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172A -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172A
KR19990051172A KR1019970070448A KR19970070448A KR19990051172A KR 19990051172 A KR19990051172 A KR 19990051172A KR 1019970070448 A KR1019970070448 A KR 1019970070448A KR 19970070448 A KR19970070448 A KR 19970070448A KR 19990051172 A KR19990051172 A KR 1999005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r
mobile phone
power
buil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172A/ko
Publication of KR1999005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172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전모드가 선택되면, 페이져의 전원은 온 되고, 휴대전화기의 전원은 오프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져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고,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원이 온되는 과정과, 상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CT-2+), 페이져가 내장된 휴대폰 사용할 때 배터리 절약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본 발명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페이져와 휴대전화기가 등장하여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페이져와 휴대전화기가 일체화된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 또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의 일실시예로는,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Second Generation Cordless Telephone: 이하 "CT-2"라 한다)라 불리우는 휴대용 전화기에 페이져를 부가하여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CT-2 플러스(plus)가 있다. 참고로, 상기 CT-2는 텔레포인트(Telepoint)라 불리는 무선 공중전화망(Public Base Station)을 통하여 이러한 텔레포인트가 설치된 곳의 반경 200미터 내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CT-2는 기존의 무선전화기(CT-0,CT-1)와 비교했을 때 핸드셋(Handset)과 개인기지국(Private Base Station)으로 구성된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지만 셀(Cell)개념에 따른 텔레포인트라는 공중기지국(Public Base Station)에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무선전화기(CT0,CT1)에 비해 월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기이다.
그러나, 위와같이 페이져가 일체화된 휴대전화기는 기존 휴대전화기기에 페이져가 별도로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져가 부가되지 않은 휴대전화기 보다 전원의 소비가 많게 된다. 즉, 페이져가 동작하는 것 만큼의 전원을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휴대전화기의 사용 시간을 크게 제약하는 요소가 되었으며, 기존의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는 이러한 전원 소비의 문제를 별도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전모드가 선택되면, 페이져의 전원은 온 되고, 휴대전화기의 전원은 오프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져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고,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원이 온되는 과정과, 상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절약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티 2 플러스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티 2 플러스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의 설명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형 전화기의 대표적 실시일예인 CT-2플러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휴대전화기, 휴대폰, GSM방식의 휴대전화기, PCS휴대전화기 등도 페이져가 내장되어 사용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라서, 하기 구체적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약 되서는 안될 것이다.
그럼 본 발명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T-2 플러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도면 참조번호 10은 메인(main) 제어부인 제1제어부로서, CT-2 플러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1제어부(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CPU)와, 본 발명에 따른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비활성메모리(EEPROM)와 임의 접근 램(RAM)으로 이루어진 제1메모리부(11)로 이루어진다.
12는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표시부로서, 상기 제1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CT-2 플러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한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13은 키입력부로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과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1제어부(10)로 키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키입력부(13)의 키들은 무선호출 기능과 CT-2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키가 설정하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36은 CT-2의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고, 30은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RF부(30)는 송수신분리부(31)와 제1수신부(35)와 송신부(32)와 주파수합성부(34)와 레귤레이터(regulator;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레귤레이터(33)는 전원부(19)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RF부(30)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조정하여 RF부(30)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34)는 제1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부(32) 및 제1수신부(35)의 송,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송수신분리부(31)는 송신할 혹은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리하여 안테나(36)와 제1수신부(35)로 전달하는 송,수신 분리 역할을 한다. 제1수신부(35)는 송수신분리부(31)에서 분리된 무선신호를 필터링과 저잡음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신호처리부(14)로 출력한다. 송신부(32)는 신호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수신분리부(31)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4)는 제1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제1수신부(35)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신호를 복조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5)를 통해 송출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4)는 마이크(17)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17)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후 디지털신호로 변조하여 송신부(32)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4)는 톤발생기를 구비하며, 제1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부저(16)를 통해 톤을 발생시킨다.
26은 무선호출부의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며, 20은 무선호출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무선호출부(20)는 제2제어부(21)와 제2메모리부(22)와 디코더(23)와 제2수신부(24)와 레귤레이터(25)로 이루어진다. 제2제어부(21)는 무선호출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2제어부(21)는 제1제어부(10)와 통신라인(RS-232C)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21)는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스위치(18)를 온 시킨다. 여기서 전원스위치(18)는 제1제어부(10)에 의해 제어를 받아 온/오프되어 RF부(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제2메모리부(22)는 호출모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램과, 비활성메모리인 이이피롬(EEPROM)으로 이루어진다. 제2수신부(24)는 안테나(26)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받아 필터링 및 증폭하여 디코더(23)로 출력한다. 디코더(23)는 제2수신부(24)에서 입력된 호출신호를 받아 디코딩하여 제2제어부(21)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티 2 플러스의 키입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도면 참조번호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된 전원절전키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원절전키의 입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절약 기능을 수행시키는 키데이터가 상기 제1제어부에 입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 제시되는 명칭 'HHP'는 휴대전화기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이는 'Hand Held Phone'의 약자이다. 이를 통칭 휴대전화기라 칭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상기 도 2의 참조부호 1과 같은 전원절전(SAV)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도 2에서는 CT-2플러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이지만, 이는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형태이므로, 본 발명에서도 이는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302단계에서 상기 전원절전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일반적인 사용 상태가 되므로, 303단계에서 페이져와 휴대전화기의 전원을 모두다 온 시킨다. 그리고, 305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302단계에서 전원절전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304단계에서 휴대전화기가 전원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페이져는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페이져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만 하기 때문에 전원 소비가 적게 되어,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전화기는 페이져로서만 사용이 된다. 그리고, 306단계에서 상기 페이져에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308단계에서 상기 휴대전화기는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하는 경보음은 페이져에서 메시지가 수신될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그 외에도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페이져의 기능 여부에 따라 지원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308단계에서 경보음이 발생하면, 310단계에서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원이 온 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통상 LCD로 구현되면, 상기 페이져와 휴대전화기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시장치이다. 상기 312단계에서 메시지가 표시된 후, 314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통화 수행을 원치 않으면,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전화기에 이미 공지된 기술인 수신된 메시지의 자동다이얼링 기능을 추가시키게 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호출을 한 측과 통화를 형성 시킬 수도 있다. 상기 314단계에서 통화수행이 종료되고, 또는 해당하는 다른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전화기는 다시 전원 오프가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을 결론적으로 설명하면,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를 사용할 때, 대기중에는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에 착안하여, 대기시에는 페이져를 통해서만 메시지를 수신 받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전화기의 전원을 오프 시키더라도, 페이져를 통한 메시지를 수신 받으므로, 휴대전화기가 전원 오프되어 상대측에 의한 연락 불통의 문제는 해결이 가능하며, 동시에 페이져 동작에 따른 전원만 필요하므로, 전원이 절약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준다.

Claims (2)

  1. 페이져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을 절약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약정된 순서에 따라 절전모드가 선택되면, 페이져의 전원은 온 되고, 휴대전화기의 전원은 오프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져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고, 전원 오프된 상기 휴대전화기의 전원이 온 되는 과정과, 상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소정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다이얼링하는 동작 과정을 더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KR1019970070448A 1997-12-19 1997-12-19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KR19990051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8A KR19990051172A (ko) 1997-12-19 1997-12-19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8A KR19990051172A (ko) 1997-12-19 1997-12-19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172A true KR19990051172A (ko) 1999-07-05

Family

ID=6609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448A KR19990051172A (ko) 1997-12-19 1997-12-19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1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02B1 (ko) * 1998-12-2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02B1 (ko) * 1998-12-2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667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0400168B1 (ko) 휴대폰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제어를 이용한 배터리 절약방법
JP2001036456A (ja) 移動無線装置及び移動無線装置の制御方法
JPH10215302A (ja) 携帯電話機
KR100251679B1 (ko) 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의메모리공유방법.
KR19990051172A (ko)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KR0145871B1 (ko) 셀룰라 단말시스템에서 시각 알람 방법
JP2001320312A (ja) 移動電話装置及びその動作切替方法
KR100247838B1 (ko) 무선호출기 일체형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00506249B1 (ko) 쇼트메시지 수신 음성 알림방법
KR100242430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기지국 스캔방법
KR100268236B1 (ko) 휴대용 무선 전화단말기에서 착신음 뮤트방법
JP2700415B2 (ja) 個別呼出装置付き無線電話機
KR100424624B1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200100585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KR100251678B1 (ko) 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의전화번호편집방법
KR20010011060A (ko) 휴대폰에서 저전압시 전화번호부 동작방법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KR100251556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KR100228305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서비스 형태 표시 및 직접통화 서비스 연결 다이얼링방법
KR19990000277A (ko) 휴대폰에서 경보 알림 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KR100695254B1 (ko) 키 입력을 통한 시간과 날짜 설정으로 부가 기능을 이용할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9990003245A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링크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