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076A -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076A
KR19990054076A KR1019970073837A KR19970073837A KR19990054076A KR 19990054076 A KR19990054076 A KR 19990054076A KR 1019970073837 A KR1019970073837 A KR 1019970073837A KR 19970073837 A KR19970073837 A KR 19970073837A KR 19990054076 A KR19990054076 A KR 1999005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eat exchanger
indoor
way valv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076A/ko
Publication of KR1999005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076A/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외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운전을 냉방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와, 난방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 및 압축기의 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조건이면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도록 제상제어와 동시에 상기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제상제어와 동시에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오프시켜 단시간내에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므로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냉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압력평형으로 압축기을 보호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어지는데, 기능면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면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과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이상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다수의 실내공간을 각각 공기조화시키는 멀티형도 포함되어 진다.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20)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운전 및 냉방운전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0)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30)와,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상기 압축기(3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의 흐름을 변환시키는 사방밸브(35)와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3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냉각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4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각응축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를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팽창시키는 모세관(50)과, 난방운전시 후술하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액화된 냉매를 상기 모세관(50)가 함께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팽창시키는 난방용 모세관(60)과, 냉방운전시에만 냉매가 통과하도록 냉매흐름을 한방향으로 온시키는 한방향밸브(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0)에는 냉방운전시 상기 모세관(50)을 통과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실내팬(8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증발시키면서 저온저압의 완전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냉방운전시에는 사방밸브(35)가 오프되어 도 1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냉매싸이클이 이루어지는데, 실외기(20)의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사방밸브(35)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0)에 유입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강제냉각시켜 응축시키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응축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한방향밸브(70)를 거쳐 모세관(50)으로 유입된다.
상기 모세관(50)으로 유입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팽창되어 실내기(10)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80)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는 모세관(50)을 통해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8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압축기(30)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반면, 난방운전시에는 사방밸브(35)가 온되어 냉매가 도 1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30)→사방밸브(35)→실내열교환기(80)→모세관(50)→난방용 모세관(60)→실외열교환기(40)→사방밸브(35)→압축기(30)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하므로 실내열교환기(80)가 가열되기 시작하는데, 이때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80)의 배관온도에 따라 실내팬(81)이 구동을 제어한다.
만약, 실내열교환기(80)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약, 27℃)미만이면 실내팬(81)을 정지시켜 난방초기시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열교환기(80)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약, 27℃)이상이면 실내팬(81)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81)이 구동되면 실외기(20)의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사방밸브(35)를 통해 실내기(10)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80)로 유입될 때 실내열교환기(80)에서는 실내팬(8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온의 냉각수 또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따뜻해진 공기(온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난방운전을 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 액화된 냉매는 모세관(50) 및 난방용 모세관(60)을 통해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40)에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에서는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사방밸브(35)를 통해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압축기(30)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매의 증발밤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20)의 열교환능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난방효율의 저하로 소비전력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 착상된 성에로 인해 실외기(20)의 결빙현상이 발생하여 압축기(30)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난방운전시 압축기(30)가 동작하여 30분이 경과한 시점이후부터 실외열교환기(40)의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실외기(20)에 성에가 착상되는 제상조건이라고 판단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 실외팬(41), 실내팬(81)을 오프시켜 난방운전을 중지하면서 일정시간(약, 55초)이 경과하면 사방밸브(35)를 오프시키고 일정시간(약 1분)이 경과하면 압축기(30)를 온시켜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으로 전환시킨다.
이에 따라, 냉매가 도 1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사방밸브(35)→실외열교환기(40)→한방향밸브(70)→모세관(50)→실내열교환기(80)→사방밸브(35)→압축기(30) 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하여 실외열교환기(40)가 가열되기 시작하므로 실외열교환기(4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제상운전방식에 있어서는, 압축기(30)가 오프되고 일정시간(약, 55초)후에 사방밸브(35)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오프되므로 55초동안 솔레노이드가 동작하기 않아 모세관(50), 난방용 모세관(60)을 중심으로 저압과 고압측으로 분리된 채 압축기(30)의 압력평형이 이루어지지 않고(이경우, 3분정도의 시간이 경과해야 압력평형을 이룰수 있음)제상제어에 의해 냉방운전으로 절환되므로 압축기(30)의 손상이 지속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상제어와 동시에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오프시켜 단시간내에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므로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는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외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운전을 냉방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와, 난방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 및 압축기의 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조건이면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도록 제상제어와 동시에 상기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은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외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 및 압축기의 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운전인가를 판별하는 제상판별단계와, 상기 제상판별단계에서 제상조건이면 압축기, 실외팬, 실내팬의 오프에 따른 난방운전중지와 동시에 사방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는 압력평형단계와, 상기 압력평형단계에서 압축기가 오프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방밸브의 오프에 따른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를 온시켜 실외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행하는 제상운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제상운전패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운전패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압축기 35 : 사방밸브
40 : 실외열교환기 50 : 모세관
80 : 실내열교환기 104 : 제어수단
108 :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제습, 송풍, 난방 등)와 설정풍량, 설정풍향, 설정온도(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를 입력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04)은 난방운전시 압축기(30)의 운전시간 및 실외열교환기(40)의 배관온도에 따라 제상운전을 제어한다.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실내기(10)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40)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80)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변환기(40)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을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또한, 압축기구동수단(11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 및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이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30)를 구동제어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도록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41)을 구동제어한다.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81)을 구동제어하고, 사방밸브구동수단(118)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35)를 온/오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표시수단(120)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도5A 및 도 5B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운전키를 누른다음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 들면, 난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하면,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와 운전선택신호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난방운전인가를 판별하여, 난방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1로 나아가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스텝S3으로 복귀하여 스텝S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난방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4에서 제어수단(104)은 사방밸브(3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사방밸브(35)를 온시킴으로써 냉매가 압축기(39)→ 사방밸브(35)→ 실내열교환기(80)→모세관(50)→난방용 모세관(60)→ 실외열교환기(40)→ 사방밸브(35)→ 압축기(30)의 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스텝S5에서는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지연시간, 약 3분 정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외기(20)의 운전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실외기(20)의 운전조건이라 함은,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보다 작은 경우이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실외기(20)의 운전조건이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스텝S5 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실외기(20)의 운전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30)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압축기(30)와 실외팬(41)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12)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30)를 온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41)을 온시킨다.
이때, 스텝S8에서는 압축기(30)의 구동에 의한 냉매의 순환시에 가열되는 실내열교환기(80)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Tip)이 아날로그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지털로 변환하여실내배관온도(Tip)가 냉풍방지온도(T1;난방추기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예열배관온도, 약 27℃)이상인가를 판별하다.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냉풍방지온도(T1)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로 통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7로 복귀하여 스텝S7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냉풍방지온도(T1) (T1)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스텝S9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81)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은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81)을 온시킨다.
상기 실내팬(81)이 온되면, 스텝S10에서는 실외기(20)의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사방밸브(35)를 통해 실내기(10)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80)로 유입될 때 실내열교환기(80)에서는 실내팬(8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온의 냉각수 또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따뜻해진 공기(온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난방운전을 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0)에서 액화된 냉매는 모세관(50) 및 난방용 모세관(60)을 통해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40)에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에서는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사방밸브(35)를 통해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압축기(30)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도 1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외열교환기(40)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20)의 결빙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텝S11에서 제어수단(104)은 실외기(20)의 성에착상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압축기(30)의 운전시간 및 실외열교환기(40)의 배관온도 등을 체크하여 제상조건인가를 판별하여, 제상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1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가, 제상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구동수단(112),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 사방밸브구동수단(118)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 실외팬(41), 실내팬(81) 및 사방밸브(35)를 오프시키므로 난방운전중지와 동시에 사방밸브(35)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오프시킨다.
이때, 스텝S13에서는 상기 압축기(30)의 오프후에 소정시간(약,1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1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1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구동수단(112)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를 온시킨다.
상기 압축기(30)가 온되면, 냉매가 도 1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사방밸브(35)→실외열교환기(40)→한방향밸브(70)→모세관(50)→실내열교환기(80)→사방밸브(35)→압축기(30)순으로 순환되는 냉매싸이클을 형성하여 실외열교환기(40)가 가열되기 시작하므로 실외열교환기(4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텝S15에서는 제상운전에 따라 실외열교환기(40)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된 제상완료감지인가를 판별하여, 제상완료감지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제상운전완료가 감지될때까지 스텝S15에서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제상완료감지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구동수단(112), 사방밸브구동수단(118)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를 오프시키고, 사방밸브(35)를 온시킨다.
이때, 스텝S17에서는 상기 압축기(30)의 오프후에 소정시간(약, 1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17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7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정상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18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구동수단(112),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0), 실외팬(41) 및 실내팬(81)을 온시키면서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제상제어와 동시에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오프시켜 단시간내에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므로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외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운전을 냉방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와, 난방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 및 압축기의 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조건이면 제상제어에 의한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도록 제상제어와 동시에 상기 사방밸브를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2.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외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 및 압축기의 운전시간에 따라 제상조건인가를 판별하는 제상판별단계와, 상기 제상판별단계에서 제상조건이면 압축기, 실외팬, 실내팬의 오프에 따른 난방운전중지와 동시에 사방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압축기의 압력평형을 이루는 압력평형단계와, 상기 압력평형단계에서 압축기가 오프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방밸브의 오프에 따른 냉방운전 절환시 압축기를 온시켜 실외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행하는 제상운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19970073837A 1997-12-24 1997-12-24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4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37A KR19990054076A (ko) 1997-12-24 1997-12-24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37A KR19990054076A (ko) 1997-12-24 1997-12-24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076A true KR19990054076A (ko) 1999-07-15

Family

ID=6609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837A KR19990054076A (ko) 1997-12-24 1997-12-24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0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14B1 (ko) * 2008-02-20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111092A (ko) * 2016-03-2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14B1 (ko) * 2008-02-20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111092A (ko) * 2016-03-2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77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2562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33339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KR2018009334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18722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61217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9990054076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9424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장치 및 방법
KR1999005407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42964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49714B1 (ko)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KR100286554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44344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6169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2008001758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09732B1 (ko) 공기조화기의초기절전운전제어방법
KR100187222B1 (ko) 공기조화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4084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719568A (ja) 空気調和装置
KR10018721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79086A (ko) 공기조화기의 절전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7490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0286552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4433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