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120A -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 전기기계용 삽입공구와 고정기 - Google Patents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 전기기계용 삽입공구와 고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120A
KR19990064120A KR1019980702601A KR19980702601A KR19990064120A KR 19990064120 A KR19990064120 A KR 19990064120A KR 1019980702601 A KR1019980702601 A KR 1019980702601A KR 19980702601 A KR19980702601 A KR 19980702601A KR 19990064120 A KR19990064120 A KR 1999006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ection
longitudinal
cros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398B1 (ko
Inventor
지크프리트 페르레
롤프 뮐러
핀첸츠 헤르레
슈펜 카겔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claimed from PCT/DE1996/00188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13602A2/de
Publication of KR1999006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25D17/084Rotating chucks or sockets
    • B25D17/088Rotating chucks or sockets with radial movable lock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bit shaf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03Details of shafts of percussive tool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4Details of shank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8Locking member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8Locking members of special shape
    • B25D2217/0042Ball-shaped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rilling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교체 가능한 공구 및 고정기가 드릴작동 기계 특히, 드릴작동 해머용으로 공지된다. 삽입공구 섕크(11)의 코어의 횡단면(1)상의 종방향 리지는 공구를 축방향으로 안내하고, 회전력을 전달하고, 고정기의 공구-수용 공동내에 공구를 채결한다.

Description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 전기기계용 삽입공구와 고정기
DE-43 17 273 A1에서 추가적으로 공구자루에 있는 회전종속장치홈을 위해 또한 자루범위에 회전종속장치테가 장치되어 있는, 삽입공구의 회전종속장치의 개선을 위한 해결방안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것을 통해 회전종속장치의 표면은 확대되고 따라서 마모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자루의 중심횡단면은 계속해서 회전종속장치홈 및 제동케이스를 통해 약화되어서 충격작동시 기계의 스트라이크핀에 의해 공구자루로 유입된 충격파들이 공구첨단쪽으로 최대한 조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회전종속장치홈의 바닥에, 강한 회전로딩에서나 또는 경사진 끌공구에 있어서의 반동충격시 자루가 부서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집중압력효과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그와같은 해결방안들은 단지 보다 간단한 기계와 삽입공구에 대해서만 충분히 안정적이고 내마모성이 있다.
CH-PS 429 630에서는 게다가 대형 드릴을 위한, 드릴대의 끝에 장치된 충격보링헤드가 삽입공구로 알려져 있고, 그것의 공구자루는 제동쐐기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때 축제동을 위한 바라던 방식의 자루중심을 약화시키는 공백은 보링헤드 고정기에 삽입된 제동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이 해결방안은 작동시 충격파의 방해와 중심횡단면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해결방안으로써 중간정도의 기계를 위해 보다 높은 충격강도와 보다 적은 마모를 지니는 삽입공구와 고정기를 형성하고 오류제동에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기울여진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표제에 있어서 고정기와 삽입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제 1 실시예로서 관통하는 중심횡단면이 있는 삽입공구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제 2 실시예로서 드릴을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제 3 실시예로서 끌공구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10b는 기타 실시예로서 삽입공구들의 삽입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2a 및 도 12b의 고정기에 맞는 공구자루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의 단면도.
이것은 삽입공구에 대한 청구항 1의 특징지워진 특징들과 함께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즉, 스트라이크핀에서, 밀폐-그리고 조정범위의 삽입자루의 그리고 드릴중심의 또는 끌직경의 핵심횡단면에까지, 미치는 중단되지 않은 시스템횡단면은 충격의 방해되지 않는 최선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시스템 횡단면은 어떤 지점에서도 감소되거나 약화되지 않는다. 그것은 경우에 따라 기구에 충격기요크를 이용해, 삽입자루의 프레임을 이용해, 경우에 따라 밀폐-그리고 조정범위 및 드릴나선을 이용해 오직 확장될 뿐이다. 종축프레임들은 그때 회전종속장치, 반동충격 또는 경사진 공구에서의 고정피스톤 및 축제동을 떠맡는다.
이 구성을 통해 스트라이크핀의 직경이 결정되어 있는 현행 기구들에 있어서, 높은 고정성과 적당한 마모작용이 있는 삽입공구의 삽입자루가 실현될 수 있다. 삽입공구의 원형형태의 중심횡단면은 그것의 삽입자루의 범위에서 가능한한 최선의 센터링(centering)을 보장한다. 이 센터링은 ,예를들어 끌에서처럼, 가능한한 최선의 축의 움직임 및 충격실행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축의 움직임과 충격실행은 다시금 최대한의 작업진보와 아울러 가장 최소한의 충격손실과 굴곡을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굴곡로딩을 피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파괴위험과 다른한편으로는 소음발생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청구항들에서 소개된 대안들을 이용해 주요청구항에서 제시된 특징들의유익한 개발과 개선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스트라이크핀에서 삽입공구에까지 이르는 이행범위에 있어서 특별한 것은 최대한 가능한 확고한 시스템 횡단면이며, 특히 충격파의 방해되지 않는 진행과정에서 유익하다. 그 때문에 공구자루의 끝에는 공구자루의 최상의 중심횡단면이 있는, 단면이 최대한 충격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고, 그에 앞서 범위는 회전종속장치를 위한 종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이 뒤쪽의 단면은 충격파를 위한 유도기능 이외에도 또한 자루조정 기능에도 유익하다. 이외에 이 단면은 상이한 길이로 실행되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으며, 이때 이 단면은 삽입공구에 대한 충격작동에는 적당하지 못한, 부호화로써 쓰인다. 단축되거나 또는 제거된 단면을 통해 기계의 스트라이크핀이 더 이상 삽입공구의 자루에 나타나지 않게 하는 것이 보장된다.
중심횡단면과 종축프레임 및 밀폐-그리고 조정범위 사이에 ,예를들어 방사형이나 또는 오목한 형태인, 원활한 이행을 통해 충격은 가능한한 방해되지 않고 진행된다. 축의 제동과 회전식 힘의전이의 두 기능들은 고정기 설치물과 공구자루 사이에서 단지 제동요소만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장치로 실현할 수 있다. 다시말해, 이를위해 경우에따라 전방의 전면이 있는 종축프레임만이 필요하게 된다. 이 제동요소는 또한 몇몇의 제시된 위치에서 삽입공구가 단지 제동할 수 있는 제동장치만이 있는 고정기에 삽입할 수 있도록, 범위에서 중복 사용될 수 있다. 이것과 함께 두 기능들은 축에 연속적으로 장치되어 있다. 축제동과 회전식 힘의전이의 두 기능들은 또한 자루범위에 서로 나란히 장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종축프레임에 있는 제동공백 옆에 또는 단축된 종축프레임 옆에, 양쪽에 인접한 제동공백이 없는 종축프레임이 있다. 이로써 두 기능은 짧은 축단면에서 중단될 수 있다.
종축프레임과 제동요소의 연속적이고 평행한 장치의 결합은 공간을 절약하고, 삽입자루를 최대한 사용하는 기능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단축된 프레임들은 공구자루의 균형있는 축단면에서 축제동을 가능하게 하고, 반면에 보다 큰 해당 측면표면과 직접 인접한 보다 긴 프레임들은 회전식 힘의전이를 위해 마련된다. 대개 밀폐-그리고 조정범위를 위한 종축프레임들은 삽입공구의 조정, 충격과정 및 비례를 초과하는 방식으로 표면관성- 및 저항모멘트 아울러 공구자루의 파괴에 대한 안전을 도와준다. 비교적 작은 범위의 단면에서 제동과 회전모멘트전이에 대한 결합장치를 선택하면, 전체 범위에 대한 이 결합은 비교적 자주 반복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구자루를 삽입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확보를 고정기 설치물에서 찾기 위해, 최대한 필요한 작은 뒤틀림각을 이룬다. 마모의 최대활용을 위해서 종축프레임의 폭은 그 사이에 놓여있는 홈 및 사이공간들과 비례해서 대략 동일한 크기로 배분되어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를통해 삽입공구와 고정기는 동일하게 로딩되고 마모는 감소된다.
청구항 13의 특징적인 특성이 있는 고정기에 있어서, 수용부쉬 전방의 밀폐-그리고 조정단면 뒤에 제동장치는 두 종축프레임 사이에 장치되어 있어서 자루의 중심횡단면에 연결되지 않는 점이 유익하다. 더욱이 삽입공구의 삽입부분의 맞은편에 기계의 스트라이크핀은 충격파를 가능한한 방해되지 않게 공구첨단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최대한 조정되는 유익한 점이 있다. 스트라이크핀 및 끼워넣는 부분을 수용함으로써 고정기의 위치구멍에 대한 뒤쪽단면에서 삽입공구와 고정기에 대해 유익한 방식으로 삽입시스템이 제시되고, 이것에서 고정기의 스트라이크핀에 대한 청구항 16에 있어서의 끼워넣는 부분, 삽입공구와 그것의 드릴중심 및 그것의 끌직경의 중심횡단면이 거의 확고한 시스템횡단면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헤머드릴이나 혹은 드릴에서의 드릴자루로써 공구자루(11)가 있는 삽입공구(2)인 충격식 드릴을 나타낸다. 공구자루(11)에는 축조정, 반동충격 또는 경사에서의 고정피스톤과 회전식 힘의전도 및 축제동을 맡고있는, 종축프레임(6)이 있다. 회전종속장치 또는 고정피스톤은 기계의 고정기 (도 13)와 관련해 실행하고 충격은, 기계의 작동된 스핀들부쉬(Spindle bush)에서 이리 저리 움직이고 도 1a에서 분리되어 나타나 있는, 스트라이크핀(strike pin:24)을 통해 실행된다. 공구자루(11)에는 삽입부분까지 미치는 약화되지 않은, 특히 직경이 10㎜인 중심횡단면(1)이 있다. 이 중심횡단면은 도구에 있어서 스트라이크핀(24)의,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와 드릴중심(5)의, 대략 동일한 횡단면과 함께 거의 확고한 시스템횡단면을 형성한다. 중심횡단면(1)에는 네 개의 종축프레임(6)이 균형있게 배분되어 장치되어 있다. 프레임 외부윤곽(7)은 특히 직경이 14㎜나 되고 원형요소로써 형성된다. 프레임측면(12)은 상호 경사지게 처리되어 있어서 종축프레임(6)이 밑받침까지 확장되어 커팅하지 않는 제작에 있어서 손쉬운 사출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12)과 프레임전면(8)의 형태는 예를들자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어서 종축프레임(6)을 이용해 중심횡단면(1)에서 확대하기까지의 원활한 이행이 달성된다. 외부윤곽을 위한 프레임측면(12)과 프레임전면의 이행은 둥글거나 혹은 날카로운 모서리로 처리될 수 있다. 옆의 프레임측면을 위한 사이공간(15)에 대한 프레임측면의 형태는 원형형태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때 인접한 종축프레임(6)의 프레임측면(12)은 중심횡단면(1)에까지 미치는 오목한 범위(14)에 대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삽입공구(2)는 작업범위로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를 지닌다. 최선의 충격과정을 위해 이 범위(4)는 중심횡단면(1)과 동일한 직경을 제시한다. 이 종축프레임(6)은 공구자루의 축방향에서 확대된다. 그것들은 삽입부분쪽으로는 경사진, 둥글려진 뒤쪽전면(8b)이 있고 이외에 공구첨단(tool tip)쪽으로는 전방의 오목하게 처리된 전면(8a)이 있다. 이 전면(8a)은 도 13의 고정기에 있어서 기계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공구자루(11)의 축제동에 쓰인다. 제동장치에 의해 허용된 공구자루(11)의 축움직임을 위해 밀폐-그리고 조정단면(4)의 공구첨단을 위해 연결되어 있는, 범위(13)가 마련되어 있고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단면(4,13)은 중심횡단면(1)을 제시한다. 삽입부분앞에 종축프레임은 중심횡단면(1)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삽입부분은 공구자루(11)의 중심횡단면(1)이 있는 원통형의 단면(3)을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범위에 균형있게 배분된 네 개의 종축프레임(6)이 전방의 오목하게 경사진 전면(8a)을 제시하고, 공구자루(11)는 각각 180°엇갈리게 배치된 두 위치에서 기계의 고정기에 삽입할 수 있고 제동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충격식 드릴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때 밀폐-그리고 조정단면(4)의 직경은 횡단면(1)의 직경보다 크다. 즉, 종축프레임(6)의 외부직경 크기와 같다. 마주하고 있는 두 종축프레임(6)에 있어서, 전방의 오목한 전면(8a)을 형성하기 위해 이것은 중심횡단면(1)까지 미치는 종축공백(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백에서 기계의 고정기에 있는 제동장치는 축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것을 위해 나머지 두 개의 종축프레임(6)은 90°각도로 엇갈리게 장치된다. 이것은 축제동을 위한 종축공백을 지니지 않고 공구자루(11)의 조정단면(4)으로 통해있다. 이 해결방안에 있어서, 인접한 종축프레임(6)은 폭이 고르지 않고 종축프레임(6)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홈으로써, 인접한 사이공간(15)은 상이한 엇갈림을 보이게 된다. 그래서 두 개의 좁은 종축프레임(6)과 인접한 사이공간(15)의 중간사이의 각도α는 균등한 배분에서의 45°가 아니라, 각도α는 여기에서 40°가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종축프레임들이 제동기능을 지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축프레임 사이에 사이공간의 상이한 엇갈림은 고정기에서 중단되지 않은 종축프레임(6)이 도 13의 제동장치가 있는 세로홈에 놓이는 방식으로 오류제동을 방지한다.
도 3a 및 도 3b는 종축프레임(6)과 삽입부분(3)이 도 1a 및 도 1b의 공구자루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삽입공구로써 끌을 나타낸다. 하지만 여기에서 공구자루(11)의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는 중심횡단면(1)보다 더 크며 이 범위(4)와 종축프레임(6) 사이에는 공구자루의 전체범위에 대한 제동장치의 조작을 위해 중심횡단면(1)에서 감소된 단면(13)이 마련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기타 실시예로써 여기에서는 상부의 종축프레임(6)만이 제동장치의 조작을 위해 종축공백(13)을 제시하는 차이점이 있는, 도 2a 및 도 2b의 종축프레임(6)으로 형성된 삽입공구의 공구자루(11)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자루는 도 13의 제동장치가 있는 고정기에 있는 한 위치에만 삽입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여기에서 네 개의 종축프레임(6)중 두 개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고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에서 비로소 중심횡단면(1)으로 통하는 차이점이 있는, 도 1a 및 도 1b와 유사한 공구자루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자루(shank)는 그 때문에 180°각도로 엇갈린 위치에서만 고정기 설치물(tool holder fixture)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여기에서 축제동장치를 위한 종축공백(13)이 상호 마주하고 있는 폭넓은 두 종축프레임(6)의 가운데에 설치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는, 도 2a 및 도 2b와 유사한 공구자루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관련 고정기 설치물에 삽입을 쉽게하기 위해, 종축프레임(6)의 뒤쪽 끝부분이 항상 쐐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구자루를 도 3a 및 도 3 b와 관련하여 나타낸다. 이외에 여기에서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는 중심횡단면(1)의 직경보다 더 크지만 종축프레임(6)의 외부직경만큼 크지는 않다.
도 8a 및 도 8b는 중심횡단면에서 각각의 종축공백(13)이 있는, 균형있게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제동을 위한 두 개의 종축프레임(6)이 마련되어 있는 공구자루(11)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외에도 중심횡단면(1)에는 종축프레임(6)들중 서로 마주하고 있는 매 두개의 쌍(6a)이 엇갈려 장치되어 있고, 이때 쌍(6a)들은 매 사다리꼴의 세로홈(16)을 통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는, 도 7a 및 도 7b에서처럼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심횡단면-직경과 종축프레임(6)들의 외부직경 사이에 있는 직경을 지닌다.
도 9a 및 도 9b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구자루(11)의 끝부분에 있는 뒤쪽 단면(3)만이 중심횡단면(1)을 형성하며, 그것에 반해 밀폐-그리고 조정범위 및 공구자루의 범위는 종축프레임(6)사이에서 보다 큰 직경을 지닌다. 기구의 고정기 설치물에 있는 삽입공구의 조정은 여기에서 공구자루의 전체 축길이와 관련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공구자루의 연결형태(커팅되지 않은) 제작에 있어서, 원료-직경은 조정을 위한 뒤쪽 끝단면(3)을 유지한다. 종축프레임(6)들은 종축케이스(15a)의 압착을 통해 중심횡단면(1)의 직경까지 케이스(15a)의 양쪽에서 밀어넣음으로써 형성된다. 공구축의 밀폐와 조정을 위한 범위(4)는 그것의 기하학상 제작방법을 통해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표준 출력 허용오차가 보증된다. 종축프레임(6)이 있는 공구자루의 중간범위만이 회전식 힘의 전이와 제동을 위해 변화된다.
연결형태의 제작은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의 공구자루에서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프레임이 압출성형기에서 성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형되어 있고, 그것들의 측면에는 성형경사가 있고 그것들의 끝부분에는 어떠한 언더커트(undercut)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종축프레임들은 형성작업에 있어서 그것의 배분과 관련된 공구자루가 비교적 압출성형기쪽으로 비틀려 작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형된다. 다시말해, 공구형태는 배분빈도수와 관련하여 공구자루의 범위에서 여러번 재발견된다. 하지만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서는 각각의 자루중간에 한 번씩만 나타난다. 배출구 혹은 성형모서리는 공구자루에서 축조정과 회전식 힘의전이 및 제동을 위한 기능범위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사이의 공간(15)에 있다. 종축프레임(6)사이의 공간들은 내부에 놓여 있고 밀어넣기를 통해 제작된 종축프레임(6)은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원료직경의 외부에 있다. 도 1a 내지 도 7b까지에 있어서 공구자루의 커팅된, 정형이 없는 제작에 있어서, 원료직경으로부터 생기는 모든 공간들(15)은 종축프레임(6) 및 성형커터-공구가 있는 제동범위(13)사이에서 제작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를 변경할 때 종축프레임(6)의 횡단면들은 더 이상 대칭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비대칭형의 측면도를 지닌다. 종축프레임(6)의회전종속장치측면(12a)은 여기에서 대략 방사형으로 처리되는 반면에, 회전종속장치에 의해 무부하된 뒷면의 측면(12b)은 기대하는 방식대로 처리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종축프레임(6) 사이에 사이공간들(15)은 쐐기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방사형으로 처리된 측면(12a)은 회전종속장치-모멘트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고, 경우에따라 끌공구의 경사에서 반동충격을 더 잘 받아낼 수 있도록, 인접한 종축프레임의 대략 직각으로 처리된 뒷측면(12b)은 현저히 큰 표면을 제시한다. 두 측면 사이에 이전은 날카로운 모서리나 혹은 둥글려질 수 있다. 비대칭형의 측면형태는 모멘트전이의 기능을 보조하고 이때 공구자루(11)의 종축프레임(6)의 사이공간(15)으로 연결하는, 고정기에 있는, 종축테를 위해 쐐기형태의 횡단면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으로써 이외에도 추가적 충격을 위해 모멘트이전을 이용하는 공구를 로딩할 때 경사는 방해된다. 게다가 비대칭형의 측면형태는 공구자루의 경제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쐐기형태의 사이공간(15)은 보통 사각형의 회전절단판이 있는 원형커터의 사용을 허용한다. 비대칭형의 종축프레임(6)들은 기계의 오른쪽 회전이 설계되어 있고 최대한 이용된다. 반대의 회전방향은 경우에따라 드릴구멍으로부터 삽입공구와의 거리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a 및 도 12b의 고정기(20)에 수용하기 위한 공구자루(11)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공구(3)의 공구자루는, 여기에서는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가 종축프레임(6)의 외부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는 차이점이 있는, 도 7a 및 도 7b의 실행형태에 있어서의 종축프레임(6)의 형성과 관련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제시된 종-그리고 횡단면은 도 11의 공구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기(20)를 이용해 수용부쉬(21)가 있는 관형태의 고정기 설치물을 소유하고 있으며, 수용부쉬의 구멍직경은 공구자루(11)의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의 직경에 해당한다. 고정기 설치물의 중간범위에서 이것은 종축프레임(6)의 범위에 공구자루(11)의 측면도와 관련하여 도 12b에서 알 수 있는 관련된 삽입측면도를 지닌다. 거기서 수용부쉬(21)의 내부직경은 종축테(25)의 높이만큼 감소되고, 그 높이는 안쪽으로 회전모멘트의 전이를 위해 세로홈쪽으로 그리고 공구자루에 있는 종축프레임(6)의 프레임측면 사이의 사이공간쪽으로 돌출해 있다. 이 종축테(25)들 사이의 용이한 크기는 대략 공구자루(11)의 중심직경에 해당하는 내부직경(22)을 제시한다. 종축테(25)들은 모멘트전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며 게다가 축의 실행에도 쓰인다. 종축테(25)들의 길이는 모멘트전이를 위한 충분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크게 실행된다. 종축테(25)들은 전방으로 제동범위까지를 포함하여 확대된다. 삽입공구의 축을 제동하기 위해서, 두 종축테(25) 사이의 전방범위에는 예를들어 볼(ball:23)인, 제동장치가 공구자루의 삽입시 방사형태의 바깥쪽으로 벗어나고 이어서 탄력을 이용해 제동될 수 있는, 수용부쉬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하지만 공구자루와 거리를 두기 위해 제동장치는 수동으로 헤체되어야 한다. 이것은 링(27)이 있는 작동부쉬(26)를, 볼(23)을 제동위치로 밀어내는, 스프링(28)의 힘에 반하는 제자리로 끌어당김으로써 발생한다. 종축테(25)사이 고정기 설치물에는, 고정기 설치물의 뒤쪽 단면에 스트라이크핀(24)을 위한 조정범위의 시작에서 끝나는, 홈이 있다. 이 범위에서 고정기(20)에 삽입된 공구자루(11)의 뒤쪽 단면(3) 또한 조정된다. 이 범위는 다시 스트라이크핀(24)의 직경과 일치하는 중심횡단면의 직경과 비슷한 크기이다. 그러나 삽입공구는 주로 수용부쉬(21)의 전방범위에서 조정된다. 거기서 또한 먼지에 대비한 밀폐를 위해 그리고 그와같은 실링날(sealing lip:29)이 고정기(20)에 장치되어 있다.
고정기(20)는 기계의 구동방추체(33)에 고정되어 있다. 조립부쉬(30)를 앞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고정기(20)를 떼어낼 때에 볼(32)은 안전링(31)뒤 바깥으로 뺄 수 있고 그럼으로써 고정기를 헤체할 수 있다. 고정기를 구동방추체(33)쪽으로 밀어낼 때 자동적으로 제동이 생긴다. 이 때 우선 고정기(20)를 삽입하고 그런후 제동볼(32)의 안전링(31)이 이것에 도달하고, 볼들은 제동이 풀린 위치로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이 지점에서 그것들은 고정기(20)를 계속해서 밀어낼 때 안전링(31)을 되밀어내는데, 이것은 고정기 설치물의 외부범위에 마련된 구형덮개를 다시 안쪽으로 밀어내고 거기에 볼들이 위치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실행된다. 안전링(21)은 그 다음에 탄력을 이용하여 제동볼들(32) 위를 지나가고 그래서 구동방추체에서 고정기의 자리를 안전하게 한다. 작동부쉬(26) 및 조립부쉬(3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서, 회전하는 고정기에도 불구하고 작동되는 동안 그것들이 테두리와 접촉하면 정지한다. 이것은 기계가 어떠한 반동모멘트도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한 안전성이 보다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고정기에 있어서 도 11의 삽입된 공구자루는 본 발명의 삽입시스템을 나타내며, 이때 고정기(20)에 있는 스트라이크핀(24), 삽입부분(3), 중심횡단면(1) 그리고 드릴중심(bohr core) 및 삽입공구(2)의 끌직경은 거의 확고한 시스템 횡단면을 제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구조적 오차가 청구항 15에서 다시 제기된 삽입공구에 대한 삽입시스템의 발명개념에는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제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예를들어 보면 공구자루에 프레임측면들은 방사형이나 혹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축프레임들은 예를들어 쐐기나 혹은 ¼원호를 나타낼 수 있다. 종축프레임들은 또한 축쪽으로 경사져서 확대될 수 있다. 아울러 축방향에서 몇몇의 프레임들은 잇달아 또는 서로 엇갈려 장치될 수 있다. 축의 제동을 위한 종축프레임에 있는 종축공백들은 중심횡단면에까지 조정되지 않아야 한다. 밀폐-그리고 조정범위는 또한 보다 큰 직경 및 종축프레임의 외부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삽입공구의 부호화는 뒤쪽의 끼워지는 부분(3)의 상이한 길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밀폐-그리고 조정범위 그리고 중심횡단면을 위한 종축프레임의 단들은 원추형으로 또는 오목하게 처리될 수 있다. 종축프레임들은 다시금 세로홈이 있고 또는 종축프레임의 사이공간들은 기타 프레임들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의 스트라이크핀의 직경이 공구자루에 중심횡단면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 삽입부분에 원추형의 단계는 공구자루의 전면횡단면이 스트라이크핀의 횡단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장치된다. 충분히 넓은 종축프레임(6)에 있어서, 축제동을 위한 종축공백(13)들이 종축프레임의 전체 폭에 미치는 것이 아니라, 폭의 일부분에만 미치게 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종축프레임의 회전모멘트가 전이되는 측면들이 종축공백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5)

  1. 특히 드릴작업 및 충격작업이 있는 수공구기계와 같은 전기기계를 위해서, 회전종속장치와 축제동을 위한 도구(6,8)를 제시하는, 기계의 고정기(20)에 삽입할 수 있는 공구자루(11)가 있고 이때, 공구자루(11)는 그 전면까지 미치는 약화되지 않은 둥근 중심횡단면(1)을 지니며, 그 범위에는 힘의 전이가 회전종속장치 및 고정피스톤에 쓰이고, 그중 종축프레임(6)들중 적어도 하나는 축제동을 위한 단(8b)을 나타내는, 몇몇의 종축프레임(6)이 균형있게 배분되어 장치되어 있는 전기기계에 있어서,
    인접한 종축프레임(6)들의 폭이 서로 다르게 되며 또는 종축프레임(6)사이에 인접한 사이공간(16)들이 상이하게 엇갈려 있는 것(α)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2).
  2. 제 1항에 있어서, 종축프레임(6)의 뒤쪽 전면은 경사지고 특히 끼워넣는 부분 쪽으로는 오목하게 경사져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종축프레임(6)은 전방의 경사진 특히 축제동을 위한 오목하게 경사진 전면(8a)을 제시하는데 이 전면은 공구자루(11)의 앞에 장치되어 있는 둥근 밀폐-그리고 조정단면(4)쪽으로 기계의 고정기(20)에 제동할 수 있는 제동장치(23)를 연결하기 위해 거리(13)를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중심횡단면(1)은 적어도 드릴 또는 끌자루의 공구중심(5)의 횡단면과 동일하고 조정단면(4)의 횡단면은 적어도 중심횡단면(1)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단면(3)앞에 종축프레임(6)이 중심횡단면(1)으로 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균형하게 배치된 종축프레임(6)들의 범위에서 동일한 몇몇은 전방에 경사진 특히, 오목하게 경사진 전면(8a)을 두 개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위치에서 공구자루를 기계의 고정기(20)에 삽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단면(4)의 직경은 중심횡단면의 직경보다 크고 축제동단(8a)이 없는 종축프레임(6)들중 적어도 몇 개는 조정단면(4)으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의 특히 오목한 전면(8a)을 형성하기 위해 종축프레임(6)들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횡단면(1)에까지 미치는 종축공백(13)을 제시하고 그 방식으로는 제동장치(23)를 기계의 고정기(20)에 연결할 수 있어서 공구자루(11)가 고정기(20)에서 제한되어 축을 이동하며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종축프레임(6)들의 프레임측면(12)들이 중심횡단면(1)에까지 이르는 오목한 범위(14)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축이 평행하게 진행되는 종축프레임(6)의 프레임측면이 항상 서로 마주하게 경사져 있어서 종축프레임(6)이 그것들의 하단부분까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자루(11)의 중심횡단면(1)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동일한 두 종축프레임(6)에는 축제동을 위한 각각의 종축공백(13)이 있고 또한 게다가 종축프레임(6)들중 서로 마주하고 각각의 두 쌍(6a)이 엇갈려 장치되어 있으며, 이때 쌍들(6a)은 특히 각각의 사다리꼴의 세로홈(16)을 통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11.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축프레임(6)의 회전종속장치측면(12a)은 대략 방사형태이고 회전종속장치에 의해 로딩되지 않은 측면(12b)은 대략 기대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공구.
  12. 제 1항 기재의 삽입공구(2)의 공구자루(11)를 위한 스트라이크핀(24)과 수용부쉬(21)가 있고, 특히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이 있는 수공구기계의 전기기계에 대한 고정기에 있어서,
    밀폐와 조정을 위한 수용부쉬(21)의 전방 단면(21a)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뒤에 놓여있는 단면(21b)은 공구의 회전종속장치를 위한 방사형태의 안쪽으로 돌출해 있는 몇몇의 종축프레임(25)을 제시하고, 적어도 방사형태로 외부로 제동을 풀 수 있는 제동장치(23)가 두 개의 인접한 종축테두리(25) 사이에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20).
  13. 제 12항에 있어서, 종축테두리(25)가 제시하는 단면(21b)은 수용부쉬(21)의 중간단면을 형성하고 스트라이크핀(24)의 조정과 수용을 위한 수용부쉬(21)의 뒤쪽 단면(21c)은 평평하며 대충 삽입공구(2)의 중심횡단면(1)의 직경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수용부쉬(21)의 전방단면(21b) 직경은 최소한 삽입공구(2)의 종축프레임(6)의 외부직경과 크기가 같고 수용부쉬(21)의 뒤쪽단면(21c)에서 삽입공구(2)의 삽입부분(5)이 수용되고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기.
  15. 제 12항의 특히,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이 있는 수공구기계인 전기기계에 대한 고정기(20)에 삽입되는 제 1항의 삽입공구를 위한 삽입시스템에 있어서,
    스트라이크핀(24), 삽입 부분(3), 중심횡단면(1) 그리고 특히 드릴중심(5) 또는 끌직경 및 삽입공구(2)의 밀폐-그리고 조정범위(4)가 거의 확고한 시스템횡단면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시스템.
KR10-1998-0702601A 1995-10-12 1996-10-01 드릴링및충격전기적기계용삽입공구및공구홀더 KR10048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9414.3 1995-10-12
DE19539414A DE19539414A1 (de) 1995-10-12 1995-10-12 Einsatzwerkzeug für Maschinen mit Bohr- und/oder Schlagantrieb
DE19604284A DE19604284A1 (de) 1995-10-12 1996-02-07 Einsatzwerkzeug für Maschinen mit Bohr- und/oder Schlagbetrieb
DE19604284.4 1996-02-07
PCT/DE1996/001889 WO1997013602A2 (de) 1995-10-12 1996-10-01 Einsatzwerkzeug und werkzeughalter für elektrische maschinen mit bohr- und/oder schlagbe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120A true KR19990064120A (ko) 1999-07-26
KR100486398B1 KR100486398B1 (ko) 2005-07-25

Family

ID=777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01A KR100486398B1 (ko) 1995-10-12 1996-10-01 드릴링및충격전기적기계용삽입공구및공구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6398B1 (ko)
DE (2) DE19539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8983A1 (de) * 1997-03-05 1998-09-10 Franz Haimer Werkzeughalteranordnung
CN1149132C (zh) 1998-11-12 2004-05-12 布莱克-德克尔公司 卡盘、钻头、其组件及安装方法
DE102006016805A1 (de) * 2006-04-10 2007-10-11 Robert Bosch Gmbh Auswechselbares Rotationswerkzeu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9414A1 (de) 1997-04-17
KR100486398B1 (ko) 2005-07-25
DE19604284A1 (de) 199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596A (en) Insertable tool and tool holder for drilling and/or impacting electric machines
EP0874706B1 (en) Tool for cutting machining
EP0935508B1 (en)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US6840717B2 (en) Rotatable tool having a replaceable cutting head at the chip removing, free end of the tool
MXPA02008445A (es) Broca para perforar roca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EP1338364B1 (en) Roller twist drill
EP0984841B2 (en) A cutting tool assembly and a replaceable cutting head for use therein
CA2390877C (en) Drill bit and method for grinding a drill bit
US6234579B1 (en) Cutting tool holder retention assembly
EP1490578B1 (en) Percussion drill bit and a button therefor
EP1140401B1 (en) Tool for cutting machining
KR19990008302A (ko) 절삭 가공용 공구
FI102818B (fi) Työkalu ja työkalunpidin käsityökalulaitteita varten
EP1163424A1 (en) Cutting tool holder assembly
CN106825691B (zh) 旋转工具,具体地讲为用于所述旋转工具的钻头和切削头
KR20020043243A (ko) 칩제거 기계가공용 공구
CN101351614A (zh) 钻岩刀具、岩钻钻头和生产方法
EP0336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nozzle within a drill bit
KR19990064120A (ko) 드릴작동 및 충격작동 전기기계용 삽입공구와 고정기
JPH05305576A (ja) 携帯工具装置用の工具および工具ホルダ
US3519092A (en) Percussion bit
EP1012436B1 (en) Drilling tool for down-the-hole drilling, reamer means and body element for use in the tool
RU2083822C1 (ru) Твердосплавная вставка для породоразруша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4258808A (en) Rock drill
CA2203673A1 (en) Grinding cup and wear part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