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531A -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tion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531A
KR19990046531A KR1019990010547A KR19990010547A KR19990046531A KR 19990046531 A KR19990046531 A KR 19990046531A KR 1019990010547 A KR1019990010547 A KR 1019990010547A KR 19990010547 A KR19990010547 A KR 19990010547A KR 19990046531 A KR19990046531 A KR 1999004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movement
biopotential
sig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0036B1 (en
Inventor
김희찬
권성훈
Original Assignee
전영삼
주식회사 다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삼, 주식회사 다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전영삼
Priority to KR10199900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036B1/en
Publication of KR1999004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vement.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2.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사람이 착용하는 안경 등에 최소의 전극들을 부착하고 이 전극들을 통해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여 무선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므로써, 신체 장애자 등이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극의 배선을 안경의 금속 프레임 내부로 매입하여 안경 착용시 배선에 의한 불편함을 제거하면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nimum number of electrodes is attached to a pair of glasses worn by a person, and a radio frequenc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detecting a biopotential generated by eye movement through the electrodes, so that the physically handicapped or the like is convenient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noise while remov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wiring when wearing the glasses by inserting the wiring of the electrode into the metal frame of the glasses.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안경에 이격되어 부착된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소정의 가중계수를 이용해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신호를 계산하여, 눈 바로 위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한 것과 같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 발생수단;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전달된 기준신호를 이용해 눈의 움직임을 구별하여, 구별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눈 움직임 구별수단; 눈 움직임 구별수단의 출력신호들을 증폭 및 필터링하여 분리한 후, 분리한 문 움직임 신호와 눈 까박임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한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 및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에 대한 신호들을 입력받아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detection means attached to the glasse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person 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eyes; The reference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is calculated by using the biopotentials detected by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a predetermined weighting coefficient to detect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directly above the ey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reference signal; Eye movement discrimination means for distinguishing the eye movements using the detected biopotentials and the transmitted re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a signal indicative of the distinguished eye movements, movement directions, and movement magnitudes; Eye motion signal processing means for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eye motion discrimination means, and then amplifying the separated door motion signal and eye blindness signal and converting the amplifi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s; A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eye movement signal processing means for the eye movement,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movemen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조절하는데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Description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TION}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TION}

본 발명은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경테의 피부접촉 부위에 매입된 전극을 통해 감지되는 눈동자의 움직임과 눈의 깜빡임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and in particular, to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by using the eye movement and eye blink detected through an electrode embedded in the skin contact portion of the spectacle frame.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눈은 동공쪽으로 '+' 전위를 가지고 있어 눈의 움직임에 따라 생체 전위가 유발되는데, 이러한 생체 전위를 측정한 것을 EOG(electrooculograph)라고 한다.In general, the eye has a '+' potential toward the pupil, and thus the bioelectric potential is induced by the movement of the eye. The measurement of the biopotential is called EOG (electrooculograph).

이와 같은, EOG를 이용한 많은 선행 기술들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기술로는 미국특허번호 5726916 호와 미국특허번호 06360971 호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prior arts using EOG. Among them, representative technologies include US Patent No. 5726916 and US Patent No. 06360971.

먼저, 상기 미국특허번호 5726916 호는 물안경과 같은 구조로된 안경에 전극을 부착시켜, 이 전극들을 통해 단지 눈의 움직음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First, US Pat. No. 5726916 is for attaching an electrode to glasses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water goggles, and for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eye only through these electrodes.

다음, 상기 미국특허번호 06360971 호는 사람이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EOG 신호들을 사용하는 외부 소자들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대방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Next, US Patent No. 06360971 is intended to enable a person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using EOG signals generated by eye movement or to communicate with a counterpar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EOG 신호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경우, 너무 많은 전극들이 소요되므로써, 안경 등에 전극들을 부착하기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설령 전극을 부착하더라도 전극에 연결되는 전선들 때문에 사람의 움직임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고, 이로 인하여 실용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using the EOG signal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attach the electrodes to glasses or the like, because it takes too many electrodes, and even if the electrodes are attached,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human movement due to the wires connected to the electrodes. Constraints follow,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practical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이 착용하는 안경 등에 최소의 전극들을 부착하고 이 전극들을 통해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여 무선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므로써, 신체 장애자 등이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극의 배선을 안경의 금속 프레임 내부로 매입하여 안경 착용시 배선에 의한 불편함을 제거하면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ttaches a minimum number of electrodes to a pair of glasses worn by a person, and detects a biopotential generated by eye movement through the electrodes to generate a radio frequency control signal. This allows the physically handicapped to easily control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omputer, and also embeds the wiring of electrodes into the metal frame of the glasses to minimize noise while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wiring when wearing glass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기준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구성도.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눈 움직임 구별부의 일실시예 구성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ye movement discriminating unit of FIG. 1;

도 4는 도 3의 감산기들의 감산값들 중 눈의 방향을 나타내 감산값에 대한 특성도.FIG. 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a subtracted value indicating a direction of an eye among subtracted values of the subtractors of FIG. 3. FIG.

도 5는 도 1의 제 1 증폭부와 대역통과 필터링부의 일실시예 구성도.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bandpass filtering unit of FIG. 1.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내지 114: 전위 감지 전극 115: 기준전극111 to 114: 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5: reference electrode

120: 기준신호 발생부 130: 눈 움직임 구별부120: reference signal generator 130: eye movement discriminating unit

140, 162: 제 1 및 제 2 증폭부 150: 대역통과 필터링부140 and 162: first and second amplifiers 150: bandpass filtering unit

161: 필터링부 163: A/D 변환부161: filtering unit 163: A / D conversion unit

164: 제어부 165: 무선주파수 전송부164: control unit 165: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unit

166: 역전류 절연부166: reverse current insul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에 있어서,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안경에 이격되어 부착된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 상기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소정의 가중계수를 이용해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신호를 계산하여, 눈 바로 위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한 것과 같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 발생수단; 상기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전달된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해 눈의 움직임을 구별하여, 구별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눈 움직임 구별수단; 상기 눈 움직임 구별수단의 출력신호들을 증폭 및 필터링하여 분리한 후, 분리한 눈 움직임 신호와 눈 깜박임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한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 및 상기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에 대한 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eye, attached to the glasses so as to contact the body of the person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By using the biopotentials sensed by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a predetermined weighting coefficient, a reference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is calculated to detect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directly above the ey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signal; Distinguish eye movement using the biopotentials detected by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and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e eye movement,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ye. Eye movement discrimination means; Eye motion signal processing means for amplifying and filtering output signals of the eye motion discrimination means, and then amplifying the separated eye motion signal and eye blink signal and converting the amplifi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s; A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eye movement signal processing means for eye movements, movement directions, and movement magnitudes, and outputt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는,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안경에 이격되어 부착된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내지 114)들과, 사람 신체의 접지전압과 원격 조절 장치의 접지전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안경에 부착된 기준전극(115)과,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내지 114)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v1, v2, v3, v4)들과 미리 설정된 가중계수를 이용해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파형 Vref를 계산하여, 눈 바로 위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한 것과 같은 기준파형 Vref를 출력하는 기준신호 발생부(120)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내지 114)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v1, v2, v3, v4)들과 기준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된 기준파형을 이용해 눈의 움직임을 구별하여, 구별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눈 움직임 구별부(130)와, 눈 움직임 구별부(130)의 출력신호들을 각각 증폭하기 위한 제 1 증폭부(140)와, 제 1 증폭부(140)를 통해 증폭된 눈 움직임에 대한 신호들 중 고주파 대역인 눈 깜박임 신호와 저주파 대역인 눈 움직임 신호(EOG)를 분리시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링부(150)와, 필터링부(150)로부터 전달된 신호들을 다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링부(161)와, 필터링부(16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기들로 이루어진 제 2 증폭부(162)와, 제 2 증폭부(162)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A/D 컨버터들로 이루어진 A/D 변환부(163)와, A/D 변환부(163)로부터 전달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에 대한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적용해 눈의 이동 방향과 움직임을 판단하여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64)와, 제어부(164)로부터 전달된 직렬 제어신호를 무선주파수 제어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전송부(16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eye, a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attached to the glasses so as to contact the body of the person ( 111 to 114, the reference potential 115 attached to the glasses to match the ground voltage of the human body and the ground voltag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biopotential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s 111 to 114. A reference waveform that outputs a reference waveform Vref that dete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directly above the eye by calculating the reference waveform Vref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using (v1, v2, v3, v4) and a preset weighting coefficient. Eye using the signal generator 120, the biopotential (v1, v2, v3, v4)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s (111 to 114) and the reference waveform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To distinguish the movement of An eye motion discrimination unit 130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 distinct eye movement, a moving direction, and a motion magnitude, a first amplifier 140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eye motion discrimination unit 130, and 1 band pass filtering unit 150 to remove noise by separating the high-frequency eye blink signal and the low-frequency eye movement signal (EOG) of the signals for the eye movement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140 and remove noise A second amplifier comprising a filtering unit 161 for re-filteri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ltering unit 150 to remove noise, and a plurality of amplifiers for amplify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ltering unit 161, respectively. 162, an A / D converter 163 composed of a plurality of A / D converters for converting analo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mplifier 162 into digital signals, and an A / D converter 163, respectively. Eye movement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6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eye by applying signals about the direction and the motion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from the controller 164. It is provided with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65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serial control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control signal for transmission.

그리고,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증폭부(162)와 A/D 변환부(163) 사이에 연결된 역전류 절연부(166)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verse current insulation unit 166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mplifier 162 and the A / D converter 163 to prevent an over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human body.

여기서,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내지 114)들은 사람의 얼굴에 잘 접촉될수록 생체전위를 잘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서 안경에 부착되는 위치를 임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람은 얼굴의 크기 및 형태가 서로 다르므로, 사람의 얼굴에 따라 유동적으로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내지 114)들을 이동시켜 얼굴에 잘 접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since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s 111 to 114 can detect the biopotential as the contact with the face of a person becomes better, it is preferable to arbitrarily move the position attached to the glasses. That is,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f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s 111 to 114 fluidly according to the face of the person so as to make good contact with the fac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하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s follows.

생체전위 감지전극(111, 112)들은 각각 사람 얼굴의 오른쪽 옆면에 잘 접촉되도록 오른쪽 안경다리 부분과 사람 얼굴의 왼쪽 옆면에 잘 접촉되도록 왼쪽 안경다리 부분에 부착되어,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여 기준신호 발생부(120)와 눈 움직임 구별부(130)로 전달한다.The biopotential detecting electrodes 111 and 112 are attached to the right eyeglass leg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right side of the human face and the left eyeglass leg so as to contact the left side of the human face, respectively. The potential is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and the eye movement discriminator 130.

생체전위 감지전극(113, 114)들은 각각 사람의 오른쪽 코 부분에 접촉이 잘되도록 안경의 오른쪽 코 받침과 사람의 왼쪽 코 부분에 접촉이 잘되도록 안경의 왼쪽 코 받침에 부착되어, 눈동자의 상하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여 기준신호 발생부(120)와 눈 움직임 구별부(130)로 전달한다.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s 113 and 114 are attached to the left nose support of the glasses so that the right nose support of the glasses and the left nose of the person are well contacte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right nose of the person is good. It detects the biopotential generated during the transmission and transmits it to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and the eye movement discriminator 130.

한편, 기준전극(115)은 안경다리에서 사람 귀에 걸리는 부분에 부착되어, 사람 신체의 접지전압과 본 발명의 원격 조절 장치의 접지전압을 일치시키는데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electrode 115 is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eyeglasses to the human ear, it is used to match the ground voltage of the human body and the ground voltag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전극(111 내지 115)들은 금속인 은 Ag판으로 기초적인 모양을 만든 다음 염화은 AgCl을 도금한 것이다.Here, the electrodes 111 to 115 are made of a silver Ag plate, which is a metal, and then plated with silver chloride AgCl.

그리고, 전극(111 내지 115)들에 연결되는 전기적 배선은 안경의 프레임을 따라 쉴드선(shield line)을 매입하고, 또한 안경의 프레임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격 조절 장치가 접지되도록 하므로써, 잡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wiring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11 to 115 embeds a shield line along the frame of the glasses, and the frame of the glasses is made of metal so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ounded. The noise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도 2는 상기 도 1의 기준신호 발생부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미리 설정된 가중계수 w1과 생체전위 감지전극(111)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1을 승산하기 위한 승산기(121)와, 상기 가중계수 w2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2)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2를 승산하기 위한 승산기(122)와, 상기 가중계수 w3과 생체전위 감지전극(113)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3을 승산하기 위한 승산기(123)와, 상기 가중계수 w4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4)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4를 승산하기 위한 승산기(124)와, 승산기(121 내지 124)들의 승산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기준파형 Vref를 출력하는 가산기(125)로 구성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of FIG. 1, a multiplier 121 for multiplying a preset weighting factor w1 and a biopotential v1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1 and the weighting factor. A multiplier 122 for multiplying the coefficient w2 and the biopotential v2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2, and for multiplying the weighting factor w3 and the biopotential v3 sens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3 A reference added by adding a multiplier 123, a multiplier 124 for multiplying the weighting factor w 4 and the biopotential v4 sens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4, and a multiplier of the multipliers 121 to 124; The adder 125 outputs the waveform Vref.

여기서, 가중계수(w1 내지 w4)들은 기준파형 Vref를 결정하는 정보로서 환자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그 환자의 상황(즉, 전극들의 위치 및 눈의 움직임)에 따라 실험적으로 계산한 가중치이다.Here, the weighting coefficients w1 to w4 are weights calculated experimentally according to the patient's situation (ie, electrode position and eye movement) by performing a simulation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patient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reference waveform Vref. to be.

이렇게,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중계수(w1 내지 w4)들을 계산하는 이유는, 눈의 윗부분과 아랫 부분에 전극을 부착하지않고도 눈의 바로 위와 아래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측정한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Thus, the reason for calculating the weighting factors (w1 to w4)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s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meas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directly above and below the eye without attaching electrodes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ye. It is for.

한편, 가중계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계산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으로 환자의 상황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 신호가 가장 잘 보일 수 있는 그런 가중치를 계산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eighting coefficient may vary slightly from person to person, an algorithm that optimizes using data in calculations calculates such weights that the eye's up and down motion signals can be seen best in the patient's situation.

이와 같이, 계산한 가중계수를 상기 도 2에서와 같은 연산 과정에 이용하여 계산한 기준파형 Vref는 눈의 바로 위나 아래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측정한것과 같은 파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waveform Vref calculated by using the calculated weighting coefficient in the calcul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2 is a waveform as measur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immediately above or below the eye.

도 3은 상기 도 1의 눈 움직임 구별부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생체전위 감지전극(111)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1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131)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2)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2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132)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3)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3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133)와, 생체전위 감지전극(114)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 v4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134)와, 기준신호 발생부(120)로부터 전달된 기준파형 Vref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135)와, 버퍼(131)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1에서 버퍼(134)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4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136)와, 버퍼(132)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2에서 버퍼(133)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3을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137)와, 버퍼(131)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1에서 버퍼(132)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2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138)와, 버퍼(133)를 통해 전달된 생체전위 v3에서 버퍼(135)를 통해 전달된 기준파형 Vref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eye movement discriminating unit of FIG. 1, including a buffer 131 for buffering the biopotential v1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1, and a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2. A buffer 132 for buffering the biopotential v2 detected by the buffer, a buffer 133 for buffering the biopotential v3 detected by the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3, and a biopotential sensing electrode 114. A buffer 134 for buffering the biopotential v4, a buffer 135 for buffering the reference waveform Vref transferred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and a buffer in the biopotential v1 transferred through the buffer 131 A subtractor 136 for subtracting the biopotential v4 delivered through 134 and a subtractor 137 for subtracting the biopotential v3 delivered through the buffer 133 from the biopotential v2 delivered through the buffer 132. ) And delivered through the buffer 132 at the biopotential v1 delivered through the buffer 131. It comprises a subtractor 138, a buffer 133, a subtracter 139 for subtracting the reference wave Vref is passed through the transfer buffer 135 in the living body through the electric potential v3 for subtracting the above Sports Festival v2.

감산기(136, 137)들은 눈의 움직임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산값들은 눈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이다.The subtractors 136 and 137 are for easily identifying the eye movement direction, and the subtraction values are signals indicating the eye movement direction.

즉, 도 4는 감산기(136, 137)들의 감산값에 대한 특성도이다.That is, FIG. 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subtraction values of the subtractors 136 and 137.

감산기(138)는 눈의 좌우 움직임 크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산값은 눈의 좌우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이다.The subtractor 138 is for easily identifying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 and the subtraction value is a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

감산기(139)는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산값은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이다.The subtractor 139 is for easily confirming the siz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and the subtraction value is a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한편, 기준신호 발생부(120)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 신호가 잘 보일수 있는 위치의 기준파형을 추정하면, 감산기(139)는 이렇게 추정한 기준파형과 적절하게 배열한 전극을 통해 감지한 생체전위 v3을 이용해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계산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estimates the reference waveform at a position where the eye's up-and-down motion signal can be easily seen, the subtractor 139 detects the biopotential detected through the reference waveform and the electrode properly arranged. Calculate the size of the eye's up and down movement using v3.

도 5는 상기 도 1의 제 1 증폭부와 대역통과 필터링부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bandpass filtering unit of FIG.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제 1 증폭부는, 감산기(136)의 감산값을 증폭하여 눈의 움직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141)와, 감산기(137)의 감산값을 증폭하여 눈의 움직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142)와, 감산기(138)의 감산값을 증폭하여 눈의 좌우 움직임 크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143)와, 감산기(139)의 감산값을 증폭하여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144)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amplifier of FIG. 1 may amplify the subtracted value of the subtractor 136 to adjust the subtracted value of the amplifier 141 and the subtractor 137 so that the eye movement can be clearly identified. An amplifier 142 which amplifies the subtraction value of the subtractor 138 by amplifying the subtractor 138 so as to clearly check the movement of the eye, and the subtractor 143 which subtracts the subtractor 139 from the subtractor 139. It is composed of an amplifier 144 to amplify the value so that the size of the eye movement up and down clearly.

그리고, 상기 도 1의 대역통과 필터링부는, 증폭기(141 내지 144)들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0∼15Hz 정도의 저주파 대역인 EOG(즉, 눈의 움직임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 필터(151)와, 증폭기(144)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20∼50Hz 정도의 고주파 대역인 눈깜박임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대역 필터(152)로 이루어진다.The bandpass filtering unit of FIG. 1 filters the output signals of the amplifiers 141 to 144 to remove noise and outputs a low frequency band filter that outputs EOG (that is, an eye motion signal) that is a low frequency band of about 0 to 15 Hz. 151 and a high frequency band filter 152 that filters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144 to remove noise and outputs a blink signal that is a high frequency band of about 20 to 50 Hz.

즉, 눈의 움직임은 눈의 깜박임 동작에 비해 매우 느리게 때문에, 눈의 움직임 감지신호는 0∼15Hz 정도의 저주파 대역을 갖고, 반대로 눈의 깜박임은 매우 빠르기 때문에 20∼50Hz 정도의 고주파 대역을 갖는다.That is, since the eye movement is very slow compared to the eye blinking operation, the eye motion detection signal has a low frequency band of about 0 to 15 Hz, and on the contrary, the eye blinking is very fast, and thus has a high frequency band of about 20 to 50 Hz.

필터링부(161)는 잡음에 주된 원인이 되는 60Hz의 전원 잡음을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와 스위칭화된 커패시터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상쇄시킨다.The filtering unit 161 cancels the power supply noise of 60 Hz,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noise, by using a phase locked loop and a switched capacitor filter.

제어부(164)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달된 눈의 움직임 신호를 이용해 눈의 이동방향과 움직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164 determin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of the eye by using the eye mo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러한, 제어부(164)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달된 눈 움직임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한 후 퍼지(Fuzzy) 로직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 눈의 움직임 방향과 그 방향의 변위의 크기를 계산해 내는데, 이때 각 눈의 이동 방향의 크기는 눈의 변위에 따라 대략 3단계 정도로 나누어서 모니터상에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갈지를 결정하게 되고, 이 결정에 따라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detail, the controller 164 may digitally filter the transmitted eye movement signal and calculate an eye movement direction and a magnitude of displacement of the eye using an algorithm using fuzzy logic, wherein each eye The size of the moving direction is divided into about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eye to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on the monitor how much,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그리고, 눈의 깜박임을 상하 전극의 파형으로부터 판별해 내어 컴퓨터의 마우스 클릭(Click)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하며, 이러한 눈의 깜박임과 상하 움직임 신호의 파형이 유사한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퍼지 로직을 이용한다.The eye blink is distinguished from the waveform of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used as a signal to control the mouse click of the computer. The waveform of the eye blink and the vertical motion signal are similar. I use it.

이와 같이, 구별한 눈 움직임 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마우스를 에뮬레이팅(Emulating)한다.As such, the mouse of the computer is emulated using the distinct eye movement signal.

또한, 위도우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마우스 드라이버를 이용하기 위하여 마우스가 내보내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개인용 컴퓨터로 보낸다. 이러한, 방법의 좋은 점은 안경 무선 마우스가 일반적인 동작 시스템에서 별도의 적응 프로그램 없이도 쓰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It also sends the protocol of the signal sent by the mouse to the personal computer in order to use the mouse driver that is common to Widow. The beauty of this method is that a spectacle wireless mouse can be used in a typical operating system without any adaptation program.

한편, 제어부(164)는 모든 제어정보를 RS232 직렬전송 프로토콜로 무선주파수 전송부(165)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4 outputs all control information to the RF transmitter 165 in the RS232 serial transmission protocol.

따라서, 무선주파수 전송부(165)는 제어부(164)로부터 전달된 직렬신호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로 38400 bps 및 9600bps의 비트율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마우스 에뮬레이팅시는 9600bps의 비트율로 무선 전송하고, EOG 파형을 보낼 때는 38400 bps 또는 115200 bps 무선 전송한다.Accordingly,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165 wirelessly transmits the seri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64 at a bit rate of 38400 bps and 9600 bps at a radio frequency. Here, when emulating a mouse, a wireless transmission is performed at a bit rate of 9600bps, and when a EOG waveform is transmitted, a 38400 bps or 115200 bps wireless transmiss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 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에 부착한 최소의 전극들을 통해 눈동자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과 눈의 깜빡임을 감지하고 감지한 생체 전위에 따라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제어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s and blinks of the eyes through the minimum electrodes attached to the glasses, and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according to the detected biopotential. You can get it.

첫째, 사지나 상지가 마디된 장애인들이 본 발명을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조절 장치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First, the handicapped person with a limb or upper limb can use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justing device such as a mouse of a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둘째, 장애인들이 본 발명을 컴퓨터 이외의 텔레비젼 및 전등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조절하는 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다.Second, people with disabilities may use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vice for convenient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and lights other than computers.

셋째, 가상현실이나 컴퓨터 게임 등에서 눈의 방향을 제어 정보로 이용하여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화면 배경을 바꾸기 위한 장치 즉, 조이스틱(Joy Stick)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Third, the device may be used as a device for manipulating a character or changing a screen background using a direction of the eye as control information in a virtual reality or a computer game, such as a joy stick.

넷째, 속도법이나 눈의 운동시에 눈의 움직임을 알 수 있으므로 속독이나 눈의 훈련 프로그램 구현시 눈의 위치를 피이드백(feedback)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movement of the eye can be known during the speed method or the movement of the eye, the position of the eye can be fed back when implementing the speed reading or eye training program.

다섯째, 자동차 운전시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감지하는데 이용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using the driver to detect drowsy driving when driving a car.

여섯째, 본 발명을 통해 감지한 눈 깜박임과 눈동작의 움직임 등을 부호화하여 음성 합성 프로그램에 실행시키면, 벙어리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에도 의사 소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ixth, if the blinking and eye movements detec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encoded and executed in a speech synthesis program,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even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o is uncomfortable or dumb.

일곱째, 병원에서 안구 운동 검사시 이용되는 EOG의 파형을 얻을 수 있다.Sevent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waveform of the EOG used in the eye movement test in the hospital.

여덟째, 비행기 시뮬레이션 등에서 시선의 방향을 피드백하여 보다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Eighth, it is possible to feed back the direction of the eye in the plane simulation and the like to enable more realistic simulation.

아홉째, 영화촬영 같은 것에 카메라와 연결하면 눈의 움직임 대로 현장감있게 촬영할 수 있다.Ninth, if you connect the camera to something like filming, you can shoot realistically as your eyes move.

열째, 운전중에 운전자가 졸게되면 눈의 움직임에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졸음 운전시 변화되는 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Tenth, since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eye occurs when the driver sleeps while driving, it may be use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eye that changes during the drowsy driving.

Claims (12)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s, 눈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 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안경에 이격되어 부착된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ttached to the glasses to be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so as to detect a biopotenti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eye; 상기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소정의 가중계수를 이용해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신호를 계산하여, 눈 바로 위에서 눈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한 것과 같은 상기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신호 발생수단;By using the biopotentials sensed by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a predetermined weighting coefficient, a reference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is calculated to detect the vertical motion of the eye directly above the ey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signal; 상기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들과 전달된 상기 기준신호를 이용해 눈의 움직임을 구별하여, 구별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눈 움직임 구별수단;Distinguish eye movement using the biopotentials detected by 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and output a signal indicating the eye movement,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eye. Eye movement discrimination means; 상기 눈 움직임 구별수단의 출력신호들을 증폭 및 필터링하여 눈 움직임 신호와 눈 깜박임 신호로 분리한 후, 분리한 눈 움직임 신호와 눈 깜박임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한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 및After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eye motion discrimination means, the eye motion signal and the eye blink signal are separated, and then the eye mo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mplifying the separated eye motion signal and the eye blink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Signal processing means; And 상기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에 대한 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Control means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eye movement signal process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the eye,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magnitude of the movement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람 신체의 접지전압과 상기 원격 조절 장치의 접지전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안경에 부착된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attached to the glasses to match the ground voltage of the human body and the ground voltag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mad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생체전위 감지수단은,The first biopotential detecting means,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 얼굴의 오른쪽 옆면에 잘 접촉되도록 오른쪽 안경다리 부분에 부착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whe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attached to the right leg portion so as to make good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human 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생체전위 감지수단은,The second biopotential detecting means,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 얼굴의 왼쪽 옆면에 잘 접촉되도록 왼쪽 안경다리 부분에 부착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attached to the left eyeglasses so as to contact the left side of the human face 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whe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 생체전위 감지수단은,The third biopotential detecting means, 눈동자의 상하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오른쪽 코 부분에 접촉이 잘되도록 안경의 오른쪽 코 받침에 부착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when the pupil moves up and down,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attached to the right nose support of the glasses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right nose of the person we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은,The fourth biopotential detecting means, 눈동자의 상하 움직임시 발생되는 생체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람의 왼쪽 코 부분에 접촉이 잘되도록 안경의 왼쪽 코 받침에 부착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In order to detect the biopotential generated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attached to the left nose support of the glasses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left nose of the person we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은,Th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ans, 상기 소정의 제 1 가중계수와 상기 제 1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를 승산하기 위한 제 1 승산수단;First multiplication means for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first weighting factor and the biopotential detected by the first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소정의 제 2 가중계수와 상기 제 2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를 승산하기 위한 제 2 승산수단;Second multiplication means for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second weighting factor with the biopotential detected by the second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소정의 제 3 가중계수와 상기 제 3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를 승산하기 위한 제 3 승산수단;Third multiplication means for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third weighting factor by the biopotential sensed by the third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소정의 제 4 가중계수와 상기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생체전위를 승산하기 위한 제 4 승산수단; 및Fourth multiplication means for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fourth weighting factor with the biopotential detected by the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And 상기 제 1 내지 제 4 승산수단의 승산값들을 가산하여 가산한 상기 기준신호를 상기 눈 움직임 구별수단으로 출력하는 가산수단Addition means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signal added by adding multiplication value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ication means to the eye movement discriminating means;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눈 움직임 구별수단은,The eye movement discrimination means, 상기 제 1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제 1 생체전위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 1 버퍼링수단;First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the first biopotential sensed by the first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제 2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제 2 생체전위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 2 버퍼링수단;Second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a second biopotential detected by the second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제 3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제 3 생체전위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 3 버퍼링수단;Third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the third biopotential sensed by the third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제 4 생체전위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 4 버퍼링수단;Fourth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a fourth biopotential sensed by the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상기 기준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 5 버퍼링수단;Fifth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the reference signal; 상기 제 1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1 생체전위에서 상기 제 4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4 생체전위를 감산하기 위한 제 1 감산수단;First subtracting means for subtracting a fourth biopotential delivered through the fourth buffering means from a first biopotential delivered through the first buffering means; 상기 제 2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2 생체전위에서 상기 제 3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3 생체전위를 감산하기 위한 제 2 감산수단;Second subtracting means for subtracting a third biopotential transferred through the third buffering means from a second biopotential delivered through the second buffering means; 상기 제 1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1 생체전위에서 상기 제 2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2 생체전위를 감산하기 위한 제 3 감산수단; 및Third subtracting means for subtracting a second biopotential delivered through said second buffering means from a first biopotential delivered through said first buffering means; And 상기 제 3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제 3 생체전위에서 상기 제 5 버퍼링수단을 통해 전달된 기준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제 4 감산수단Fourth subtracting means for subtracting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fth buffering means from the third biopotential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buffering means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및 제 2 감산수단의 감산값은 눈의 움직임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이고,The subtraction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traction means are signals representing the eye movement direction, 상기 제 3 감산수단의 감산값은 눈의 좌우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이고,The subtracted value of the third subtracting means is a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 상기 제 4 감산수단의 감산값은 눈의 상하 움직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The subtraction value of the fourth subtraction means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eye move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ndicating the size of the eye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은,The eye movement signal processing means, 상기 눈 움직임 구별수단의 출력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제 1 증폭수단;First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output signals of the eye movement discriminating means; 상기 제 1 증폭수단을 통해 증폭된 눈 움직임에 대한 신호들 중 고주파 대역인 눈 깜박임 신호와 저주파 대역인 눈 움직임 신호를 분리시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제 1 필터링수단;First filtering means for removing noise by separating and filtering an eye blink signal, which is a high frequency band, and an eye motion signal, which is a low frequency band, from among the signals for the eye movement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ying means; 상기 제 1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들을 다시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제 2 필터링수단;Second filtering means for filtering out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filtering means to remove noise; 상기 제 2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제 2 증폭수단;Second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filtering means; 상기 제 2 증폭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수단; 및A / D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mplification means into a digital signal; And 상기 제 2 증폭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과전류가 사람의 신체로 흐르는 것을 절연하기 위한 역전류 절연수단Reverse current insulat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mplifying means and the A / D conversion means to insulate that overcurrent flows to the human body.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cluding.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눈 움직임 신호 처리수단으로 전달된 눈의 움직임, 이동 방향 및 움직임 크기에 대한 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signals about eye movement,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magnitude transmitted to the eye movement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직렬 제어신호를 무선주파수 제어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전송부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converting the serial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into a radio frequency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including.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내지 제 4 생체전위 감지수단은 각각, 안경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부착된 위치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조절 장치.The first to fourth biopotential sensing means, respectively, is not fixed to the glasses attache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the attached position arbitrarily.
KR1019990010547A 1999-03-26 1999-03-26 Method for estimating an vertical motion of eye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it KR100310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47A KR100310036B1 (en) 1999-03-26 1999-03-26 Method for estimating an vertical motion of eye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47A KR100310036B1 (en) 1999-03-26 1999-03-26 Method for estimating an vertical motion of eye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531A true KR19990046531A (en) 1999-07-05
KR100310036B1 KR100310036B1 (en) 2001-11-02

Family

ID=3753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547A KR100310036B1 (en) 1999-03-26 1999-03-26 Method for estimating an vertical motion of eye and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03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612A (en) * 2002-07-27 2004-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face Using Biological Signals
KR100664832B1 (en) * 1999-12-01 2007-01-0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pointing at two dimensional monitor by tracing of eye's movement
US10484673B2 (en) 2014-06-05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21B1 (en) 2012-01-31 2013-11-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xtracting Eye Gaze Point based on Electrooculography
KR101417433B1 (en) 2012-11-27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User identifi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pupil and method thereof
CN106156709B (en) * 2015-04-20 2019-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Headwork determines method and apparatus
KR101688330B1 (en) 2015-10-21 2016-12-22 이재희 Variable position type fomentation apparatus using hot water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631A (en) * 1995-07-14 1997-02-07 Suzuki Motor Corp Computer inpu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832B1 (en) * 1999-12-01 2007-01-0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pointing at two dimensional monitor by tracing of eye's movement
KR20040011612A (en) * 2002-07-27 2004-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Human Interface Using Biological Signals
US10484673B2 (en) 2014-06-05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036B1 (en)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2513A1 (en) Remote Physiological Monitor
TW209283B (en)
US20180140834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user gesture detector and electrode-skin contact detector, with transient motion detector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same
JP5373631B2 (en) Devic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mental status based on EEG signal processing system
CN106798556A (en) A kind of portable cardiac detection means based on electronics epidermis
CN205318387U (en) Multinode parkinson disease symptom ration evaluation device
JP2007301175A (en) Bioelectric signal collecting device
CA2408520A1 (en) System for detecting brain activity
Norris et al. The eye mouse, an eye communication device
KR20160108967A (en) Device and method for bio-signal measurement
KR19990046531A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eye motion
Law et al. A cap as interface for wheelchair control
JPWO2019078330A1 (en)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of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program, and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KR20200033522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leep and arousal
CN210121136U (en) Electrocardio pulse monitoring closestool
CN206147520U (en) A data acquisition device that is used for based on brain -computer interface control virtual reality that motion is imagined and P300 combines together
KR20100048741A (en) Real time psychophysiology-health monitering system using eyeglass
Huo et al. Wireless control of powered wheelchairs with tongue motion using tongue drive assistive technology
KR101520462B1 (en) Apparatus for interface with disabled upper limbs
Shyamkumar et al. A wearable remote brain machine interface using smartphones and the mobile network
CN207590676U (en) A kind of portable cardiac detection device based on electronics epidermis
KR100791883B1 (en) Electronotive wheelchair for controlling an electromyogram an its controlling method
KR101455207B1 (en) Electrocardiogram signal measuring apparatus, electrocardiogram signal measuring method and apparel used for electrocardiogram signal measuring apparatus
KR2005005477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instruments using human features and method thereof
WO2004082158A1 (en) Self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one's rememb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