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485A -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 Google Patents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485A
KR19990056485A KR1019970076480A KR19970076480A KR19990056485A KR 19990056485 A KR19990056485 A KR 19990056485A KR 1019970076480 A KR1019970076480 A KR 1019970076480A KR 19970076480 A KR19970076480 A KR 19970076480A KR 19990056485 A KR19990056485 A KR 1999005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audio signal
band
audio
inau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세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485A/en
Publication of KR1999005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485A/en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전에 주파수 대역별로 시간적 마스킹효과를 적용하여 순수 가청신호만 전송하는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는,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할하는 대역분할 필터, 대역분할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저장하는 버퍼링수단, 버퍼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주파수대역별로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을 산출하는 비가청영역 산출수단, 비가청영역 산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주파수대역별 비가청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버퍼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의 유효성을 주파수대역별로 검증하고, 유효한 오디오신호만 전송하는 검증수단, 검증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청음질의 저하없이 오디오 부호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audio precompressor for transmitting only pure audible signals by applying a temporal masking effect for each frequency band before encoding the digital audio signal. A band division filter for dividing the signal by frequency band, buffering means for stor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nd dividing filter for each frequency band, and forward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s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ing mean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audio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output from the buffering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ferring to the non-audible reg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o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and the no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Means Yeokbyeol synthesized frequency band audi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parts for outputting synthesized. Therefore, audio co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without deteriorating audible sound quality.

Description

디지탈 오디오의 전치 압축장치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송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되는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전에 주파수대역별로 시간적 마스킹(Time-Masking) 효과를 적용하여 압축하는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audio precompression apparatus that compresses by applying a time-masking effect for each frequency band before encoding a digital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고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 비해 데이터량이 많이 증가되므로 높은 전송률과 대용량의 메모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부호화 기술이 제안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audio, a technique of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n analog audio signal to a digital signal has been proposed. However, an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high data rate and a large memory are required since the data amount is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an analog audio signal. In order to improve this, encoding techniques for compressing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have been proposed.

제안된 오디오 부호화기술은 일반적으로 원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해서 디지탈 신호가 가지고 있는 리던던시(Redundancy)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신호의 열화없이 전송로의 특성을 절약하는 기법과, 인간의 청각특성을 이용하여 불필요하거나 중요도가 낮은 정보는 제거하는 기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음향신호의 상관성과 인간의 청각특성을 적절히 이용하면 많은 양의 디지탈 데이터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도로 만족하지 않고,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축시키고자 하는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The proposed audio coding technique generally uses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ignal to efficiently remove the redundancy of the digital signal, thereby s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path without deteriorating the signal, and using the human auditory characteristics. Therefore, unnecessary or less important information is removed. By using the correlation of the acoustic signal and human hearing characteristics properly, a large amount of digital data can be saved. However, this degree is not satisfactory, and research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continues.

본 발명은 상술한 추세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방식대로 디지탈 오디오를 부호화하기 전에 주파수대역별로 시간적 마스킹 효과를 적용하여 순수 가청신호만 추출하는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trend, and provides a digital audio precompressor for transmitting a pure audio signal by applying a temporal masking effect for each frequency band before encoding the digital audio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는,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압축하기 위하여 부호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디지탈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소정 수의 주파수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대역분할 필터; 대역분할 필터로부터 주파수대역별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저장하는 버퍼수단; 주파수대역별로 버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을 산출하는 비가청영역 산출수단; 비가청영역 산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주파수대역의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정보를 참조하여 주파수대역별로 버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고, 유효한 것으로 검증된 오디오신호만 출력하는 검증수단; 검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부호화가 이루어지도록 출력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audio pre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dio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ncoding to compress a digital audio signal, wherein a predetermined digital audio signal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frequency bands. A band dividing filter for dividing and transmitting; Buffer means for storing the audio signal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from the band split filter for each frequency band;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terior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s for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buffer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ferr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provided from the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and outputting only the audio signal verified as valid Verification means; And a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audio signals of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output from the verifying unit and encoding the audio sign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의 전치 압축장치의 블럭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ecompressing digital au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가청영역 산출부들에서 산출되는 비가청영역과 버퍼부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간의 관계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naudible region calculated by the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shown in FIG. 1 and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unit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대역분할 필터 111, 112, 113: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00: band split filter 111, 112, 113: first to 32nd buffer unit

121, 122, 123: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 140:합성부121, 122, 123: First to 32nd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 140: Synthesis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의 블록도로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32개의 서브밴드로 분할하는 대역분할 필터(100), 대역분할 필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로부터 주파수대역별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주파수대역별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을 산출하는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로부터 제공되는 각 주파수대역별 비가청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전송처리를 하는 제 1 내지 제 32 검증부(131~133), 제 1 내지 내지 제 32 검증부(131~133)로부터 출력되는 각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미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로 전송하는 합성부(14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수 있듯이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는 버퍼수단으로,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는 비가청영역 산출수단으로, 제 1 내지 제 32 검증부(131~133)은 검증수단으로 각각 정의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udio pre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nd split filter 100 for dividing an applied audio signal into 32 subbands and an audio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output from the band split filter 100 are shown. Frequency forward and backward ratios for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to the 32nd buffer units 111 to 113 and the first to the 32nd buffer units 111 to 113 for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for storing in each frequency band. The first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for calculating the blue region and the non-audible region inform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provided from the first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may be used. First to thirty-two verification units 131 to 133 and first to thirty-two verification units that perform transmission processing by verifying validity of audio signals for each frequency band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ty-second buffer units 111 to 113 ( 131 ~ 133) Synthesizing each frequency band yeokbyeol audio signal consists of the combination unit 140 for transmission to the non-illustrated audio encoder.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to thirty-second buffer units 111 to 113 are buffer means, and the first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are inaudible region calculation means. 32 verification units 131 to 133 may be defined as verification means.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e digital audio precompres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우선, 대역분할 필터(100)는 QMF(Quadrature Mirror Filter)와 같은 디지탈 필터로 구성되어 인가되는 디지탈 오디오를 주파수대역별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2대역으로 분할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므로, 인가된 하나의 PCM형태의 디지탈 오디오신호는 32개의 주파수대역별로 분리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주파수대역 분리 출력으로 어떤 주파수대역에는 오디오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주파수대역별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해당 버퍼부(111, 112, 113)로 전송된다.First, the band dividing filter 100 is composed of a digital filter such as a quadrature mirror filter (QMF), and separates and outputs digital audio applied for each frequency ban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ase of dividing into 32 bands is illustrated, the applied digital audio signal of one PCM type is separated and output for each of 32 frequency bands. With this frequency band separation output, an audio signal may not exist in some frequency bands. The audio signal separated and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buffer units 111, 112, and 113.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대역별로 할당된 버퍼부들(111, 112, 113)이 대역분할 필터(1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대역분할 필터(100)로부터 주파수대역별로 분할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해당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도록 할당된 버퍼부(111 또는 112 또는 113)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 1 버퍼부(111)가 최저 주파수대역용으로, 제 2 버퍼부(112)가 그 다음 주파수대역용으로, 제 32 버퍼부(113)가 최고 주파수대역용으로 구비된 경우에, 대역분할 필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최저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제 1 버퍼부(111)로 전송되고, 그 다음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는 제 2 버퍼부(112)로 전송되고, 최고 주파수대역이 오디오신호는 제 32 버퍼부(113)로 전송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since the buffer units 111, 112, and 113 allocated to each frequency band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nd split filter 100, the band split filter 100 is divided by frequency band and output. The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unit 111 or 112 or 113 allocated to process the audi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buffer section 111 is provided for the lowest frequency band, the second buffer section 112 for the next frequency band, and the thirty-second buffer section 113 is provided for the highest frequency band, band division is performed. The audio signal of the lowest frequency band output from the filter 1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uffer unit 111, the audio signal of the next frequency b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buffer unit 112, and the highest frequency band is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hirty-second buffer unit 113.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는 해당되는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일정기간동안 저장하였다가 출력한다. 그리고 구비되는 버퍼부들(111, 112, 113)의 수는 대역분할 필터(100)의 분할대역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 대역분할 필터(100)에서 이루어지는 분할대역수가 32개이므로 구비된 버퍼부(111, 112, 113)의 수는 32개이나, 대역분할 필터(100)가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주파수대역을 4개로 분할하는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구비되는 버퍼부(111, 112, 113)의 수는 4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ty-second buffer units 111 to 113 store and output the audi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buffer units 111, 112, and 113 provided may be changed by the number of divided bands of the band split filter 10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number of divided bands formed by the band split filter 100 is 32, the number of buffer units 111, 112, and 113 provided is 32, but the audio signal to which the band split filter 100 is applied In the case of using a filter for dividing the frequency band into four, the number of buffer sections 111, 112, 113 provided is four.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에 대역분할 필터(100)로부터 출력된 각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가 저장되면,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들(121~123)은 해당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부들(111~113)로부터 출력될 오디오신호의 정방성 및 후방성에 대한 비가청영역을 각각 산출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2 버퍼부(111~113)로부터 출력될 오디오신호가 f(t)시점의 오디오신호인 경우에,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는 해당 주파수대역에서의 m시간 앞선 오디오신호(f(t-m))에 의해 후방성 비가청영역(A1)과 m시간 뒤의 오디오신호(f(t+m))에 의해 전방성 비가청영역(A2)을 각각 산출한다.When the audio signals for each frequency band output from the band split filter 100 are stored in the first to thirty-second buffer units 111 to 113, the first to thirty-thir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s. An inaudible region for tetragonal and posteriority of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buffer units 111 to 113, which store the audio signal, is calculated.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first to the 32nd buffer units 111 to 113 is the audio signal at the time f (t), the first to the 32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 ( 121 to 123 are omnidirectional by the backward inaudible region A1 and the audio signal f (t + m) after m hours by the audio signal f (tm) preceding m hours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Each of the inaudible regions A2 is calculated.

따라서 제 1 버퍼부(111)에서 f(t)시점의 최저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가 출력될 때, 제 1 비가청영역 산출부(121)는 f(t-m)시점의 최저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에 의한 후방성 비가청영역(A1)과 f(t+m)시점의 최저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에 의한 전방성 비가청영역(A2)을 산출한다. 제 2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2, 123)도 제 1 비가청영역 산출부(121)와 동일하게 구동되어 해당 시점의 해당 주파수대역의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정보를 각각 산출한다.Therefore, when the audio signal of the lowest frequency band at the time f (t) is output from the first buffer unit 111, the first inaudible region calculator 121 is connected to the audio signal of the lowest frequency band at the time f (tm). The backward inaudible region A1 and the forward inaudible region A2 by the audio signal of the lowest frequency band at the time f (t + m) are calculated. The second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s 122 and 123 are also driven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 121 to calculate forward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respectively. do.

이 때, 각 비가청영역 정보는 해당 오디오신호의 음압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즉, f(t-m)시점의 해당 주파수대역에서의 오디오신호의 음압을 기준으로 후방성 비가청영역 정보가 산출되고, f(t+m)시점의 해당 주파수대역에서의 오디오신호의 음압을 기준으로 전방성 비가청영역 정보가 산출된다. 이러한 비가청영역 정보 산출을 위하여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는 각 음압에 대응되는 비가청영역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해당 주파수대역의 버퍼부에 저장된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음압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비가청영역을 산출하게 된다.At this time, each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pressure of the audio signal. That is, the backward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pressure of the audio signal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t f (tm) time, and based on the sound pressure of the audio signal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t f (t + m) time. Anterior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the first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are configured to include a table storing the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ound pressure. Therefore, when the audio signal stored in the buffer unit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is applied, the inaudible region is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table based on the sound pressure.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2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를 통해 각 주파수대역별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 정보가 산출되면, 해당되는 주파수대역 검증부(131, 132, 133)로 전송된다. 즉, 제 1 비가청영역 산출부(121)는 제 1 검증부(131)로 산출된 비가청영역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비가청영역 산출부(122)는 제 2 검증부(132)로 산출된 비가청영역 정보를 전송하고, 제 3 비가청영역 산출부(123)는 제 3 검증부(133)로 산출된 비가청영역 정보를 전송한다.As such,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is calculated through the first to thirty-second inaudible region calculators 121 to 123,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verification units 131, 132, and 133. do. That is, the first no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 121 transmits the non-audible reg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first verifying unit 131, and the second no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 122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rifying unit 132. The calculated non-audible reg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third non-audible region calculator 123 transmits the calculated non-audible region information to the third verification unit 133.

제 1 내지 제 3 검증부(131, 132, 133)는 대응되는 버퍼부(111~113)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로부터 제공된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된 오디오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정한다. 유효성여부는 현재 버퍼부(111~113)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의 음압이 해당되는 비가청영역 산출부(121~123)로부터 제공된 비가청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포함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송되지 않도록 처리한다.When the first to third verification units 131, 132, and 133 transmit audio signals from the corresponding buffer units 111 to 113, the forward and backward ratios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s 121 to 123 are determined. The validity of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green area information. The validity is determined to be valid when the sound pressure of the audio signal currently transmitted from the buffer units 111 to 113 is not included in the inaudible region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units 121 to 123. If it is included, it determines that it is not valid and processes it so that it is not transmitte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퍼부(111)로부터 출력된 f(t)시점의 오디오신호의 음압이 m시간 앞선 f(t-m)시점의 오디오신호에 의해 산출된 비가청영역(A1)과 m시간 뒤의 f(t+m)시점의 오디오신호에 의해 산출된 비가청영역(A2)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 제 1 검증부(131)는 제 1 버퍼부(111)로부터 출력되는 f(t)시점의 오디오신호를 유효하다고 판정하고 전송되도록 처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n inaudible region in which the sound pressure of the audio signal at the f (t) point output from the first buffer unit 111 is calculated by the audio signal at the f (tm) point in advance of m hours is provided. When not included in the inaudible region A2 calculated by the audio signal at the time f (t + m) after (A1) and m hours, the first verification unit 131 is the first buffer unit 111.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ime f (t) is determined to be valid and is processed to be transmitted.

제 1 내지 제 32 검증부(131~133)의 검증에 의해 출력되는 주파수대역별 오디오신호는 합성부(140)로 전송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2 검증부(131~133)로부터 모두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아니다.The audio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output by the verification of the first to thirty-two verification units 131 to 133 is transmitted to the combining unit 140. At this time, not all audio signals are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tieth verification units 131 to 133.

합성부(140)는 제 1 검증부(131) 내지 제 32 검증부(133)로부터 전송되는 각 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미도시된 오디오 부호화장치로 전송된다. 미도시된 오디오부호화장치는 기존에 제안된 방식으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이다.The synthesizer 140 synthesiz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of each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verifier 131 to the thirty-second verifier 133. The output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an audio encoding apparatus (not shown). The audio encoding apparatus, not shown, is an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applied in a conventionally proposed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를 기존의 부호화방식으로 압축하기 전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시간적 마스킹처리를하여 순수 가청영역에 해당되는 오디오신호만 기존의 부호화방식으로 압축처리되도록 전치 압축처리를 함으로써,가청음질의 저하없이 오디오 신호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temporal masking process for each frequency band before compressing an audio signal with a conventional coding scheme, thereby performing pre-compression processing so that only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pure audio region is compressed with the existing coding scheme. The coding efficiency of the audio signal can be improved without degrading the audio quality.

Claims (1)

디지탈 오디오신호를 압축하기 위하여 부호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In an audio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ncoding to compress a digital audio signal, 소정의 디지탈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소정 수의 주파수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대역분할 필터;A band dividing filter for divid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frequency bands when a predetermined digital audio signal is applied; 상기 대역분할 필터로부터 주파수대역별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주파수대역별로 저장하는 버퍼수단;Buffer means for storing the audio signal output for each frequency band from the band split filter for each frequency band; 상기 주파수대역별로 상기 버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을 산출하는 비가청영역 산출수단;I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terior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s for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buffer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상기 비가청영역 산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주파수대역의 전방성 및 후방성 비가청영역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파수대역별로 상기 버퍼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고, 유효한 것으로 검증된 오디오신호만 출력하는 검증수단;The validity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means for each frequency band is verified by referr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audible reg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provided from the inaudible region calculating means. Verification means for outputting only; 상기 검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부호화가 이루어지도록 출력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오디오 전치 압축장치.And a synthesizer for synthesizing the audio signals of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outputted from the verification means and outputting the encoded signals.
KR1019970076480A 1997-12-29 1997-12-29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KR19990056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480A KR19990056485A (en) 1997-12-29 1997-12-29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480A KR19990056485A (en) 1997-12-29 1997-12-29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485A true KR19990056485A (en) 1999-07-15

Family

ID=6617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480A KR19990056485A (en) 1997-12-29 1997-12-29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4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2406B2 (en) Audio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7848931B2 (en) Audio encoder
JPH08328599A (en) Mpeg audio decoder
JP2000174909A (en) Conference terminal controller
JP2001094433A (en) Sub-band coding and decoding medium
KR20070001139A (en) An audio distribution system, an audio encoder, an audio decoder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fore
KR100251453B1 (en) High quality coder &amp; decoder and digital multifuntional disc
JP4063508B2 (en) Bit rate conversion device and bit rate conversion method
JP2001044844A (en) Sub band coding system
JPH0730496A (en) Sound signal decoding device
JP2001044845A (en) Sub band coding system
US5440596A (en) Transmitter, receiver and record carrier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JPH073115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using masking characteristic of channel for bit assignment
JP2776300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
US20010018651A1 (en) Coded voice signal format converting apparatus
EP155356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udio data
KR19990056485A (en) Precompressor of digital audio
JP4618873B2 (en) Audio signal encoding method, audio signal encoding device, music distribution method, and music distribution system
US6327563B1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JP3103382B2 (en) Method for encoding a digitized audio signal at a low sampling rate
KR100275272B1 (en) Apparatus for pre-compress a digital audio and method
JP2842370B2 (en)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KR0121164B1 (en) Coding/decoding method of compression and recurruence of audio
JP2521051B2 (en) Speech coding system
JPH0298232A (en) Time switching type band split voice en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