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614A -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614A
KR19990061614A KR1019970081893A KR19970081893A KR19990061614A KR 19990061614 A KR19990061614 A KR 19990061614A KR 1019970081893 A KR1019970081893 A KR 1019970081893A KR 19970081893 A KR19970081893 A KR 19970081893A KR 19990061614 A KR19990061614 A KR 1999006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x
channel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8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1614A/ko
Publication of KR1999006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614A/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케이블박스 최적 위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제 1 단계(S10)와 ; 케이블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대표적인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제 2 단계(S20) ;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 ;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 단계(S40) ; 및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S50)로 구성되어 있어, 케이블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그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채널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정상적인 동기신호의 검출 유무에 따라 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를 설정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A method of setting a optimum location of a cable box)
본 발명은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를 설정하도록 되어진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고, 텔레비젼은 이미 대중이 정보를 수용하는데 가장 강력한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사회의 변화는 한정된 채널에서 나오는 정보만으로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이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뉴미디어(New Media)가 바로 케이블 텔레비젼(Cable television: 이하, CATV 라 칭함)이며, 채널의 다양화와 전문화로 특정지어지는 CATV 가 현재 실용화되고 있다.
CATV 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채널화, 쌍방향 기능,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 집약할 수 있겠다.
즉, 일반 공중파 방송의 경우는 매체를 공중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접파의 간섭을 받기 쉽고, 1채널당 전송 대역폭이 6MHz로서, 채널마다의 간격이 12MHz가 되어야 하는데 반하여, CATV는 Sub Band와 Mid Band, Super Band 및 Hyper Band를 이용한 채널 할당으로 다채널 전송이 가능하며, 가입자측은 다채널로 전송된 CATV를 수신하기 위해 케이블 박스(컨버터)가 부가된다.
또한, 방송 기능에 정보통신 서비스 기능이 추가되어 쌍방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유 공간을 이용한 공중파 방송보다는 유선 케이블로 보내는 신호가 외부 잡음의 영향이 적고 신호 감쇠가 적어서 고품질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어, 가입자는 양질의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제까지는 소수의 방송국에서 보내는 프로그램 가운데서 선택하였지만, CATV 는 수십개 이상의 채널 가운데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가입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방송국의 편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었으나, 전문화된 채널에 따라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볼 수 있게 된다. 뉴스 채널은 온종일 뉴스만을 보여주게 되며, 영화채널은 영화만을, 스포츠채널은 스포츠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CATV 의 기본 개념도로서, CATV 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프로그램을 제작 송출하는 한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센터계(10)와, 중계 전송기기와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송계(20), 및 그리고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말계(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위성방송 및 지상방송 안테나가 세워진 유선방송국에서 TV 방송국의 전파수신(공중파재송신)과 자체에서 제작되는 프로그램(자주방송)을 혼합하여 가입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단위구역내에 설치된 케이블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전달하고, 이들 가입자로 하여금 TV 수상기에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말계(30) 설비중 가장 중요한 것이 케이블 박스(31)인데, 헤드엔드에서 송출된 프로그램이 전송로를 통해서 가입자까지 전달되면, 이를 가입자가 서비스받기 위해서 즉, 다채널의 신호를 TV 수상기에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변환을 하여야 한다. 상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케이블 박스(또는 컨버터라고 불린다)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 박스(31)는 앞서 설명한 채널 변환 기능 뿐만 아니라 도시청방지를 위한 스크램블의 디스크램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통상 상기 케이블 박스(31)는 TV(32) 위 혹은 VCR(33) 위에 올려 두고 사용하는데, 상기 케이블 박스(31)의 위치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 TV(32) 혹은 VCR(33)은 상기 케이블 박스(31)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케이블 박스(31)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케이블 박스(31)의 최적 위치를 설정하도록 되어진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케이블 박스 최적 위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제 1 단계와 ;
케이블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대표적인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제 2 단계 ;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
상기 제 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은 케이블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그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채널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정상적인 동기신호의 검출 유무에 따라 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를 설정하도록 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케이블 박스와 케이블 텔레비전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0 : 센터계 20 : 전송계
30 : 단말계 31 : 케이블 박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케이블박스 최적 위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제 1 단계(S10)와 ; 케이블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대표적인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제 2 단계(S20) ;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 ;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 단계(S40) ; 및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S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 및 효과를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케이블 박스(31)의 위치 설정이 적합하여, TV(32) 혹은 VCR(33)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가 상기 케이블 박스(31)에 제대로 수신되면, 상기 케이블 박스(31)는 TV(32) 혹은 VCR(33)에 동기신호가 포함된 영상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케이블박스 최적 위치 설정을 위해 키입력을 하면, CATV 에 내장되어 있어 CATV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콤(미도시)이 이를 감지한다(S10).
이때 상기 마이콤은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 위치 설정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콤은 상기 케이블 박스(31)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채널로 채널을 전환한다(S20).
이에 따라 상기 마이콤은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한다(S30).
이때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마이콤은,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40).
한편,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60).
이때, 상기 제 20,30 단계(S20,30)를 두 번 정도 반복 실시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데, 상기 30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않으면, 상기 제 20 단계(S20)로 분기하여, 상기 케이블 박스(31)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제 2 의 채널로 채널을 전환한다(S20). 이에 따라 상기 마이콤은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한다(S30). 이때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마이콤은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고(S40),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60).
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문자를 확인한 가입자는 케이블 박스(31)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케이블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그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채널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정상적인 동기신호의 검출 유무에 따라 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를 설정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로부터 케이블박스 최적 위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제 1 단계(S10)와 ;
    케이블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중 그 지역의 대표적인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제 2 단계(S20) ;
    상기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정상적인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 ;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 단계(S40) ; 및
    상기 제 3 단계(S30)에서 판단한 결과 정성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OSD 기능을 이용하여 케이블박스의 현위치가 부적합함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S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KR1019970081893A 1997-12-31 1997-12-31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KR19990061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893A KR19990061614A (ko) 1997-12-31 1997-12-31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893A KR19990061614A (ko) 1997-12-31 1997-12-31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14A true KR19990061614A (ko) 1999-07-26

Family

ID=6618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893A KR19990061614A (ko) 1997-12-31 1997-12-31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1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088Y1 (ko) 아날로그 및 디지탈 방송시청이 가능한 케이블 티브이(catv)
EP0903039A1 (en) Program guide for dbs and cable tv
KR100765888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10017377A (ko)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광고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 장치
KR101049128B1 (ko) 케이블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61614A (ko) 케이블 박스의 최적 위치 설정 방법
KR20000055189A (ko) 디지털방송 수신시스템
JP3275860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3728133B2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0166562B1 (ko) 텔레비젼/유선방송의 동시설정에 의한 채널설정장치
KR20000013991A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선국장치 및 방법
KR20050120936A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방법
KR100689045B1 (ko) 멀티룸 방송 기능을 갖는 케이블 모뎀 셋탑 박스 장치 및그 방법
KR100197558B1 (ko) 컨버터에서 두채널을 동시에 재생하는 방법
KR0138066Y1 (ko) 방송시청제어장치
GB2349026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receiving two distinct digital signals
KR0166564B1 (ko) 잦은 채널선국시의 텔레비젼/유선방송의 방송모드절환장치
KR100203439B1 (ko) 텔레비젼의 전원 오프 방법
KR20000028057A (ko)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JPH0965316A (ja) Catv受信端末装置
KR100697423B1 (ko) 동적인 부화면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KR0166563B1 (ko) 텔레비젼의 주화면 채널 전환시 소화면 채널 자동 전환방법
KR101194823B1 (ko) 추가 채널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및 그 방법
KR10081824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채널 선국 방법
KR19980016546A (ko) 비상속보 방송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