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120A -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120A
KR19990047120A KR1019970065370A KR19970065370A KR19990047120A KR 19990047120 A KR19990047120 A KR 19990047120A KR 1019970065370 A KR1019970065370 A KR 1019970065370A KR 19970065370 A KR19970065370 A KR 19970065370A KR 19990047120 A KR19990047120 A KR 19990047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ure
hierarchy
level
feature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84585B1 (en
Inventor
김경호
양영균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585B1/en
Publication of KR1999004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585B1/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WWW(World Wide Web)에서 구동되는 GIS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쳐를 효율적으로 다룰수 있고 동시에 전송할 가치가 있는 피쳐의 종류를 자동으로 결정할수 있는 피쳐 계층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IS software running on the World Wide Web,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handling features and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types of features that are worth transmitting. .

모든 피쳐에 대해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고, 레벨 대표값(R-Value)을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군집화된 각 레벨에 새로운 레벨 대표값(R-Value)를 할당하여 피쳐 계층 테이블(FHT)을 구성하여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 관리와, 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하고, 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여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Assign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to all features, cluster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into several groups, and assign a new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to each clustered level. By constructing a hierarchical table (FHT), the levels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spatial hierarchy management that organizes the hierarchy according to the average of the actual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and the relative relationship and importance between the features, and then each level. 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system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at assigns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of a proper distribution to a semantic hierarchy that forms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rrelationship and meaning of features, and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method.

Description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월드 와이드 웹(WWW ; World Wide Web)에서 구동되는 피쳐기반 GIS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월드 와이드 웹(이하; WWW)에서 구동되는 대용량의 벡터 데이터와 다양한 종류의 피쳐를 다룰수 있는 GIS 소프트웨어를 위해서 피쳐를 효율적으로 다룰수 있고 동시에 전송할 가치가 있는 피쳐의 종류를 자동으로 결정할수 있는 피쳐 계층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eature-based GIS software running on the World Wide Web, and more particularly, a GIS capable of handling a large amount of vector data and various kinds of features running on the World Wide Web (WWW). 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handling features for software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types of features worth transferring.

WWW의 이용이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WWW에서 구동되는 GIS 소프트웨어가 현재 몇 개의 WWW 사이트에서 소개 되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WWW용 GIS 소프트웨어는 점, 선, 면을 디지타이징한 벡터 데이터에 속성을 연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검색등을 수행할수 있게 하는 정도이다.As the use of WWW grows rapidly, GIS software running on WWW is now beginning to be introduced at several WWW sites. Most of the GIS software for WWW introduced up to now allows users to perform simple searches by connecting attributes to digitized vector data of points, lines, and faces.

예를 들어, 학교, 도로, 병원, 소방서등의 몇몇 지도 요소들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을 나열해놓고 사용자가 선택한 지도 요소를 화면에 보여주는 식이다. 이때의 "지도요소"를 "피쳐"라고도 부르며 이러한 피쳐를 기본으로 운용되는 GIS를 "피쳐 기반 GIS"라 부를수 있다. 이때의 피쳐는 객체(object)와 유사한 것으로 "피쳐 기반(feature based)"이란 말은 "객체 지향(object oriented)"이란 말보다 좀더 약한 의미를 가진다. 다시말해서 "피쳐 기반 GIS"를 "객체 지향 GIS"의 전단계라고 말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 list of buttons for selecting some map elements such as a school, a road, a hospital, a fire station,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map element" is also called "feature", and the GIS based on such a feature may be called "feature-based GIS". The feature here is similar to an object, and the term "feature based" has a weaker meaning than the term "object oriented". In other words, "feature-based GIS" can be said to be a predecessor of "object-oriented GIS."

피쳐 기반 GIS에서는 말그대로 피쳐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공간분석, 검색등의 모든 GIS 작업이 피쳐 단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GIS는 그 속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게 된다. 이는 수많은 종류(약 300개 이상)의 피쳐를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용량의 피쳐들을 적절히 효율적으로 다룰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In feature-based GIS, features literally play a central role, and all GIS operations such as spatial analysis and search are performed in feature units. GIS, by its nature, handles large amounts of data. This means that you have to deal with many kinds of features (about 300 or mo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handle such large-capacity features appropriately and efficiently.

현재까지 소개된 WWW용 GIS 소프트웨어는 단지 약 10개 미만의 피쳐들을 다루었다. 따라서 이때는 피쳐들의 선택 버튼을 죽 나열한 뒤 사용자에게 원하는 피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취할 수가 있다. 하지만 수백개의 피쳐들을 다루어야 한다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수는 없고 사용자에게 피쳐들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수 있고 효율적으로 관리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The GIS software for the WWW introduced to date only handled less than about 10 features. Therefore, in this case, the selection buttons of the features may be arrang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feature. But if you have to deal with hundreds of features, you can't use this approach and you need to provide a way for users to understand features and manage them efficiently.

WWW용 GIS의 가장큰 문제점 중 하나는 대용량의 벡터 데이터를 WWW을 통해서 서버로부터 전송 받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용량의 벡터 데이터의 전송량을 조절할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One of the biggest problems with GIS for WWW i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receive large amounts of vector data from the server via WWW. Therefor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a large amount of vector data should be prepared.

현재까지 소개된 몇몇 WWW용 GIS 소프트웨어는 단지 몇 개(10개정도)의 지정된 피쳐만을 다루는 정도이므로 기존의 데스크탑 용 독립형(stand alone) 상용 GIS 소프트웨어(특히 객체 지향 GIS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Small World")의 경우처럼 다양한 종류(수백개)의 피쳐를 다룰수 있는 WWW용 피쳐기반 GIS 소프트웨어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Some of the GIS software for the WWW introduced so far covers only a few (about 10) specified features, so that traditional stand-alone commercial GIS software for desktops (especially object-oriented GIS software, for example, "Small World"). As in the case of "), there is no feature-based GIS software for the WWW that can handle a variety of features (hundred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WWW에서 구동되는 명실 상부한 즉, 다양한 종류의 피쳐와 대용량의 벡터 데이터를 다룰수 있는 피쳐 기반 GIS 소프트웨어를 위해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많은 종류의 피쳐들을 일목요연하고 효율적으로 다룰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하고 동시에 WWW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수 있게 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for feature-based GIS software that can handle various kinds of features and large amounts of vector data,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ethod for users to handle numerous types of features in a clear and efficient manner.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WWW should be properly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은 피쳐 계층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쳐 계층 관리 방법은, 피쳐를 구성하는 그래픽 요소간의 관계 및 피쳐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chy)과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을 구성하여 피쳐를 관리한다. 피쳐를 계층적으로 관리 함으로써,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피쳐에 대한 가시적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피쳐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feature layers. The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 feature by forming a spatial hierarchy and a semantic hierarch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By managing features hierarchical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provide users with visual information about features to enabl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feature management.

본 발명은, 수많은 종류의 피쳐들을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눔으로써 피쳐 간의 상하 관계를 분명히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피쳐 관리를 용이하게 하였고, 화면의 확대, 축소 비율에 맞춰, 디스플레이할 피쳐들의 후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불필요한 피쳐들까지 전송 받아오는 것을 방지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manage features by dividing a large number of features into several hierarchies, thereby facilitating user management, and informing a user of candidates for features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an enlargement and reduction ratio of a screen. 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features.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몇몇 독립형 GIS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뷰-바이-스케일(view-by-scale) 개념 즉, 화면의 확대 비율이 적을때는 작은 크기의 벡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화면이 충분히 확대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해주는 방법을 WWW용 피쳐기반 GIS 소프트웨어에서 피쳐의 관리 및 전송을 자동으로 조절하는데 응용한 것이라 할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by-scale concept used in some existing stand-alone GIS software, that is, when the screen magnification ratio is small, the screen does not display small size vector data, The display method when enlarged is appli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management and transfer of features in the feature-based GIS software for WW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쳐 계층관리 방법을 보인 개요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쳐계층 테이블(FHT)의 구축 계통도.2 is a structure diagram of a feature hierarchy table (F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면이 확대/축소되었을때의 FHT의 가시-플래그를 재할당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allocating the visible-flag of the FHT when the screen is enlarged / re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데이타 베이스 11 :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10: database 11: database management system

12 : 웹 서버 13 : 자바클래스 파일12: Web server 13: Java class file

110 :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 121-123 : 피쳐 계층 테이블110: feature hierarchy control unit 121-123: feature hierarchy table

130 : 레이어 모듈 140 : 존 모듈130: layer module 140: zone module

140 : 프로젝트 모듈140: project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은 바로 다양한 종류의 피쳐들을 계층으로 나누어 관리한다는 개념과 그 계층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managing various types of features divided into layers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layers.

계층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두가지를 제시하였다. 하나는 피쳐의 크기에 따라서 계층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이를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라 하고, 다른 하나는 피쳐가 지니는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를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라 한다.Two methods are presented to automatically construct the hierarchy. One method is to construct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size of a feature. This is called spatial hierarchy, and the other is to construct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feature. This is called semantic hierarch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쳐 계층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1 is a block diagram of 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피쳐에 관계되는 모든 속성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어 서버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타 베이스(DB)(10)와, 그 데이타 베이스(10)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11)와, 상기 데이타 베이스(10)에 저장된 지리요소 데이타를 웹브라우저로의 가져올때 피쳐 계층 테이블(FHT)의 가시-플래그(V-Flag) 값에 의해 데이타의 종류를 결정하고 조절하는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110)와, 레벨, 피쳐 이름, 레벨의 대표값, 가시-플래그, 포함-플래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피쳐 계층 테이블(FHT)(121, 122, 123)과,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피쳐들에 대한 계층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젝트(project) 모듈(150)과, 그 프로젝트 모듈(150)의 피쳐 집합에서 임의의 원하는 지역을 수직으로 잘라낸 영역으로 피쳐에 대한 삽입, 삭제 및 수정작업을 하기 위한 존(Zone) 모듈(140)과, 존 모듈에 있는 여러종류의 피쳐중 단일 피쳐를 대상으로 위상관계 확립이나 공간분석을 처리하기 위한 레이어(Layer) 모듈(130)과, 상기 프로젝트 모듈(150), 존 모듈(140) 및 레이어 모듈(130)들의 클래스들과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121-123)과 상기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110)의 클래스들을 자바 클래스 파일(13)로 저장함과 아울러 실행파일들을 클래스 형태로 상기 각부에 제공하는 웹 서버(12)로 구성된다.A database (DB) 10 in which all attribute data and graphic data related to the feature are stored and constructed in the server,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11 for managing the database 10, Feature layer control unit (FHCU) for determining and adjusting the type of data by the visible-flag (V-Flag) value of the feature layer table (FHT) when the geographic elemen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 is imported into a web browser. 110, a number of feature hierarchy tables (FHTs) 121, 122, and 123 that store information such as levels, feature names, level representatives, visible-flags, include-flags, and the like. Project module 150 that processes hierarchical information about all the features to be added, and inserts, deletes, and modifies the feature into a vertically cut region of any desired region in the feature set of the project module 150. Above Zone module 140, a layer module 130 for processing a topological relationship or spatial analysis for a single feature among several kinds of features in the zone module, and the project module 150. The classes of the zone modules 140 and the layer modules 130, the classes of the feature hierarchy table 121-123 and the feature hierarchy control unit 110, are stored in the Java class file 13, and the executable files It is composed of a web server 12 provided in the respective parts in the form of a class.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은, 본 시스템의 실행 파일들은 클래스의 형태로 웹 서버(12)에서 제공된다. 웹 서버(12)에서 본 시스템의 기본 구성 모듈이라 할 수 있는 프로젝트 모듈(150), 존 모듈(140), 레이어 모듈(130)의 클래스들과 피쳐 계층 테이블(Feature Hierarchy Table ;FHT)(121-123)과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110)의 클래스들을 가져 온다.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11)을 통한 데이타베이스(DB)(10)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로의 데이터 전송은 상기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110)가 조절하며, 이때는 각 프로젝트 모듈(150), 존 모듈(140) 및 레이어 모듈(130)이 갖고 있는 FHT(123 - 121)를 참조하게 된다.In the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figured, the executable files of the system are provided in the web server 12 in the form of a class. In the Web server 12, the classes and feature hierarchy table (FHT) of the project module 150, the zone module 140, and the layer module 130,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basic configuration modules of the system. 123 and class of feature layer control unit (FHCU) 110. The data transfer from the database (DB) 10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11 to the client's web browser is controlled by the feature layer control unit (FHCU) 110, in which case each project module ( 150, the FHTs 123-121 of the zone module 140 and the layer module 130 are referred to.

상기 프로젝트 모듈(150)은,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피쳐들의 집합에 해당한다. 프로젝트 모듈(150)의 피쳐 집합에서 임의의 원하는 지역을 수직으로 잘라낸 영역이 존에 해당된다. 피쳐에 대한 삽입, 삭제 및 수정 등의 작업은 존에서 일어나게 된다. 존에는 여러 종류의 피쳐가 존재하게 되는데 단일 피쳐를 대상으로 위상관계 확립이나 공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때는 하나의 피쳐를 하나의 레이어로 보고 처리할 수가 있으며 각 피쳐로 구성된 다수의 레이어를 이용하여 중첩(Overlay)등의 레이어 간 연산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project module 150 corresponds to a collection of all features managed by the system. Zones in which any desired area is vertically cut out from the feature set of the project module 150 correspond to zones. Inserts, deletions, and modifications to features occur in the zone. There are many kinds of features in a zone,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opological establishment or spatial analysis on a single feature. In this case, one feature may be viewed and processed as one layer, and inter-layer calculation such as overlay may be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layers composed of each feature.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FHT)(121 - 123)은, 레벨, 피쳐-이름, 레벨대표값(R-Value), 가시-플래그(V-Flag), 포함-플래그(C-Flag)의 필드로 구성된 테이블이다. 레벨은 피쳐 계층상의 레벨을 의미하고, 레벨의 수는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적응 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피쳐-이름이 복수인 것은 하나의 레벨에 여러 개의 피쳐가 할당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레벨 대표값(R-Value)은 그 레벨의 대표값(Representative value)을 나타내며 이는 피쳐의 공간적 크기 관계 등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전체 피쳐 집합을 몇 개의 레벨로 분류할 것인가 하는 것은 피쳐 집합의 레벨대표값의 분포를 보고 정하게 된다. 가시-플래그(V-Flag)는 가시표(Visibility flag)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레벨의 피쳐들의 가시적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포함-플래그(C-Flag)는 포함표(Containment flag)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피쳐가 현재의 화면범위내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이는 아래에 도시된 [표1]과 같다.The feature hierarchy table (FHT) 121-123 is composed of fields of level, feature-nam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visible-flag (V-Flag), and containing-flag (C-Flag). Table. Levels refer to levels on a feature hierarchy, and the number of levels may be predetermined or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ata. Multiple feature-names means that multiple features can be assigned to a level.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represents a representative valu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level, which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ize relationship of the feature. How many levels a whole feature set is classified is determined by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s of the feature set. Visibility-flag (V-Flag) refers to the visibility flag (Visibility flag) to represent the visible information of the features of the level. In addition, the containment-flag (C-Flag) means a containment flag (Containment flag) and indicates whether the feature is within the current screen range. This is shown in [Table 1] shown below.

레벨(Level)Level 피쳐-이름(Feature-Names)Feature-Names 레벨대표값(R-Value)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가시-플래그(V-Flag)Visible-flag 포함-플래그 (C-Flag)Include-flag (C-Flag)

상기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는 DB로부터 웹브라우저로의 지리 요소 데이터의 전송을 조절하는데, 이 데이타의 전송 여부는 FHT의 V-Flag 값으로 결정된다.The feature layer control unit (FHCU)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geographic element data from the DB to the web browser, and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data is determined by the V-Flag value of the FHT.

한편, 피쳐는 일련의 규칙에 의해 순서적으로 나열되고 그 순서에 의해 데이터의 서버로 부터의 로딩과 디스플레이를 결정하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쳐를 구성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the features are ordered by a set of rules, which in turn determine the loading and display of data from the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wo methods of constructing features.

첫 번째는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것인데 이를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300)이라 칭하고, 이는 피쳐의 공간적 크기에 따른 분류이므로 피쳐 계층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두번째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400)"이라 칭하고,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는 달리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와 무관하게 피쳐들간의 의미론적이고 상대적인 크기 비교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또한 피쳐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그 피쳐가 가지는 의미상의 중요성도 고려된다.The first is to construct a hierarchy based on the actual average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that make up the feature, which is called a “spatial hierarchy” (300), which is the basis of the feature hierarchy because it is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patial size of the feature. can do. The second is called "Semantic hierarchy 400" and constructs the hierarchy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rrelation and meaning of the features. Unlike the first method, this method is based on semantic and relative size comparison between features regardless of the actual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that make up the feature. It also takes into account the semantic significance of the feature, regardless of its siz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쳐 계층 테이블의 구축 계통도이다.2 is a structure diagram of a feature hierarchy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HT(500)를 구성하는 방법은, 먼저 공간적 계층(300)의 경우, 우선 모든 피쳐에 대해 R-Value를 계산한다(310). 그리고 R-Value를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각 레벨에 새로운 R-Value를 할당하여서(320) FHT(500)를 구성한다. 한편, 의미론적 계층(400)의 경우 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한다(410). 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R-Value를 할당한다(420).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HT 500, in the case of the spatial layer 300, first calculates the R-Value for all features (310). The FHT 500 is configured by grouping the R-Value into several groups and then assigning a new R-Value to each level (320). Meanwhile, in the case of semantic hierarchy 400, a level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relationship and importance between features, and so on (410). Next, an appropriate distribution of R-Values is assigned to each level (420).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로의 피쳐를 불러오는 방법은, 화면이 확대/축소 되었을 때 FHT의 V-Flag를 재할당하여야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mporting the feature to the web browser of the client should reassign the V-Flag of the FHT when the screen is enlarged / reduced. This is illustrated in FIG. 3.

스크린의 줌(zoom) 비율이 변경되었을 때에는 먼저 FHT의 V-Flag을 갱신하여야 한다. 스크린 줌의 비율이 변경되면(S1), 가시 플래그(V-Flag)를 클리어 시키고(S2), 선택되지 않은 피쳐들 중 가장 낮은 레벨의 피쳐를 선택한다(S3). 이와같이 피쳐 계층의 낮은 레벨부터 선택하여 그의 R-Value와 현재의 스크린 사이즈의 비를 임계치(TH)와 비교한다(S4). 그 값이 주어진 임계치 보다 크면 그 레벨의 V-Flag을 온(on)으로 세팅한다(S5). 예를 들어 현재의 스크린 사이즈와 R-Value의 비가 10이하이면 V-Flag를 온(on)으로 세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만약 어떤 레벨에서 V-Flag가 오프(off)이면 그 이하 레벨은 모두 오프(off)로 세팅한다(S6). 단, 이때 FHT는 레벨에 따라 정렬되어 있어야한다. 이렇게 해서 모든 피쳐에 대해서 FHT의 V-Flag가 모두 세팅되었으면 V-Flag가 온(on)인 레벨의 피쳐만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면 된다(S7).When the zoom ratio of the screen is changed, the V-Flag of the FHT must be updated first. When the ratio of the screen zoom is changed (S1), the visible flag V-Flag is cleared (S2), and the lowest level feature among the unselected features is selected (S3). In this way, the lower level of the feature layer is selected and the ratio of its R-Value to the current screen size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TH (S4). If the value is larger than the given threshold, the level V-Flag is set to on (S5). For example, if the ratio of the current screen size and the R-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10, there may be a method of setting the V-Flag on. If V-Flag is off at a certain level, all levels below it are set off (S6). In this case, however, the FHT should be aligned according to the level. In this way, if all V-Flags of the FHT are set for all the features, only the features of the level where the V-Flag is on are loaded and displayed (S7).

공간적 계층관리Spatial Hierarchy Management

각 피쳐마다 레벨 대표값(R-Value)를 설정해야 한다. 각 피쳐의 대표값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피쳐의 지리 요소들의 크기에 대한 피쳐 내부 관계(Intra Feature Relation)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리 요소의 종류에는 노드(node), 체인(chain),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가 있다. 세 가지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에는 최소 외접 사각형(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MBR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You need to set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for each fea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representative value of each feature, an intra feature relation analysis on the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of the feature must be preceded. There are three types of geographic elements: nodes, chains, and polygons. It is convenient to use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 to indicate the size of the three elements. 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ways to indicate the size of the MBR. In other words,

1. MBR의 가로와 세로 중 큰 값 (max(width, height))1. The larger of the width and height of MBR (max (width, height))

2. MBR의 가로와 세로의 합 (width + height)2. Sum of width and height of MBR (width + height)

3. MBR의 대각선 길이 (sqrt(width2 + height2))Diagonal length of MBR (sqrt (width2 + height2))

4. MBR의 면적 (width * height)4.Area of MBR (width * height)

등 이 가능하다. 이 중의 하나를 선택한 다음 평균을 구해서 이를 해당 피쳐의 R-Value로 결정한다.Etc. is possible. Select one of these, average it, and determine it as the R-Value of that feature.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크기의 평균값을 그 피쳐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같은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간의 크기에 대한 피쳐의 내부 분산(Intra Feature Variance)이 크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만약 단일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 간의 크기에 대한 분산이 크다면 피쳐에 대표값을 할당하여 피쳐 단위로 로딩 및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a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featur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tra feature variation of the feature with respect to the size between the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same feature is not large. If the variance in the size between the geographic elements that make up a single feature is large, there will be a lot of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to load and display by feature by assigning a representative value to the feature.

도면상에 나타 낼 수 있는 피쳐의 종류는 많다. U.S. Geological Survey에서 제공하는 피쳐 코드 리스트에서도 약 350여가지 이상의 피쳐가 나타난다. "DIGEST의 Feature Attribute Coding Catalog"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피쳐들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피쳐들 마다 고유한 레벨을 부여해서 관리하기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FHT의 레코드 수가 너무 많아진다는 것이고 둘째는 데이터의 로드 여부를 결정할 때 R-Value와 스크린 사이즈와의 비교연산 횟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There are many kinds of features that can appear on the drawings. U.S. In the feature code list provided by Geological Survey, more than 350 features appear. In the "DIGEST's Feature Attribute Coding Catalog" you will find a wide variety of features.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assigning and managing unique levels for each of these features. The first is that the number of records in the FHT becomes too large. The second is that the number of comparison operations between the R-Value and the screen size increases when determining whether to load data.

따라서 비슷한 크기의 R-Value를 가지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묶음으로써 불필요한 비교 연산 횟수를 줄이고 전체 계층의 레벨 수를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FHT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레벨의 수는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피쳐의 공간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Therefore, by grouping features having similar R-values at the same leve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comparison operations and to maintain the number of levels of the entire hierarchy, thereby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the FHT. The number of levels may be predetermined or adaptively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eature.

레벨의 수를 미리 결정하여두는 고정된 수의 레벨(Fixed Number of Level) 방법은, 피쳐들을 미리 정해진 몇 개의 레벨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레벨의 개수는 피쳐의 개수를 고려해서 적절히 결정해야할 것이다. k-means 알고리즘등의 슈퍼바이저 군집화(clus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R-Value를 k개의 레벨로 군집화할 수 있다.The fixed number of levels method, which predetermines the number of levels, is a method of assigning features to several predetermined levels. The number of levels will have to be determined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number of features. Supervisor clustering methods such as the k-means algorithm can be used to cluster R-Values into k levels.

피쳐들의 공간분포를 분석하여 레벨을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가변 수의 레벨(Variable Number of Level) 방법은, 레벨의 개수를 R-Value의 분포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즉, 비슷한 R-Value를 갖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군집화하는 것이다. 이는 피쳐 및 R-Value의 분포 등에 관한 사전 지식 없이도 FHT를 자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gglomerative 알고리즘[7]등의 un-supervised 군집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군집화의 결과로 전체 피쳐가 단지 몇 개의 레벨에 할당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이를 적절한 수의 레벨로 재 할당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A variable number of level method of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eatures and adaptively assigning levels is to dynamically determine the number of level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R-Values. That is, clustering features with similar R-Values at the same level.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FHT can be automatically configured without prior knowledge about the distribution of features and R-Value. Un-supervised clustering methods such as agglomerative algorithms can be used. If the result of clustering is that all features are assigned to only a few levels, a method of reassigning them to an appropriate number of levels is required.

의미론적 계층 관리Semantic Hierarchy Management

피쳐의 공간적인 크기와는 무관하게 피쳐의 의미론적(semantic) 정보에 의해서 계층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시 경계 피쳐는 주(state) 경계 피쳐 보다 작고 주 경계 피쳐는 국가 경계 피쳐 보다 항상 작다. 이러한 의미론적 계층 구조로 모든 가능한 피쳐들을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계층을 결정하기 애매한 피쳐 들은 같은 레벨에 할당한다. 이렇게 구성된 계층의 각 레벨에 적당한 크기의 R-Value를 부여하여 FHT를 구성할 수 있다.Regardless of the spatial size of a feature, a hierarchy may be constructed by semantic information of the feature. For example, the city boundary feature is smaller than the state boundary feature and the state boundary feature is always smaller than the state boundary feature. This semantic hierarchy will list all possible features. Ambiguous features to determine hierarchy are assigned at the same level. FHT can be configured by giving an appropriate R-Value to each level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의미론적 계층 관리의 한가지 주목할) 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점 요소 피쳐들을 상위 레벨에 할당한다는 것이다. 크기로 봐서는 하위 레벨에 속하는 피쳐들을 상위 레벨에 할당하여서 낮은 줌 비율에서도 로드 및 디스플레이 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요한 공공기관 및 응급시설 등은 비록 위치정보 만을 가지는 점 요소이지만 높은 레벨을 할당하여 사용자에게 먼저 디스플레이 하자는 것이다.One noteworthy of semantic hierarchy management is the assignment of point element features that have significant meaning to higher levels. In terms of size, we assign features that belong to lower levels to higher levels so that they load and display even at lower zoom ratios. For example, important public institutions and emergency facilities, although only point information having location information, are assigned to a high level and displayed to the user first.

따라서 의미론적 계층 관리는 피쳐의 크기의 상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피쳐가 가지는 중요성도 고려하여 계층을 구성하는 방법이다.Therefore, semantic hierarchy management is a method of constructing hierarchy considering not only the relative information of the feature size but also the importance of the featur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피쳐를 구성하는 그래픽 요소간의 관계 및 피쳐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공간적 계층과 의미론적 계층을 구성하여 피쳐를 관리함으로써, 전송할 데이터량을 조절할 수가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피쳐에 대한 가시화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피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 feature by forming a spatial layer and a semantic lay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allowing the user to Provi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features has the effect of enabling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feature management.

Claims (11)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피쳐들에 대한 집합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젝트(project) 모듈(150)과,A project module 150 for processing collection information on all features managed by the system, 그 프로젝트 모듈(150)의 피쳐 집합에서 임의의 원하는 지역을 잘라낸 영역에 대해서 피쳐의 삽입, 삭제 및 수정작업을 하기 위한 존(Zone) 모듈(140)과,A zone module 140 for inserting, deleting, and modifying a feature for an area in which a desired region is cut out of the feature set of the project module 150; 존 모듈에 있는 여러종류의 피쳐중 단일 피쳐를 대상으로 위상관계 확립이나 공간분석을 처리하기 위한 레이어(Layer) 모듈(130)과,A layer module 130 for processing topological relations or spatial analysis of a single feature among the various types of features in the zone module, 상기 각 모듈이 관리하는 피쳐 계층에 대해서 레벨, 피쳐 이름, 레벨의 대표값, 가시-플래그, 포함-플래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피쳐 계층 테이블(FHT)(121, 122, 123)과,A feature hierarchy table (FHT) 121, 122, and 123 that stores information such as level, feature nam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level, visible-flag, and include-flag for the feature hierarchy managed by each module;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을 작성하기 위해, 지리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이들을 군집화한 계층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공간적 계층관리와,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의미론적 계층관리를 수행하면서,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요소 데이타를 웹브라우저로 가져올때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FHT)의 가시-플래그(V-Flag) 값에 의해 데이타의 종류를 결정하고 조절하는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110)로 구성되고,In order to create the feature hierarchy table, spatial hierarchy management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hierarchical groups that a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average size of geographic elements, and semantic hierarchy management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hierarchies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rrelation and meaning of features The feature layer control unit (FHCU) determines and adjusts the type of data based on the V-Flag value of the feature layer table (FHT) when importing geographic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to a web browser. ) 110, 웹서버(12)로부터 상기 각부의 실행파일을 클래스 형태로 제공받고, 상기 각부가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 상에 구축되어 피쳐에 관계되는 모든 속성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베이스(DB)(10)로 부터 피쳐를 가져와서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A database (DB) 10 which receives an executable file of each part from a web server 12 in the form of a class, and which each part is built on a web browser of a client and stores all attribute data and graphic data related to a feature. Feature hierarchical management system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ierarchical management by importing features from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FHT)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eature layer table (FHT), 피쳐 계층상의 레벨을 의미하고 그 레벨의 수는 미리 정해지거나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적응 적으로 결정되는 레벨 필드와,A level field means a level on a feature hierarchy and the number of levels is predetermined or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ata; 피쳐의 이름을 의미하며, 하나의 레벨에 여러 개의 피쳐가 할당 될 수 있는 피쳐-이름 필드와,The name of a feature, and a feature-name field where multiple features can be assigned to one level, 그 레벨의 대표값을 나타내고 피쳐의 공간적 크기 관계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전체 피쳐 집합을 몇개의 레벨로 분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레벨 대표값(R-Value) 필드와,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field,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level an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ize relation of the feature, and is used to determine how many levels the entire feature set is to be classified; 해당 레벨에서의 피쳐들의 가시적 정보를 의미하는 가시-플래그(V-Flag) 필드와,A V-Flag field indicating visual information of features at the corresponding level, 그 피쳐가 현재의 화면범위내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포함-플래그(C-Flag) 필드로 이루어진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system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consists of a C-Flag field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feature is within the current screen r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계층관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tial hierarchy management, 모든 피쳐에 대해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고,Assign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to all features, 레벨 대표값(R-Value)을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군집화된 각 레벨에 새로운 레벨 대표값(R-Value)를 할당하여 피쳐 계층 테이블(FHT)을 구성하여,After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is clustered into several groups, a new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is assigned to each clustered level to construct a feature hierarchy table (FHT).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system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aged in a spatial hierarchy constituting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average of the actual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계층관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mantic hierarchy management 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하고,Assign levels based on their relative relationship and importance, 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여Next, assign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of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to each level.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system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aged by a semantic hierarchy constituting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rrelation and meaning of features. 모든 피쳐에 대해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고,Assign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to all features, 레벨 대표값(R-Value)을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군집화된 각 레벨에 새로운 레벨 대표값(R-Value)를 할당하여 피쳐 계층 테이블(FHT)을 구성하여After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is clustered into several groups, the feature hierarchy table (FHT) is constructed by assigning a new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to each clustered level.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method for managing a feature hierarchy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aged as a spatial hierarchy constituting a hierarchy according to an average of the actual size of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의 대표값(R-Value)을 결정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thod of determining a representative value (R-Value) of the feature comprises: 피쳐의 지리 요소들의 크기에 대한 피쳐 내부 관계(Intra Feature Relation) 분석에 의해 결정하되,Determined by intra feature relation analysis of the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of the feature, 상기 지리 요소의 종류에는 노드(node), 체인(chain),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를 고려하고,Consider three types of geographic elements: node, chain, polygon. 세 가지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에는 최소 외접 사각형(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을 이용하며,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 is used to represent the size of the three elements. 상기 MBR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As a method of indicating the size of the MBR, a). MBR의 가로와 세로 중 큰 값 (max(width, height))a). Larger value of the width and height of MBR (max (width, height)) b). MBR의 가로와 세로의 합 (width + height)b). Sum of width and height of MBR (width + height) c). MBR의 대각선 길이 (sqrt(width2 + height2))c). Diagonal length of MBR (sqrt (width2 + height2)) d). MBR의 면적 (width * height)d). Area of MBR (width * height) 중 어느한 가지 방법을 선택한 다음 평균을 구해서 이를 해당 피쳐의 R-Value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method of managing a feature hierarchy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is selected and then averaged to determine the R-value of the featu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크기의 평균값을 그 피쳐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size of the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feature a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feature comprises: 같은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간의 크기에 대한 피쳐의 내부 분산(Intra Feature Variance)이 크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method for managing a feature hierarchy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a feature variation of a feature is not large with respect to the size of geographic elements constituting the same fea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대표값을 군집화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is clustered. 비슷한 크기의 R-Value를 가지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묶되,Features with similar sized R-Values are grouped together at the same level, 슈퍼바이저 군집화(clus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R-Value를 피쳐의 개수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결정해둔 k개의 레벨에 각각 할당하여 군집화하는 고정된 수의 레벨(Fixed Number of Level)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The fixed number of level method is used to assign the R-Value to k levels predetermined by the user by the number of features using the supervisor clustering method.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대표값을 군집화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vel representative value is clustered. 비슷한 R-Value를 갖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군집화하되,Cluster features with similar R-Values at the same level, 피쳐들의 공간분포를 분석하여 레벨을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가변 수의 레벨(Variable Number of Level)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method of managing a feature hierarchy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mprising using a variable number of level method for adaptively assigning levels by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of features. 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하고,Assign levels based on their relative relationship and importance, 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여Next, assign a level representative value (R-Value) of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to each level.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method for managing a feature hierarchy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aged by a semantic hierarchy constituting a hierarchy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rrelation and meaning of the featu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계층 관리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mantic layer management, 계층을 결정하기 애매한 피쳐 들은 같은 레벨에 할당하고, 중요한 점 요소 피쳐들을 상위 레벨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A feature hierarchy management method of a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ssigning hierarchical features to the same level and assigning important point element features to higher levels.
KR1019970065370A 1997-12-02 1997-12-02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KR100284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en) 1997-12-02 1997-12-02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en) 1997-12-02 1997-12-02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120A true KR19990047120A (en) 1999-07-05
KR100284585B1 KR100284585B1 (en) 2001-03-15

Family

ID=6609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en) 1997-12-02 1997-12-02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58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45A (en) * 2000-12-11 2001-03-05 이연익 3-dimensional display of buildings in Internet map service with non-calculated algorithm
KR20020066496A (en) * 2001-02-12 2002-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complex feature and method thereof
KR100353288B1 (en) * 1999-12-30 2002-09-18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Spatial data clearing system based on OpenGIS
KR100501905B1 (en) * 2000-10-19 2005-07-25 주식회사 케이티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lapped Facility Drawing Management By Using Virtual L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288B1 (en) * 1999-12-30 2002-09-18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Spatial data clearing system based on OpenGIS
KR100501905B1 (en) * 2000-10-19 2005-07-25 주식회사 케이티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Overlapped Facility Drawing Management By Using Virtual Line
KR20010016445A (en) * 2000-12-11 2001-03-05 이연익 3-dimensional display of buildings in Internet map service with non-calculated algorithm
KR20020066496A (en) * 2001-02-12 2002-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complex featur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585B1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8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play based on logical groupings of network entities
CN100375971C (en)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layout specialization
US51329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anipulation of documents within a multi-document relationship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6338053B2 (en) Inventory managing method for automatic inventory retrieval and apparatus thereof
US20030212960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report generation
US20080228783A1 (en) Data Partitioning Systems
US11281664B1 (en) Search engine optimizer
CN105653691B (en) Management of information resources method and managing device
US20080091491A1 (en) Method and/or system for flexible data handling
JP2005530242A (en) Storage system having partitioned movable metadata
Pierce et al. Improved combinatorial programming algorithms for a class of all-zero-one integer programming problems
Nashat et al. A comprehensive taxonomy of fragmentation and allocation techniques in distributed database design
CN111107131A (e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server and storage medium
Bracken et al. Towards a typology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EP1483690B1 (en) Hybrid and dynamic representation of data structures
Ram et al. A model for database allocation incorporating a concurrency control mechanism
KR100284585B1 (en) Feature Layer Management System of Feature-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EP0322123A2 (e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documents therein
CN104217032B (en)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database dimension
US20070233925A1 (en) Centralized management of data nodes
US6389410B1 (en) Method for minimizing the number of sorts required for a query block containing window functions
Al Aghbari et al. Geosimmr: A mapreduce algorithm for detecting communities based on distance and interest in social networks
CN113570908A (en) Adaptive network for NOTAM optimization
US61150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 network typ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nsham et al. Supporting visual interactive locational analysis using multiple abstracted topological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