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567A -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 Google Patents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567A
KR19990056567A KR1019970076565A KR19970076565A KR19990056567A KR 19990056567 A KR19990056567 A KR 19990056567A KR 1019970076565 A KR1019970076565 A KR 1019970076565A KR 19970076565 A KR19970076565 A KR 19970076565A KR 19990056567 A KR19990056567 A KR 1999005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screen
display
charac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현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567A/en
Publication of KR1999005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567A/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인가를 판단하고, 텔레비젼모드라고 판단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1 위치로 설정하며, 외부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2 위치로 설정하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요구가 접수되면 설정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제1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표시한다. 따라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표시되더라도 자막문자를 주시하는데 방해받지 않는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ictur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television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icture mode is a television mod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text is set as the first position. If the display request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received, the display is set at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position of the set on-screen display character. Thus, even i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re displayed, the subtitle characters are not disturbed.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젼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신호공급원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of an On Screen Display (OSD) charac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 Screen Display character according to a signal source of an image signal displayed on a TV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osition control method of an on-screen display character to be changed.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에는 볼륨, 채널, 각종 예약 등의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이때, 텔레비젼의 각종 정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에 의해 표시된다. 텔레비젼에는 통상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부를 포함하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색상은 여러 가지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general, a television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olume, channel, and various reservations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At this tim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television are displayed by on-screen display characters. Televisions usually include a component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nd the color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can be set to various colors.

한편,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통한 교육 및 학습의 기회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외국어 교육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보급이 널리 확산되었다. 외국어 교육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외화가 기록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경우도 동일하다)에는 통상 원어를 나타내는 음성신호와 번역문을 나타내는 자막신호가 분리되어 기록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popularity of video cassette tapes becomes popular,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video cassette recorder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spread of video cassette tap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widespread. A video cassette tape for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he same applies to a video cassette tape on which foreign currency is recorded) is recorded separately from an audio signal representing a source language and a caption signal representing a translation.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는 자막신호의 기록위치는 화면의 하단 중앙부위로 통용화되어 있다. 이와 별개로, 텔레비젼의 기능을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도 표시되는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caption signal recorded on the video cassette tape is commonly used as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Apart from this, a position at which an on-screen display character indicating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is also displayed is set in advanc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텔레비젼과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television and video cassette recorder system,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텔레비젼의 기능 중 볼륨상태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는 화면의 하단 좌측으로부터 우측까지 표시되므로, 이 위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의해 재생되는 자막신호의 표시위치와 중복된다. 일반적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표시될 위치의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일부가 제거된 영상신호와 합성한 후 화면상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볼륨조정기능을 선택하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의해 재생된 자막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에 의해 제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위치에서 자막을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이외에 자막을 표시할 수 있는 기타 장치들에 모두 적용된다.Since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indicating the volume status among the functions of the television are displayed from the bottom left to the right of the screen, this position overlaps with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ubtitle signal reproduced by the video cassette recorder. In general,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removes the video signal at the position where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to be displayed, and displays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on the screen after combining the video signal with a part of which is removed. Selecting will cause the subtitles played back by the video cassette recorder to be removed by the on-screen display. Therefore, the user cannot check the subtitl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is problem applies to all other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subtitles in addition to video cassette recorder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출력모드가 외부입력모드인 경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자동으로 가변하여 자막정보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모두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when the screen output mode displayed on the television screen is an external input mo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of an on-screen display character so that all screen display characters can be identified.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써,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levis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의 수해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2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flooding process of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method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상태도이다.3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마이크로 컴퓨터 2: 튜너부1: microcomputer 2: tuner section

3: 안테나 4: 영상신호 처리부3: antenna 4: video signal processor

5: 키 입력부 6: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5: key input unit 6: on-screen display driver

7: 위치 설정부 8: 합성부7: Positioning section 8: Synthesis section

9: 음극선관9: cathode ray tub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인가를 판단하고, 텔레비젼모드라고 판단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1 위치로 설정하며, 외부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2 위치로 설정하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요구가 접수되면 설정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제1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deo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television mod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vision mode is se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set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external input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and if the display request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received, displaying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position of the set on-screen display character It is inclusi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are shown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the specific circuit, which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써, 텔레비젼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levis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설정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튜너부(2)는 안테나(3)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동조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부(4)는 튜너부(2)에 의해 동조된 방송신호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외부입력신호(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의 영상신호 재생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텔레비젼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한다. 여기서, 영상신호 처리부(4)는 색차신호처리 및 휘도신호처리와 수직 및 수평라인을 동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키 입력부(5)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수개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다수개의 기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기능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전송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가 해당 기능키의 선택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1, the microcomputer 1 controls the system as a who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set. The tuner 2 outputs a broadcast signal of a channel set by a user by tun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3. The video signal processing section 4 is a signal for displaying a broadcast signal tuned by the tuner section 2 or an external input signal (a signal input from a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video cassette recorder) input from the outside on a television screen. Process. Here, the image signal processor 4 serves to synchronize the color difference signal processing and the luminance signal processing wi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The key input unit 5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and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the key input unit 5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to the microcomputer 1 so as to provide a microcomputer. Allows the computer 1 to recognize wheth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is selected.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6)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는 임의의 색상을 갖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위치 설정부(7)는 화면에 표시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설정한다. 합성부(8)는 영상신호 처리부(4)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6)에서 발생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를 합성한 후, 음극선관(9)에 출력한다. 여기서, 합성부(8)는 영상신호 처리부(4)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중 위치 설정부(7)에서 설정한 위치값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삭제하고, 삭제된 영상신호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6)에서 발생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합성함으로써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와 영상신호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on-screen display driver 6 generates an on-screen display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rogram. Here, the on-screen display signal may be set to output a character having an arbitrary color. The position setting unit 7 se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ynthesizing unit 8 synthesizes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4 and the on-screen display signal generated by the on-screen display driving unit 6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to the cathode ray tube 9. Here, the synthesis unit 8 deletes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set by the position setting unit 7 among the video signals processed by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4, and on-screen display driving unit ( By synthesizing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generated in 6),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nd video signals are prevented from overlapp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마이크로 컴퓨터(1)는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인가를 판별한다(S1). 이 단계 1(S1)에서 현재의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위치 설정부(7)를 제어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화면의 제1 위치(예컨대, 하단)에 표시되도록 그 위치를 설정한다(S2).The microcomputer 1 determines whether the video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s the television mode (S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 (S1) that the current video mode is a television mode, the microcomputer 1 controls the position setting unit 7 so tha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displayed at the first position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position is set (S2).

만약, 위의 단계 1(S1)에서 현재의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가 아닌 외부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위치 설정부(7)를 제어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화면의 제2 위치(예컨대, 상단)에 표시되도록 그 위치를 설정한다(S3).If, in step 1 (S1) abov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video mode is an external input mode instead of a television mode, the microcomputer 1 controls the position setting unit 7 so that the on-screen display text is displayed on the second position of the screen. The position is set to be displayed (for example, at the top) (S3).

이후, 사용자가 볼륨, 채널 등 텔레비젼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요구가 접수되었다고 판단하고(S4), 위의 단계 2(S2) 및 단계 3(S3)에서 설정된 위치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표시한 후(S5), 초기 단계로 귀환한다. 여기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발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reafter,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key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television such as a volume and a channel, the microcomputer 1 determines that the display request for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has been received (S4), and step 2 (S2) above. And displays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t the position set in step 3 (S3) (S5),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ep. Her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마이크로 컴퓨터(1)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6)를 구동시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가 발생되며, 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는 합성부(8)에 전달된다.The microcomputer 1 drives the on-screen display driver 6 to generate an on-screen display signal. As a result, an on-screen displa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displayed is generated, and the on-screen displa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bining unit 8.

영상신호 처리부(4)는 외부에서 입력된 외부신호 또는 튜너부(2)에 의해 동조된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부(6)로부터 전송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를 합성한다. 이때, 위치 설정부(7)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표시될 위치정보를 합성부(8)에 전달하고, 합성부(8)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표시될 위치의 영상신호를 삭제한 후 삭제된 위치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를 합성한다.The video signal processor 4 synthesizes any one of an externa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or a broadcast signal tuned by the tuner 2 and the on-screen displa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n-screen display driver 6. At this time, the position setting unit 7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on-screen display text is to be displayed to the synthesizing unit 8, and the synthesizing unit 8 deletes the video signal at the position where the on-screen display text is to be displayed and then deletes it. Synthesizes the on-screen display signal at the specified position.

따라서, 모드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가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가 표시되더라도 자막문자를 주시하는데 방해받지 않는다.Therefor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for each mod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re not disturbed even when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r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품의 성능 및 형태에 따라 그 위치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ing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creen, which may be different in position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shape of the produc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course,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method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즉,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 혹은 외부입력모드인가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자막문자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중첩을 방지하여 자막문자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원할하게 확인할 수 있다.That is, by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ccording to whether the pictur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TV mode or an external input mode, the caption characters and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re prevented from overlapping with the caption characters. You can check it smoothly.

Claims (3)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화면에 선택적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에 있어서:In a television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 television broadcast signal and an externally input video signal on a screen and displaying on-screen display characters: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모드가 텔레비젼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n imag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is a television mode; 상기 판단단계에서 텔레비젼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1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Set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to a firs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vision mode is in the determining step; 상기 판단단계에서 외부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를 제2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Set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to a second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input mode is selected in the determining step;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설정단계들에 의해 설정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If the display request for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received, displaying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t any one of the first or second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set by the setting steps. Position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sition is, 화면의 하단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Display position control method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the bottom of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position is, 상기 화면의 전체영역 중 상기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된 자막신호의 발생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문자의 표시위치 제어방법.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s set to a position other than a generation position of a caption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KR1019970076565A 1997-12-29 1997-12-29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KR19990056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565A KR19990056567A (en) 1997-12-29 1997-12-29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565A KR19990056567A (en) 1997-12-29 1997-12-29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567A true KR19990056567A (en) 1999-07-15

Family

ID=661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565A KR19990056567A (en) 1997-12-29 1997-12-29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567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586U (en) * 1995-09-21 1997-04-28 Position Control Device of OSD Signal in Video Mode
KR970057249A (en)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TV with OSD auto-positioning function by ID recognition
KR970057152A (en) * 1995-12-12 1997-07-31 배순훈 OSD Character Position Control in Teletext Mode
KR970064183A (en) * 1996-02-17 1997-09-12 김광호 On-screen display screen position adjustment circuit and adjustment method
KR19990040054A (en)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OSD output position control device in multi-televis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586U (en) * 1995-09-21 1997-04-28 Position Control Device of OSD Signal in Video Mode
KR970057152A (en) * 1995-12-12 1997-07-31 배순훈 OSD Character Position Control in Teletext Mode
KR970057249A (en)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TV with OSD auto-positioning function by ID recognition
KR970064183A (en) * 1996-02-17 1997-09-12 김광호 On-screen display screen position adjustment circuit and adjustment method
KR19990040054A (en)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OSD output position control device in multi-tele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nd revealing the display of captions
US6388715B1 (en) Television receiver
US2005024321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display a digital caption and an OSD in the same text style and method thereof
EP1313315A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2005130139A (en) Video image reception recording apparatus
KR20020041948A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US200601093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9990042500A (en) Sub-screen playback control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multi-screen TV
JP2702014B2 (en) Scheduled recording notice display device
KR19990056567A (en) How to Control Display Position of On-Screen Display Characters
KR19990056558A (en) How to edit screen of TV
US20040032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itions between electronic program guide modes
KR970009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ip display system using one tuner
KR100531311B1 (en) method to implement OSD which has multi-path
JPH05336461A (en) Video signal outputting device
KR0169307B1 (en) Sub-picture position auto-shifting apparatus at an end of broadcasting program of multi-tv
JPH11225296A (en) Video display controller
JPH06861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subtitles by making use of on-screen display
KR01319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ouble pip
JP2834732B2 (en) Video memory control circuit
KR100193098B1 (en) Subtitle position moving device using double window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JPH06165067A (en) Television set
KR100238260B1 (en) On-screen character generating circuit, tv receiver and video tape recorder
KR0147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 screen displaying in the double screen television
KR20000037641A (en) Method for controlling on and off of caption function in tv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