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778A -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 Google Patents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778A
KR19990058778A KR1019970078952A KR19970078952A KR19990058778A KR 19990058778 A KR19990058778 A KR 19990058778A KR 1019970078952 A KR1019970078952 A KR 1019970078952A KR 19970078952 A KR19970078952 A KR 19970078952A KR 19990058778 A KR19990058778 A KR 1999005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tire
carrier
attach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7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778A/en
Publication of KR1999005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778A/en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10) 후미나 저부에 부착 고정시킨 스페어타이어(20)가 차량 운행중에 차체(20)의 타이어캐리어(18)로 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려고 할 때 자동으로 운전자에게 스페어타이어(20)의 부착 상태가 느슨해진 것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어타이어(20) 이탈에 따른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로 하며, 그 기술적인 수단으로는 스페어타이어(20)의 고정 압력이 해제되면 스위치 온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어타이어(20)가 부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타이어캐리어(18) 외측에 설치된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30)와,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의 스위치 온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32) 및 부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device, when the spare tire 20 fixed to the rear or bottom of the vehicle body 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tire carrier 18 of the vehicle body 20 during vehicle operation. By automatically alerting the driver that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pare tire 20 is loos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a large accident due to the departure of the spare tire 20, and as a technical means of the spare tire ( When the fixed pressure of 20) is released, the B-contact type pressure release switch 30 installed outside the tire carrier 18 to which the spare tire 20 is attached and contacted so as to be switched on, and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When the on state of the switch is released is made to include a warning light 32 and a buzzer 34 installed in the cab to automatically operate to warn the driver.

Description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A warning apparatus for leaving a spare tire)A warning apparatus for leaving a spare tire

본 발명은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후미나 저부에 부착 고정시킨 스페어타이어가 차량 운행중에 차체의 타이어캐리어로 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려고 할 때 자동으로 운전자에게 스페어타이어의 부착 상태가 느슨해진 것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어타이어 이탈에 따른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attachment of the spare tire to the driver automatically when the spare tire fixed to the rear body or the bottom of the vehicle is to be detached from the tire carrier of the vehicle during vehicl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device which can prevent a risk of a large accident due to a spare tire departure by enabling a warning of a loose stat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각 휘일에 조립 고정되어 상기 휘일과 함께 회전되면서 노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으며, 동시에 차증을 받쳐 차량의 구동 및 제동력 그리고 횡력 등의 힘을 전달하고,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과 댐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In general, the tire is assembled and fixed to each wheel to rotate directly with the wheel, and directly contact the road surface,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and the lateral force, and the spring to reduce the impact on the road and It acts as a damper.

그리고, 일반 승용차의 경우에는 트렁크룸 내부에 비상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페어타이어가 부착 고정되어 있으며, 대형 차량이나 짚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후미나 저부에 스페어타이어가 부착 고정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passenger car, a spare tire tha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replacement is fixed inside the trunk room. In the case of a large vehicle or a straw car, a spare tire is fixed to the rear or bottom of the vehicle body.

도 3은 종래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118)에 스페어타이어(120)가 부착되는 분리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차체(110) 후미에 스페어타이어(120)를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타이어캐리어(118)가 설치 고정되었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pare tire 120 is attached to a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118, and the tire carrier 118 to attach and fix the spare tire 120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10. Referring to FIG. The installation was fixed.

상기 타이어캐리어(118)는 차체(110)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접촉되는 캐리어브래킷(112)과, 상기 캐리어브래킷(112)에 결합 고정되어 스페어타이어(120)가 부착되어 접촉되는 홀더(114) 및 서포트바(116)와, 상기 홀더(114)에 부착된 스페어타이어(120)를 상기 홀더(11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124) 정도로 구성되었으며, 그리고 차량에 따라 타이어캐리어(118)를 구성하는 구조 및 그 부품이 다양하였다.The tire carrier 118 is a carrier bracket 112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and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10, the holder 114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carrier bracket 112, the spare tire 120 is attached and contacted; The support bar 116 and the fixed tire 124 for fixing the spare tire 120 attached to the holder 114 to the holder 114, and the tire carrier 118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vehicle The structure and parts thereof were varied.

한편, 타이어캐리어(118)의 서포트바(116) 및 홀더(114)에 스페어타이어(120)가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124)를 상기 스페어타이어(120)의 볼트체결공(122)으로 끼워넣어 상기 홀더(114)에 상기 스페어타이어(120)가 부착 고정되도록 하였다.Meanwhile, the spare bolt 120 is inserted into the bolt fastening hole 122 of the spare tire 120 while the spare tire 1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116 and the holder 114 of the tire carrier 118. The spare tire 120 is fixed to the holder 114.

그런데, 차량이 운행되면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타이어캐리어(118)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120)의 고정 상태가 서서히 풀어져 느슨해질 수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운행중에 부착 상태가 느슨해진 스페어타이어(120)가 타이어캐리어(118)에서 분리되어 차체(110)로 부터 이탈되어 도로에 떨어질 수도 있었는 데, 이 경우 도로에 떨어지는 스페어타이어(120)에 의해 후속 차량이 전복되는 원인이 되는 등의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fixed state of the spare tire 120 attached to the tire carrier 118 may be gradually released and loosened b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and in some cases, the attached state may be loosen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spare tire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tire carrier 118 and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110 to fall on the road. In this case, the spare tire 120 falling on the road may cause a subsequent vehicle to be overturned.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could lead to a large safety accid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체 후미나 저부에 부착 고정시킨 스페어타이어가 차량 운행중에 차체의 타이어캐리어로 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려고 할 때 자동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된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spare tire attached to the rear body or the bottom of the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tire carrier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driver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driv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device capable of warning.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어캐리어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의 고정 압력이 해제되면 스위치 온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어타이어가 부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타이어캐리어 외측에 설치된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와, 상기 압력해제스위치의 스위치 온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 및 부저를 포함하여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를 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contact pressure release installed outside the tire carrier to which the spare tire is attached and contacted so as to be switched on when the fixed pressure of the spare tire attached to the tire carrier is released. When the switch-on state of the pressure release switch is released, the spare tire disengagement warning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rning light and a buzzer installed in the cab to automatically operate to warn the driv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는, 타이어캐리어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의 고정 상태가 느슨해지게 되면, 상기 스페어타이어에 의해 눌려져 가압되어 스위치 온상태를 이루고 있던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가 스위치 오프되면서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과 부저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타이어캐리어에서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이탈되려고 하는 상기 스페어타이어를 이탈되기 전에 안전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페어타이어 이탈에 따른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ed state of the spare tire fixed to the tire carrier is loosened, the B-contact type pressure release switch that is pressed and pressed by the spare tire is in a switched-on state. By operating the warning lights and buzzers installed at the cab while being switched off, the tire tire carrier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so that the spare tire which is about to be detached can be safely attached and fixed before being detached. To prevent this.

도 1는 본 발명에 따라 스페어타이어캐리어에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가 부착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 작동 회로도.Figure 2 is a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device operation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의 스페어타이어캐리어에 스페어타이어가 부착되는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are tire is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체 12 : 캐리어브래킷10: body 12: carrier bracket

14 : 홀더 16 : 서포트바14: holder 16: support bar

18 : 타이어캐리어 20 : 스페어타이어18: tire carrier 20: spare tire

22 : 볼트체결공 24 : 고정볼트22: bolt fastening 24: fixing bolt

30 : 압력해제스위치 32 : 경고등30: pressure release switch 32: warning light

34 : 부저 36 : 배터리34: buzzer 36: batter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는 본 발명에 따라 스페어타이어캐리어(18)에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가 부착된 분리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차체(10) 후미에 스페어타이어(12)를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타이어캐리어(18)가 설치 고정된다.1 illustrates a structure in a detached state in which a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carrier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tire carrier such that the spare tire 12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 18)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상기 타이어캐리어(18)는 차체(10)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접촉되는 캐리어브래킷(12)이 상기 차체(10) 후미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브래킷(12)에는 스페어타이어(12)가 부착되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홀더(114)가 일체로 결합 고정된다.The tire carrier 18 has a carrier bracket 12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1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 and a spare tire 12 is attached directly to the carrier bracket 12. The holder 114 in contact with the body is integrally fixed.

그리고, 캐리어브래킷(12) 아래쪽에는 스패어타이어(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서포트바(16)가 결합 고정되어 타이어캐리어(18)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16 into which a part of the spare tire 20 is inserted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bracket 12 to form a tire carrier 18.

한편, 스페어타이어(20)가 부착되어 접촉되는 타이어캐리어(18) 외측에는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는 상기 스페어타이어(20)가 부착 고장된 정상시에는 상기 스페어타이어(20)의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 온상태를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스페어타이어(20)의 부착상태가 풀어져 가압력이 느슨해진 사고 직전의 경우에는 스위치 오프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contact type pressure release switch 30 is installed outside the tire carrier 18 to which the spare tire 20 is attached, and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20. In normal operation, the spare tire 20 is switched o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are tire 20, and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pare tire 20 is released, so that the switching off state is achieved just before the accident in which the pressing force is loosened.

또한,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의 작동 회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시에 스페어타이어(20)의 의해 가압된 압력해제스위치(30)의 스위치 온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즉 운전실(미도시 함)에는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의 스위치 오프상태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경고등(32) 및 부저(34)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와 스위칭 연결된다. 미설명한 부호 36은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의 스위칭 동작을 경고등(32) 및 부저(34)로 전달하는 전원 인가수단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operating circuit diagram of the spare tire disengagement w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when the switch-on state of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pressed by the spare tire 20 in the normal state is automatically Warning light 32 and buzzer 34 are installed in the cab (not shown) so as to be operated only in a switched off state of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30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Reference numeral 36,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shows a battery used as a power apply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to the warning lamp 32 and the buzzer 34.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는, 타이어캐리어(18)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20)의 고정 상태가 느슨해지게 되면, 상기 스페어타이어(20)에 의해 눌려져 가압되어 스위치 온상태를 이루고 있던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30)가 스위치 오프되면서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32)과 부저(34)가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In the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ed state of the spare tire 20 attached to the tire carrier 18 becomes loose, the spare tire 20 is pressed and pressed by the spare tire 20 to switch on. As the B-contact pressure release switch 30 has been switched off, the warning lamp 32 and the buzzer 34 installed in the cab are automatically operat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경고등(32) 및 부저(34)의 작동을 통해 운전자는 타이어캐리어(18)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20)의 부착상태가 느슨해진 것을 알고, 차량 운행을 중지하여 느슨해진 상기 스페어타이어(20)를 상기 타이어캐리어(18)에 다시 확실하게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이탈되려고 하는 상기 스페어타이어(20)가 이탈되기 전에 안전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페어타이어(20)가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대형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light 32 and the buzzer 34, the driver knows that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pare tire 20 attached to the tire carrier 18 is loosened, and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spare tire loosened. By reliably attaching and fixing the 20 to the tire carrier 18 again, the fixed state can be released and securely attached and fixed before the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20 which is about to be detached, and thus the spare tire 20 To prevent the risk of major accidents that can occur as a result of the departu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에 의하면, 차체 후미나 저부에 부착 고정시킨 스페어타이어가 차량 운행중에 차체의 타이어캐리어로 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려고 할 때 자동으로 운전자에게 타이어의 부착 상태가 느슨해진 것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어타이어 이탈에 따른 대형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pare tire detachment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are tire fixed to the rear body or the bottom of the vehicle is detached from the tire carrier of the vehicle body during vehicle operation, the tire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driver. By providing a warning that the condition has been loosened,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major accidents resulting from the departure of the spare tire.

Claims (1)

타이어캐리어(18)에 부착 고정된 스페어타이어(20)의 고정 압력이 해제되면 스위치 온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어타이어(20)가 부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타이어캐리어(18) 외측에 설치된 B접점형 압력해제스위치(30)와, 상기 압력해제스위치(30)의 스위치 온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32) 및 부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B-contact pressure release switch installed outside the tire carrier 18 to which the spare tire 20 is attached and contacted so as to be switched on when the fixed pressure of the spare tire 20 attached to the tire carrier 18 is released. 30 and a spare tire disengagement warning device including a warning light 32 and a buzzer 34 installed in the cab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the switch-on state of the pressure release switch 30 is released. .
KR1019970078952A 1997-12-30 1997-12-30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KR199900587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52A KR19990058778A (en) 1997-12-30 1997-12-30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52A KR19990058778A (en) 1997-12-30 1997-12-30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78A true KR19990058778A (en) 1999-07-15

Family

ID=6618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952A KR19990058778A (en) 1997-12-30 1997-12-30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77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6714B2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KR19990058778A (en) Spare Tire Departure Warning System
KR0140557Y1 (en) Lamp structure
KR200150097Y1 (en) A warning device of tire separation
KR970006281Y1 (en) Indicating lamp clip structure
KR200151996Y1 (en) Inside rear mirror unificated room lamp for automobile
KR100534225B1 (en) Alarming apparatus for wheel nut's loosing
JP2663280B2 (en) High mount stop lamp device for automobile
KR960003558Y1 (en) Subsidiary lamp attached to back mirror of a vehicle
KR19980045724A (en) Detachment warning device for spare tire for external mounting of vehicle
KR19990027273A (en) Trunk Mount Tripod
KR200152750Y1 (en) A car lamp seal structure
KR100471800B1 (en) Automotive emergency lamp flasher
KR0125735Y1 (en) Emergency lamp
KR200176427Y1 (en) Mounting bracket for brake lamp
KR0132914Y1 (en) Auxiliary stop lamp
KR19980060048U (en) Car alarm
KR19980028455U (en) Automotive headlamps
KR19980054140A (en) Brake light failure alarm
KR19980039339U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mergency light switch
KR19990020808A (en) Automotive emergency light auto lighting device
KR970037695A (en) Car emergency light
KR19980047868U (en) Car ashtray lights
KR19980085347A (en) Vehicle Hazard Warning Device
KR19980022438U (en) Rear view mirror for checking blind spots on c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