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208A -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208A
KR19990066208A KR1019980001916A KR19980001916A KR19990066208A KR 19990066208 A KR19990066208 A KR 19990066208A KR 1019980001916 A KR1019980001916 A KR 1019980001916A KR 19980001916 A KR19980001916 A KR 19980001916A KR 19990066208 A KR19990066208 A KR 1999006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management
fault
interface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6208A/ko
Publication of KR1999006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208A/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장애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장애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대리자를 통하지 않고 바로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얻어 옴으로써 성능을 개선하고,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 대하여 Q3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TMN에 정의된 방식으로 장애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장애 이력을 위해 로깅하거나 또는 상기 장애 이력을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과정 및 장애등급을 사용자에게 친숙하도록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표준을 이용하여 장애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성능의 저하를 개선하면서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 대해서는 Q3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표준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며 장애 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를 이용한 관리자(Manager)의 장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위계층의 관리자에 대해 Q3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통신망의 운용 및 다양화되고 있는 서비스 환경에 기존의 통신망 관리 한계성을 극복하고, 총체적이고 일원화된 통신망 운용 관리 체제를 수용하기 위한 국제 표준화된 통신망 운용 관리 기술을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라 한다.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개념은 도 1 과 같이 여러 형태의 통신망의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운용 제어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독립적인 통신망이며, 관리 대상이 되는 통신 장치 및 망과 운용 시스템간에 상호 인식 가능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된 관리 정보를 토대로 통신망이 운용된다.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의 관리 기능은 장애(fault), 성능(performance), 구성(configuration), 보안(security), 그리고 요금 관리(accounting management) 기능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의 관리 계층은 사업 관리(business management), 서비스 관리(service management),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소자 관리(element management), 네트워크 소자(network element) 계층(layer)으로 구분된다.
그중 장애 관리는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경보, 과부하, 고장 등) 발생시 이를 탐지하여 운용자에게 즉각 통보하고, 이 장애가 더 이상 전파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장애 관리는 사후 관리와 사전 관리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부분은 사후 관리이며, 사전관리는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측하여 조치하는 것으로 이는 지능화된 탐지 기술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장애 표시는 표준에서 제공하는 관리 방법을 사용하여 광전송 시스템 및 슬롯(slot)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 필요로 하는 정보량의 과다로 인한 관리자의 성능 문제를 야기한다. 즉, 광전송 시스템이나 슬롯의 장애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모델링한 객체의 장애 상태 뿐 아니라 포함 구조상 하위에 속하는 관리 객체의 장애 상태를 모두 종합하여 장애 등급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 슬롯을 모델링한 회로팩(circuitPack)의 경우 affectedObjectList라는 특성(attribute)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관리 객체의 장애 상태를 종합하여 회로팩의 장애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초기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들 장애 상태에 대한 이력을 모두 관리하여 가장 상위의 장애가 해제되었을 때 어떤 장애 상태로 표시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네트워크 상의 부하 뿐 아니라 시스템 내부에서도 관리해야 할 정보량이 많아져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의 장애 관리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면서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 대해서는 Q3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애 관리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 관리 블록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TMN에 정의된 방식으로 장애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장애 이력을 위해 로깅하거나 또는 상기 장애 이력을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과정; 및
장애등급을 사용자에게 친숙하도록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애 이력을 위해 로깅하는 또는 상기 장애 이력을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과정의 구현을 위해, 로그 데몬을 사용하여 Q3 인터페이스로 이벤트-보고를 받아 장애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애등급을 네트워크 요소, 서브랙, 슬롯 등을 대표하는 아이콘을 통해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애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장애 관리 데몬을 사용하여 장비로부터 직접 로우 데이터를 가져와 관련 정보를 갱신하여 장애 관리 데몬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애 관리 데몬은 상위계층 관리자에 대해서는 Q3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고, 상위 계층 관리자는 Q3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장애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애 관리 데몬은 대리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장애 정보를 주기적으로 폴링하여 장애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갱신된 정보는 속성값 변화 이벤트 보고 메시지 attributeValueChange를 통해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게 보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갱신된 정보는 정보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로 보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에 정의된 방법으로 장애 관리를 수행하여 장애 관리를 할 경우 장애 이력을 위한 로깅(logging)이나 이를 테이블(Table) 형태로 보여주려 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므로 이 경우는 로그 데몬(Log Daemon)을 사용하여 Q3 인터페이스로 이벤트-보고(Event-Report)를 받아 장애를 관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 NE)나 서브랙(subrack), 슬롯 등을 대표하는 아이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친숙(friendly)하게 장애등급을 색깔 등으로 나타내려 하는 경우에는 성능 개선을 위해 장비로부터 직접 로우 데이터(raw data)를 가져와 관련 정보를 갱신(update)하는 장애 관리 데몬을 설계하였다. 이 관리자는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 대해서는 Q3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므로 상위 계층의 관리자는 Q3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장애를 관리하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 관리 데몬은 대리자(agent)를 통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장애 정보를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장애 정보를 갱신한다. 갱신된 정보는 attributeValueChange 이벤트-보고를 통해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게 보고되거나 요구(Get Request)에 대한 응답으로 보고됨으로써 Q3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애 관리를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표준을 이용하여 장애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성능의 저하를 개선하면서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 대해서는 Q3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 표준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며 장애 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TMN에 정의된 방식으로 장애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장애 이력을 위해서 로깅하거나 상기 장애 이력을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과정;
    장애등급을 사용자에게 친숙하도록 색깔 등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이력을 위해 로깅하는 또는 상기 장애 이력을 테이블 형태로 보여주는 과정의 구현을 위해, 로그 데몬을 사용하여 Q3 인터페이스로 이벤트-보고를 받아 장애를 관리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등급을 네트워크 요소, 서브랙, 슬롯 등을 대표하는 아이콘을 통해 나타내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장애 관리 데몬을 사용하여 장비로부터 직접 로우 데이터를 가져와 관련 정보를 갱신하여 장애 관리 데몬을 설계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데몬은 상위계층 관리자에 대해서는 Q3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고, 상위 계층 관리자는 Q3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장애를 관리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 데몬은 대리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장애 정보를 주기적으로 폴링하여 장애 정보를 갱신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정보는 속성값 변화 이벤트 보고 메시지 attributeValueChange를 통해 상위 계층의 관리자에게 보고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정보는 정보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보고되는, TMN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KR1019980001916A 1998-01-22 1998-01-22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KR1999006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916A KR19990066208A (ko) 1998-01-22 1998-01-22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916A KR19990066208A (ko) 1998-01-22 1998-01-22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208A true KR19990066208A (ko) 1999-08-16

Family

ID=6589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916A KR19990066208A (ko) 1998-01-22 1998-01-22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6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680B1 (ko) * 2000-01-20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객체 인스턴스를 통한 정보수집및 타이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823B1 (ko) * 2005-12-20 2008-08-06 여천엔씨씨 주식회사 기계 설비 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680B1 (ko) * 2000-01-20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객체 인스턴스를 통한 정보수집및 타이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0823B1 (ko) * 2005-12-20 2008-08-06 여천엔씨씨 주식회사 기계 설비 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075B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database updates based on parsed snooping
US7113934B2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adaptive interfacing selected by last previous full-qualified managed level
US7366989B2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data-driven interfacing driven by instantiation of meta-model
US7363359B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remote backup of network elements' local storage
US20040205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mponent-based system
EP0831617B1 (en) Flexible SNMP trap mechanism
US6260062B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001228B2 (en) System and method to dynamically extend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using SNMP in an application server environment
KR101230944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US20040006619A1 (en) Structure for event reporting in SNMP systems
EP1562326B1 (en) Intelligent access control method for operations management personnel
US20030202645A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with adaptive interface based on autodiscovery from element identifier
KR19990066208A (ko) 전기통신 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관리자의 장애 관리 방법
Cisco Using Cisco Transport Manager
KR101829881B1 (ko) 플로우 관제 시스템, 컨트롤러 및 장애 검출 방법
Cisco Other Network Management Tasks
Cisco CDM Software Overview
Cisco CDM Software Overview
Cisco CDM Software Overview
Cisco Cisco Transport Manager Overview
KR100258069B1 (ko) 10gbps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다중화구간 절체 객체 일치성유지방법
KR101083865B1 (ko) Mib 테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chlaerth A concept for tactical wide-area network hub management
KR100198428B1 (ko) 10gbps 동기식 전송 장치에서의 성능 임계치 객체 관리 방법
KR100301293B1 (ko) 광신호 전송장비의 전송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