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817A -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 Google Patents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817A
KR19990047817A KR1019970066349A KR19970066349A KR19990047817A KR 19990047817 A KR19990047817 A KR 19990047817A KR 1019970066349 A KR1019970066349 A KR 1019970066349A KR 19970066349 A KR19970066349 A KR 19970066349A KR 19990047817 A KR19990047817 A KR 1999004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haping
light
shaping prism
prism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건호
유장훈
성평용
이용재
이용훈
이철우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817A/en
Publication of KR1999004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817A/en

Links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optical system)는 서로다른 굴절율 및 분산값을 갖는 복수의 프리즘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리즘은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최종 출사광의 빔단면이 소망하는 형태가 되도록 빔정형하며, 입사되는 광의 파장의 변화에 관계 없이 최종 출사각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출사한다.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includes a plurality of prism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ion values, and the plurality of prisms receives collimated light and beams the beam so that the beam cross section of the final output light is desired. Irradiation is made so that the final exit angle is always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wavelength of light.

종래의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는 광원의 출력이 가변적일 경우 광학계를 통과한 광의 출사각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의 변화에 따른 파장의 변화에 관계없이 광학계를 통과한 광의 진행방향(출사각)이 일정하여 본 발명의 광학계를 기록 가능한 광픽업장치에 이용할 경우 광출력변동시 광스폿의 트랙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기록이 가능하다.The conventional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has a problem that the output angl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is changed when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tic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optical pickup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n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a constant traveling direction (emission angl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irrespective of a wavelength change caused by a change in output of the light source, Prevents track deviation and enables stable recording.

Description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본 발명은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소망하는 형태로 빔정형하기 위한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and an optical pickup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the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n a desired form and an optical pickup employing the same.

현재, CD, DVD등과 같은 광저장매체를 위한 광픽업은 그 절단면이 타원형인 광빔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을 사용한다. 이러한 레이저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층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발산하는 빔형태로 출사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레이저광의 발생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urrently, optical pickups for optical storage media such as CDs, DVDs, etc. use a laser light source that emits an optical beam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is laser light source is emitted in the form of a beam that emits light generated by the active layer of the laser diode. Referring to Figure 1 briefly described the generation of the laser light as follows.

도 1은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타원형으로 출사되는 광빔을 보여준다. 도 1에서, 레이저다이오드의 접합면 방향 즉, 활성층에 나란한 방향을 ""로 표시하고 접합면에 수직한 방향을 ""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방향는 레이저다이오드의 활성층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일치한다. "블루스카이리서치(BLUE SKY RESEARCH)"에서 제작한 '모델번호 PS010-00'의 레이저다이오드의 경우, 도 1의 B를 중심으로 1μm(방향)×3μm(방향)인 크기의 활성층영역을 갖는다. 이 활성층영역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발생한다. 활성층영역을 통해 출사되는 광의 시발점은 서로 다른 두 지점 A 및 B이므로, 출사되는 광은 지점 A 및 지점 B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비점격차(非點隔差, ΔZ)를 갖게된다. 그리고, 이 레이저광의 발산각은 일반적으로 θ = 20∼40o및 θ= 8∼20o이며, 따라서, 출사되는 광빔은 그 광학축에 대한 수직 절단면이 타원형이 되며, 특히 그 장축에 해당하는 빔직경이 큰 방향은 방향에 일치하며 그 단축에 해당하는 빔직경이 작은 방향은 접합면에 나란한 방향과 일치하는 타원형이 된다.1 shows an optical beam emitted elliptical from a laser diode. In Figure 1, we show a joint surface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ctive layer of the laser diode with "∥", and display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nding surface to the "⊥". Here, the direction 한다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ctive layer of the laser diode. In the case of the laser diode of 'Model No. PS010-00' manufactured by "BLUE SKY RESEARCH", the active layer region having a size of 1 μm (direction ) × 3 μm (direction ) centering on B of FIG. Have Laser light is generated from this active layer region. Since the starting point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active layer region is two different points A and B, the emitted light has a non-point difference (ΔZ) represen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A and B. And the divergence angle of this laser light is generally θ = 20-40 o and θ = 8-20 o , therefore, the emitted light beam has an elliptical perpendicular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its optical axis, in particular its long ax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am diameter is large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하며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am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hort axis is small becomes an ellips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joint surface.

그러나, 광저장매체에서는 대물렌즈가 원형이므로, 광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절단면 또한 원형인 광빔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제안된 종래의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를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However, in the optical storage medium, since the objective lens is cir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 circular light beam is also required. The optical system for conventional beam shaping proposed by this reques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종래기술의 빔정형프리즘이다. 도 2는 방향와 일치하는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관련하여 전술한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발산하는 빔형태로 출사되는 광은 미도시된 콜리메이터렌즈에 의해 시준(視準)된 다음 프리즘에 입사한다. 이때 타원형 입사광의 단축의 길이가 Wi 이고, 입사각이 θi 이면 식 이 성립한다. 따라서, 특정 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프리즘의 굴절률이 n일 때 Wo 가 입사광의 장축의 길이와 같아지도록 프리즘의 예각 θo 를 조절하면 프리즘을 통과한 빔의 단축과 장축의 길이가 같아져 완전한 원형의 빔을 얻을 수 있다.2 is a beam shaping prism of the prior art. Figure 2 illustrates in plan view to match the direction ∥. As shown, light emitted in the form of a beam emanating from the laser light sour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s collimated by a collimator lens (not shown) and then incident on the prism.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elliptical incident light W i And the incident angle θ i Two-sided expression This holds true. Therefor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sm is n for incident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W o The acute angle of the prism so that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incident light θ o By adjusting, the short axis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prism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long axis, and a perfect circular beam can be obtained.

이상은 광저장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레이저광원을 이용하여 재생시, 레이저광원의 출력 및 파장이 일정한 경우에 대해서만 고려하였다. 하지만, 광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레이저광원의 출력의 변화가 발생하여 광원의 파장이 수 nm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파장의 변화( λ →λ 도 2참조)는 프리즘내에서 색수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광원의 진행방향이 재생시와 비교하여 약간의 각도차가 생기게 되고, 이는 디스크상의 원하지 않는 위치에 광스폿이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광원의 10nm의 파장변화에 대해 약 0.8㎛ 정도의 광스폿이동이 발생하는데, 이때 엑츄에이터(actuator)가 광스폿의 순간적인 이동에 반응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디스크상의 트랙을 벗어난 위치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현상이 발생한다.The above is only considered for the case where the output and the wavelength of the laser light source are constant when the data recorded on the optical storage medium is reproduced using the laser light source. However, when data is recorded on the optical storage medium, the output of the laser light source is changed and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is increased by several nm. λ → λ 2 generates chromatic aberration in the prism. Thus, there is a slight angular difference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as compared with reproduction,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light spots at unwanted positions on the disc. Generally, about 0.8 μm of light spot movement occurs for a wavelength change of 10 nm of the light source, and the actuator cannot respond to the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light spot, and as a result, data is located at a position off the track on the disc. The phenomenon of recording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는 광원의 출력이 가변적일 경우 광학계를 통과한 광의 출사각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has a problem that the output angl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is changed when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is variab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의 출력의 변화에 따른 색수차 발생에 관계없이 광학계를 통과한 광의 진행방향(출사각)이 일정한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am shaping prism having a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having a constant traveling direction (emission angle) of light passing through an optical system regardless of chromatic aberration caused by a change in output of a light sou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을 채용한 광픽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pickup apparatus employing the beam shaping prism having the above-described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도 1은 타원형 광빔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ser light source for emitting an elliptical light beam,

도 2는 종래기술의 빔정형프리즘,2 is a beam shaping prism of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3 is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광학계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4 is an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ptical system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레이저다이오드 32 : 콜리메이터31: laser diode 32: collimator

33 : 제 1빔정형프리즘 34 : 제 2빔정형프리즘33: first beam shaping prism 34: second beam shaping pris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은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optical system)에 있어서,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최종 출사광의 빔단면이 소망하는 형태가 되도록 빔정형하며, 입사되는 광의 파장의 변화에 관계 없이 최종 출사각이 일정해지도록 출사하는 광학적 특성들을 갖는 복수의 프리즘을 포함한다.The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eam shaping in the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so that the beam cross-section of the final output light to the desired shape by receiving the collimated ligh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isms having optical properties that emit the final exit angl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을 채용한 광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사양의 제 1 및 제 2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각각 시준(視準)하는 제 1 및 제 2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광학적 저장매체를 위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제 1콜리메이터로부터 시준된 타원형광을 입사받아 빔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빔정형하여 광의 파장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각으로 출사하며, 제 2콜리메이터로부터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직각 반사하여 출사하는 빔정형수단, 및 빔정형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광학적저장매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한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employing a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im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aser light sourc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respectively. I) An optical pickup device for an optical storage medium having a first collimator and a second collimator, wherein the elliptical light collimated from the first collimator is beam-formed so that the beam cross section becomes circular and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light. And a beam shaping means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receives collimated light from the second collimator, and reflects the light collimated at right angles, and the objective lens conden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eam shaping means on the optical storage medium.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am shaping prism having a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ng function and an optical pickup device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이다. 도 3은 전술한 레이저광원의 방향와 일치하는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는 타원형 레이저광원을 발생하는 레이저다이오드(31)를 구비한다. 레이저다이오드(31)에서 출사되는 광은 후단에 연결된 콜리메이터(32)에 의해 시준되어 제 1빔정형프리즘(33)으로 입사된다. 제 1빔정형프리즘(33)은 콜리메이터(32)에서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일정값의 굴절율 및 분산값으로 굴절시켜 제 2빔정형프리즘(34)으로 출사한다. 제 2빔정형프리즘(34)은 제 1빔정형프리즘(33)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 1빔정형프리즘(33)과 다른 굴절율 및 분산값으로 굴절시켜 출사한다.3 is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in matching the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laser light source plane. As shown, the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diode 31 for generating an elliptical laser light sour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31 is collimated by the collimator 32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incident to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receives light collimated by the collimator 32 and is refracted to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nd dispersion value and exits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emi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at a refractive index and dispersion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레이저다이오드(31)에서 방사되는 파장이 λ 인 타원형의 광이 콜리메이터(32)로 입사되면 콜리메이터(32)는 방사되는 광이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시준하여 제 1빔정형프리즘(33)으로 출사한다. 콜리메이터(32)를 통과한 광의 단축의 길이는 W1 이고 제 1빔정형프리즘(33)으로의 입사각은 θ1 이다. 제 1빔정형프리즘(33)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 α1 이고 파장이 λ 인 입사광에 대해 굴절율이 n1 이면 제 1빔정형프리즘(33)을 통과한 빔의 단축의 길이는 다음식에 의해 W2 로 정형되어 제 2빔정형프리즘(34)으로 입사된다.The wavelength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31 λ When the elliptical light having the incident light enters the collimator 32, the collimator 32 collimates the emitted light in parallel and exits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collimator 32 is W 1 And the incident angle to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θ 1 to be. The acute angl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and the exit angle inside the prism are α 1 And the wavelength λ Refractive index for incident light n 1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back surfac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 2 Is incident on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여기서, 는 제 1빔정형프리즘(33)의 빔정형율이다. 제 1빔정형프리즘(33)을 통과한 광의 단축의 길이는 W2 이고 제 2빔정형프리즘(34)으로의 입사각은 θ2 이다.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 α2 이고 파장이 λ 인 입사광에 대해 굴절율이 n2 이면 제 2빔정형프리즘(34)을 통과한 빔의 단축의 길이는 다음식에 의해 W3 로 정형되어 출사된다.here, Is the beam shaping ratio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is W 2 And the incident angle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θ 2 to be. The acute angl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and the exit angle inside the prism α 2 And the wavelength λ Refractive index for incident light n 2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beam passing through the rear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 3 It is modeled and outputted.

여기서, 는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빔정형율이다. 그런데, 레이저다이오드(31)의 광출력이 λ →λ 으로 변화하면 제 1빔정형프리즘(33) 및 제 2빔정형프리즘(34)내에서 색수차가 발생하여 광의 진행경로가 달라진다. 이때 파장이 λ 인 광의 진행경로를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파장이 λ 인 광에 대해서 제 1빔정형프리즘(33)의 굴절율의 변화량이 Δn1 , 제 1빔정형프리즘(33)내부의 광의 입사각이 δ1 , 제 1빔정형프리즘(33)외부로의 출사각이 δ1 이면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한다.here, Is the beam shaping ratio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However, the light output of the laser diode 31 λ → λ In this case, chromatic aberration occurs i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and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and thus the light propagation path is changed. Where the wavelength λ The advancing path of the phosphorescent light i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Wavelength λ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with respect to phosphorus light Δn 1 ,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side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δ 1 , The exit angl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δ 1 , The following relation is satisfied.

여기서, n1+Δn1 은 파장이 λ 인 광에 대한 제 1빔정형프리즘(33)의 굴절율이다. 이광은 제 2빔정형프리즘(34)으로 입사하는데 이때의 입사각은 θ21 이고 제 2빔정형프리즘(34)내부에서의 출사각이 α2 와 동일해지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here, n 1 + Δn 1 Silver wavelength λ It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with respect to phosphorus light. This light is incident on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and the incident angle is θ 21 And the exit angle inside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α 2 The conditions for being equal to are as follows.

여기서, n2+Δn2 는 파장이 λ 인 광에 대한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굴절율이다. 그리고, 파장이 λ 인 광의 제 2빔정형프리즘(34)외부로의 출사각이 δ2 이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here, n 2 + Δn 2 Has a wavelength λ It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for phosphorescent light. And the wavelength λ The exit angle of the phosphor bea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δ 2 Then, the following relationship holds.

여기서, δ1 을 소거하고 δ2 을 '0'으로 대치하여 수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얻는다.here, δ 1 Mute δ 2 If you replace the expression by replacing it with '0', you get the following relation.

여기서, Δn1 Δn2 는 각각 제 1빔정형프리즘(33) 및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파장의 변화에 따른 굴절율의 변화량이고, α1 α2 는 각각 제 1빔정형프리즘(33) 및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예각이다. 그리고, 는 제 2빔정형프리즘(34)의 빔정형율이다. 즉, 수식 6을 만족시키면 레이저파장의 변화에 관계없이 제 2빔정형프리즘(34)외부의 출사각( δ2 )이 0˚가 되도록 할 수 있다.here, Δn 1 And Δn 2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velength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and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respectively, α 1 And α 2 Are the acute angles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3 and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respectively. And, Is the beam shaping ratio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That is, if Equation 6 is satisfied, the emission angle outside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34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laser wavelength ( δ 2 ) Can be set to 0˚.

이상은 도 3의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 광학계의 동작에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도 4는 도 3의 광학계를 채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650㎚레이저다이오드(1), 제 1콜리메이터(2) 및 제 1빔정형프리즘(3)은 도 3의 대응소자들과 동일한 기능 및 배치를 갖는다. 하지만 제 2빔정형프리즘(4)은 780㎚레이저다이오드(11)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반사프리즘(7)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 1광분할기(5)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빔정형프리즘(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제 2빔정형프리즘(4)으로 입사하는 각은 제 2빔정형프리즘(4)의 좌측빗변의 연장선과 제 1광분할기(5)의 우측수직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 2빔정형프리즘(4) 및 제 1광분할기(5)의 굴절율 및 분산값은 동일하다. 제 1광분할기(5)는 제 2빔정형프리즘(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그대로 통과시켜 650㎚레이저광의 파장변화에 관계없이 제 1광분할기(5)외부로의 출사각이 항상 0˚가 되도록 출사하며 780㎚레이저다이오드(11)로부터 출사되어 제 2콜리메이터(12)에서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45˚경사면으로 반사시켜 0˚의 출사각으로 제 2광분할기(6)로 출사한다. 제 2광분할기(6)는 제 1광분할기(5)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반사프리즘(7)쪽으로 통과 시키며 반사프리즘(7)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두 개의 45˚반사면으로 반사시켜 광검출렌즈(13)로 출사시킨다. 광검출렌즈(13)는 제 2광분할기(6)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광검출기(14)로 집광하며 광검출기(14)는 집광되는 광신호를 검출한다. 반사프리즘(7)은 제 2광분할기(6)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45˚경사면으로 수직 반사하여 대물렌즈(8)로 출사하며 대물렌즈(8)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제 2광분할기(6)쪽으로 수직반사 시킨다. 대물렌즈(8)는 반사프리즘(7)으로부터 입사되는 650㎚파장의 광은 DVD디스크(9)에 초점을 맞추어 집광하고 DVD디스크(9)면으로부터 다시 반사되는 광을 반사프리즘(7)쪽으로 출사한다. 그리고, 대물렌즈(8)는 반사프리즘(7)으로부터 입사되는 780㎚파장의 광은 CD-R디스크(10)에 초점을 맞추어 집광하고 CD-R디스크(10)면으로부터 다시 반사되는 광을 반사프리즘(7)쪽으로 출사한다.The foregoing has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beam shaping optical system with the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of FIG. 3. 4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ing the optical system of FIG. As shown, the 650 nm laser diode 1, the first collimator 2 and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 have the same function and arrangement as the corresponding elements of FIG. However,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4 is coupled with the first light splitter 5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780 nm laser diode 11 toward the reflecting prism 7. Therefore, the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3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4 is the extension of the left hypotenus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4 and the first light splitter 5. It is equal to the angle formed by the extension line of the right vertical side. The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ion values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4 and the first light splitter 5 are the same. The first light splitter 5 pas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4 as it is, and the exit angl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splitter 5 is always 0 °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650 nm laser light.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780 nm laser diode 11 and incident on the collimated light from the second collimator 12 to be incident on the 45 ° inclined plane to be emitted to the second light splitter 6 at an exit angle of 0 °. The second light splitter 6 pass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plitter 5 toward the reflective prism 7, a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reflective prism 7 reflects the two 45 ° reflecting surfaces to form a photodetector lens. Exit to (13). The photodetector lens 13 condense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plitter 6 to the photodetector 14, and the photodetector 14 detects the condensed optical signal. The reflecting prism 7 refl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plitter 6 to the objective lens 8 by reflecting it vertically to the 45 ° inclined plane, a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bjective lens 8 receives the second light splitter 6. Reflect it vertically. The objective lens 8 condenses the 650 nm wavelength light incident from the reflective prism 7 to focus on the DVD disk 9 and emits the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DVD disk 9 surface toward the reflective prism 7. do. The objective lens 8 collects light of 780 nm wavelength incident from the reflective prism 7 while focusing on the CD-R disc 10 and reflecting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surface of the CD-R disc 10. Eject toward the prism (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수차 보정기능을 구비한 빔정형프리즘 은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굴절율 및 분산값을 갖는 복수의 빔정형프리즘을 이용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타원형 또는 원형의 광을 파장의 변화에 관계 없이 최종 출사각이 일정해지도록 하면서 소망하는 비율로 빔정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eam shaping prism having a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liptical or circular shape emitted from a light source by using a plurality of beam shaping prism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ion values in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It provides the effect of beam shaping at the desired rate while keeping the final emission angle constant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ch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빔정형 광학계를 채용한 광픽업장치는 서로다른 사양을 갖는 복수의 광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광원의 출력변화에 대해 광스폿의 디스크상의 트랙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기록을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빔정형프리즘 중에서 하나를 광분할기로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광분할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형의 광픽업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optical pickup apparatus employing a beam shap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on a plurality of optical storage media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wherein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is provided on a disk of an optical spot in response to an output change of a laser light source. It prevents track deviation and enables stable recording. By using one of the two beam shaping prisms as a light splitter, a separate optical splitter is not required, thereby providing a compact optical pickup.

Claims (17)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optical system)에 있어서,In an optical system for beam shaping,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최종 출사광의 빔단면이 소망하는 형태가 되도록 빔정형하며, 입사되는 광의 파장의 변화에 관계 없이 최종 출사각이 일정해지도록 출사하는 광학적 특성들을 갖는 복수의 프리즘을 포함하는 광학계.An optica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prisms having optical characteristics that emit a collimated light so that the beam cross section of the final output light becomes a desired shape, and emit the final emission angle to be constant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리즘은 상기 입사되는 광의 빔단면이 원형인 경우, 빔정형 되어 최종 출사되는 광의 단축직경이 상기 입사되는 광의 빔직경과 동일하도록 빔정형함을 특징으로하는 광학계.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isms are beam-shaped when the beam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light has a circular shape, the beam being shaped so that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finally emitted light is the same as the beam diameter of the incident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리즘은, 상기 입사되는 광의 빔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빔정형되어 최종 출사되는 광의 빔직경이 상기 입사되는 광의 빔단면의 장축직경중과 동일하게 되어 원형의 빔단면을 갖도록 빔정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circular be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isms are beam-shaped when the beam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light is elliptical, the beam diameter of which is finally beam-formed is equal to the long axis diameter of the beam cross section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shaping to have a cross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리즘은 서로 다른 굴절율 및 분산값을 갖는 제 1빔정형프리즘 및 제 2빔정형프리즘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optica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isms include a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a second beam shaping pris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ion valu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1차 빔정형하여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 출사하며 특정파장 λ 의 입사광에 대해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굴절율이 n1 이면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receives the collimated light and firstly shaping the beam to exit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has a specific wavelength. λ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is n 1 An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W1 은 상기 입사되는 시준된 타원형광의 단축직경, W 1 Is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incident collimated elliptical light, W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 출사하는 빔의 단축직경, W 2 Is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beam exiting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θ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1 Is an incident angle to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α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다. α 1 Is an acute angl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an exit angle inside the pris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을 입사받아 2차 빔정형하여 출사하며 특정파장 λ 의 입사광에 대해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굴절율이 n2 이면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receives a beam emitted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exits the second beam shaping by a specific wavelength. λ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is n 2 An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W2 는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의 단축직경, W 2 Is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beam emitted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W3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의 직경 및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 입사되는 타원형광의 장축직경, W 3 Is the diameter of the beam emitted from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the long axis diameter of the elliptical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θ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2 Is an incident angle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α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다. α 2 Is an acute angl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an exit angle inside the pris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 및 제 2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입사되는 광의 파장이 λ →λ 으로 변할 경우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have a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λ → λ When the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satisfied. 여기서,here, Δn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파장의 변화에 따른 굴절율의 변화량, Δn 1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velength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Δn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파장의 변화에 따른 굴절율의 변화량, Δn 2 Is the change amount of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α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예각, α 1 Is an acute angl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α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예각, α 2 Is an acute angl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θ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2 Is an incident angle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빔정형율이다. Is the beam shaping ratio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광을 방사하는 광원;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시준(視準)하여 상기 복수의 프리즘으로 출사하는 콜리메이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And a collimator which collimat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exits the plurality of prisms. 서로 다른 사양의 제 1 및 제 2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각각 시준(視準)하는 제 1 및 제 2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광학적 저장매체를 위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A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an optical storage medium having first and second collimators for collimating light emitted from first and second laser light source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respectively. 상기 제 1콜리메이터로부터 시준된 타원형광을 입사받아 빔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빔정형하여 광의 파장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각으로 출사하며, 상기 제 2콜리메이터로부터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직각 반사하여 출사하는 빔정형수단;A beam beam is formed by receiving the collimated elliptical light from the first collimator so that the beam cross section becomes circular, and emits light at a constant angle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change of the light. The beam collimates the collimated light from the second collimator. Shaping means; 상기 빔정형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학적저장매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픽업장치.And an objective lens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beam shaping means onto the optical storage mediu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수단은 서로 다른 굴절율 및 분산값을 갖는 제 1빔정형프리즘 및 제 2빔정형프리즘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The optical pickup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beam shaping means includes a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a second beam shaping prism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ion valu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제 1콜리메이터로부터 시준된 광을 입사받아 1차 빔정형하여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 출사하며 특정파장 λ 의 입사광에 대해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굴절율이 n1 이면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12.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receives light collimated from the first collimator and firstly shaping the beam to emit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has a specific wavelength. λ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is n 1 An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W1 은 상기 제 1콜리메이터로부터 입사되는 시준된 타원형광의 단축직경, W 1 Is a short axis diameter of collimated elliptical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collimator, W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 출사하는 빔의 단축직경, W 2 Is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beam exiting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θ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1 Is an incident angle to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α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다. α 1 Is an acute angl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an exit angle inside the pris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을 입사받아 2차 빔정형하여 출사하며 특정파장 λ 의 입사광에 대해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굴절율이 n2 이면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receives a beam emitted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emits the second beam shaping to emit a specific wavelength. λ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is n 2 An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W2 는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의 단축직경, W 2 Is the short axis diameter of the beam emitted from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W3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부터 출사되는 빔의 직경 및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으로 입사되는 타원형광의 장축직경, W 3 Is the diameter of the beam emitted from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the long axis diameter of the elliptical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θ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2 Is an incident angle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α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예각 및 프리즘내부의 출사각이다. α 2 Is an acute angl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and an exit angle inside the pris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은 동일한 굴절율 및 분산값을 갖는 두 개의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경사면을 서로 공유하고 있고, 공유하고 있는 경계면을 중심으로 한쪽 프리즘의 두 예각은 모두 45도로서 상기 제 2콜리메이터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직각 반사하여 상기 대물렌즈로 출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is composed of two prisms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dispersion value to share the inclined planes with each other, both acute angles of one prism is 45 degrees around the shared boundary surface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collimator at right angles to the objective len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 및 제 2빔정형프리즘은 상기 제 1콜리메이터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파장이 λ →λ 으로 변할 경우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and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has a wavelength of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collimator λ → λ When the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satisfied. 여기서,here, Δn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파장의 변화에 따른 굴절율의 변화량, Δn 1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velength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Δn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파장의 변화에 따른 굴절율의 변화량, Δn 2 Is the change amount of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α1 은 상기 제 1빔정형프리즘의 예각, α 1 Is an acute angle of the first beam shaping prism, α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예각, α 2 Is an acute angle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θ2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으로의 입사각, θ 2 Is an incident angle to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는 상기 제 2빔정형프리즘의 빔정형율이다. Is the beam shaping ratio of the second beam shaping pris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빔정형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투과시키고 상기 대물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직각 반사시키는 광분할기;10. The apparatus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light splitter positioned between the beam shaping means and the objective lens to receive and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beam shaping means and to reflec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objective lens at right angles; 상기 광분할기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검출기에 집광하는 광검출렌즈; 및A photodetector lens for cond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plitter to a photodetector; And 상기 광검출렌즈가 집광하는 광으로부터 광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And a photodetector for detecting an optical signal from the light collected by the photodetector len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렌즈는 상기 광분할기로부터 출사되는 서로 다른 사양의 상기 제 1레이저광 및 제 2레이저광을 각각 멀티포커싱하여 상기 광검출기에 집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16.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photodetector lens focuses the photodetector by multifocusing the first laser light and the second laser light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from the light splitt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상기 광검출렌즈가 집광하는 서로 다른 사양의 상기 제 1레이저광 및 제 2레이저광으로부터 광신호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16.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photodetector detects an optical signal from the first laser light and the second laser light of different specifications condensed by the photodetector lens.
KR1019970066349A 1997-12-05 1997-12-05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KR199900478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49A KR19990047817A (en) 1997-12-05 1997-12-05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49A KR19990047817A (en) 1997-12-05 1997-12-05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817A true KR19990047817A (en) 1999-07-05

Family

ID=6608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49A KR19990047817A (en) 1997-12-05 1997-12-05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8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5773A (en) * 2019-08-02 2021-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Laser beam homogenizer and laser hea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5773A (en) * 2019-08-02 2021-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Laser beam homogenizer and laser hea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8194B2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478559B1 (en) Optical pickup for recordable and playable discs
KR100294235B1 (en) Optical pickup using optical variable iris
US7355798B2 (en) Optical system for collimating elliptical light beam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US6660986B2 (en) Information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a
JPH11296893A (en) Optical pickup
US6009066A (en) Optical pickup of two different wavelength laser sources with an objective lens having an annular shielding region
JP2004005944A (en) Optical pickup and wedge-shaped beam splitter
RU2176097C2 (en) Optical system forming beam ( variants ) and optical sensor
US6912234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laser diode chip
US6510119B2 (en) Optical head device
US6031667A (en) Optical pickup device
EP0862167B1 (en) Optical recording/pickup head compatible with compact disk-recordable (CD-R) and digital versatile disk (DVD) using polarization beam splitter
JPH0434740A (en) Optical head
KR19990047817A (en) Beam shaping prism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optical pickup device
KR20050074046A (en) Beam shaping prism and optical pickup using it
CN101197155A (en) Optical pickup device
JP2000132859A (en) Optical storage device and optical pickup
KR100260704B1 (en) Slim-type optical pickup using total reflection prism
KR100480613B1 (en) Optical pickup having twin laser
KR100260705B1 (en) Optical pickup compatible with optical recording media
CN101197154A (en) Optical pickup device
US7298688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JP2003132581A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rive
JPH1011794A (en) Optical pick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