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007A -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007A
KR19990063007A KR1019980054537A KR19980054537A KR19990063007A KR 19990063007 A KR19990063007 A KR 19990063007A KR 1019980054537 A KR1019980054537 A KR 1019980054537A KR 19980054537 A KR19980054537 A KR 19980054537A KR 19990063007 A KR19990063007 A KR 1999006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guide member
sensing
bas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27241B1 (en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6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Abstract

복수의 롤러에 감겨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 사행 정도 및/또는 레이저 주사유니트에 의해 주사된 광의 주사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감광벨트의 폭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detecting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so as to determine the widthwise direction skew of the photosensitive belt wound on the plurality of rollers and turned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nd / or the scanning timing of the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is disclosed.

이 개시된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베이스와;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가이드부재와; 베이스에 대해 가이드부재가 회동되도록, 베이스와 가이드부재 각각에 양단이 힌지 결합된 레버부재와; 가이드부재가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가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comprises: a base;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which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A lever member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and the guide member such that the guide member is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guide member to contac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sensing means for sensing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by detecting a movement amount of the guide member.

따라서, 감광벨트의 에지에 국부적 결함이 있는 경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이 감광벨트의 일측에 선접촉되므로 국부적 결함에 따른 스티어링장치의 오작동 및 화상선단시작위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re is a local defect on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the guid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comes into lin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steering device and deformation of the image front end start position due to local defects.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주사방향으로 주행하는 감광벨트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 에지(edge)의 국부적 불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enses a positional change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of a photosensitive belt running in a sub-scan direction, To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하고, 현상유니트를 이용하여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한 뒤 인쇄용지에 전사시켜 인쇄하는 장치이다.Generally,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or a copying machine,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is formed by scanning a photosensitive medium with a laser beam, developed with a toner of a predetermined color using a developing unit, .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그 본체 내에 설치된 구동롤러(12), 전사백업롤러(14) 및 스티어링롤러(31)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하는 감광벨트(10)를 구비한다.1,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hotosensitive belt 10 wound around a driving roller 12, a transfer backup roller 14, and a steering roller 31 provided in a main body thereof and rotating in a predetermined orbit.

상기 감광벨트(10) 주변에는 감광벨트(10)에 형성된 표면전위를 소거하는 소거램프(15), 표면전위가 리셋된 감광벨트(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7) 및, 감광벨트(10)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각 칼라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레이저 주사유니트(LSU)(20) 및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을 현상하는 다수의 현상유니트(19)가 설치된다.An erasing lamp 15 for erasing the surface potential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10, a charger 17 for charging the photosensitive belt 10 whose surface potential has been reset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A plurality of laser scanning units (LSU) 20 for scanning the belt 10 with a laser beam to form electrostatic latent imag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and a plurality of developing units 19 fo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portion do.

이와 같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10)는 각 롤러들(12)(14)(31)에 감겨 선회되므로 상기 롤러들(12)(14)(31)의 길이방향 즉, LSU(18)의 주주사방향으로 사행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0)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벨트(10)의 사행을 보정하는 감광벨트 스티어링장치(30)와, 사행을 감지하고 상기 LSU(20)의 화상영역에 대한 주사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40)를 포함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wound around the rollers 12, 14, and 31 so that the rollers 12, 14, LSU 18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Therefor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photosensitive belt 10 includes a photosensitive belt steering device 30 for correcting the skew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nd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40 for determining 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레이저 주사유니트(20)에 의해 주사된 광이 감광벨트(10)의 에지를 지나 주주사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주주사된 광이 직접 감광벨트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20)는 감광벨트 에지 부분 및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영역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원(21)과, 이 조사된 광을 편향주사시키는 회전다면경 등의 빔편향기(23)와, 주사빔의 선폭을 조절하고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렌즈요소(25) 및 주사된 광이 감광벨트(10)의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반사미러(2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allows the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20 to pass through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Here, the laser scanning unit 20 includes a light source 21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n edge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 beam deflector 23 such as a rotary polygonal mirror for deflectively scanning the irradiated light, A lens element 25 for adjusting the line width of the scanning beam and correcting the aberration, and a reflection mirror 27 for causing the scanned light to be incid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20)에서 주사된 광은 감광벨트(10)의 에지를 지나 일측 비화상영역(10b) 및 화상영역(10a)에 주사된다.The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20 passes through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nd is scanned to the one non-image area 10b and the image area 10a.

상기 감광벨트 위치감지수단(40)은 상기 감광벨트(10)의 에지로 향하는 주사광을 굴절시켜 감광벨트(10)의 에지부분에 거의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굴절 프리즘(41)과, 감광벨트의 이면에 배치되며 이 굴절프리즘(41)을 통해 굴절되고 감광벨트(10) 에지의 일측을 지나 입사된 광을 수광하여 감광벨트(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검출기(43)를 포함한다.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means 40 includes a refraction prism 41 for refracting the scanning light directed to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so as to be incid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edge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nd a photodetector 43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receptor belt 10 and refracted through the prism 41 to receive light incident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photoreceptor belt 10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photoreceptor belt 1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감광벨트 위치감지수단(40)은 감광벨트(10)의 에지부분의 결함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광검출기(43)에 수광된 광량 정도에 따라 감광벨트(10)의 주주사방향으로의 위치변화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주사방향으로의 사행 발생시 상기 스티어링장치(30)를 동작시켜 사행을 보정할 수 있다.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means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photodetector 43 when there is no defect in the edge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Can be detected normally. Accordingly, when the meandering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ccurs, the steering device 30 can be operated to correct the meandering.

한편, 감광벨트(10)는 제조 및 사용할 때의 주변 구성요소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에 국부적 결함(D1, D2)이 생긴다. 이 경우, 감광벨트(10)가 사행없이 정상궤도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의 국부적 결함(D1)위치에 광주사를 행하는 경우, 감광벨트(10)가 도면의 왼쪽으로 사행된 것으로 감지한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장치(30)가 화살표방향으로 사행보정을 행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subject to local defects D1 and D2 at the edges, as shown in Fig. 3A, due to contact between peripheral components during manufacture and use. In this case, even when the photosensitive belt 10 travels in a normal orbit without a skew, if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local defect D1 of the edge as shown in Fig. 3B,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steering device 30 is in th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skew correc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20)에서 주사되어 상기 광검출기(43)에 수광된 광이 감광벨트(10)에 의해 차폐되는 시점에서부터 소정 시간 후에 감광벨트(10) 화상영역(10a)의 시작위치(SP)로 인식한다. 이 유효 시작위치(SP)는 화상영역(10a)과 비화상영역(10b) 사이의 경계가 되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부주사방향으로 직선을 이룬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 에지의 국부적 결함(D1)이 있는 경우, 시작위치(SP1)가 변화하여 화상 선단 변형이 발생된다.The start position of the image area 10a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when the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20 and received by the photodetector 43 is shielded by the photosensitive belt 10 (SP). This effective start position SP becomes a boundary between the image area 10a and the non-image area 10b, and in a normal case, it forms a straight line in the sub-scan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local defect D1 of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s described above, the start position SP1 is changed and the image edge deformation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광벨트 에지의 국부적 결함에 따른 감광벨트의 사행 보정 오작동 및 유효광 주사 시작위치의 화상선단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skew correction of a photosensitive belt due to local defects of a photosensitive belt edge and image edge deformation at an effective optical scanning start position from occurr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저 주사유니트 및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ser scanning unit and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채용시 감광벨트 에지의 국부적 결함에 따른 화상 선단 변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FIGS.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image edge deformation according to a local defect of a photosensitive belt edge when a conventional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is employed.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레버회전각 감지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ever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shown in FIG. 6.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감광벨트 20...레이저 주사유니트 30...스티어링장치10 ... photosensitive belt 20 ... laser scanning unit 30 ... steering device

51,71...베이스 53,73...가이드부재 53a...가이드홈51, 71 ... bases 53, 73 ... guide member 53a ... guide groove

53b...가이드면 55...감지용 돌기 57,77...레버부재53b ... Guide surface 55 ... Detection projection 57,77 ... Lever member

58,78...토오션스프링 60...광검출기 80...회전각 감지센서58,78 ... Torsion spring 60 ... Photodetector 80 ... Rotation angle sensor

81...제1전극 83...저항체 85...제2전극81 ... first electrode 83 ... resistor 85 ... second electr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롤러에 감겨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 사행 정도 및/또는 레이저 주사유니트에 의해 주사된 광의 주사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부재 각각에 양단이 힌지 결합된 레버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determine the widthwise skew of the photosensitive belt wound around a plurality of rollers and turned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and / or the scanning period of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base;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that contacts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A lever member having both ends hinged to the base and the guide member such that the guide member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guide member to contac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sensing means for sensing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by detecting a movement amount of the guide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베이스(51)와,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가이드부재(53)와, 상기 베이스(51)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재(53)가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부재(57)와, 상기 가이드부재(53)가 상기 감광벨트(1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 및, 상기 가이드부재(53)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and 5,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photosensitive bel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51, a guide member 53 rotated according to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 lever member 57 for causing the guide member 53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51 and an elastic bias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guide member 53 to contac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nd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by detect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53.

상기 감광벨트(10)는 복수의 롤러(도 1의 12, 14, 31)에 감겨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며, 레이저 주사유니트(도 1의 20)에 의해 주사된 광의 주주사방향 즉, 감광벨트(10)의 폭방향으로 사행된다.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rollers 12, 14 and 31 in FIG. 1 to be turned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nd is drive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f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20 1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가이드부재(53)는 상기 감광벨트(10)의 측부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인입 형성된 가이드홈(53a)을 포함한다. 이 가이드홈(53a)의 내측면은 상기 감광벨트(10)의 일측에 접촉되는 가이드면(53b)이다. 상기 가이드면(53b)은 상기 감광벨트(10)의 에지에 선접촉되므로, 에지에 국부적 결함(D1, D2)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국부적 결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The guide member 53 includes a guide groove 53a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uide groove 53a is a guide surface 53b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Since the guide surface 53b is in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even if there are local defects D1 and D2 at the edge, it is not affected by the local defect.

상기 레버부재(57)는 상기 베이스(51)와 상기 가이드부재(53) 각각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53)가 회동되도록 한다.Both ends of the lever member 57 are hinged to the base 51 and the guide member 53 so that the guide member 5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53)가 상기 감광벨트(10)의 일측에 접촉된 채로 회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53)를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으로, 상기 베이스(51)와 레버부재(57)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51a)(77a)에 걸리도록 설치된 토오션 스프링(58)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으로는 인장스프링, 압축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 있다.The elastic bias means elastically biases the guide member 53 such that the guide member 53 is rot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 torsion spring 58 may be employed as the elastic bias mean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toppers 51a and 77a formed in the base 51 and the lever member 57, respectively. As the elastic bias means, a tension spring, a compression spring, or the like may be employed.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53)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53)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용 돌기(55)와, 광검출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용 돌기(55)는 상기 가이드부재(53)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3)와 함께 이동된다. 이 감지용 돌기(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20)에서 주사된 광(L)을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 정도에 따라 차단한다. 또한, 상기 감지용 돌기(55)는 상기 광(L)에 대향되는 면에 반사코팅 또는 반사부재를 더 구비하여 입사광(L)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검출기(60)는 상기 감지용 돌기(55)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입사광(L)중 상기 감지용 돌기(55)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된 후 그 주변을 통해 입사된 광을 수광한다. 여기서, 상기 광검출기(60)를 통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알 수 있다. 상기 감지용 돌기(55)의 일면에서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광검출기(60)는 감지용 돌기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The sensing means sense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53) and senses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To this end,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sensing protrusion 55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53 and a photodetector 60. The sensing protrusion 5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53 and moves together with the guide member 53. The sensing protrusion 55 cuts off the light L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20 according to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ing protrusion 55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ve coating or a reflective member on the surface facing the light L so as to reflect the incident light. The photodetector 6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protrusion 55. The photodetector 60 receives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protrusion 55 after being partly blocked by the sensing protrusion 55 . Here,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photodetector 60. The photodetector 6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ing protrusion when sensing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using light reflected from one surface of the sensing protrusion 55.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가 폭방향으로 사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감광벨트(10)의 에지가 국부적으로 인입된 국부적 결합(D1, D2)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가이드부재(53)가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광검출기(60)에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지 않게되고 감광벨트(10)의 화상영역(10a)에 대한 광 주사 시작위치(SP)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주사선의 선단위치(SP)의 부주사방향으로의 직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5, when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not warp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locally engaged with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D1, D2), the guide member 53 is not rotated. Therefor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photodetector 60 is not changed, and the optical scanning start position SP for the image area 10a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not changed. Therefore, the straightnes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of the leading end position SP of the scanning line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가 사행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53)가 감광벨트(10)의 사행정도에 대응되게 회동되어, 상기 광검출기(60)에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한다. 이 경우, 스티어링장치(도 1의 30)를 작동시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사행보정방향으로 보정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sensitive belt 10 is meandering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5, the guide member 53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skew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The amount of light to be changed changes. In this case, the steering apparatus (30 in Fig. 1) is operated to move the vehicle in the maze correction direction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베이스(71)와,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가이드부재(73)와, 상기 베이스(71)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재(73)가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부재(77)와, 상기 가이드부재(73)가 상기 감광벨트(1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 및, 상기 가이드부재(73)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71)와, 가이드부재(73)와, 레버부재(77) 및,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 베이스(51), 가이드부재(53), 레버부재(57) 및, 탄성바이어스수단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and 7, 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71, a guide member 73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 lever member 77 for causing the guide member 73 to rotate relative to the base 71 and an elastic bias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guide member 73 to contac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And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by detect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73. Here, the base 71, the guide member 73, the lever member 77, and the elastic bias mea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ase 51, the guide member 53, The lever member 57, and the elastic bias means, respectivel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감지수단의 구조를 변경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73)의 회동에 따른 상기 레버부재(77)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레버회전각 감지센서(80)를 포함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means is changed. That is, the sen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ever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80 for sen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77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uide member 73.

상기 레버회전각 감지센서(80)는 상기 베이스(71)에 대한 레버부재(77)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이로부터 상기 감광벨트(10)의 폭방향 변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ver rotation angle sensor 80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77 with respect to the base 71 and can calculate the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10 from the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80.

상기 레버회전각 감지센서(80)의 일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저항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가변저항기는 고정 설치된 제1전극(81)과, 상기 레버부재(77)의 일단에 돌출된 돌기부(77a)의 회전에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전극(85)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81)(85) 사이에 위치된 저항체(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전극(85)과 상기 저항체(83)의 접점위치는 상기 레버부재(77)의 회동각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81)과 제2전극(85) 사이의 저항값이 가변되어, 그 사이의 전압값( vo )이 변화한다. 한편, 상기한 가변저항기는 상기 레버회전각 감지센서(80)의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레버회전각 감지센서(80)로는 통상의 광전식 회전각센서, 홀IC등을 이용한 반도체센서, 회전각에 따른 압력변화를 이용한 압력센서등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As an example of the lever rotation angle detecting sensor 80, a variable resistor as shown in FIG. 7 may be employed. The variable resistor includes a fixed first electrode 81 and a second electrode 85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a protrusion 77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lever member 77, And a resistor 83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s 81 and 85.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85 and the resistor 83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77. Therefore,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81 and the second electrode 85 is varied, and the voltage value between them v o ) Changes. The lever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80 may be a semiconductor sensor using a conventional photoelectric rotation angle sensor or a Hall IC, A pressure sensor using a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angle may be employ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감광벨트의 일측에 선접촉된 채로 감광벨트의 폭방향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정확한 에지 감지가 가능하므로 감광벨트 에지에 국부적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국부적 결함에 따른 스티어링장치의 오작동 및 화상선단시작위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guide member provided movabl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in lin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steering device and the deformation of the start position of the image due to the local defect even if there is a local defect on the photosensitive belt edge.

Claims (3)

복수의 롤러에 감겨 부주사방향으로 선회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 사행 정도 및/또는 레이저 주사유니트에 의해 주사된 광의 주사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so as to determine a widthwise jaggedness of a photosensitive belt wound on a plurality of rollers and turned in a sub scanning direction and / or a scanning timing of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A photosensitive belt position sensing device for a photosensitive belt, 베이스와;A base;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가이드부재와;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surface that contacts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and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부재 각각에 양단이 힌지 결합된 레버부재와;A lever member having both ends hinged to the base and the guide member such that the guide member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se;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감광벨트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guide member to contac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벨트위치검출장치.And sensing means for sensing a widthwise displacement of the photosensitive belt by detecting a movement amount of the gu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와 함께 이동되는 감지용 돌기와; 상기 감지용 돌기 주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에서 주사되고 상기 감지용 돌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된 광 및/또는 상기 감지용 돌기 주변을 통해 입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A sens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guide member; And a photodetector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protrusion and receiving light that is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and partially reflected by the sensing protrusion and / or light incident on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posi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부재의 회동에 따른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레버회전각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And a lever rotation ang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uide member.
KR1019980054537A 1997-12-12 1998-12-11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belt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272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68319 1997-12-12
KR19970068319 1997-12-12
KR1019970068319 199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007A true KR19990063007A (en) 1999-07-26
KR100327241B1 KR100327241B1 (en) 2002-05-09

Family

ID=3747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37A KR100327241B1 (en) 1997-12-12 1998-12-11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belt of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2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868B2 (en) * 2008-02-12 2010-07-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Belt rotating device and recor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7241B1 (en)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4413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a toner pattern forming unit
JP3354978B2 (en) Media sheet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JP2008033141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055996A1 (en) Beam scanning device with light blocking member
JP3027161B2 (en) Image density detecting devic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21952A (en) Image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80273B2 (en) Meandering detection device, meandering detection method, meandering corr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27241B1 (en)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belt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3304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89770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700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67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119571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KR10033131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belt of liquid electrographic printer
JP3182619B2 (en) Color image forming equipment
JPH0583485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JP2004230722A (en) Image forming device
JPH03134678A (en) Toner image density detector
US117037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ection of state of exposure unit
JP3135077B2 (en) Belt meandering correction device
JPH07253552A (en) Image forming device
KR10060799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43119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1233875A (en) Picture reader
JP2002082302A (en) Optical scanning method, optical scanner, photosensitive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