∼b), 홈(104)의 내측인 접착용테(102) 임의 일 부위가 미접착부(205)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접착부(205)의 반대편이자 홈(104)의 외측인 접착용테(102) 일부위는 미접착부(207)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간(101)에 든 내용물이 발효되어 가스가 생성되게 되면 도 3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차로 미접착부(205)가 일시 상향되면서 가스가 홈(104)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러한 가스는 홈(104)을 따라 이동되다가 미접착부(207)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가스는 비교적 적은 가스압에도 적응할 수 있는 미접착부(207)가 일시 상향되면서 홈(104)에 체류중인 가스가 제거되는 것이고, 이상과 같은 가스압이 제거되면 미접착부(207, 205)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된 다.
이상(제 2도a∼제 3도b) 설명한 바와 같은 용기(가)의 개봉시는 안내부(204)를 잡아 당기게 되면 미접착부(203,203')가 이격되면서 덮개(200)가 본체(100)로 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a∼c), 본체(100)의 임의 일부위에는 공간(105)의 그 상면에 임의 크기의 홈(104)이 있는 가스배출로(103)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에 덮개(200)를 밀봉시킴에 있어서, 도시된 도 4a와 같이 접착용테(102)와 가스배출로(103)의 상부 외방향에 각각 융착(203, 208)된 부위를 갖고 있데, 상기 공간(101)의 방향인 가스배출로(103) 상부 임의 일 부위는 미접착부(209)로 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홈(104)의 상부에 위치한 덮개(200)에는 가스방출용 절단선(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용기(가) 공간(101)에 가스압이 발생하게 되면 동 가스는 비교적 약한 부위인 미접착부(209)를 도 4b의 점선의 예시와 같이 일시 상향시키면서 홈(104)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가스는 도 4c와 같이 절단선(210)을 순간적으로 빌어지게 하면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고, 동 과정이 완료 가스압이 제거되면 미접착부(209)와 절단선(210)은 원래의 상태로 즉시 복귀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5a∼b),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 형상으로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6)를 형성한 것이며, 이상과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6)에 끼일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형의 마개부(212)를 둔 것임과, 그리고 상기 접착용테(102)의 내향부중 임의 일 부위에는 가스압력에 작용될 수 있는 절단선(211)과 상기 덮개(200)를 열 수 있는 안내부(204)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덮개(200)는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공간(101)에 든 내용물이 발효되어 가스압이 발생하게 되면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단선(211)이 있는 방향의 마개부(212)가 일시 상향되게 되고, 이와 동시 절단선(211)이 벌어지면서 가스가 제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가 제거되면 도 5b와 같은 덮개(200)의 절단선(211)과 마개부(212)는 도 5a와 같이 즉시 원래로 복귀되어 지는 것이며, 개봉시는 안내부(20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융착(108)된 부위가 이점 되면서 덮개(200)가 본체(100)로 부터 이탈되게 되는 거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6a∼b),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형상으로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7)를 형성한 것이며, 이상과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7)에 끼일 수 있도록,「」 형태의 마개부(213)를 둔 것임과, 그리고 상기 접착용테(102)의 내향부중 임의 일 부위에는 가스압력에 작용될 수 있는 절단선(21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덮개(200) 마개부(213)는 상기 본체(100) 결속부(107)에 끼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마개부(213)의 외측은 상기 본체(100)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진다.
이상과 같은 용기(가)의 공간(101)에 가스압이 발생하게 되면 도 6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단선(214)이 있는 방향의 마개부(213)가 일시 상향되고, 동 과정에 벌어진 절단선(214)을 통해 가스가 제거되는 것이며, 상기의 과정이 지난 용기(가)는 즉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용기(가)를 개봉하고자 할때는, 안내부(204)를 잡아 당기게 되면 먼저 융착(108)부위가 이격 되어짐과 동시 결속부(107)에 결합되어져 있던 마개부(213)가 벗어나면서 본체(100)로 부터 덮개(200)가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7a∼b),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 형태의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9)를 둔 것임과,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9)에 끼일 수 있도록 「」 형태의 마개부(215)를 둔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부(215)의 상단 외향부중 임의 일 부위에는 가스압에 의해 적응할 수 있는 절단선(216)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덮개(200) 마개부(215)는 상기 본체(100) 결속부(109)에 끼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마개부(215)의 상단 외향은 상기 본체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진다.
이상과 같은 용기(가)의 공간(101)에 가스압이 발생하게 되면 도 7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단선(216)이 있는 방향의 마개부(215)가 일시 상향되면서 가스는 공간인 "A" 부위로 이동되는 것이며, 동시 상기의 가스는 절단선(216)을 일시 벌어지게 하면서 가스가 제거되게 하되, 그 이후는 전 실시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8a∼b),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형태의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9)를 둔 것임과,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9)에 닿고 그 외향의 벽면에 끼일 수 있는 마개부(217)가 있는 덮개(200)를 두되, 상기 마개부(217)의 외측 임의 일 부위에는 절단선(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덮개(200)는 마개부(217)가 결속부(109)에 닿고, 상기 마개부(217)의 외벽면이 공간 "A" 에 긴히 끼이게 한 상태로 본체(100)의 접착용테(102)에 덮개(200)를 융착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기(가)의 공간(101)에 가스압이 발생하게 되면 동 가스는 마개(217)의 외측에 형성된 절단선(218)이 도 8b와 같이 일시 상향되면서 제거되게 되는 것이며, 동 행위후 절단선(218)은 원래의 상태로 즉시 복귀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에 있어서, 도 2a∼c, 도 3a∼b의 경우, 가스배출로(103)는 나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도 8에서 보인 절단선(211, 214, 216, 218)은 적어도 1개 이상을 임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발효된 가스를 적정한 압력에서 방출되게한 특징이 있는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용기(가)는 본체(100)와 덮개(200)로 구성되어 있되, 이중 본체(100)는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외환부는 접착용테(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00) 접착용테(10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면에 부착되어질 덮개(200)는, 임의 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절단선(201)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선(201)의 저면에는 절단선(221)이 있는 가스배출부(220)를 융착(용착)(202)으로서 일체화 시킨 것임과,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부(220)는 상기 절단선(201)의 하방에 맞 닿으면서 그 외주에 접착되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편향된 헝태의 접착부(223)가 공간(222)을 중심으로하여 그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데, 그 사용시는, 상기 접착용테(102) 그 상부로 덮개(200)를 위치시키어 융착(용착)(203) 시킨 특징이 있는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접착용테(102)에는 홈(104)이 있는 가스배출로(103)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는 덮개(200)를 위치하되, 그 사용시는, 상기 접착용테(102)의 상면에 덮개(200)를 융착(203,203')시킴에 있어, 상기 융착(203')면의 일부위를 미접착부(205)로 하며, 상기 미접착부(205)의 반대편에 형성된 홈(104)의 그 상부측에는 절단선(20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104)의 내측인 접착용테(102) 임의 일 부위가 미접착부(205)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접착부(205)의 반대편이자 홈(104)의 외측인 접착용테(102) 일부위는 미접착부(20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임의 일부위인 공간(105)의 그 상면에 임의 크기의 홈(104)이 있는 가스배출로(103)를 형성하되,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0)의 그 상부면에 덮개(200)를 밀봉시킴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테(102)와 가스배출로(103)의 상부 외방향에 각각 융착(203, 208)된 부위를 갖게 함과, 상기 공간(101)의 방향인 가스배출로(103) 상부 임의 일 부위는 미접착부(209)로 되어 있고, 상기 홈(104)의 상부에 위치한 덮개(200)에는 절단선(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5.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104)이 있는 가스배출로(103)는 나선형으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6.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 형상으로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6)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6)에 끼일수 있도록 함몰된 형의 마개부(212)를 둔 것임과, 그리고 상기 마개부(212)의 상단 외향부중 임의 일 부위에는 절단선(211)과 상기 덮개(200)를 열 수 있는 안내부(204)를 형성한 것이되,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덮개(200)는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 형상으로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7)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7)에 끼일 수 있도록,「」형태로 상기 접착용테(102)의 내측에 위취할 절단선(214)이 있는 마개부(213)를 둔 것이되,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200)의 마개부(213)는 상기 본체(100) 결속부(107)에 끼워 고정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마개부(213)의 외측은 상기 본체(100)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진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 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공간(101)의 상단 외향으로는 형태상으로 보았을때 「」 형태의 접착용테(102)와 결속부(109)를 둔 것임과,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9)에 끼일 수 있도록 상단 일 부위에 절단선(216)이 있는 「」 형태의 마개부(215)를 두되,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덮개(200) 마개부(215)는 상기 본체(100) 결속부(109)에 끼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마개부(215)의 상단 외향은 상기 본체 접착용테(102)에 융착(108)되어진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본체(100)에 결합되어질 덮개(200)는 상기 결속부(109)에 닿고 그 외향의 벽면에 끼일 수 있는 마개부(217)가 있는 덮개(200)를 두고, 상기 마개부(217)의 외측 임의 일 부위에는 절단선(218)이 형성되어 있되,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덮개(200)는 마개부(217)가 결속부(109)에 닿고,상기 마개부(217)의 외벽면이 공간 "A"에 긴히 끼이게 한 상태로 본체(100)의 접착용테(102)에 덮개(200)를 융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10. 제6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211, 214, 216, 218)은 임의 간격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 기.
KR1019990015300A 1999-04-23 1999-04-23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KR19990068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300A KR19990068362A (ko) 1999-04-23 1999-04-23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300A KR19990068362A (ko) 1999-04-23 1999-04-23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362A true KR19990068362A (ko) 1999-09-06

Family

ID=5477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300A KR19990068362A (ko) 1999-04-23 1999-04-23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3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2233A (en) Container with frangible piercing point
AU567451B2 (en) Tubular container having a tear opening means
JPH02219744A (ja) 包装容器の開孔装置
AU658391B2 (en) A pourer device for a flowable media package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device
MY124758A (en) A substantially paper container
US3081926A (en)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JPH0335194B2 (ko)
US4735336A (en) Opener for a packaging container
EP0187820B1 (en) Sealed container with replaceable plug insert
EP1889796B1 (en) A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cap thereof
JPS5847014Y2 (ja) 包装容器
KR19990068362A (ko) 발효가스제거기능이있는포장용용기
JP3605434B2 (ja) 半固形物用紙容器
RU2705141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с захватной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KR19990084667A (ko) 발효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포장용 용기
US635446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ckage
TW338758B (en) A lid of a container for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99371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US4177929A (en) Flip-top can construction
JPH021266Y2 (ko)
US6793089B1 (en) Can with improved opening structure
JPH0516937A (ja) 折り畳み可能な缶構造
JPH0414387Y2 (ko)
JPH0326099Y2 (ko)
WO2021256257A1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