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437A -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 Google Patents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437A
KR19990048437A KR1019970067111A KR19970067111A KR19990048437A KR 19990048437 A KR19990048437 A KR 19990048437A KR 1019970067111 A KR1019970067111 A KR 1019970067111A KR 19970067111 A KR19970067111 A KR 19970067111A KR 19990048437 A KR19990048437 A KR 1999004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actuator
vehicle
locking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55445B1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445B1/en
Publication of KR1999004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은 차량에 큰 가감속도가 가해진 경우 시트 벨트(21) 착용자의 관성력에 의해 인출되는 시트 벨트(21) 부위에 시트 벨트(21)의 인출을 로크시키는 로크 수단(A)과, 시트 벨트(21) 착용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않으며 압축스프링(35)의 압축력에 의해 시트 벨트(21)의 인출속도를 감속시키며 시트 벨트(21)의 인출속도를 감속시키는 가이드 수단(B)을 구비하므로써, 시트 벨트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원가를 크게 절감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트 벨트의 인출을 저지시켜 탑승자의 상해치를 가감 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rotecting passeng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moval of the seat belt (21) to the seat belt (21) part which is drawn out by the inertia force of the wearer of the seat belt (21) when a larg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Locking means (A) for locking the pressure of the seat belt (21) and the seat belt (21) wearer's thorax without depressing the pulling speed of the seat belt (21)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5) By providing a guide means (B) to reduce the speed of the invention, the seat belt wearer can be safely and costly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juries of the occupants can be reduced by quickly and easily preventing the withdrawal of the seat belt during a vehicle collision. to be.

Description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타설물과의 충격 즉, 차량에 큰 가감속도가 가해진 경우 시트 벨트를 긴급 고정과 동시에 시트 벨트 착용자의 흉부 압박을 감소시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safet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rotecting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with a pour, that is, when a larg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seat belt is urgently fixed and chest compression of the seat belt wearer is simultaneously applied.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safety which reduces and protects passengers safely.

차량에 이용되는 시트 벨트는, 자동차가 충돌되는 경우 탑승자를 본래의 위치에 억제시켜 상해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로서,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를 조합한 3점식 시트 벨트가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에는 로드 리미터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 리미터는, 충돌시 벨트 착용자에 대한 시트 벨트의 압박 정도를 감소시켜 흉부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주용한 기능을 수행하며, 벨트를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감겨지는 리트랙터가 또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벨트를 감는 장치인 리트랙터는 비 로크식 감는 장치(non locking retractor)와 긴급 로크식 감는 장치(emergency locking retractor)의 2가지 종류가 있다. 이러한 어느 장치도 3점식 시트 벨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비 로크식 감는 장치는, 가슴,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로크되는데 비하여 긴급 로크식 장치는, 정차중 또는 보통 주행중에 벨트는 자유로이 신축할 수 있으나, 충돌시 등 차량에 큰 감속도가 가해진 경우나 벨트의 인출 가속도가 큰 경우에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The seat belt used in the vehicle is a safety device used to reduce the degree of injury by restraining the occupant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a car. Pointed seat belts are widely used. A load limiter is installed on the seat belt, and the load limiter performs a main function of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seat belt on the belt wear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o prevent chest damage, and is automatically wound when the belt is released. Lost retractors are also installed. In addition, there are two types of retractors, which are the device for winding the belt, which are a non-locking retractor and a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All of these devices are design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three-point seat belts. The non-locking type winding device is locked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chest and waist belt is adjusted, whereas the emergency locking type device is used to stop the belt while stopping or normal driving. Can be freely stretched, but the belt is locked when a large deceler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such as in a collision, or when the belt is withdrawn.

종래의 리틀랙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감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감지수단은 리트랙터 기어(2), 래칫 기어(3), 스토퍼(4), 볼 진자(5), 파울(6)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리트랙터 기어(2)의 측면에는 상기 래칫 기어(3)가 설치되고, 상기 리트랙터 기어(2) 하부에는 상기 볼 진자(5)가 장착되며, 상기 볼 진자(5)의 회전에 따라 높낮이가 변하는 위 접시부(7)가 상기 볼 진자(5)와 연결된다. 상기 위 접시부(7)와 일체로 성형된 상기 스토퍼(4)는 상기 래칫 기어(3)의 회전력을 제동시키는 폴(pawl)(8)을 측면에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스토퍼(4)를 작동시키는 파울(6)이 상기 스토퍼(4)와 연결되어져 차량에 큰 속도 변화가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볼 진자(5)가 기울게 되고, 상기 위 접시부(7)가 상기 스토퍼(4)를 상향으로 밀어 올린다. 그런데 래칫 기어(3)는 벨트의 인출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약간 들어 올려진 상기 스토퍼(4)의 폴(8)을 걸어 당겨 상기 스토퍼(4)를 또 다시 끌어 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파울(6)은 상기 스토퍼(4)의 상향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끌어 올려져 상기 리트랙터 기어(2)의 톱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리트랙터 기어(2)의 회전은 정지되고 벨트의 인출은 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The conventional little tractor has a sensing means, as shown in FIG. 2, which has a retractor gear 2, a ratchet gear 3, a stopper 4, a ball pendulum 5 and a foul 6. And so on. The ratchet gear 3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retractor gear 2, and the ball pendulum 5 is mount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tractor gear 2, and the heigh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pendulum 5. The upper dish portion 7 which is changed is connected with the ball pendulum 5. The stopper 4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dish portion 7 forms a pawl 8 on the side which brak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atchet gear 3 and also actuates the stopper 4. When the fouling 6 is connected to the stopper 4 so that a large speed change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ball pendulum 5 is inclined, and the upper dish portion 7 pushes the stopper 4 upward. Up. However, the ratchet gear 3 rotates counterclockwise by pulling out the belt and pulls the pawl 8 of the stopper 4 which is slightly lifted to pull up the stopper 4 again. Further, the fouling 6 is simultaneously pulled up as the stopper 4 moves upward to engage the teeth of the retractor gear 2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etractor gear 2 is stopped and the withdrawal of the belt is stopped. It was a structure to be prevented.

이러한 종래의 리트랙터는, 차량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볼 진자가 기울게 되고 동시에 스토퍼를 제어하여 시트벨트의 인출을 급정지 시킴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자는 갑작스런 흉부 압박을 받게 되어 흉부손상 및 불쾌감을 느껴 승객이 시트벨트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is conventional retractor, the ball pendulum inclines when a large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stopper to stop the seat belt from being pulled out suddenly, so that the seat belt wearer is suddenly pressed by the chest and suffers chest damage and discomfort. There was a problem to avoid wearing the seat belt, and also the problem i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종래 리트랙트 구조가 필요없이 설치하며, 차량에 큰 가감속도가 가해진 경우 관성에 의한 시트 벨트 착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시트 벨트 부위에 구비하여 일차로 시트 벨트의 인출을 제어하고 이차적으로 착용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시트 벨트의 인출속도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 벨트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객 보호용 시트벨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without a conventional retract structure, and a seat belt drawn by the seat belt wearer by inertia when a larg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It can be installed on the part to control the seat belt withdrawal first and to control the withdrawal speed of the seat belt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so as not to press the thorax of the wear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rotecting a passenger.

도 1은 시트벨트 록킹장치의 위치도,1 is a position view of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도 2는 종래 시트 벨트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ocking device of the seat belt,

도 3은 도 2의 " C - C "선 사용상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line use state of FIG.

도 4는 도 3의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means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A: 로크 수단 B: 가이드 수단 C: 충격감지센서 D: 액추에어터 작동부 E: 전자제어유니트 21: 시트 벨트 22: 트림 23: 차체 패널 24: 시트벨트 릴 25: 로드 26: 액추에이터 27: 브래킷 28: 힌지 29: 링크 30: 절곡레버 31: 피니언 기어 32: 래크 기어 33: 클램프 부재 34: 가이드 커버 35: 압축스프링 36: 공간 37: 가이드 홀 38: 고정돌기 39: 가이드 브래킷 40: 전자석 41: 스프링A: Lock means B: Guide means C: Shock sensor D: Actuator operating portion E: Electronic control unit 21: Seat belt 22: Trim 23: Body panel 24: Seat belt reel 25: Rod 26: Actuator 27: Bracket 28: Hinge 29: Link 30: Bending lever 31: Pinion gear 32: Rack gear 33: Clamp member 34: Guide cover 35: Compression spring 36: Space 37: Guide hole 38: Fixing protrusion 39: Guide bracket 40: Electromagnet 41: 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는, 시트 벨트가 인출되는 차량의 트림 내부에서 전후진 되는 로드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피니언 기어와 래크 기어를 맞물림으로 시트 벨트를 로크 시키도록 한 로크 수단과, 로크된 시트 벨트가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도록 상기 로크 수단을 이동시키도록 한 가이드 수단과,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와, 에어의 공급으로 상기 로크 수단의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한 액추에이터 작동부와,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부로 전달하도록 된 전자제어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lock the seat belt by engaging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by an actuator having a rod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inside the trim of the vehicle from which the seat belt is drawn out. A locking means configured to move the lock means, a guide means for moving the lock means so that the locked seat belt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a shock sensor for sensing an impact amount of the vehicle, and an air supply An actuator operating unit for operating the actuator of the locking means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value of the impact sensor and transfer it to the actuator operating unit.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에 충격 발생시 충격 감지 센서에서 이를 감지 전자제어유니트에서 그 신호를 입력받아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액추에어터의 전진에 의해 피니언 기어와 래크 기어의 맞물림으로 시트 벨트의 인출을 로크하고 동시에 로크 수단이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며 일정거리만큼 상승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ck occurs in a vehicle, the shock sensor detects it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o operate the actuator. As the actuator moves forward,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are engaged to lock the take-out of the seat belt,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 means compresses the compression spring and moves up by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록킹 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시트 벨트가 록킹 및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is locked and transported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guide means of Figure 3 to be.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는, 시트 벨트(21)를 로크 시키는 로크 수단(A)과, 로크된 시트 벨트(21)가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도록 로크 수단(A)을 이동시키도록 한 가이드 수단(B)과,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C)와, 상기 로크 수단(A)을 이동시키도록 한 액추에이터 작동부(D)와, 상기 충격 감지 센서(D)의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부(D)로 전달하도록 된 전자제어유니트(E)로 이루어져 있다.The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rotecting a pa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means (A) for locking the seat belt (21) and a locking means (A) for moving the locked seat belt (21) by a predetermined length. A guide means (B), a shock sensor (C) for detecting an impact amount of the vehicle, an actuator operating portion (D) for moving the lock means (A), and a signal value of the shock sensor (D) It receives the input is mad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 to be delivered to the actuator operating unit (D).

차실내의 내측벽 차체 트림(22)과 차체 패널(23)사이에는, 시트 벨트 릴(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시트 벨트 릴(24)에는 시트 벨트(21)의 일단이 권취되며, 그 타단이 인출시 차실내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 트림(22)과 차체 패널(23) 사이에는 상기 로크 수단(A)과 상기 가이드 수단(B)이 구비되어 있다.A seat belt reel 24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ior wall body trim 22 and the vehicle body panel 23 in the vehicle interior, and one end of the seat belt 21 is wound around the seat belt reel 24. The other end is intended to protect the passengers in the cabin when withdrawing. The locking means A and the guide means B are provided between the body trim 22 and the body panel 23.

상기 로크 수단(A)은, 전후진 되는 로드(25)를 구비한 액추에이터(26), 중앙이 브래킷(27)에 힌지(28)되고 "ㄴ"형상으로 절곡되며 그 아랫쪽 일단이 상기 로드(25)와 링크(29) 연결된 절곡레버(30), 상기 절곡레버(30)의 상단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31), 상기 피니언 기어(31)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된 래크 기어(32)를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A) has an actuator (26) having a rod (25)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the center of which is hinged (28) to a bracket (27) and is bent into a "b" shape with one end of the rod (25). And a bending lever 30 connected to the link 29, a pinion gear 31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ending lever 30, and a rack gear 32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1. .

상기 가이드 수단(B)은, 일측에 상기 래크 기어(32)가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액추에이터(26)가 고정되는 클램프 부재(33), 차체 패널(23)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33)를 가이드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34), 상기 가이드 커버(34)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클램프 부재(33)를 제어하는 압축스프링(35)을 포함한다.The guide means (B), the rack gear 32 is fixed to one side, the clamp member 33, the actuator 26 is fixed to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body panel 23 is fixed to the clamp member ( A guide cover 34 for guiding the guide 33, and a compression spring 35 for controlling the clamp member 33 moved inside the guide cover 34.

또한, 차체 패널(23)의 내측벽에는, 내부에 공간(36)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 수단(B)의 가이드 커버(34)가 상하로 연장되어 그 양단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일면에는 차실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 홀(37)이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가이드 홀(37)에는 상기 클램프 부재(33)의 양측벽이 슬라이드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공간(36)에는 압축스프링(35)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부재(33)는 차실방향의 일면에 상기 로크 수단(A)의 래크 기어(32)가 차실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35)의 일측을 밀착시키도록 고정돌기(3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면에는 상기 로크 수단(A)의 액추에이터(26)가 고정되도록 가이드 브래킷(3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부재(33)의 차실 방향쪽 일면에는 상기 로크 수단(A)의 브래킷(27)이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guide cover 34 of the said guide means B in which the space 36 was formed in the inside wall of the vehicle body panel 23 extends up and down, and the both ends are welded and fixed.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guide cover 34 is formed with guide holes 37 extending in a vehicle direction extending up and down, and both sides of the clamp member 33 are formed in the guide holes 37 of the guide cover 34. The wall is slide fix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addition, the compression spring 35 is inserted into the space 36 of the guide cover 34. In addition, the clamp member 33 is formed so that the rack gear 32 of the lock means (A) on the one surface in the vehicle compartment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compartment direction, the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Fixing projections 38 are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provided with a guide bracket 39 to fix the actuator 26 of the locking means (A). And the bracket 27 of the said locking means A is being fixed to the vehicle compartment side surface of the said clamp member 33.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로크 수단(A)의 액추에이터(26)는 전자석(40)의 자성에 의해 스프링(41)을 압축 복원시키며 상기 로드(25)를 승하강 시키는 구조로 차량 충돌시 또는 급 정지시에 이를 감지한 충격 감지 센서(C)가 충격에 따른 신호값을 전자제어유니트(E)로 보내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가 액추에이터(26)의 전자석(40)에 자성을 인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26)의 로드(25)가 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절곡레버(30)가 링크(29)의 이동으로 상기 브래킷(27)의 힌지(28)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절곡레버(30)의 피니언 기어(31)가 인출되는 시트 벨트(21)를 밀어 상기 클램프 부재(33)의 래크 기어(32)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tuator 26 of the lock means (A) is a structure for compressing and restoring the spring 41 by the magnetism of the electromagnet 40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rod 25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or sudden stop. When the detected shock sensor C sends a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impact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 applies a magnet to the electromagnet 40 of the actuator 26. Here, when the rod 25 of the actuator 26 moves backward, the bending lever 30 rotates about the hinge 28 of the bracket 27 by the movement of the link 29 to the bending lever 30. The pinion gear 31 of) is pushed to fix the seat belt 21 to be fixed to the rack gear 32 of the clamp member 3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차량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격 감지 센서(C)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값을 전자제어유니트(E)로 전달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는 이 신호값을 제어하여 액추에이터 작동부(D)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부(D)에 의해 액추에이터(26)가 작동되어 전진되어 있던 로드(25)를 잡아 당기게 된다. 동시에 당겨지는 로드(25)에 의해 서로 링크(29) 연결된 절곡레버(30)는 브래킷(27)의 힌지(28)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절곡레버(30) 상단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31)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31)는, 인출되는 시트 벨트(21)를 밀면서 래크 기어(32)에 맞물리며 인출되는 시트 벨트(21)를 로크 시키게 된다.When a large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first,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3, the shock sensor C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signal value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 ) Controls the signal value to operate the actuator operating unit (D). Then, the actuator 26 is operated by the actuator operating part D to pull the rod 25 that has been advanced. The bending levers 30 linked to each other by the rods 25 which are simultaneously pulled together are pivoted about the hinge 28 of the bracket 27, so that the pinion gear 3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nding levers 30. )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pinion gear 31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32 while locking the seat belt 21 to be drawn out to lock the seat belt 21 to be drawn out.

이후, 승객이 관성력을 받아 상체가 앞으로 이동 즉, 시트 벨트(21)가 더 큰 힘으로 당겨지게 되면, 로크된 시트 벨트(21)가 상기 로크 수단(A)과 동시에 그 인출속도를 감속하며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래크기어(32)가 구비된 클램프 부재(33)가 가이드 커버(34)의 가이드 홀(37)을 따라 상승 이동하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스프링(35)을 압축 상기 시트 벨트(21)의 인출속도를 서서히 감속시키게 된다.Then, when the passenger is inertia and the upper body moves forward, that is, the seat belt 21 is pulled with a greater force, the locked seat belt 21 rises while decelerating its withdrawal speed simultaneously with the lock means A. At this time, the clamp member 33 having the rack gear 32 is moved up along the guide hole 37 of the guide cover 34,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compression spring ( Compression 35 is to slowly reduce the withdrawal speed of the seat belt 21.

연속해서, 차량의 충격이 완전히 제거되면 상기 압축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 부재(33)가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가이드 홀(37)을 따라 하향이동되고, 동시에 액추에이터 작동부(D)에 의해 액추에이터(26)의 로드(25)가 전진되어 절곡레버(30)를 회동시키며, 회동되는 상기 절곡레버(30)는 피니언 기어(31)를 회동시켜 로크된 시트 벨트(21)를 상기 클램프 부재(33)의 래크기어(32)로 부터 해제 시키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impact of the vehicle is completely eliminated, the clamp member 33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37 of the guide cover 3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5, and at the same time the actuator operating part ( The rod 25 of the actuator 26 is advanced by D) to rotate the bending lever 30, and the rotating bending lever 30 rotates the pinion gear 31 to lock the seat belt 21. It is to be released from the rack gear 32 of the clamp member 3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시트벨트 록킹장치는, 차량에 큰 가감속도가 가해진 경우 시트 벨트 착용자의 관성력에 의해 인출되는 시트 벨트 부위에 구비하여 일차로 시트 벨트의 인출을 제어하고 이차적으로 착용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시트 벨트의 인출속도를 감속시키므로써, 시트 벨트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원가를 크게 절감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충돌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트 벨트의 인출을 저지시켜 탑승자의 상해치를 가감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eat belt area which is drawn out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seat belt wearer when a larg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primarily controls the withdrawal of the seat belt, By slowing down the seat belt withdrawal speed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so as not to compress the chest, it securely protects the seat belt wearer and greatly reduces the cos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seat belt from being pulled out quickly and easily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or reduce the injury.

Claims (3)

시트 벨트가 인출되는 차량의 트림 내부에서 전후진 되는 로드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피니언 기어와 래크 기어를 맞물림으로 시트 벨트를 로크 시키도록 한 로크 수단과;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seat belt by engaging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by an actuator having a rod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trim of the vehicle from which the seat belt is drawn out; 로크된 시트 벨트가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도록 상기 로크 수단을 이동시키도록 한 가이드 수단과;Guide means for moving the lock means such that the locked seat belt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와;A shock sensor for sensing a shock amount of the vehicle; 상기 로크 수단의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한 액추에이터 작동부와;An actuator operating portion for operating the actuator of the locking means; 상기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액추에이터 작동부로 그 신호값을 전달하도록 된 전자제어유니트;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value of the shock sensor and transfer the signal value to the actuator operating unit;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Passenger protection seat belt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크 수단은, 전후진 되는 로드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상기 로드와 링크 연결되며 중앙이 브래킷에 힌지되어 양단이 절곡된 절곡레버, 상기 절곡레버의 상단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로드의 후진에 의해 회동시 서로 맞물리도록 된 래크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The lock means includes an actuator having a rod tha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 bending lever connected to the rod and hinged at a center thereof by a center hinged to a bracket, a pinion gear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ending lever, and the pinion gear being connected to the rod. Passenger protection seat belt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rack gear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during rotation by the rever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수단은, 일측에 상기 로크 수단의 래크 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로크 수단의 액추에이터가 고정되는 클램프 부재, 차체 패널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를 가이드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 상기 가이드 커버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클램프 부재를 압축 및 복원시키도록 된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The guide means, the lock gear of the lock means is formed on one side, the clamp member is fixed to the actuator of the lock means on the other side, the guide cover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body panel to guide the clamp member, the guide cover And a compression spring configured to compress and restore the clamp member moved in the interior of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KR1019970067111A 1997-12-09 1997-12-09 Seat belt locking system KR100255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1A KR100255445B1 (en) 1997-12-09 1997-12-09 Seat belt loc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1A KR100255445B1 (en) 1997-12-09 1997-12-09 Seat belt loc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437A true KR19990048437A (en) 1999-07-05
KR100255445B1 KR100255445B1 (en) 2000-08-01

Family

ID=1952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111A KR100255445B1 (en) 1997-12-09 1997-12-09 Seat belt loc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4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68A (en) 2022-09-05 2024-03-12 (유)삼송 seat belt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445B1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917A (en) Apparatus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4181326A (en) Vehicle sensing inertia reel lockup inhibitors
EP1211147B1 (en) Seatbelt retractor
JPS582859B2 (en) Chikuzashiyayokushisouchi
USRE47450E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4384735A (en) Safety restraint system having tensionless type belt retractor adapted for adjustable seat
US6336664B1 (en) Seat-belt system
US4251091A (en) Passive vehicle safety belt
US7806439B2 (en) Active anti-bunching D-ring seat belt system
US3811701A (en)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passenger
US4004821A (en) Device for the rapid disengagement of a retaining system in vehicles
US3764159A (en)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passenger
US4703950A (en) Electrical lock-out mechanism for door mounted seat belt retractors
EP1279575A1 (en) Retractor
US4359237A (en) Static belt loop snubber system
KR102496242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255445B1 (en) Seat belt locking system
KR100239645B1 (en) Emergency winding device of seat belt for an automobile
JP3163599B2 (en) Car seat belt structure
JPH0319497Y2 (en)
KR200161263Y1 (en) Auxiliary locking device of seat belt
EP0421951A1 (en) A device for loosening the tension of a safety-belt around a driver or passenger&#39;s body in motor-vehicles
KR100362115B1 (en) Pneumatic seat buckle automatic rewinding device in vehicle brake
JPS5845720Y2 (en) seat belt retractor
JPH03159842A (en)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takeup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