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645A - Toxoplasma gondiga conjugate - Google Patents

Toxoplasma gondiga conjug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645A
KR19990044645A KR1019980701899A KR19980701899A KR19990044645A KR 19990044645 A KR19990044645 A KR 19990044645A KR 1019980701899 A KR1019980701899 A KR 1019980701899A KR 19980701899 A KR19980701899 A KR 19980701899A KR 19990044645 A KR19990044645 A KR 1999004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ii
antibody
conjugate
moiety
g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세퍼스 마리 쿠렌 마커스
바스 루이스 담 얀
스트리펜 보리스
티. 슈바르츠 랄프
Original Assignee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이.에이치. 리링크
Publication of KR1999004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64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2Protozoa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from protozo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톡소플라즈마 곤디(Toxoplasma gondii) 항체와 면역반응성이 있는 당접합체, 이들 당접합체에 대한 (모노클로날)항체 및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티.곤디 및 티. 곤디에 대하여 유도된 항체를 검출하는 면역화학 시약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티.곤디 기생체의 복제를 억제하는 치료제 및 감쇠된 티.곤디 생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ycoside conjugate having immunoreactivity with Toxoplasma gondii antibody, a (monoclonal) antibody to these glycoside conjugates, and a cell line capable of producing a monoclonal antibody.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 RTI ID = And to an immunochemical reagent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ntibody directed against Gondii.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herapeutic agent for inhibiting the replication of the T. gondii organis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attenuated T. gondii live vaccine.

초기 당업계에 공고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몇가지 당접합체가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칸 코어 구조를 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 곤디 특이 항체와 면역 반응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In contrast to what was disclosed in the earliest art, several glycoside conjugates have been shown to be immunoreactive with Toxoplasma gondii specific antibodies comprising a glycan core structure of the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상기 식에서,In this formula,

R1= 수소, -PO3-CH2-CH2-NH2(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또는 -PO3-CH2-CH2-NH-X이고, 여기서 X= 티. 곤디 특이 항원;R 1 = hydrogen, -PO 3 -CH 2 -CH 2 -NH 2 (ethanolamine-phosphate) or -PO 3 -CH 2 -CH 2 -NH-X, wherein X = Gondii-specific antigens;

R2= α-O-R4, α(1-4)-O-무수만니톨 또는 α(1-4)-O-글루코스아민이고, 임의적으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막 고착물의 이노시톨 부에 α(1-6)-결합되며;(1-4) -O-anhydrous mannitol or [alpha] (1-4) -O-glucoseamine, optionally in the inositol portion of the phosphatidyl inositol membrane adherend, ;

R3= 단당류 부이고;R3 = monosaccharide moiety;

R4= 수소 또는 -L-R5이고, L= 2가 유기 라디칼이며;R4 = hydrogen or -L-R5, L = 2 is an organic radical;

R5= 담체에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기이다.R5 =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upling to the carrier.

단당류부의 바람직한 일양태는 육탄당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α-1,4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GalNAc-부에 결합된 글루코스부이다. 본 발명의 당접합체는 티. 곤디 감염된 인체를 진단하는데 특히 적절하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nosaccharide moiety is a hexose sugar moiety, more preferably a glucose moiety, most preferably a glucose moiety bonded to a GalNAc moiety with an alpha -1,4 glycoside bond. The saccharide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t is especially suitable for diagnosing Gondy infected human body.

Description

톡소플라즈마 곤디 당접합체Toxoplasma gondiga conjugate

톡소플라즈마 곤디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세포내 원생동물 기생체이며, 모든 포유동물 종 및 소정의 개체에 속하는 모든 종류를 감염시킬 수 있다. 티.곤디는 2개의 생활환, 즉 무성 및 유성기를 갖는 구균으로 분류된다.Toxoplasma gondii is an intracellular prototropic organism found worldwide and is capable of infecting all mammalian species and all species belonging to a given individual. T. gonadis are classified into two life cycles, that is, staphylococci having a silent and oily phase.

무성 단계에서, 티.곤디는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면: 타키조이트, 가성포, 브레디조이트 및 낭포체. 타키조이트는 급성 감염시키는 티. 곤디의 편성 세포내 형태이다. 인체 숙주 세포에 대한 티. 곤디의 감염 단계는 가성포이다. 가성포는 3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으며, 브레디조이트라고 부르는 수백 내지 수천개의 감염 단위체를 포함한다. 종종 날 것 또는 요리하지 않은 비냉동 육류에 존재하는 가성포를 섭취하면 감염이 개시된다. 또한, 활성 장 감염에 걸린적이 있는 고양이의 변에 있는 낭포체가 섭취되어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관 이식 또는 임신중 경태반 전달에 의한 혈액 또는 백혈구 이입을 통하여 감염될 수 있다(Wilson 등, J. Exp. Med. 151, 328-346, 1980). 가성포 또는 낭포체의 벽은 숙주 소화 효소에 의해 소장에서 분해되어 브레디조이트 또는 포자소체를 각각 방출한 후, 소주모양의 상피세포에 침투한다. 브레디조이트 또는 포자소체는 혈액원 경로에 의해 간에 도달하며, 여기서 쿠퍼(Kupffer) 세포에 의해 섭취된다. 일단 세포내부에 존재하면, 이 유기체를 타키조이트라고 칭한다. 간 유조직 세포 또한 감염된다(Kranenbuhl & Remington, Immun. of Parasitic Infections; eds. Cohen, S., Warren, K.S., 런던: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356-421, 1982; Remington & Kranenbuhl, Immun. of Human Infection, part II, Edited by Nahmias, A.J., O'Reilly, R.J. 뉴욕, Plenum Medical Book Company, p 327-371, 1982).In the silent phase, T. gondi exists in many forms. For example: tachyzoites, cauliflower, bradyjot, and cysts. Takijito is an acute infection. It is a form of gonadal knockout cells. For human host cells. The infectious stage of Gondi is caustic. A cauliflower has a diameter of 30 to 100 micrometers and includes hundreds to several thousands of infectious units called bladizoids. Frequent ingestion of pseudo-pods present in raw or uncooked non-frozen meat will trigger the infection. In addition, infections may occur due to ingestion of cysts on the sides of cats that have been infected with active intestinal infections. It can also be transmitted through blood or white blood cell transfusion by organ transplantation or light placental transfer during pregnancy (Wilson et al., J. Exp. Med. 151, 328-346, 1980). The wall of the caudate or cyst is decomposed in the small intestine by the host digestive enzymes, releasing the bradyzoites or sporozoites, respectively, and then infiltrating the sooty epithelial cells. Bradyzoites or sporozoites reach the liver by the blood-source pathway, where they are ingested by Kupffer cells. Once inside the cell, this organism is called Takijito. Liver Membrane Cells are also infected (Kranenbuhl & Remington, Immun. Of Parasitic Infections; eds. Cohen, S., Warren, KS, Lond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356-421, 1982; Remington & Kranenbuhl, Immun. II, edited by Nahmias, AJ, O'Reilly, RJ New York, Plenum Medical Book Company, p. 327-371, 1982).

숙주 세포내로 이입된 후에 즉시 복제된다. 숙주에서, 대식세포는 신체 전역에 브래디조이트를 전달한다. 브래디조이트는 대식세포 기생체원성 액포와 리소좀의 융합을 방지하므로써 액포내에서 생존 및 복제한다. 복제 결과 숙주세포가 용해된다. 새로운 대식세포 또는 기타 세포 형태가 유기체에 식작용을 하며, 이 주기는 반복된다.It is replicated immediately after transfer into the host cell. In the host, macrophages deliver Brady's to the entire body. Brady < / RTI > jets survive and replicate in the vacuole by preventing the fusion of macrophage biocompatible vacuole and lysosome. As a result of replication, host cells are lysed. New macrophages or other cell types phagocytose the organism, and this cycle is repeated.

티. 곤디의 유성 단계는 고양이과 숙주에서만 발생된다(Miller 등, J. Parasitology, 58, p928-937, 1972). 중간 숙주(예, 마우스)는 낭포체 또는 가성포를 섭취하므로써 감염된다. 가성포는 마우스 전체 조직으로 유포된다. 고양이는 가성포를 함유하는 감염된 육류(예, 설치류 조직)를 먹거나 또는 낭포체를 섭취하는 경우 감염된다. 브래디조이트 또는 포자소체는 소주모양의 상피세포에 침투하여 분열소체로 분화된다. 복제 후에, 분열소체는 감염된 상피 세포를 파열시키고 이웃한 것들도 감염시킨다. 일부 분열소체는 대배우자모세포(여성형) 및 소배우자모세포(남성형)로 칭해지는 예비-성세포로 분화된다. 소배우자모세포는 대배우자모세포와 융합하여 낭포체라고 불리는 접합자를 형성한다(Dubey & Frenkel, J. Protozool. 19:155-177, 1972). 낭포체는 소장의 루멘에 유입되어 배변된다. 각 낭포체는 토양속에서 8개의 감염성 포자소체를 생성하는 포자를 형성하며, 이는 중간 숙주의 감염단계이다.tea. The oily phase of Gondii occurs only in feline hosts (Miller et al., J. Parasitology, 58, p928-937, 1972). Intermediate hosts (eg, mice) are infected by ingesting cysts or caudal cannulas. The caudal cannula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tissue of the mouse. Cats are infected when they eat infected meat (eg, rodent tissue) that contains caustic or when they ingest cysts. Brady < / RTI > joules or sporozoites infiltrate into a soju-like epithelial cell and differentiate into schistosomes. After cloning, cleavage bodies rupture the infected epithelial cells and infect neighbors. Some schizoid bodies are differentiated into pre-somatic cells called large-spontaneous (female) and bovine spontaneous (male). Bovine mother cells fuse with large spontaneous cells to form a zygote, called a cyst (Dubey & Frenkel, J. Protozool. 19: 155-177, 1972). The cyst enters the lumen of the small intestine and is defecated. Each cyst forms spores that produce eight infectious sporozoites in the soil, which is the infectious stage of the intermediate host.

브래디조이트는 생체내 유입후 약 8 내지 10일 동안 포낭으로 싸여 만성적이고 잠재적인 감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브래디조이트 형태는 장상피세포 사이클을 개시할 수 있는 유일한 단계이다(Krahenbuhl & Remington, 1982; Remington & Krahenbuhl, 1982).Brady < / RTI > zites are present in the form of chronic and potential infections wrapped in cysts for about 8-10 days after in vivo entry. Thus, the Brady's form is the only step that can initiate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 cycle (Krahenbuhl & Remington, 1982; Remington & Krahenbuhl, 1982).

티. 곤디는 건강한 성인에게는 경증 또는 무증상의 질병을 유발하지만, 선천적으로 감염된 어린이 및 면역타협 환자의 경우는 중증, 톡소플라즈마증, 또는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한다. 임산부의 1차 감염은 0.2 내지 1.0%의 빈도로 유럽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대략 40 내지 50%의 태아가 감염된다. 임신중 태아의 감염은 신생아 사망 또는 중증의 다장애를 갖는 어린이를 발생시키나(대략 이 경우의 10%), 이 경우의 90%는 어린이가 무증상, 잠재성 감염체를 갖고 태어난다(Desmonts and Couvreur, Ann. Pediatr. 1984, 31, 805-809; Alford 등, Bull. NY Acad. Med. 1974, 50, 160-181). 잠재성 선천 톡소플라즈마증 환자의 85% 까지는 활성 맥락망막염의 하나 이상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상당한 휴유증을 형성할 것이다. 기타 임상적인 증후는 염증, 림프절, 뇌염 및 발열이다.tea. Gondii causes mild or asymptomatic disease in healthy adults, but it causes serious, toxoplasmosis, or even death in congenital infected children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Primary infections of pregnant women occur in Europe with a frequency of 0.2 to 1.0%. In this case, about 40 to 50% of fetuses are infected. Infection of the fetus during pregnancy results in a child with neonatal death or severe multiple disorder (approximately 10% in this case), but 90% of the cases are born with a child asymptomatic, latent infectious agent (Desmonts and Couvreur, Ann Pediatr 1984, 31, 805-809; Alford et al., Bull. NY Acad. Med. 1974, 50, 160-181). Up to 85% of patients with latent congenital toxoplasmosis will form significant sequelae involving one or more episodes of active chorioretinitis. Other clinical symptoms are inflammation, lymph nodes, encephalitis and fever.

선천성 톡소플라즈마증은 핵산 증폭 기술에 의해 신생아의 항-티. 곤디 IgM 및/또는 IgA 항체 또는 티. 곤디 특이 뉴클레오티드의 존재를 증명하므로써 진단할 수 있다(Burg 등, J. Clinical Microbiol., 27, 1787-1792, 1989; Savva 등, J. Med. Microbiol., 32, 25-31, 1990).Congenital toxoplasmosis is caused by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chnology. Gondii IgM and / or IgA antibodies or T. (Burg et al., J. Clinical Microbiol., 27, 1787-1792, 1989; Savva et al., J. Med. Microbiol., 32, 25-31, 1990).

공지된 몇가지 티. 곤디 균주가 있다. 가장 중요한 균주중 하나는 RH 균주로서 대단히 유독하고 본래 인체 뇌 조직으로부터 분리된다.Several known tees. There are Gondii strain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ins is the RH strain, which is extremely toxic and originally isolated from human brain tissue.

티. 곤디에 관한 과거 대부분의 조사는 타키조이트-특이 항원의 동정 및 분자 특성에 초점을 두었다. 1000 이상의 상이한 티. 곤디-특이 단백질이 동정되었다. 티.곤디의 막-고착 표면 단백질 및 분비/배설된 단백질이 대단한 면역원성이기 때문에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표면 단백질 중에서, p 30은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며 티. 곤디 RH 균주의 총 타키조이트 단백질의 약 5%를 구성한다. p30 단백질은 인체 IgM, IgG, IgA 및 IgE 항체에 의해서 집중적으로 인지되며(Decoster 등, Clin. Exp. Immunol., 73, 376-382, 1988; Godard 등, Infect. Immun., 58, 2446-2450, 1990) 따라서 진단 목적에 유용하다. p30에 대해 유도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항-톡소플라즈마 IgM(Cesbron 등, J. Immunol. Methods 83, 151-158, 1985) 및 IgA(Decoster 등, Lancet, ii, 1104-1106, 1988) 항체를 검출하기 위해 2가지 면역 포착시험을 개발하였다. 4-10kDa의 분자량을 갖는 또 다른 티. 곤디의 면역 우성 항원을 동정하였다. 4-10kDa 항원은 인체 IgM에 의해서 우세하게 인식되며 인체 IgG 항체(Sharma 등, J. Immunol. 131:977-983, 1983)에 의해서는 더 작은 범위에서 인식된다. 또한, 막 성분을 당(糖)부의 인접 히드록시기를 산화시킨다고 알려진 제제, NaIO4로 처리하면 ELISA내에 IgG 항체 뿐만 아니라 인체 IgM과 티. 곤디 항원의 면역 반응도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Naot 등, Infect. Immun. 41, 331-338, 1983). Sharma 등(J. Immunol. 131:977-983, 1983)은 NaIO4-처리된 톡소플라즈마 초음파 처리 또는 SDS 겔에서 분리한 막-농축 분획물은 인체 IgM 및 IgG 항체와 면역 우성 티. 곤디 항원의 면역 반응도에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tea. Most of the past investigations on Gondii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achyzoites-specific antigens. Over 1000 different tees. Gondi-specific proteins were identified. Because the membrane-adherent surface proteins and secreted / excreted proteins of T. gondii are highly immunogenic, they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Of the surface proteins, p30 is the most abundant, It constitutes about 5% of the total TKI protein of the Gondii RH strain. p30 protein is intensively recognized by human IgM, IgG, IgA and IgE antibodies (Decoster et al., Clin. Exp. Immunol., 73, 376-382, 1988; Godard et al., Infect. Immun., 58, 2446-2450 , 1990) and are therefore useful for diagnostic purposes. (Cesbron et al., J. Immunol. Methods 83, 151-158, 1985) and IgA (Decoster et al., Lancet, ii, 1104-1106, 1988) using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p30 Two immunoassay tests were developed to detect antibodies. Another tea with a molecular weight of 4-10 kDa. Immunopotential antigens of Gondi were identified. The 4-10 kDa antigen is predominantly recognized by human IgM and is recognized in a smaller extent by human IgG antibodies (Sharma et al., J. Immunol. 131: 977-983, 1983). In addition, treatment of the membrane component with NaIO4, an agent known to oxidize the adjacent hydroxyl group of the sugar moiety, can inhibit the IgM and IgM antibodies in the ELISA as well as the IgG antibody. Immunoreactivity of Gondii antigens has been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Naot et al., Infect. Immun. 41, 331-338, 1983). Sharma et al. (J. Immunol. 131: 977-983, 1983) showed that membrane-enriched fractions isolated from NaIO4-treated Toxoplasma ultrasound or SDS gel exhibited high affinity for human IgM and IgG antibodies and immunostaining. It was observed that the immunoreactivity of Gondii antigen was abruptly decreased.

특히, 인체 항-티. 곤디 항체와 4-10 kDa 항원의 면역 반응도는 NaIO4 처리후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또한, 4-10kDa 분자는 프로나아제 및 트립신 처리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당지질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리파아제에는 감응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전술한 연구로 티. 곤디의 탄수화물 분자가 감염 숙주에서 효과적인 면역 응답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Especially, Immunoreactivity of Gondii antibody and 4-10 kDa antigen was completely destroyed after NaIO4 treatment. In addition, the 4-10 kDa molecule is not responsive to the protease and trypsin treatment, but is sensitive to lipases that display the structure of the glycolipid structure. Briefly, in the above-mentioned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Gondi carbohydrate molecule plays a role in inducing an effective immune response in the infected host.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의 당생물학Tissue biology of glycosyl phosphatidylinositol (GPI)

올리고당 및 당지질에 의한 단백질의 해독후 변형은 기생 원충을 비롯하여, 비루스, 박테리아 및 진핵 세포의 표면막 단백질의 구조, 생합성 및 생물학적 기능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있다.It is widely known that deformation after cleavage of proteins by oligosaccharides and glycolipid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biosynthesi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surface membrane proteins of viral, bacterial and eukaryotic cells, including parasitic protozoa.

단백질은 지질 이중층(경막)에 걸쳐있는 소수성 아미노산의 확장을 통해, 또는 조면 소포체의 루멘내로의 발생 단백질의 전위동안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 분자에 공유 결합을 통하여 막에 고착된다. 보고된 모든 경우에, 지질 고착물은 단백질의 카르복실 말단에 있는 주로 소수성 아미노산의 짧은 서열을 교체시키고, 따라서 이는 형태-1 막 단백질의 경막 폴리펩티드 도메인에 대한 또 다른 고착 메카니즘으로 생각된다(Ferguson and Williams, Ann. Rev. Biochem. 57, 285-320, 1988; Ferguson, Curr. Opinion in Struct. Biol., 1, 522, 1991).Proteins are anchored to the membrane through covalent bonds to the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GPI) molecule through expansion of hydrophobic amino acids that span the lipid bilayer (epidermis) or during translocation of the developing protein into the lumen of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all reported cases, lipid anchors replace short sequences of primarily hydrophobic amino acids at the carboxyl terminus of the protein, and thus are considered another attachment mechanism for the dermal polypeptide domain of form-1 membrane proteins (Ferguson and Williams, Ann. Rev. Biochem., 57, 285-320, 1988; Ferguson, Curr Opinion in Struct Biol., 1, 522, 1991).

당지질 막 고착물의 구조 및 생합성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기생 원충, 트립파노소마 브루세이(Trypanosoma brucei)의 변형 표면 당단백질(VSG) 및 GPI의 연구를 통해 수득하였다. 한 VSG(VSG117)의 당지질 고착물은 화학적으로 완전히 규명되어 있으며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6Manα1-2Manα1-6Manα1-4GlcNα1-6-이노시톨의 골격 서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노시톨 잔기는 디미리스토일글리세롤에 포스포디에스터 결합을 통해 연결되며, 에탄올아민 기는 성숙 단백질의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산에 아미드-연결되어 있고 갈락토스 측쇄는 글리코사민에 이웃한 만노스 잔기에 부착되어 있다. 상이한 측쇄 변형 및 친지성기를 갖는 유사한 골격 구조가 일부 다른 단백질의 지질 고착을 위해 개시되어 있다(참고, Ferguson and Williams, Ann. Rev. Biochem. 57: 285-320, 1988; Cross, Ann. Rev. Cell Biol. 6: 1-39, 1990; Ferguson, Curr. Opinion in Structural Biology 1, 522-529, 1991).Most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biosynthesis of the saccharide membrane fixtures was obtained through studies of the modified surface glycoprotein (VSG) and GPI of the parasitic protoplasm, Trypanosoma brucei. The glycolipid fixation of a VSG (VSG117) is chemically defined and consists of the framework sequence of ethanolamine-phosphate-6Manα1-2Manα1-6Manα1-4GlcNα1-6-inositol. The inositol residue is linked to dimyristoyl glycerol via a phosphodiester bond, the ethanolamine group is amide-linked to the carboxy terminal amino acid of the mature protein, and the galactose side chain is attached to the mannose residue adjacent to glycosamin. Similar skeletal structures with different side chain modifications and lipophilic groups have been described for lipid attachment of some other proteins (see Ferguson and Williams, Ann. Rev. Biochem. 57: 285-320, 1988; Cell Biol 6: 1-39, 1990; Ferguson, Curr Opinion in Structural Biology 1, 522-529, 1991).

티. 곤디의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 고착물tea. Gondis glycosyl phosphatidylinositol fixture

최근까지, 톡소플라즈마 곤디의 당생물학에 대해 거의 알려진 것이 없었으며 톡소플라즈마의 주요 표면 성분으로서 당단백질의 존재에 대한 상당한 논의가 있었다. Handman등(J. Immunol. 124, 2578-2583, 1980)은 ConA-세파로스 칼럼에서 방사능 요오드처리를 한 기생체의 계면 활성제 용균물을 통과시킨 후에도 막 항원의 조성에 어떤 차이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Johnson 등(Biochem. Biophys. Res. Commun. 100, 934-943, 1981) 및 Mauras 등(Biochem. Biophys. Res. Commun. 97, 906-912, 1980)은 방사능표지한 ConA를 사용하여 톡소플라즈마에 렉틴의 결합을 검출하였다.Until recently, little is known about the glycosylation of Toxoplasma gondii and there was considerable discussion of the presence of glycoproteins as the major surface component of toxoplasma. Handman et al. (J. Immunol. 124, 2578-2583, 1980) found no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membrane antigen even after passage through radioactive iodine-treated guar gum in the ConA-Sepharose column . In contrast, using a radioactively labeled ConA, Johnson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00, 934-943, 1981) and Maura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97, 906-912, 1980) The binding of lectin to toxoplasma was detected.

상세한 생합성 경로를 확립하기 위해서 추정 전구체 분자와 단백질이 결합된 GPIs를 비교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중요한 사항이다. Schwarz 등(NATO ASI Series. Series H: Cell Biology, vol. 78, Berlin, Springer, 1993. p109-121)에 의해 제시된 자료는 티. 곤디 타키조이트의 p23이 포유동물 Thy-1 고착과 유사한 고도의 보존성을 갖는 골격을 포함하며, 이 골격은 N-아세틸-갈락토스아민 잔기로 동정된 측쇄가 변형된 에탄올아민-PO4-6Manα1-2Manα1-6Manα1-4GlcNα1-6PI로 구성되어 있다(참고 Ferguson 등, Science 239: 753-759, 1988; Zinecker 등, Diplomarbeit, University of Marburg, 1992).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o compare the GPIs bound to the putative precursor molecule and the protein to establish a detailed biosynthetic pathway. The data presented by Schwarz et al. (NATO ASI Series. Series H: Cell Biology, vol. 78, Berlin, Springer, 1993. p109-121) The p23 of the gonadotachyzoites contains a skeleton with a high degree of conservatism similar to that of the mammalian Thy-1 anchor, which skeleton contains a modified version of the ethanolamine-PO4-6Manα1-2Manα1 branched side chain identified as the N-acetyl-galactosamine residue (See Ferguson et al., Science 239: 753-759, 1988; Zinecker et al., Diplomarbeit, University of Marburg, 1992).

p30에 대해 비견할 만한 분석을 수행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Tomavo 등, J. Biol. Chem. 267: 11721-11728, 1992). 따라서 두 단백질의 고착은 탄수화물에 대해 동일하다. p30의 글리칸에 대한 일부 미세이종원성을 증명하고(Zinecker 등, 1992) 이것이 톡소플라즈마 GPI-막 고착의 공통 특성인지를 조사한다.Similar assays were performed by comparable analysis of p30 (Tomavo et al., J. Biol. Chem. 267: 11721-11728, 1992). Thus, the attachment of the two proteins is the same for carbohydrates. Prove some micro-heterogeneity in glycan of p30 (Zinecker et al., 1992) and examine whether this is a common property of Toxoplasma GPI-membrane fixation.

티. 곤디의 GPI 고착에 대해 유도된 항체가 기타 원충의 GPI 고착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티. 곤디의 GPI 고착이 보다 기본적인 에탄올아민-P-6Manα1-2Manα1-6Manα1-4GlcNα1-6이노시톨 코어 구조외에 독특한 구성 요소를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ea. Because the antibody induced for GPI fixation of Gondii does not bind to GPI fixation of other protoplasts, Gondi's GPI fixation is expected to have a unique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more basic ethanolamine-P-6Manα1-2Manα1-6Manα1-4GlcNα1-6inositol core structure.

따라서, 글리칸 및 지질부에 대해 GPI-막 고착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 포유동물 세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구조적 특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GPI-membrane anchorage for glycans and lipid moieties and to find structural features that are not found in mammalian cells.

티. 곤디의 주표면 단백질이 GPI-고착에 의해서 기생체 표면에 고착되는 경우(Tomavo 등, Mol. Cell. Biol. 9:4576-4580, 1989; Nagel 등, J. Biol. Chem. 264: 5569-5574, 1989), 이들 막 고착 및 특히 추정 전구체의 생물학적 기능과 생합성은 당업계에서 중요하다. 또한 고도의 면역원성의 4-10 kDa 항원이 비결합형 또는 유리형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 고착물의 전구체 종이라는 관찰 결과는 티. 곤디의 GPI 고착물에 대한 에피토프(들)을 맵핑하고 생화학적 구조를 해명하고자 하는 관심을 고취시켰다. 티. 곤디의 GPI 고착물의 구조 및 면역우성 에피토프에 관한 정보는 진단 분석에서 인공적인 GPI 고착물을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천연 GPI 고착물과는 대조적으로, 면역반응성 부위와 유사한 인공적인 탄수화물 분자는 링커 분자에 의해 효소 접합체에 직접 커플링되도록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tea. When the main surface protein of Gondii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rganism by GPI-fixing (Tomavo et al., Mol. Cell. Biol. 9: 4576-4580, 1989; Nagel et al., J. Biol. Chem. 264: 5569-5574 , 1989), these membrane anchoring and in particular the biological function and biosynthesis of the putative precursor are important in the art. The observation that the highly immunogenic 4-10 kDa antigen is a precursor species of the unconjugated or free glycosyl phosphatidylinositol fixate is shown in Fig. To elucidate the biochemical structure and mapping of the epitope (s) to Gondi's GPI fixation. tea.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immuno-dominant epitope of Gondi's GPI fixation allows chemical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GPI fixtures in diagnostic assays. In contrast to native GPI fixtures, artificial carbohydrate molecules analogous to immunoreactive sites can be chemically modifi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enzyme conjugate by linker molecules.

따라서, 티. 곤디로 감염된 각종 상에서 신뢰할 만한 진단 방법을 형성하는 특이 및 감응 방법을 개발시키기 위해서, 특이 막 항원을 정확하게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면역우성 당접합체를 동정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specific and sensitive method for forming a reliable diagnostic method for Gonadal infectious diseas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immunogenic dominant glycoconjugates that serve to accurately bind specific antigen.

티. 곤디 GPI 고착의 구조를 이해하므로써, 내재된 효소의 작용/활성을 억제 또는 차단하여 GPI 코어 구조에 대한 독특한 탄수화물 치환체의 생합성 및 결합을 방훼할 수 있다. 이는 티. 곤디의 GPI 고착 합성의 특이 억제 또는 차단이 단백질의 세포 표면 발현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기생체에 대해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티. 브루세이의 GPI 전구체는 지방산에 대하여 개조된다. 이러한 개조는 트리파노솜에서 고유한 것이며, 트리파노솜에 선택적인 독성을 나타내는 미리스틴산염 유사물 10-(프로폭시) 데카논산과 같은 레모치료제(rhemotherapeutics)의 개발에 우수한 표적이다(Doering 등, Science 252, 1851-1854, 1991; Masterson 등, Cell 62, 73-80, 1990).tea.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Gondi GPI fixation, it is possible to inhibit or inhibit the action / activity of the intrinsic enzyme to inhibit the biosynthesis and binding of a unique carbohydrate substituent to the GPI core structure. This is T. The specific inhibition or blocking of GPI fixation synthesis of Gondii reduces the cell surface expression of the protein and can ultimately be fatal to the parasite. For example, T. Brussey's GPI precursor is modified for fatty acids. These modifications are unique to tripopanos and are an excellent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rheumotherapeutics, such as myristate analog 10- (propoxy) decanoic acid, which exhibit selective toxicity to tripopanos (Doering et al. Science 252, 1851-1854, 1991; Masterson et al., Cell 62, 73-80, 1990).

기생체의 생물학 및 병리학에서 GPI의 역할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GPI-고착물의 구조를 밝히므로써 기생체-특이 탄수화물 구조의 손상을 바탕으로 항-톡소플라즈마 의약품의 개발에 새로운 접근 방법이 가능해질 것이다.The role of GPI in the biology and pathology of parasites is described in detail. However,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the GPI-fixture, a nove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nti-toxoplasma drugs based on the damage of the bio-specific carbohydrate structure will be possible.

GPI 고착물의 1차 기능은 플라즈마 막 또는 몇몇 경우에 분비체의 루멘면과 단백질에 안정성있는 관계를 부여하는 것이다. GPI 고착물의 특징은 티. 곤디의 표면에 단백질을 암호하는 이종원 유전자를 발현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해 막 표적화 및 교체(turnover)의 효율은 오직 GPI 고착물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므로, 티. 곤디의 GPI 고착물의 구조를 밝히므로써, GPI 고착물에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종원 유전자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GPI 고착을 통해 막 표적화가 가능하다. 궁극적으로, 이종 유전자 발현 시스템으로서 기생체 티. 곤디를 이용하면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백신 개발 접근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백질에 고착된 GPI는 막에 대한 결합이 안정하지만, 내인 막 단백질보다 더 용이하게 세제에 용해될 수 있다(Hooper and Turner, Biochem. J., 250, 865-869, 1988). GPI 고착물을 가진 단백질 키메라를 발현시키기 위한 이종원성 유전자 발현 시스템으로서 티. 곤디를 이용하면, 신뢰할 수 있는 항원 공급원을 수월하게 정률 증가시키고 발현된 이종원 단백질을 세제(CHAPS, Triton X-114)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The primary function of the GPI fixture is to give the plasma membrane or, in some cases, a stable relationship to the lumen surface and protein of the splenic. The feature of GPI fasteners is that T. Can be used to express a heterologous gene encoding a protein on the surface of Gondii.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efficiency of membrane targeting and turnover is determined solely by GPI fixtures. Therefore, T.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Gondi's GPI fixation, it is possible to transform the heterologous gene in a way that effectively binds to the GPI fixation, and membrane targeting is possible through GPI fixation. Ultimately, as a heterologous gene expression system, With Gondi, an efficient and reliable vaccine development approach can be obtained. In addition, GPIs attached to proteins are stable in binding to the membrane, but can be more easily dissolved in detergents than in membrane proteins (Hooper and Turner, Biochem. J. 250, 865-869, 1988). As a heterologous gene expression system for expressing protein chimeras with GPI fixation, With Gondi, a reliable antigen source can be easily and constantly increased and the expressed heterologous protein can be easily extracted with a detergent (CHAPS, Triton X-114).

B-세포 결핍(IgM-억압된) BALB/C 마우스를 사용한 실험 결과는 항-톡소플라즈마 항체가 급성 감염의 회복을 위해서는 필수적이지 않더라도 장기간의 톡소플라즈마증의 조절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Frenkel and Taylor, Infection & Immunity, 38, 360-367, 1982). 이 데이터로 당지질 구조가 T-헬퍼 세포 의존성 B세포 분열촉진 인자이며, 이는 연속적으로 IgM 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가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티. 곤디의 GPI 고착물 구조에 관한 상세한 자료로 티. 곤디의 감수성 숙주에서 보호성 항체 응답을 유발하는 분열촉진 인자로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리간드에 결합되는 인위적인 GPI 고착 분자를 합성할 수 있다.Experimental results using B-cell depletion (IgM-suppressed) BALB / C mice suggest that anti-toxoplasma antibodies are essential for the regulation of long-term toxoplasmosis, although not essential for the recovery of acute infection Frenkel and Taylor, Infection & Immunity, 38, 360-367, 1982). This data shows that the glycolipid structure is a T-helper cell-dependent B cell mitogen, which in turn leads to B cells that produce IgM antibodies. Therefore, Detailed information on Gondi's GPI fixture structure. An artificial GPI anchoring molecule can be synthesized that binds to an appropriate ligand that can be applied as a mitogen for inducing a protective antibody response in a susceptible host of Gondii.

본 발명은 톡소플라즈마 곤디(Toxoplasma gondii)(이하 티. 곤디라고 함) 항체와 면역반응성이 있는 당접합체, 이들 당접합체에 대한 (모노클로날)항체 및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티.곤디 및 티. 곤디에 대하여 유도된 항체를 검출하는 면역화학적 시약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티.곤디 기생체의 복제를 억제하는 치료제 및 감쇠된 티.곤디 생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ycoside conjugate having immunoreactivity with Toxoplasma gondii (hereinafter referred to as T. gondii) antibody,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these conjugates, and a cell line capable of producing a monoclonal anti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 RTI ID = And to immunochemical reagent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tibodies directed against Gondii.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herapeutic agent for inhibiting the replication of the T. gondii organis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attenuated T. gondii live vaccine.

도 1: 티.곤디의 정제 타키조이트를 용해시킨 총 용헤물을 웨스턴 블롯 분석하여 증명한 모노클로널 항체 및 폴리클로널 항체의 항원 특이성. 즉, 필터를 당지질 TOX.HuOT-1 및 TOX.HuOT-2에 대하여 지향성인 2가지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모노클로널 항체(각각 레인 1 및 2), 음성 대조군으로서 2가지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모노클로널, TOX.HuOT-3 및 TOX.HuOT-8(레인 3 및 4), 마우스 항-당지질 모노클로널 항체 T54E10 및 T33F12(각각 레인 5 및 6), 마우스 항-인체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레인 7)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5가지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분획의 수집물(레인 8)과 항온배양하였다. Figure 1: Antigenic specificity of monoclonal antibodies and polyclonal antibodies as evidenced by western blot analysis of total solids in which T. gondii was dissolved . That is, the filters were treated with two human anti-toxoplasma IgM monoclonal antibodies (lanes 1 and 2, respectively) directed against glycolipid TOX.HuOT-1 and TOX.HuOT-2, two human anti-toxoplasma IgM monoclonal, TOX.HuOT-3 and TOX.HuOT-8 (lanes 3 and 4), mouse anti-glycolipid monoclonal antibodies T54E10 and T33F12 (lanes 5 and 6 respectively), mouse anti-human chorionic gonadal Hormone (lane 7) and a collection of five human anti-toxoplasma IgM fractions (lane 8) as a positive control.

도 2: 티.곤디 당지질(부탄올 상)의 웨스턴 블롯 분석:인체 혈청변환 혈청 IgM(A) 및 IgG(B) 및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 T33F12(C) 및 T54E10(D)(Tomavo et al., Parasitol. 108 : 139-145, 1994). Figure 2: Western blot analysis of T. gonadal gelatin (butanol phase): Human serum transduction serum IgM (A) and IgG (B) and mouse monoclonal antibodies T33F12 (C) and T54E10 (D) (Tomavo et al. Parasitol, 108: 139-145, 1994).

도 3: 티.곤디 당지질의 TLC 분석: 3H-글루코사민(A),3H-팔미트산(B),3H-만노스(C) 및3H-에탄올아민(D)으로 대사적 표지된 기생체 유래의 부탄올 상. Figure 3: T TLC analysis of glycolipids gondi: 3 H- glucosamine (A), 3 H- palmitic acid (B), 3 H- mannose (C) and 3 H- ethanolamine (D) the metabolically labeled with Butanol phase derived from organism.

도 4: TLC 정제된 티.곤디 당지질의 점 블롯 분석:TLC 정제 당지질을 니트로셀룰로스에 점적한 뒤, 5가지 인체 α-Tox IgM 분획 및 마우스 α-당지질 mAb T54E10의 수집물과 반응시켰다. Figure 4: Point blot analysis of TLC purified T. gonadal glycolipids: TLC purified glycolipids were spotted onto nitrocellulose and then reacted with a collection of five human α-Tox IgM fractions and mouse α-glycolipid mAb T54E10.

도 5: TLC 정제 티.곤디 당지질의 점 블롯 분석:TLC 정제 당지질을 니트로셀룰로스에 점적하고 인체 혈청변환 혈청과 반응시켰다. Figure 5: TLC purification. Point blot analysis of T. gonadal glycolipids: TLC purified glycolipids were spotted onto nitrocellulose and reacted with human serum-transformed serum.

도 6: 억제 ELISA:항원으로서 부탄올 상에 함유된 당지질과 mAb T54E10을 사용한 억제 ELISA. Figure 6: Inhibitory ELISA: Inhibitory ELISA using the glycolipid and the mAb T54E10 contained on butanol as antigen.

도 7: 위스타리아 플로리분다(Wistaria floribunda) 응집소 아가로스상에서의 H-글루코사민으로 표지한 TLC 정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 분석:코어 글리칸 A(A), 코어 글리칸(B), 래트 뇌의 Thy1 앵커 유래의 Man4GalNAcAHM (C), 화살표는 완충액 변화를 나타낸다. Figure 7: Analysis of core glycans from TLC purified glycolipids labeled with H-glucosamine on agarose of Wistaria floribunda agglutination agarose: Coreglycan A (A), coreglycan (B), rat brain Of Man 4 GalNAcAHM (C) from the Thy1 anchor, and the arrows show buffer changes.

도 8: 타키조이트 세포 제거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험관내 표지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의 Dionex-HPAEC 및 아미노프로필-HPLC 분석:좌측 열은 HPAEC-HPCL 분석을, 우측 열은 아미노프로필-HPLC 분석을 나타내며, A,B: 생체내에서 표지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 표지되지 않은 UDP-Glc 부재(C, D) 및 존재(E, F)하에 GDP-3H-Man으로 시험관내에서 표지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 G 및 F는 UDP-3H-Glc로 시험관내에서 표지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을 나타낸다. Figure 8: Dionex-HPAEC and Aminopropyl-HPLC analysis of core glycans from labeled glycolipids in vitro using Tachyzoite cell-free system: Left column shows HPAEC-HPCL analysis, right column shows Aminopropyl-HPLC (A, B): In vivo labeled core glycans, unlabeled UDP-Glc members (C, D) and presence (E, F) And G and F represent core glycans derived from glycolipids labeled in vitro with UDP-3H-Glc.

도 9: UDP-3H-Glc를 통해 시험관내에서 표지되고 HPLC 정제된 코어 글리칸 B의 HPAEC 단당류 분석:코어 글리칸 B는 100℃에서 4시간동안 2N TFA로 가수분해하고, 탈염시킨 뒤 15 mM NaOH로 등장 용출되는 HPAEC로 분석하였다. Figure 9: Analysis of HPAEC monosaccharide labeled in vitro with HPLC-purified coreglycan B via UDP-3H-Glc: Coreglycan B was hydrolyzed with 2N TFA for 4 hours at 100 < 0 & And analyzed by HPAEC eluted with NaOH.

도 10: 정제용 HPLC를 이용한 부탄올상으로부터 코어 글리칸의 직접 정제: 3H-글루코사민으로 표지한 당지질 유래의 코어 글리칸(부탄올 상)을 Lichrosorb NH2(A), 등가의 물질(B,C) 및 피크 A와 B하에 수집된 분획(각각 D,E 및 F,G)을 HPAEC(좌측 컬럼) 및 바이오겔 P4(우측 컬럼)로 분석하였고, 아라비아 숫자는 표준 내부 덱스트란 가수분해물의 위치를 나타낸다. 10: Direct purification of core glycans from the butanol phase using purification HPLC: Core glycol (from butanol) derived from glycolipids labeled with 3 H-glucosamine was dissolved in Lichrosorb NH 2 (A), equivalent materials (B, C ) And fractions collected under peaks A and B (D, E and F, G, respectively) were analyzed with HPAEC (left column) and bio gel P4 (right column), with Arabic numerals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tandard internal dextran hydrolyzate .

도 11: 코어 글리칸 샘플의 GC-단당류 분석:코어 글리칸 A(A) 및 B(B)를 함유하는 HPLC 분획물을 메탄올분해, 재-N-아세틸화 및 TMS-유도체화 처리하고 GC로 분석하였다. Figure 11: GC-monosaccharide analysis of core glycan samples: HPLC fractions containing core glycans A (A) and B (B) were subjected to methanolysis, re-N- acetylation and TMS- derivatization and analyzed by GC Respectively.

도 12: 코어 글리칸의 고속 원자 충격 질량 분광분석(FAB-MS):HPLC 정제된 코어 글리칸 A(A) 및 B(B)를 과메틸화하고 FAB-MS로 분석하였다. Figure 12: Fast atom impact mass spectrometry (FAB-MS) of core glycans : HPLC Purified core glycans A (A) and B (B) were hypermethylated and analyzed by FAB-MS.

도 13: 코어 글리칸 A 및 B의 500 mHzFigure 13: Core glycans A and B at 500 mHz 1One H-NMR 스펙트럼H-NMR spectrum

도 14: 코어 글리칸 B의 메틸화 분석:코어 글리칸 B 80nmol을 과메틸화, 가수분해, 환원 및 아세틸화하고, 생성된 PMMA를 GC-MS로 분석하였다. 이 도면은 총 이온 크로마토그람을 나타낸다. 14: methylation analysis of core glycan B : 80 nmol of Coreglycan B was hypermethylated, hydrolyzed, reduced and acetylated, and the resulting PMMA was analyzed by GC-MS. This figure shows the total ion chromatogram.

도 15: 티.곤디 당접합체 구조의 모식도.이 구조는 본 발명에 개시된 당접합체를 나타낸 것이다. 당접합체는 말단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및/또는 이들의 지질부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5: A schematic diagram of a conjugate structure of T. gondii. This structure shows the sugar conjugat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conjugate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erminal ethanolamine phosphate and / or the lipid moieties thereof.

도 16: 티.곤디 당접합체 구조의 대표도.이 구조는 본 발명에 개시된 당접합체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서 A는 고유 글루코스 잔기가 없는 코어 글리칸을 나타내고 B는 고유 글루코스 잔기가 있는 코어 글리칸을 나타낸다. R1 및 R2기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다. 당접합체는 말단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및/또는 이들의 지질 부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igure 16: Representative view of the T. gondii conjugate structure. This structure shows the sugar conjugat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represents a core glycan without a unique glucose residue and B represents a core glycan with a unique glucose residue. The R1 and R2 groups are as described herein. The bioconjugate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erminal ethanolamine phosphate and / or the lipid moieties thereof.

도 17: 반응 도식.이 반응 도식에는 본 발명에 개시된 당접합체의 합성 및 접합을 실시예 8에 따라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17: Reaction scheme. In this reaction scheme, the synthesis and conjugation of the sugar conjugat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detail in accordance with Example 8.

초기의 당업계 간행물과는 대조적으로, 몇가지 당접합체가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칸 코어 구조를 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 곤디 특이 항체와 면역반응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In contrast to earlier publications in the art, it has been found that some glycoside conjugates are immunoreactive with toxoplasma gondii-specific antibodies comprising a glycan core structure of formula 1:

상기 식에서,In this formula,

R1= 수소, -PO3-CH2-CH2-NH2(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또는 -PO3-CH2-CH2-NH-X이고, 여기서 X= 티. 곤디 특이 항원이며;R 1 = hydrogen, -PO 3 -CH 2 -CH 2 -NH 2 (ethanolamine-phosphate) or -PO 3 -CH 2 -CH 2 -NH-X, wherein X = Is a Gondii specific antigen;

R2= α-O-R4, α(1-4)-O-무수만니톨 또는 α(1-4)-O-글루코스아민이고 임의적으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막 고착물의 이노시톨 부에 α(1-6)-결합되며;(1-4) -O-anhydrous mannitol or [alpha] (1-4) -O-glucoseamine, optionally with an alpha (1-6) -linkage to the inositol moiety of a phosphatidyl inositol membrane adherend ;

R3= 단당류 부이며;R3 = monosaccharide moiety;

R4= 수소 또는 -L-R5이고, L= 2가 유기 라디칼이며;R4 = hydrogen or -L-R5, L = 2 is an organic radical;

R5= 담체에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기이다.R5 =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upling to the carrier.

본 발명의 '2가 유기 라디칼'이란 일반적으로 작용기 R5가 글리칸 코어에 결합되는 링커 구조를 의미한다. 적절한 2가 유기 라디칼은 예를 들어 메틸렌[-CH2-], 에틸렌[-CH2-CH2-], 및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CH2-CH2-CH2-]과 같은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렌기 또는 아르알킬렌기이다.The term "divalent organic radical"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means a linker structure in which the functional group R 5 is bonded to the glycan core. Suitable divalent organic radicals are, for exampl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radicals such as methylene [-CH 2 -], ethylene [-CH 2 -CH 2 -], and preferably propylene [-CH 2 -CH 2 -CH 2 - An alkylene group or an aralkylene group.

본 발명의 '담체에 커플링할 수 있는 작용기'란 일반적으로 담체에 본 발명의 글리칸 코어 구조를 공유적으로 커플링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반응성 작용기, 또는 이러한 목적의 반응성 작용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특이 작용기는 메르캅토(-SH), 아미노(-NH2), 피리딜디티오, S-아세틸-메르캅토아세틸(SATA), 말레이미도, 카르복실산 작용기 또는 활성화된 이의 에스테르이며, 예를 들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니트로페놀 또는 펜타플루오로페놀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브로모아세트아미도, 비닐피리딘, 히드라지드, 알데히드 또는 히드록시가 있다. 추가의 적절한 작용기는 접합 화학 분야에 공지된 것들이다.The term "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upling to the carrier "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includes any reactive functional group that can be used to covalently couple the inventive glycan core structure to the carrier, ≪ / RTI > Specific functional groups are mercapto (-SH), amino (-NH 2 ), pyridyldithio, S-acetyl-mercaptoacetyl (SATA), maleimido,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s or esters thereof, Esters derived from N-hydroxysuccinimide, p-nitrophenol or pentafluorophenol, bromoacetamido, vinylpyridine, hydrazide, aldehyde or hydroxy. Additional suitable functional groups are those known in the art of bonding chemistry.

본 발명의 '담체'는 일반적으로 단백질(알부민 또는 키호올 림펫 헤모시아닌)과 같이 본 발명의 글리칸 코어 구조가 접합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및 진단 시약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지지체를 의미한다.&Quot; Carrier "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means a solid support that can be used for any substance to which the glycan co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jugated, such as a protein (such as albumin or keyhole lipopeptide hemocyanin) and diagnostic reag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양태는 단당류부가 육탄당부인 당접합체이다.A preferred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gar conjugate wherein the monosaccharide portion is a saccharide sug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양태는 상기 육탄당부가 글루코스부인 당접합체이다.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id hexose sugar is a glucose sugar conjug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양태는 글루코스부가 α-1,4-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GalNAc-부에 결합된 당접합체이다.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ycoside conjugate wherein a glucose moiety is bonded to a GalNAc moiety by an? -1,4-glycoside bo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양태는 당접합체가 도 15에 도시된 구조를 포함하는 당접합체이다.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gar conjugate wherein the sugar conjugate comprises the structure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양태는 티. 곤디 타키조이트 막의 파열 단계 및 클로로포름/메탄올/물(C/M/W:1/1/0.3 v/v) 혼합물로 생성 타키조이트 현탁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과정에 의해 티. 곤디 타키조이트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 당접합체이다.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t- And a step of rinsing the Kondi tachyzoite membrane and extracting a Tachyzoite suspension produced with a mixture of chloroform / methanol / water (C / M / W: 1/1 / 0.3 v / v) It is a sugar conjugate obtainable from Gondigakyi ze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양태는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기탁된 무한증식 세포주에 의해서 형성된 인체 모노클로날 항체와 면역 반응성이 있는 당접합체이다.A preferred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ycoside conjugate immunoreactive with a human monoclonal antibody formed by an infinite proliferating cell line deposited at Accession No. 95090608 and 95090609 to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of Fortton Down, UK .

당접합체는 탄수화물부(단당,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가 지질 또는 폴리펩티드와 같은 기타 (생체)분자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는 분자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 용어이다. 그러나, 탄수화물 코어 구조 또한 당접합체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Glucose conjugates are generic terms used to describe molecules in which carbohydrate moieties (monosaccharides, oligosaccharides, or polysaccharides) are covalently bound to other (living) molecules, such as lipids or polypeptid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carbohydrate core structur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sugar conjugate.

지질에 결합된 올리고당(알킬/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 스핑고신, 세라미드 또는 도리콜)은 당지질이라고 한다(IUB-IUPAC 권고, 1976, (1976), J. Lipid Res. 19, 114). 당단백질은 올리고당이 N- 및/또는 O-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결합된 폴리펩티드이며, 이 폴리펩티드중 탄수화물은 총 중량의 2-60%로 나타날 수 있다(Montreuil 등, 1982, Comprehensive Biochemistry, vol. 19B, part II, p 1, Florkin, G판). 이들 폴리펩티드에 존재하는 올리고당 부는 이산성, 특이성 및 보존성 구조이다. 이 특성은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뮤코프로테인 및 펩티도글리칸과 같은 기타 당접합체와는 구별되며, 아미노산은 다양한 수의 반복 구조 단위체로 구성된 탄수화물 사슬에 결합되어 있다(IUB-IUPAC 권고, 1980, (1982) J. Biol. Chem. 257, 3352).Oligosaccharides (alkyl / acylglycerols, diacylglycerols, sphingosines, ceramides, or dorichol) bound to lipids are referred to as glycolipids (IUB-IUPAC recommendation, 1976, (1976), J. Lipid Res. 19, 114). Glycoproteins are polypeptides in which the oligosaccharide is linked via N- and / or O-glycosidic bonds, and the carbohydrate of the polypeptide may represent 2-60% of the total weight (Montreuil et al., 1982, Comprehensive Biochemistry, vol. 19B , part II, p 1, Florkin, G plate). The oligosaccharide moieties present in these polypeptides are discrete, specific and conserved structures. This property is distinguished from other glycoside conjugates such as proteoglycans, glycosaminoglycans, mucoproteins and peptidoglycans, and amino acids are linked to a carbohydrate chain composed of a variable number of repeating structural units (IUB-IUPAC recommendation, 1980, (1982) J. Biol. Chem. 257, 3352).

당접합체의 또 다른 부류는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 지질 고착물이다(Low 등, 1986, Trends Biochem. Sci. 11, 212). 이들은 올리고당 교를 통해 막 지질에 세포 표면 당단백질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당단백질은 N- 및 O-결합된 올리고당, 뿐만 아니라 GPI-고착물로 글리코실화될 수 있다(Ferguson 등, 1988, Science 239, 753-759).Another class of glycosylated conjugates is glycosyl phosphatidylinositol (GPI) lipid anchors (Low et al., 1986, Trends Biochem. Sci. 11, 212). They link cell surface glycoproteins to membrane lipids through oligosaccharides. Thus, the glycoprotein can be glycosylated with N- and O-linked oligosaccharides, as well as GPI-fixates (Ferguson et al., 1988, Science 239, 753-759).

당접합체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예, 본 발명에서 티. 곤디 기생체, 바람직하게는 티. 곤디 타키조이트로부터). 실시예에 개시된 분리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분리 과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The saccharide conjugate can be isolated and purified from a natural source (e.g., from the T. gondii organism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rom T. gonditaci zeeit). The separation process disclosed in the examples can be used. However, other separation processe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nd thu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당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당업계에서 종종 이용되는 방법을 사용한 화학 합성 경로이다. 하기 하나의 실시예에 합성 경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합성 경로는 동등하다고 생각되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Another method for obtaining the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emical synthesis pathway using a method often used in the art. The synthesis route is illustrated in one embodiment below. However, other synthetic routes known in the ar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considered equivalent.

본 발명의 당접합체에 대해 유도된 항체 또한 본 발명의 일부분이다.Antibodies derived for the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당접합체는 항체(폴리클로날 및 모노클로날)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접합체에 대해 유도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당업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The sugar conjugat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generate antibodies (polyclonal and monoclonal).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the glycoside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pro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티. 곤디 감염의 진단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oclonal antibody. Provides a new method for the diagnosis of Gonadal infec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항체는 티. 곤디 당접합체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며, 이 에피토프는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각각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서 생성된 모노클로날 항체 TOX.HuOT-1 또는 TOX-HuOT-2에 의해 인식된다.A preferred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 Monoclonal antibody that binds to the epitope of the gonadal < RTI ID = 0.0 > conjugate, < / RTI > which epitope is a monoclonal antibody produced by a hybridoma cell line deposited with accession numbers 95090608 and 95090609, respectively, in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It is recognized by the LOHAL antibody TOX.HuOT-1 or TOX-HuOT-2.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항체는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각각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 모노클로날 항체 TOX.HuOT-1 또는 TOX-HuOT-2이다.Preferred antibodies of the invention are monoclonal antibody TOX.HuOT-1 or TOX-HUOT-1 produced by hybridoma cell lines deposited at Accession Nos. 95090608 and 95090609, respectively, in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harvester (ECACC) HuOT-2.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할 수 있는 무한 증식성 세포주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The infinitely proliferating cell line capable of secreting the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주는 예를 들면 Kohler and Milstein 기술(Kohler 및 Milstein은 모노클로날 항체-생성 하이브리도마를 형성하는 기술을 고안하였다(G. Kohler and C. Milstein, 1975, Nature 256:495-497; 1976, Eur. J. Immunol. 6:511-519))인 엡스테인-바르 비루스를 이용한 형질 전환, 종양원성 DNA를 이용한 B-림프구의 직접적인 형질전환 기술, 인체나 마우스-인체 하이브리드 골수종 세포주인 융합 파트너와 인체 B-림프구의 직접적인 융합, 또는 상기 골수종 세포주와 EBV-형질전환된 B 세포주의 직접적인 융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Cell lines that generate monoclonal antibodies have been described, for example, in Kohler and Milstein techniques (Kohler and Milstein), which devised a technique for forming monoclonal antibody-producing hybridomas (G. Kohler and C. Milstein, 1975, Nature 256 Transfection with Epstein-Barr virus, direct transformation of B-lymphocytes using tumorigenic DNA, human or mouse-human Direct fusion of the hybrid myeloma cell line fusion partner with human B-lymphocytes, or direct fusion of the EBV-transformed B cell line with the myeloma cell li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포주는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각각 기탁된 세포주이다.A preferred cell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line deposited at Accession No. 95090608 and 95090609, respectively, in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Fortton Down, UK.

이들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는 엡스테인 바르 비루스(EBV)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BV는 인체 B-림프구를 형질전환 및 무한 증식시킬 수 있다. 무한증식된 인체 B-림프구는 골수종 파트너 세포 없이도 EBV의 도움으로 수득할 수 있다. 엡스테인 바르 비루스는 각종 공급원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EBV의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것은 B95-8 마모젯 세포주이다. B95-8 세포주는 자발적으로 EBV를 배지로 방출한다.These hybridoma cell lines were prepared using adjuvant Epstein Barvirus (EBV). EBV can transform and infinitely proliferate human B-lymphocytes. Infinitely proliferated human B-lymphocytes can be obtained with the aid of EBV without myeloma partner cells. Epstein barbitus can be obtained from a variety of sources. The most common used as a source of EBV is the B95-8 mamozet cell line. The B95-8 cell line spontaneously releases EBV into the medium.

티. 곤디의 당접합체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는 생체내 및 생체외의 세포 및 세포 추출물에서 티. 곤디의 발현을 검출하는 유용한 수단이며, 정제 목적과 단백질의 작용을 연구하는 각종 생화학적 및 면역학적 분석 기술을 위한 것이다.tea. The monoclonal antibody to the glycosidic conjugate of Gondii is useful for in vitro and in vivo cell and cell extracts. Is a useful means of detecting the expression of Gondii and is for various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analytical techniques for studying the purification purpose and the action of proteins.

본 발명의 당접합체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화학적 시약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Immunochemical reagents comprising the present conjugate or antibody of the invention are also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면역화학적 시약"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당접합체와 적절한 지지체 또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한다.&Quot; Immunochemical reagents "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include one or more of the present conjugates of the invention and a suitable support or labeling material.

사용할 수 있는 지지체는, 예를 들어 미세검광판 웰 또는 크벳의 내벽, 튜브 또는 모세관, 막, 여과기, 시험 스트립 또는 라텍스 입자, 알데히드 입자(예, 활성 알데히드 표면기가 있는 세라믹 자화성 입자), 적혈구, 염료졸, 금속 졸이나 졸 입자같은 금속 화합물, BSA 또는 KLH와 같은 담체 단백질과 같은 입자의 표면이다.Supports that can be used include, for example, the inner wall of a microspheroidal plate well or cube, a tube or capillary, a membrane, a filter, a test strip or latex particle, an aldehyde particle (e.g., a ceramic magnetizable particle with an active aldehyde surface group) Metal sols such as dye sols, metal sols or sol particles, and carrier proteins such as BSA or KLH.

사용할 수 있는 표지 물질은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효소, 염료 졸, 금속 졸이나 졸 입자의 금속 화합물이다.Available labeling substances are radioisotopes, fluorescent compounds, enzymes, dye sols, metal compounds of metal sol or sol particles.

시료중 티. 곤디에 대하여 유도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의 면역화학적 시약을 시료와 접촉시킨다. 이후, 시료중 당접합체와 항체사이에 형성된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 검출에 의해서 시료중 티. 곤디 항체의 존재를 알 수 있으며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sample, In a method for detecting an antibody directed against a Gondii, the immunochemical re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cted with a sample. Thereafter, the presence of an immunocomplex formed between the sugar conjugate and the antibody in the sample was detected, and by this detection, The presence of Gondii antibodies can be known and quantitatively measured.

면역화학적 시약의 특징 및 추가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면역화학적 반응은 샌드위치 반응, 유착반응, 경쟁 반응 또는 억제 반응이라고 부른다.Depending on the nature and further characteristics of the immunochemical reagent, the resulting immunochemical reaction is called a sandwich reaction, adhesion reaction, competitive reaction or inhibition reaction.

시료중 티. 곤디를 검출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당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화학적 시약을 시료 및 항-티. 곤디 항체와 접촉시킨 후에 형성된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로부터 시료중 티. 곤디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ample, In order to detect the Gondii, the immunochemical reagent containing the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ample and anti-T. The presence of the immunocomplex formed after contact with the Gordian antibody was detected and from this, The presence of Gondi can be determined.

시료중 티. 곤디를 검출하기에 특히 적절한 방법은 표지 물질로 제공된 본 발명의 당접합체와 티. 곤디 항원(시료에 존재)사이의 경쟁 반응을 기본으로 하여, 당접합체와 항원을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티. 곤디에 대해 유도된 항체와 경쟁시키는 것이다.In the sample, Particularly suitable methods for detecting the Gondii include the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a labeling substance, On the basis of the competition reaction between the Gondi antigen (present in the sample), the sugar conjugate and the antigen are attached to the solid support. And compete with antibodies directed against Gondii.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항체를 시료와 접촉시킨 후 시료중 티. 곤디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서 형성된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 티. 곤디의 검출 방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screening an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resence of the immunocomplex form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Gondii is detected. And a method of detecting gondii.

본 발명의 테스트 키트는 필수 구성성분으로서 전술한 면역화학 시약을 포함한다. 티. 곤디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샌드위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 테스트 키트는 예를 들어 고체 지지체(예, 미세검광판 웰의 내벽) 상에 코팅된 본 발명의 당접합체, 및 본 발명의 표지된 당접합체나 표지된 항-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st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immunochemical reag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tea. In order to carry out a sandwich reaction to detect a Gondii antibody, the test kit may comprise, for example, a sugar conjugate of the invention coated on a solid support (e. G., The inner wall of a microscopic assay plate well), and a labeled sugar conjugate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labeled anti-antibodies.

경쟁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 테스트 키트는 고체 지지체 상에 코팅된 당접합체, 및 티. 곤디에 대해 유도된 표지된 항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접합체에 대해 유도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한다.To perform a competitive reaction, the test kit comprises a sugar conjugate coated on a solid support, And a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the Gonad, preferably a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the glycoside.

유착 반응에서, 테스트 키트는 입자 또는 졸에 코팅된 본 발명의 당접합체를 포함할 수 있는 면역 화학적 시약을 포함한다.In a coalescence reaction, the test kit comprises an immunochemical reagent which may comprise a sugar or conjugate of the invention coated on a particle or sol.

또 다른 일양태의 테스트 키트는 예를 들어, 고체 지지체 상에 코팅된 티. 곤디에 대해 유도된 항체상의 결합 부위를 검출하도록 티. 곤디 항원과의 경쟁 반응에서 면역 화학적 시약으로서 본 발명의 표지된 당접합체를 사용한다.In another aspect, the test kit may include, for example, a test kit coated on a solid support. In order to detect the binding site of the antibody phase induced against Gondii. The labeled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mmunochemical reagent in a competitive reaction with the Gondii antigen.

본 발명은 또한 티. 곤디 기생체의 복제를 억제하는 치료제를 포함하며, 상기 치료제는 본 발명의 당접합체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특이 억제제를 포함한다. 특이 억제제의 예는 티. 곤디 당접합체의 글루코스부의 이입에 특이적이고 필수적인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화학적 화합물일 수 있며, 또한 특이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공지된 기타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GPI- 고착물 (생)합성은 유전자 조작에 의해서 억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GPI-고착물 합성과 관련된 효소를 암호하는 유전자를 제거할 수 있다("노크-아웃" 변이체). 전사 또는 해독의 수준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therapeutic agent includes a specific inhibitor that inhibits the biosynthesis of the sugar conju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specific inhibi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s a compound capable of inhibiting an enzyme which is specific and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of the glucose moiety of the conjugate of the Gondigans. This compound may be a chemical compound, and other compounds known to be capable of inhibiting specific enzymes may also be used. GPI-fixate synthesis can be inhibited by genetic manipulation, thereby eliminating genes encoding enzymes involved in GPI-fixate synthesis ("knock-out" mutants). This can be done at the level of transcription or decryption.

본 발명은 또한 감쇠된 티. 곤디 생백신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GPI-고착된 항원의 표면 발현을 전술한 본 발명의 치료제에 의해 차단 또는 억제하는 것이다. GPI-고착된 항원의 표면 발현의 억제 또는 차단은 티. 곤디의 독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소위 GPI-고착물 합성의 "노크-아웃" 변이체는 감쇠된 생백신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reducing attenuated tea. Which method comprises blocking or suppressing surface expression of GPI-fixed antigens by the therapeutic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hibition or blocking of the surface expression of GPI-fixed antigens is inhibited by T. Reduces the toxicity of Gondii. In addition, " knock-out " variants of so-called GPI-fixture synthesis can be applied as attenuated live vaccines.

톡소플라즈마 곤디에 대한 예방 백신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이들 백신은 분열 촉진 특성을 포함하는 약학적 허용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당접합체를 포함한다.A prophylactic vaccine against toxoplasma gondii is also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vaccines comprise a glycoside conjugate of the invention, together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ing cleavage promoting properties.

몇몇 경우에, 이들 당접합체를 사용한 예방 면역을 증가시키는 능력은 낮을 수도 있다. 이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담체 분자에 이들 당접합체를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목적으로 적절한 담체는 천연 중합체(예, 키호올 림펫 헤모시아닌, 알부민, 독소), 폴리아미노산과 같은 합성 중합체(폴리리신, 폴리알라닌), 또는 사포닌과 같은 양쪽 친화성 화합물의 미셀과 같은 거대 분자이다.In some cases, the ability to increase prophylactic immunity using these conjugates may be low. To increase its immunogenicity, it is preferable to conjugate these sugar conjugates to carrier molecules. Suitable carriers for this purpos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cromolecules such as natural polymers (e.g., keyhole limpet hemocyanin, albumin, toxins), synthetic polymers such as polyamino acids (polylysine, polyalanine), or micelles of both affinity compounds such as saponin It is a molecule.

본 발명의 백신은 통상적인 활성 면역화 계획에 따라 투여할 수 있다: 복용 제제와 혼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즉, 강독의 톡소플라즈마 곤디 기생체의 항원 투여에 대한 면역을 유발하는 면역화 항원 또는 상기 항원을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미생물의 양)으로 단일 투여 또는 반복 투여한다. 면역이란 백신화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백신화 후에 개체군에서 상당한 정도의 예방을 유발하는 것으로 규정한다.The vac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active immunization schedules: in a manner compatible with the dosing agent,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i. E., Inducing immunity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toxin plasma gonadal biopsy organism Or an amount of the recombinant microorganism capable of expressing the antigen). Immunity is defined as causing a significant degree of prevention in populations after vaccination compared to non-vaccinated groups.

백신의 투여는 예를 들어, 피내, 피하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경구 또는 비강내로 행해질 수 있다.Administration of the vaccine can be done, for example, intradermally, subcutaneously, intramuscularly, intraperitoneally, intravenously, orally or intranasally.

또한 백신은 예를 들어 활성 및/또는 저장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종종 기타 성분과 혼합된 수성 매체 또는 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성분은 염, pH 완충액, 안정제(탈지유 또는 카제인 가수분해물), 유화제, 면역 응답을 증진시키는 보조제(예, 오일, 뮤라밀 디펩티드,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사포닌, 폴리애니온 및 양쪽성 물질) 및 보존제일 수 있다.Vaccines may also include suspensions, for example aqueous media or water, often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to prolong the duration of the active and / or storage. These component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lts, pH buffers, stabilizers (skimmed milk or casein hydrolysates), emulsifiers, adjuvants that enhance the immune response (eg, oils, muramyldipeptides, aluminum hydroxides, saponins, polyanions, ) And a preservative.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톡소플라즈마 곤디(Toxoplasma gondii) 타키조이트의 대량 제조Mass production of Toxoplasma gondii takijoites

톡소플라즈마 곤디(이하 티.곤디라고 함)의 RH 균주는 톡소플라즈마 연구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험실용 균주이다. 티.곤디 타키조이트의 대량 제조는 베로(Vero)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팩토리(6000 ㎠)를 상기 타키조이트로 0.30 내지 1.0의 다중감염도로 감염시켜 수행하였다.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에 새 배지를 재주입하였다. 감염 후 6일 째, 배양 상등액을 수거하고, 나머지 베로 세포는 200 ㎖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로 세척하였다. 상등액을 모아서, 10㎛ 폴리카보네이트 막(Nucleopore, Pleasanton,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상에 타키조이트를 여과한 뒤, PBS로 2회 세척하였다. 타키조이트를 가라 앉혀(1,200 x g, 5분), -70℃에 저장하였다.The RH strain of Toxoplasma gondii (hereinafter referred to as T. gondii) is the most commonly used laboratory strain for toxoplasmosis research. Mass production of T. gonditaci zoyts was carried out by infecting a cell factory (6000 cm 2) containing Vero cells with the above-mentioned Takijyot with multiple infections of 0.30 to 1.0. After incubation at 37 ° C for 3 days, the medium was removed and the cells were reinfused with fresh medium. On the 6th day after infection, the cultur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 remaining Vero cells were washed with 200 m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 tachyzoite was filtered on a 10 탆 polycarbonate membrane (Nucleopore, Pleasanton, CA, USA) and washed twice with PBS. Tachyzoites were submerged (1,200 x g, 5 minutes) and stored at -70 ° C.

타키조이트의 대사적 표지화는 대부분 문헌[Tomavo et al. 1992, JBC, 267, 11721-11728]에 기재된 바 대로 수행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베로 세포(250㎠)의 융합성 단층을 2% 태내 송아지 혈청이 보강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중에 첨가된 5 x 107타키조이트로 감염시킨다. 감염 후 72 시간 째, 세포 배양물을 20mM 피루브산 나트륨을 함유하는 글루코스-제거된 DMEM으로 2회 세척하였다. 표지화는 0.5 mCi [3H]글루코사민이 보강된 상기와 동일한 배지로 37℃에서 4시간동안 수행하였다. 표지화 후, 다운스(Dounce) 균질기중에서 20회 회전시켜 숙주 세포로부터 기생체를 해리시켰다. 타키조이트는 문헌(Grimwood et al., Exp.Parasitol. 48, 282-286, 197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리솜 여과로 정제하였다.Metabolic labeling of takizoites has been largely described by Tomavo et al. 1992, JBC, 267, 11721-11728. Briefly, the fused monolayer of Vero cells (250 cm 2) is infected with 5 x 10 7 Takijyto add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2% fetal calf serum. 72 hours after infection, cell cultures were washed twice with glucose-depleted DMEM containing 20 mM sodium pyruvate. The labeling was carried out at 37 ° C. for 4 hours in the same medium as above supplemented with 0.5 mCi [ 3 H] glucosamine. After labeling, it was rotated 20 times in a Dounce homogenizer to dissociate the organism from the host cells. Takizoites were purified by glass wool filtration 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Grimwood et al., Exp.Parasitol. 48, 282-286, 1979).

실시예 2Example 2

당접합체의 면역반응성Immunoreactivity of the conjugate

당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 GPI 분자의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성은 정제 타키조이트를 SDS-PAGE(소듐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롯 상에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니트로셀룰로스 여지상의 결합 부위는 이 여지를 20% 태내 송아지 혈청이 보강된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용액중에서 상온하에 1시간동안 항온처리하여 차단시켰다. 이어서, 여지 스트립을, 종래 보고(Sharma et al., J.Immunol. 131, 977-983, 1983)된 티.곤디의 4 내지 10 kDa 분획에 대하여 지향성인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모노클로널 항체와 항온처리하였다. 이외에도, 리간드로서 단백질 G 세파로스 4 패스트 플로우(스웨덴 웁살라에 소재하는 LKB Pharmacia 제품)를 사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얻은 5가지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분획 수집물을 평가하였다. 즉, 실온에서 2시간동안 항온처리한 후, 스트립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 TweenR(PBST)로 세척하고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결합된 염소 항-인체 IgM 항체와 1시간동안 항온처리하였다. 여지 스트립을 세척하고 5-브로모-4-클로로-3-인돌일 포스페이트 및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륨(BCIP/NBT,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에 소재하는 프로메가 코오포레이션 제품)을 첨가하여 면역복합체를 나타냈다. TOX.HuOT-1 및 TOX.HuOT-2라고 표기한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모노클로널 항체 모두 3개 이상의 밴드로 나타나는 저분자량의 항원을 인식하였다(도 1, 레인 1 및 2). 상기 수집된 IgM 항체는 다수의 티.곤디 항원을 인식하는 반면, 인체 IgM 모노클로널 항체는 면역우성 항원 p30과 같은 티.곤디 단백질에 결합된 GPI 분자를 인식하지 못한다. 모노클로널 항체 TOX.HuOT-1 및 TOX.HuOT-2 외에도, 2가지 다른 모노클로널 IgM 항체 생산 세포주를 동일한 티.곤디 감염 환자로부터 분리하였다. TOX.HuOT-3 및 TOX.HuOT-8 이라고 표기한 이들 IgM 항체는 Toxonostika IgM ELISA(벨기에에 소재하는 오르가논 테크니카 엔.브이. 제품)에서 톡소플라즈마 항원과 반응하였으나, 웨스턴 블롯 스트립 상의 GPI 분자와는 반응하지 않았다(도 1, 레인 3 및 4).Immunoreactivity of the glycosidic bond, more specifically of the GPI molecule, to the human anti-toxoplasma IgM antibody was demonstrated by analysis of purified tachyzoites on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 First, the binding sites on the nitrocellulose foliage were blocked by incubating the fleece in a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solution supplemented with 20% fetal calf serum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The fleece strips were then incubated with a human anti-toxoplasma IgM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the 4-10 kDa fractions of T. gondii as previously reported (Sharma et al., J. Immunol. 131, 977-983, 1983) Lt; / RTI > In addition, five human anti-toxoplasma IgM fraction collections obtained by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protein G Sepharose 4 Fast Flow (LKB Pharmacia, Uppsala, Sweden) as ligands were evaluated. That is, after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 strips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Tween R (PBST) and incubated with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 goat anti-human IgM antibody for 1 hour. The filter strips were washed and 5-bromo-4-chloro-3-indolyl phosphate and nitroblue tetrazolium (BCIP / NBT, Promega Corp. product of Madison, Wis.) Were added to express the immunocomplex. TOX.HuOT-1 and TOX.HuOT-2 all recognized anti-toxin plasma IgM monoclonal antibodies (FIG. 1, lanes 1 and 2). The collected IgM antibodies recognize multiple T. gondii antigens whereas human IgM monoclonal antibodies do not recognize GPI molecules bound to T. gondii proteins such as the immunopotent antigen p30. In addition to the monoclonal antibodies TOX.HuOT-1 and TOX.HuOT-2, two different monoclonal IgM antibody-producing cell lines were isolated from the same T. gondii infected patient. These IgM antibodies, designated TOX.HuOT-3 and TOX.HuOT-8, reacted with Toxoplasma antigen on a Toxonostika IgM ELISA (Orgalon Technica, Inc., Belgium), but the GPI molecule on the Western blot strip (Fig. 1, lanes 3 and 4).

또한, mAb T54E10 및 mAb T33F12라고 표기한 2가지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는 티.곤디의 당지질 분획에 대하여 지향성이다(도 1, 레인 5 및 6). 당지질에 대하여 지향성인 인체 및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는 둘다 비결합형 GPI 분자만을 인식한다. 예컨대, p30과 같이 티.곤디 단백질에 결합된 GPI-분자는 상기 시험된 모노클로널 항체에 의해 전혀 인식되지 않는다. 마우스 항-인체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레인 7) 및 5가지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분획의 수집물(레인 8)은 각각 음성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two mouse monoclonal antibodies, designated mAb T54E10 and mAb T33F12, are directed against the glycolipid fraction of T. gondii (Fig. 1, lanes 5 and 6). Both human and mouse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glycolipids recognize only non-binding GPI molecules. For example, GPI-molecules bound to T. gondii proteins such as p30 are not recognized at all by the monoclonal antibodies tested. Mouse anti-human chorionic gonadotropin (lane 7) and a collection of five human anti-toxoplasma IgM fractions (lane 8) were used as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s, respectively.

이 데이터는 GPI 분자에 대하여 마우스 항체 에피토프(들) 뿐만 아니라 인체 IgM 에피토프(들)가 둘다, 단백질의 최종 아미노산의 α-COOH 기에 GPI가 아미드 결합으로 공유 결합될 때 입체장애로 인해 더이상 접근할 수 없거나 또는 단백질-에탄올아민 가교 형성으로 붕괴됨을 강력하게 암시하고 있다.This data shows that both the mouse antibody epitope (s) as well as the human IgM epitope (s) for the GPI molecule are no longer accessible due to steric hindrance when GPI is covalently linked to the α-COOH group of the final amino acid of the protein by an amide bond Or disruption by protein-ethanolamine crosslinking formation.

실시예 3Example 3

GPI 종의 동정Identification of GPI species

티.곤디 타키조이트는3H-글루코사민,3H-만노스,3H-팔미트산,3H-미리스트산,3H-스테아르산 및3H-에탄올아민으로 문헌(Tomavo et al., J.Biol.Chem., 267, 11721-11728, 1992; Tomavo et al., J.Biol.Chem., 267, 21446-21458, 1992)에 전술한 바와 같이 표지하였다. 당지질은 종래 공지된 추출 절차에 따라 분리하였다(Menon et al., EMBO.J., 9, 4249-4258, 1990; Tomavo et al.,1992). 간략히 설명하면, 타키조이트를 클로로포름/메탄올(CM; 2:1)로 2회 추출하여 중성 지질, 인지질 및 극성이 보다 작은 당지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CM-잔류 펠릿을 클로로포름/메탄올/물(CMW; 10:10:3)로 2회 추출하여 극성이 보다 큰 지질을 얻었다. CMW-추출된 당지질을 모아서 물과 물-포화 n-부탄올로 분획화 정제하였다. n-부탄올 분획의 면역반응성은 2가지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 T33F12 및 T54E10 뿐만 아니라 혈청 샘플을 함유하는 인체 IgM 및 IgG 항체를 사용하여 SDS-PAGE 및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의 전기영동적 전이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IgM 항체는 GPI종을 강하게 인식하는 반면 인체 IgG는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도 2).T. gondigachyjote is a synthetic example of 3- H-glucosamine, 3 H-mannose, 3 H-palmitoic acid, 3 H-myristic acid, 3 H-stearic acid and 3 H- Chem., 267, 21446-21458, 1992), as described above. ≪ tb >< TABLE > The glycolipid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conventionally known extraction procedures (Menon et al., EMBO. J., 9, 4249-4258, 1990; Tomavo et al., 1992). Briefly, tachyzoites were extracted twice with chloroform / methanol (CM; 2: 1) to remove neutral lipids, phospholipids and less polar lipids. The CM-residual pellet was then extracted twice with chloroform / methanol / water (CMW; 10: 10: 3) to obtain lipids of greater polarity. The CMW-extracted glycolipids were pooled and purified with water and water-saturated n-butanol. The immunoreactivity of the n-butanol fraction was analyzed after electrophoretic migration to SDS-PAGE and nitrocellulose membranes using human murine monoclonal antibodies T33F12 and T54E10 as well as human IgM and IgG antibodies containing serum samples.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human anti-toxoplasma IgM antibody strongly recognizes GPI species, while human IgG is hardly recognized (FIG. 2).

전술한 바와 같은 생체내 표지화로 수득한 n-부탄올 상을 함유하는 당지질들은 예비진행시킨 Silica 60 HPTLC 평판(10 x 20 ㎝, Merck)상에 각각 점적하고, 용매계 n-헥산/클로로포름/메탄올/물/아세트산(3:10:10:2:1)으로 전개시켰다.The glycolipids containing the n-butanol phase obtained by in vivo labeling as described above were each spotted on a pre-processed Silica 60 HPTLC plate (10 x 20 cm, Merck), and the solvent system n-hexane / chloroform / methanol / Water / acetic acid (3: 10: 10: 2: 1).

크로마토그람을 건조하여 Berthold LB 2842 선형 분석기로 방사능활성을 스캐닝하였다.3H-글루코사민,3H-만노스,3H-스테아르산 또는3H-팔미트산중 어느 하나로 대사적 표지화한 타키조이트의 n-부탄올 분획을 분석하여 TLC 평판상에서 6개의 다른 피크를 일정하게 검출하였다(도 3). 하지만, 타키조이트를3H-에탄올아민으로 표지화하였을 때에는 단지 3개 피크의 방사능활성만이 검출되었는데(도 3D), 이것은 6개의 분리된 GPI 종중에서 3개의 종, 즉 피크 분획 I, II, III만이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분자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chromatogram was dried and scanned for radioactivity with a Berthold LB 2842 linear analyzer. 3 H- glucosamine, mannose, 3 H-, H- 3 H- 3 stearic acid or palmitic mountain any one metabolically labeled by Taki analyzes a n- butanol fraction of ZH detecting a constant six different peaks on TLC plate (Fig. 3). However, only three peaks of radioactivity were detected when the tagyzoids were labeled with 3 H-ethanolamine (Figure 3D), indicating that three of the six separate GPI species, peak fractions I, II, III only contains ethanolamine-phosphate molecules.

3H-글루코사민으로 표지된 당지질을 함유하는 부탄올 상을 건조한 뒤, 각각 1U PI-PLC(바실러스 세레우스, 뵈링거 제품), 10㎕ 토끼 혈청(PLD의 공급원), 50U PLA2(벌꿀 독, 시그마 제품) 또는 10㎕ 완충액을 보강한 2 mM CaCl2및 0.1% 소듐 데옥시콜레이트를 함유하는 100 mM 트리스/HCl pH 7.4에 용해시켰다. 샘플을 37℃에서 12 시간동안 항온처리하고 5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물과 부탄올 사이에 분획화하고, 부탄올상을 TLC로 분석하였다. 모든 당지질은 GPI-PLD 및 PI-PLC에 민감하였고, 따라서 이들의 GPI 구조를 입증하였다. PLA2에 대한 감수성은 티.곤디 당지질의 지질 부가 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After the butanol phase containing 3 H-glucosamine-labeled glycolipids was dried, the cells were washed with 1 U PI-PLC (Bacillus cereus, product of Boehringer), 10 ul rabbit serum (source of PLD), 50 U PLA2 ) Or 10 μl buffer was dissolved in 100 mM Tris / HCl pH 7.4 containing 2 mM CaCl 2 and 0.1% sodium deoxycholate. The sample was incubated at 37 占 폚 for 12 hours and heated for 5 minutes to inactivate the enzyme. The reaction mixture was partitioned between water and butanol, and the butanol phase was analyzed by TLC. All glycolipids were sensitive to GPI-PLD and PI-PLC, thus demonstrating their GPI structure. The susceptibility to PLA2 indicates that the lipid portion of the T. gondigalligil contains diacylglycerol.

실시예 4Example 4

여러 GPI종의 면역반응성Immunoreactivity of several GPI species

인체 IgM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GPI 종을 나타내는 피크 분획을 규명하기 위하여, 각각의 당지질 종을, 추적자로서3H-글루코사민으로 대사적으로 표지된 당지질을 사용하여 정제용 TLC로 정제하였다. 방사능활성의 피크들에 해당하는 전개된 TLC-평판의 영역을 긁어내어 1.5㎖ CMW로 2회 재추출하고 물과 물 포화 n- 부탄올 사이에 분획화하여 잔류 실리카를 제거하였다. 여러 GPI 종(2 x 107타키조이트 유래의 물질을 나타냄)을 10㎕ 부탄올중에서 강화 니트로셀룰로스 막(Scheicher and Schuell) 상에 점적하였다. 니트로셀룰로스 스트립은 37℃에서 건조시키고, 트리스 완충 식염수(15 mM Tris-HCl, pH 8, 140 mM NaCl, 0.05% w/v Tween 20)중의 5% w/v 탈지분유중에서 하룻밤동안 차단시켰다. 이 블롯들을 mAb T54E10 뿐만 아니라 톡소플라즈마 환자의 혈청과 항온처리하였다. 이것을 세척한 후, 블롯을 적당한 항-Ig-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또는 항-Ig-퍼옥시다제 접합체와 항온처리하고, 알칼리성 포스파타제(프로메가 제품)에 대해서는 BCIP 및 NBT로 발색시키거나, 또는 퍼옥시다제(ECL, 아머샴 제품)에 대해서는 화학발광성 검출 방법으로 공급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검측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항체, 보다 구체적으로 인체 IgM 및 IgG 항체는 피크 분획 I, II, IV 및 V와 일정하게 반응하였다. mAb T54E10은 피크 분획 I 및 II와 반응하였다(도 4).To identify the peak fractions representing GPI species recognized by human IgM antibodies, each glycolipid was purified by purification TLC using glycolipids labeled metabolically with 3 H-glucosamine as tracer. The developed TLC-plate area corresponding to the peaks of radioactivity was scraped off, reextracted twice with 1.5 ml CMW, and fractionated between water and saturated n-butanol to remove residual silica. Several GPI species (indicating a material derived from 2 x 10 7 Tachyzoites) were spotted onto a reinforced nitrocellulose membrane (Scheicher and Schuell) in 10 μl of butanol. The nitrocellulose strips were dried at 37 ° C and blocked overnight in 5% w / v skim milk in Tris buffered saline (15 mM Tris-HCl, pH 8, 140 mM NaCl, 0.05% w / v Tween 20). The blots were incubated with mAb T54E10 as well as sera from patients with toxoplasma. After washing, the blot is incubated with the appropriate anti-Ig-alkaline phosphatase or anti-Ig-peroxidase conjugate and the BCIP and NBT for alkaline phosphatase (Promega product), or peroxidase ECL, manufactured by Amersham) were detected by chemiluminescenc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upplier's protocol. As shown in Figures 4 and 5, human antibodies, more specifically human IgM and IgG antibodies, reacted constantly with peak fractions I, II, IV, and V. mAb T54E10 reacted with peak fractions I and II (Figure 4).

GPI 분자상의 인체 IgM 에피토프 일부가 유리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기인지를 증명하기 위하여 ELISA 억제-결합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n-부탄올 분획의 GPI 종을 웰당 106타키조이트에 상당하는 코팅 농도로 미량역가 웰에 코팅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부탄올 종에 대한 mAb T54E10의 결합만이 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에 의해 억제되었다. 에탄올아민(10mM) 자체는 mAb T54E10의 결합을 50% 억제할 수 있었다. 시험된 다른 화합물들은 모두 모노클로널 항체의 결합을 억제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인체 항-톡소플라즈마 항체의 결합은 시험된 어떤 화합물들에 의해서도 영향받지 않았다.ELISA inhibition-binding studies were performed to demonstrate that some of the human IgM epitopes on GPI molecules were free ethanolamine-phosphate groups. That is, the GPI species of the n-butanol fraction was coated on the microtiter wells at a coating concentration equivalent to 10 6 tachyzoites per well. As shown in Figure 6, only the binding of mAb T54E10 to n-butanol species was inhibited by ethanolamine-phosphate. Ethanolamine (10 mM) itself could inhibit the binding of mAb T54E10 by 50%. All other compounds tested failed to inhibit the binding of monoclonal antibodies. However, the binding of human anti-toxoplasma antibodies was not affected by any of the compounds tested.

실시예 5Example 5

대사적으로 표지되고 TLC 정제된 당지질을 사용한 GPI 종의 구조 분석Structural Analysis of GPI Species Using Metabolically Labeled TLC Purified Glycolipids

친화성 선두기(headgroup)를 만들기 위하여, [3H]글루코사민으로 표지되고 TLC 정제된 당지질을 건조한 뒤, 새로 제조한 0.25M NaNO2를 함유하는 0.1M 아세트산 나트륨(pH 3.5) 400㎕ 중에 재현탁하여 실온에서 4시간동안 항온처리하였다. 반응은 0.4M 붕산 300㎕를 첨가하여 중지시켰다. 이것을 부탄올/물로 상 분획화시킨 후 수성 상으로부터 지질부가 제거된 물질을 회수하였다. 이 물질을 NaBH4를 사용하여 환원시키고 종래 기술된 바와 같이 AG50W-X12에 대하여 탈염시켰다(Field & Menon, 단백질의 지질 변화, Hooper & Turner, 옥스포드, 155-190, 1992). 선두기를 0.2 mM ZnCl2, 0.02% 아지화 나트륨 및 0.5 U 잭 콩 α-만노시다제(JBAM) 또는 완충액을 함유하는 50 mM NaAc(pH 4.5) 100㎕ 중에 재현탁하여 37℃에서 24 시간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 당지질의 친수성 선두기를 JBAM 처리 이전과 이후에 바이오겔 P4-겔 여과로 분석하였다. 샘플을 150㎕의 부분 가수분해된 덱스트란(150 ㎎/㎖, Yamashita et al., Meth. Enzymol. 83, 105-126, 1982에 따라 제조함)과 혼합하고, 200 mM 아세트산 암모늄으로 평형화하고 용출시킨 140 x 1㎝의 바이오겔 P4 컬럼(바이오래드)에 장입하였다. 표준 검출 반응은 문헌(Tomavo et al., 199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르시놀 염색하여 수행하였다. 6가지 상이한 당지질중에서, 4가지 크기형의 친수성 선두기(각각 9.5, 8.5, 7 및 6 GU)를 검측할 수 있었다. JBAM은 모든 말단의 비치환된 α-D-만노스 잔기에 대하여 넓은 특이성을 갖고 있었다. 당지질 I, II 및 III에서 유래된 선두기는 당지질 IV, V 및 VI에서 유래된 선두기와는 대조적으로 만노시다제 처리에 반응하지 않았고, 이 결과는 표지화 데이터와 함께 당지질 I, II 및 III의 말단 만노스에 결합된 에탄올아민 포스페이트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To make an affinity headgroup, the glycolipids labeled with [ 3 H] glucosamine and dried by TLC purification were dried and resuspended in 400 μl of 0.1 M sodium acetate (pH 3.5) containing 0.25 M NaNO 2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The reaction was stopped by adding 300 쨉 l of 0.4 M boric acid. This was top-fractionated with butanol / water and the lipid-free material was recovered from the aqueous phase. This material was reduced using NaBH 4 and desalted against AG50W-X12 as previously described (Field & Menon, Lipid changes in protein, Hooper & Turner, Oxford, 155-190, 1992). The leader was resuspended in 100 μL of 50 mM NaAc (pH 4.5) containing 0.2 mM ZnCl 2 , 0.02% sodium azide and 0.5 U Jack bean α-mannosidase (JBAM) or buffer, and incubated at 37 ° C. for 24 hours Respectively. The hydrophilic head of each glycolipid was analyzed by bio-gel P4-gel filtrat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JBAM. The sample was mixed with 150 μl of partially hydrolyzed dextran (150 mg / ml, prepared according to Yamashita et al., Meth. Enzymol. 83, 105-126, 1982), equilibrated with 200 mM ammonium acetate and eluted Was loaded into a 140 x 1 cm bio-gel P4 column (BioRad). Standard detection reactions were performed by orcinol staining 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omavo et al., 1992). Of the six different glycolipids, four sizes of hydrophilic heads (9.5, 8.5, 7 and 6 GU, respectively) were detectable. JBAM had broad specificity for all terminal unsubstituted α-D-mannose residues. The headers derived from glycolipids I, II and III did not respond to manocidase treatment as opposed to the head groups derived from glycolipids IV, V and VI, and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labeling data with the terminal mannose of glycolipids I, II and III Lt; RTI ID = 0.0 > ethanolamine < / RTI > phosphate.

GPI 종의 코어 글리칸을 분리하기 위하여, [3H]글루코사민 표지되고 TLC 정제된 당지질을 대부분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탈인산화, 탈아민화 및 환원시켰다(Mayor et al., Method in Enzymol., 1, 297-305, 1990). 간략히 설명하면, 0℃에서 60시간 동안 48%의 수성 HF로 항온처리하여 탈인산화시키고, 냉동된 LiOH로 중화시켜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탈염, 탈아민 및 환원시키고, 최종적으로 1㎖의 AG50W-X12 및 0.4㎖의 쉘렉스 100(Na+), 0.2㎖의 AG50W-X12(H+) , 0.4㎖의 AG3-X4(OH-) 및 0.2㎖의 QAE-세파덱스(OH-)의 텐덤 이온-교환 칼럼상에서 탈염시키고, 0.25㎛ 필터로 여과시켰다. 코어 글리칸을 바이오-겔 P4 겔크로마토그래피, Dionex HPAEC 및 레시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In order to isolate the core glycans of the GPI species, [ 3 H] glucosamine labeled and TLC purified glycolipids were dephosphorylated, thallamized and reduced by most conventional methods (Mayor et al., Method in Enzymol., 1 , 297-305, 1990). Briefly,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incubation at 48 ° C with aqueous HF at 0 ° C for 60 hours, dephosphorylation, and neutralization with frozen LiOH. The reaction mixture was desalted, deaminated and reduced as described above and finally dissolved in 1 ml of AG50W-X12 and 0.4 ml of Shellex 100 (Na + ), 0.2 ml of AG50W-X12 (H + ), 0.4 ml of AG3 -X4 (OH -) - ion in tandem and QAE- Sephadex (OH) - of 0.2㎖ and desalted on a column exchange and filtered to 0.25㎛ filter. The core glycans were analyzed by bio-gel P4 gel chromatography, Dionex HPAEC and lecithin affinity chromatography.

방사능표지된 코어 글리칸은 Dionex 바이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AEC)에서 분석하였다. 시료는 100mM NaOH로 평형화시킨 카르보팩 PA1 칼럼에 주입하기 전에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덱스트란과 혼합하였다. 용출은 6분 동안 100% 완충액 A(100mM NaOH)를 사용한 후, 1㎖/분의 유속으로 30분 동안 0 내지 30%의 완충액 B(100mM NaOH, 0.25 M NaOAc)를 선형증가시켜 수행하였다. 0.4㎖의 분획물이 수거되었다. 모두 6종의 당지질로부터의 코어 글리칸을 3DU(덱스트란 단위체, 여기서 Glc3) 표준물을 사용하여 동시 용출시켰다. 이 용출 위치는 시료 Man3-AHM 코어 글리칸의 2.5DU 용출 위치와는 분명히 다르며, 티. 곤디 GPI의 글리칸의 치환체로 생각된다.Radiolabeled core glycans were analyzed in Dionex bio-liquid chromatography (HPAEC). Samples were mixed with partially hydrolyzed dextran prior to injection into a Carbopaque PA1 column equilibrated with 100 mM NaOH. Elution was performed by using 100% Buffer A (100 mM NaOH) for 6 minutes followed by a linear increase of 0-30% Buffer B (100 mM NaOH, 0.25 M NaOAc) for 30 minutes at a flow rate of 1 ml / min. 0.4 ml fractions were collected. Cored glycans from all six glycolipids were simultaneously co-eluted using 3DU (dextran unit, where Glc 3 ) standards. This elution position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2.5DU elution position of the sample Man3-AHM core glycan, It is considered to be a substitute for glycans of Gondii GPI.

TLC 정제된 GPI로부터 유도된 방사능 표지된 코어 글리칸에 전술한 바와 같이 JBAM 처리를 한 후 탈염된 시료를 Dionex-HPAEC로 재분석하였다. 주요 반응 생성물의 용출 위치는 모든 6개의 당지질에 대해 2.4DU였다. 이 용출 위치는 트리만노실 코어에 결합된 비-만노스 치환체를 차단하기 때문에 단지 JBAM에 대한 글리칸의 제한된 감수성과 일치한다(비치환된 코어 글리칸은 JBAM 처리 후에 0.9DU로서 용출된다). 치환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방사능 표지한 코어 글리칸의 단당류 분석을 수행하였다. [3H]글루코사민 표지된 당지질 II 및 III으로부터 유도된 코어 글리칸을 건조시키고 100℃에서 4시간 동안 4N HCl로 가수분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건조하고 메탄올 5% 아세트산으로 2회, 메탄올로 2회 플래쉬 증발시켰다. 가수분해물을 10nmol의 각 단당류를 포함하는 단당류 표준 혼합물과 혼합하고, 1㎖/분의 유속에서 15mM NaOH로 균등 용출을 사용한 Dionex-HPAEC로 분석하고 0.25㎖의 분획물을 수거하였다. 개개의 단당류 표준물질의 용출 위치를 펄스된 전류측정 검출기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2개의 방사능 표지된 단당류는 무수만니톨 및 갈락토스아민으로 동정되었다. 무수만니톨은 GPI의 탈아민되고 환원된 비 아세틸화된 글루코스아민의 유도체이다. 갈락토스아민의 발견은 N-아세틸갈락토스아민(GalNAc)이 GPI의 코어 글리칸의 추가성분이라는 것을 제안한다.The radioactively labeled core glycans derived from TLC purified GPI were re-analyzed with Dionex-HPAEC after treatment with JBAM as described above and then with demineralized samples. The elution location of the major reaction product was 2.4 DU for all six glycolipids. This elution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limited susceptibility of glycans to JBAM, since it blocks non-mannose substituents attached to the triannosyl core (unconjugated core glycans are eluted as 0.9DU after JBAM treatment). To investigate substituent properties, monosaccharide analysis of radioactively labeled core glycans was performed. Core glycans derived from [ 3 H] glucosamine-labeled glycolipids II and III were dried and hydrolyzed with 4N HCl at 100 ° C for 4 hours. The cooled reaction mixture was dried and flash-evaporated twice with methanol 5% acetic acid and twice with methanol. The hydrolyzate was mixed with a monosaccharide standard mixture containing 10 nmoles of each monosaccharide, and analyzed with Dionex-HPAEC using equilibrated elution with 15 mM NaOH at a flow rate of 1 ml / min and 0.25 ml fractions were collected. The elution position of each monosaccharide standard was detected using a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Two radiolabeled monosaccharides were identified as anhydrous mannitol and galactosamine. Anhydrous mannitol is a derivative of the deaminated and reduced deacetylated glucose amine of GPI. The discovery of galactosamine suggests that N-acetyl galactosamine (GalNAc) is an additional component of core glycans of GPI.

말단 GalNAc 잔기의 존재를 측정하기 위해서, 모든 6개의 당지질 종으로부터의 코어 글리칸을 말단 β-결합된 N-아세틸헥소스아민을 분열시키는 엑소글리코시다아제인 β-N-아세틸헥소사미니다아제로 항온처리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시료를 0.5U 재조합 효소(뉴 잉글랜드 바이오랩)를 포함하는 100㎕의 50mM 나트륨 시트레이트 pH 4.5에 재현탁시키고, 12 시간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하고, 가열, 탈염시킨 후 코어 글리칸에 대해 전술한 Dionex-HPAEC로 분석하였다. 당지질 III 및 IV는 헥소사미니다아제 처리에 민감하였다. GalNAc(1DU) 및 Man3-AHM (2.5DU)로 동시 용출시킨 HPAEC 처리 후에 2개의 단편을 동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 글리칸의 N-아세틸갈락토스아민이 존재한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GalNAc가 만노시다아제 활성을 차단하는 치환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헥소사미니다아제 및 JBAM으로 연속 처리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처리된 당지질 III 및 VI으로부터의 글리칸의 HPAEC 분석으로 GalNAc 잔기의 제거 후에 완전한 글리칸의 만노시다아제 민감성을 보여주는 GalNAc 및 무수만니톨과 동시 용출되는 2개의 피크가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당 지질 I, II, IV 및 V에서 유도된 코어 글리칸은 n-아세틸갈락토스아민이 단당류 분석에 의해 존재한다고 나타나지만 헥소사미니다아제에 대해 불감성이었다.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erminal GalNAc residues, the core glycans from all six glycolipids were incubated with [beta] -n-acetylhexosaminidase, an exoglycosidase that cleaves the terminal [beta] -linked N-acetylhexosamine Lt; / RTI > Briefly, the sample was resuspended in 100 μl of 50 mM sodium citrate pH 4.5 containing 0.5 U recombinant enzyme (New England BioLab), incubated for 12 hours at 37 ° C, heated, desalted, The cells were analyzed for Dionex-HPAEC described above. Glycolipids III and IV were sensitive to hexosaminidase treatment. Two fragments can be identified after treatment with HPAEC co-eluted with GalNAc (1DU) and Man3-AHM (2.5DU), suggesting the presence of N-acetyl galactosamine in these glycans. To show that GalNAc is a substitute blocking mannosidase activity, it was treated with hexosaminidase and JBAM. HPAEC analysis of glycans from glycolipids III and VI treated in this manner results in two peaks co-eluting with GalNAc and anhydrous mannitol showing the mannosidase sensitivity of the complete glycan after removal of the GalNAc residue. In contrast, core glycans derived from sugar lipids I, II, IV and V showed that n-acetyl galactosamine was present by monosaccharide analysis but was insensitive to hexosaminidase.

코어 글리칸의 바이오겔 P4-겔여과 분석은 코어 글리칸의 크기 이질성을 보여주었다. 당지질 III 및 VI로부터 유도된 코어 글리칸은 Man3GalNAc-AHM 표준 물질 형태 래트 뇌 Thy 1 항원 막 고착 및 6GU 표준 물질(코어 글리칸 A로 칭함)과 동시 용출시켰다. 헥사아미니다아제 불감성 당지질 종 I, II, IV 및 V로부터의 글라칸을 7GU 표준 물질(코어 글리칸 B로 칭함)과 동시 용출시켰다. 이들 발견은 GalNAc의 효소적 제거에 입체 장애를 주는 GalNAc 잔기에 대한 추가적인 치환체의 존재를 보여준다.Analysis of coreglycan bio-gel P4-gel filtration showed the size heterogeneity of the core glycans. Coreglykans derived from glycolipids III and VI were co-eluted with the Man3GalNAc-AHM standard material form, rat brain Thy 1 antigen membrane attachment and 6GU standard (referred to as Coreglycan A). Glucan from hexaamyangiase insensitive glycoproteins I, II, IV and V was co-eluted with a 7GU standard (referred to as coreglycan B). These findings show the presence of additional substituents on the GalNAc moiety that steric hindrance to the enzymatic removal of GalNAc.

이들 자료는 말단 β1,4 결합된 GalNAc에 렉틴 특이적인 위스타리아 플로리번다(Wistaria floribunda) 유착을 사용한 렉틴-친화도-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였다. 렉틴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Nakano 등, Arch. Biochem. Biophys. 311, 117-126, 1994). 간략히 설명하면, 당지질 II, III(각각, 코어 글리칸 A 및 B) 및 래트 뇌 THY1 막 고착으로부터 유도된 방사능 표지된 코어 글리칸을 0.02% 나트륨 아지드를 함유하는 50mM 트리스-HCl, pH7.4중 평형시킨 1㎖의 더블유. 플로리번다 유착 아가로스 칼럼(5㎎ 렉틴/㎖ 겔)에 적용시켰다. 용출은 25㎖의 평형 완충액을 사용한 후 특이 억제제로서 100mM의 N-아세틸갈락토스아민을 함유하는 15㎖의 동일 완충액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코어 글리칸 A 및 Man3GalNAcAHM-표준 물질은 칼럼에 결합시키고 특이 억제제 GalNAc와 함께 용출시킨 반면(도 7), 코어 글리칸 B는 렉틴에 대한 친화력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는 이들 GalNAc종에서 추가의 친환체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의해 렉틴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These data were performed by lectin-affinity-chromatography using lectin-specific Wistaria floribunda adhesion to terminal? 1,4-linked GalNAc. Lectin affinity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as previously described (Nakano et al., Arch. Biochem. Biophys. 311, 117-126, 1994). Briefly, radiolabeled core glycans derived from glycolipids II, III (core glycans A and B, respectively) and rat brain THY1 membrane fixation were dissolved in 50 mM Tris-HCl containing 0.02% sodium azide, pH 7.4 Lt; / RTI > Applied to a Floribunda adhesion agarose column (5 mg lectin / ml gel). Elution was carried out using 15 ml of the same buffer containing 100 mM of N-acetylgalactosamine as a specific inhibitor after using 25 ml of equilibrium buffer. Coreglycan A and Man3GalNAcAHM-standards were bound to the column and eluted with the specific inhibitor GalNAc (Figure 7), whereas coreglycan B did not exhibit affinity for lectin,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dditional parental in these GalNAc species This shows that lectin can not be accessed by this.

실시예 6Example 6

타키조이트 세포 유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외 표지에 의해 코어 글리칸 B의 성분으로서의 글루코스 동정Identification of Glucose as a Component of Core Glycan B by an In Vitro Label Using a Tachyzoite Cell Glass System

생체외 표지의 실험적 접근법은 종종 발생하는 세포 배양물에서 타키조이트의 생체내 표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들 문제는 주로 세포내 기생체 주변의 각종 막 시스템(숙주 세포 원형질막, 기생체원성 액포 및 타키조이트 막)을 통한 표지의 비효율적인 전달 및/또는 표지된 당의 과량의 이화 작용 또는 에피머화이며, 이로 인해 불량하고 비-특이적인 표지화가 형성된다. 생체외 표지화는 티. 곤디 GPI의 글리코실화를 보여주는데 사용된다.An experimental approach to in vivo labeling can solve the in vivo labeling problem of Takizoites in often occurring cell cultures. These problems are mainly due to ineffective delivery of labels through the various membrane systems (host cell plasma membranes, metaplastic vacuoles and Tachyoid membranes) around the intracellular metabolism and / or excessive catabolism or epimerization of the labeled sugars, This results in poor and non-specific labeling. The in vitro labeling was carried out on T. It is used to show the glycosylation of Gondii GPI.

타키조이트는 감염된 베로 세포 배양물로부터 분리하고 전술한 겔 울 여과에 의해 숙주 세포 막으로부터 정제하였다. 생체외 표지를 위한 세포 유리 시스템은 Masterson 등의 계획안에 따라 변형시켜 제조하였다(Cell 56, 739-800, 1989). 간략히 설명하면, 2×109타키조이트는 얼음에서 5분 동안 1㎍/㎖ 류펩틴 및 0.1mM 토실라이신클로로메틸케톤(TLCK)을 함유하는 375㎕의 냉수에서 저장성 분해시킨 후 3㎖의 던스(Dounce) 균질기에서 50 스트록크로 균질시켰다. 용해물을 동량의 2배 농축된 배양 완충액(50mM Na HEPES pH7.4, 25mM KCl, 5mM MgCl2, 0.1mM TLCK 및 1㎍/㎖의 류펩틴)과 혼합하고 다시 간단히 균질하였다. 2×108타키조이트를 나타내는 75㎕의 타키조이트 세포 유리 막 제제를 각 배양 튜브(예비 건조된 뉴클레오타이드 당, CoA 및 ATP를 함유)에 첨가하고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튜브는 1mM ATP, CoA, UDP-GlcNAc, UDP-GalNAc 및 GDP-Man(GDP-3H-Man이외 표지의 경우) 및 2μCi GDP-3H-Man 또는 5μCi UDP-3H-Gluc를 포함하였다. 2㎖의 CM을 첨가하여 배양을 종결하고 GPI 추출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하여 수행하였다. 코어 글리칸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탈인산화, 탈아민화 및 환원에 의해 부탄올 상에 포함된 당지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생성 코어 글리칸을 Dionex-HPAEC 및 아미노프로필 HPLC에 의해서 분석하였다(도 8). (상세한 실험은 실시예 5 참고).Tachyzoites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ed BERO cell culture and purified from the host cell membrane by gel filtration as described above. Cellular glass systems for in vitro labeling were prepared by modification according to Masterson et al. (Cell 56, 739-800, 1989). Briefly, 2 × 10 9 Takizoids were subjected to storage degradation in 375 μl of cold water containing 1 μg / ml leupeptin and 0.1 mM Tosyl Lysine Chloromethylketone (TLCK) for 5 min on ice, Dounce) homogenizer. The lysate was mixed with an equal volume of 2x concentrated culture buffer (50 mM NaHEPES pH 7.4, 25 mM KCl, 5 mM MgCl 2 , 0.1 mM TLCK and 1 μg / ml of leupeptin) and homogenized again briefly. 75 [mu] l of Takizoit's cell membrane preparation representing 2 x 10 8 Tachyzoites was added to each culture tube (containing pre-dried nucleotides, CoA and ATP) and cultured at 37 [deg.] C for 2 hours. The culture tubes contained 1mM ATP, CoA, UDP-GlcNAc, UDP-GalNAc and GDP-Man (for non-GDP-3H-Man labeling) and 2μCi GDP-3H-Man or 5μCi UDP-3H-Gluc. 2 ml of CM was added to terminate the culture and GPI extraction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as described above. Coreglycans can be prepared from glycolipids contained on butanol by dephosphorylation, desamination and red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ing core glycans were analyzed by Dionex-HPAEC and aminopropyl-HPLC (Fig. 8). (See Example 5 for detailed experiments).

GDP-3H-Man을 사용한 생체외 표지화는 Man3AHM을 함유하는 코어 글리칸 및 전술한 바와 같은(Tomavo 등, 1992) 코어 글리칸 A(Man3(GalNAc)AHM)를 포함하는 당지질을 형성시지만, 코어 글리칸 B는 이들 조건하에서 합성되지 않는다(도 8D). 대조적으로, UDP-3H-Glc를 사용한 표지화는 코어 글리칸 B(도 8H)와 동시 용출되고 코어 글리칸 A 및 Man3AHM로 표지화되지 않은 아미노프로필-HPLC 피크를 형성시킨다.Ex vivo labeling with GDP-3H-Man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glycolipid comprising a core glycan containing Man3AHM and a core glycan A (Man3 (GalNAc) AHM) as described above (Tomavo et al., 1992) Room B is not synthesized under these conditions (Fig. 8D). In contrast, labeling with UDP-3H-Glc co-elutes coreglycan B (Figure 8H) to form an aminopropyl-HPLC peak that is not labeled with coreglycan A and Man3AHM.

UDP-3H-Glc를 통해 표지화된 코어 글리칸 B는 아미노프로필-HPLC로 정제하였다. 정제시킨 표지된 글리칸을 렉티 바이알TM에서 건조시키고, 200㎕의 2N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고 전술한 Dionex-HPAEC 단당류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방사능을 글루코스 표준 물질과 동시 용출시켰다(도 9). 이 자료는 코어 글리칸 B중 추가의 치환체가 글루코스임을 보여준다. 이 관찰을 확인하기 위해서 비표지된 UDP-Glc로 자극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타키조이트 막의 세포 유리 시스템을 1mM UDP-Glc로 보충하고 GDP-3H-Man으로 표지하였다. 이들 조건하에서 제조된 코어 글리칸의 분석은 Man3AHM 및 코어 글리칸 A의 존재와 관련이 없고, 또한 코어 글리칸 B의 형성과도 관련이 없다(도 8F).Coreglycan B labeled with UDP-3H-Glc was purified by aminopropyl-HPLC. The purified labeled glycan was dried in Rectivial , and 200 μl of 2N trifluoroacetic acid was added and cultured at 100 ° C. for 4 hours to hydrolyze. The hydrolyzate was desalted and the Dionex-HPAEC monosaccharide analysis described above was performed. All radioactivity was co-eluted with glucose standards (Figure 9). This data shows that the additional substituent in coreglycan B is glucose. Stimulation experiments with unlabeled UDP-Glc were performed to confirm this observation. The cell glass system of the Tachyzoite membrane as described above was supplemented with 1 mM UDP-Glc and labeled with GDP-3H-Man. Analysis of the core glycans produced under these conditions is not related to the presence of Man3AHM and core glycan A, nor to the formation of core glycan B (Fig. 8F).

실시예 7Example 7

코어 글리칸 A 및 B의 완전 구조의 설명Explanation of the complete structure of core glycans A and B

티. 곤디 GPI 코어 글리칸의 구조적 설명을 위해 선택된 단계는 하기와 같다:tea. The steps selected for the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Gondi GPI core glycan are as follows:

1. 다수의 타키조이트로부터 추출 및 부탄올/물 상분배에 의해 당지질을 분리하는 단계,1. Extraction from multiple tachyzoites and separation of glycolipids by butanol / water phase partitioning,

2. 모든 6개의 당지질을 포함하는 부탄올 상으로부터 탈인산화, 탈아민화 및 환원에 의해 코어 글리칸을 제조하는 단계,2. preparing core glycans by dephosphorylation, deamination and reduction from a butanol phase containing all six glycolipids,

3. 아미노-프로필 상에서 코어 글리칸 A 및 B의 정제용 HPLC-정제 단계,3. HPLC-Purification step for purification of core glycans A and B on amino-propyl,

4. 메탄올분해/GC, FAB-MS, GC-MS 및 NMR에 의해 정제된 글리칸의 광범위한 분석.4. Methanololysis / extensive analysis of glycans purified by GC, FAB-MS, GC-MS and NMR.

코어 글리칸 A 및 B는 Dionex-HPAEC 칼럼상에서 동시 용출되고 바이오-겔 P4에 불완전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아미노프로필-HPLC상에서 시료를 분리하므로서 다량의 각 글리칸 종을 균일하게 정제하였다.Since core glycans A and B co-elute on the Dionex-HPAEC column and dissolve incompletely in the bio-gel P4, a large amount of each glycan species was uniformly purified by separating the sample on aminopropyl-HPLC.

코어 글리칸을 워터스 510 HPLC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 및 정제하였다. 분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50㎕의 물중 방사능 표지된 코어 글리칸을 평형화된 리크로솔브-NH2칼럼(4.9 × 250mm, 메르크)으로 주입하고 1㎖/분의 유속으로 28% 물과 72%의 아세토니트릴로 균등 용출시킨다. 1㎖의 분획물을 수거하고 개개 글리칸의 용출물 위치를 섬광 계수에 의해 확인하였다(도 10A). 피크 A 및 B를 포함하는 분획물을 모으고 바이오-겔 P4 겔 크로마토그래피(도 10E, G) 및 Dionex-HPAEC(도 10D, F)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실험은 피크 A가 코어 글리칸 A와 동일하며(바이오겔 P4에서 6GU 표준 물질과 동시 용출) 피크 B가 코어 글리칸 B와 동일하다(7GU 표준 물질과 동시 용출)는 것을 보여준다.The core glycans were analyzed and purified using a Waters 510 HPLC system. To use the separation system, 50 μl of radioactively labeled core glycans in water was injected into the equilibrated Liquorsol-NH 2 column (4.9 × 250 mm, Merck) and eluted with 28% water and 72% % Acetonitrile. 1 ml fractions were collected and the elution position of each glycan was confirmed by scintillation counting (Fig. 10A). Fractions containing peaks A and B were pooled and analyzed using bio-gel P4 gel chromatography (Figure 10E, G) and Dionex-HPAEC (Figure 10D, F). These experiments show that Peak A is identical to Core Glycan A (co-elution with a 6GU reference material on BioGel P4) and Peak B is identical to Core Glycan B (co-eluting with the 7GU standard).

비표지된 물질의 정제 과정에서 추적자로서 사용되는 다량의 방사능 표지된 코어 글리칸을 수득하기 위해서, 화학적 방사능 표지화를 수행하였다. 2×109으로부터 수득한 당지질을 전술한 바와 같이 탈인산화 및 탈아민화시켰다. pH를 10.5로 조정하고, 10㎕의 0.1N NaOH중 5mCi NaB[3H]H4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배양하여 방사능 표지화를 수행하였다. 1㎖ 아미노프로필 Sep PakTM-카트리지(밀리포어-워터스)에서의 고체상 추출은 방사화학적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적용하였다. 8㎖의 물, 2㎖의 에탄올 및 5㎖의 부탄올로 주사기를 사용하여 카트리지를 예비 세척하였다. 시료를 40㎕의 물중 취하여 2㎖의 부탄올과 혼합하고 카트리지에 적용한 후, 2㎖의 부탄올, 4㎖의 부탄올/에탄올(2:1), 18㎖의 에탄올 및 3㎖의 물을 사용하여 용출하였다. 정제된 방사능 표지된 코어 글리칸을 물에서 회수하였다. Dionex-HPAEC, 바이오-겔 P4 및 아미노프로필-HPLC에 의해 대사적으로 표지된 GPI로부터 형성된 코어 글리칸과 병행하여 상기 물질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으로 대사적으로 표지된 당지질과 동일한 순수 방사능 표지된 물질(1.5×107cpm)을 2nmol의 글리칸으로 출발하여 수득하였다.To obtain a large amount of radiolabeled core glycans used as tracers in the purification of unlabeled material, chemical radioactivity labeling was performed. The glycolipids obtained from 2 x 10 9 were dephosphorylated and deaminated as described above. The pH was adjusted to 10.5, and radioactivity labeling was performed by adding 5 mCi NaB [ 3 H] H 4 in 10 μl of 0.1 N NaOH and incubating for 30 minutes. Solid phase extraction on 1 ml Aminopropyl Sep Pak TM -cartridge (Millipore-Waters) was applied to remove radiochemical impurities. The cartridge was prewashed with a syringe with 8 mL of water, 2 mL of ethanol and 5 mL of butanol. The sample was taken in 40 μl of water, mixed with 2 ml of butanol, applied to a cartridge and eluted with 2 ml of butanol, 4 ml of butanol / ethanol (2: 1), 18 ml of ethanol and 3 ml of water . Purified radiolabeled core glycans were recovered from water. The material was analyzed in parallel with core glycans formed from GPI metabolically labeled by Dionex-HPAEC, bio-gel P4 and aminopropyl-HPLC. This analysis yielded the same pure radiolabeled material (1.5 x 10 < 7 > cpm) as the metabolically labeled glycolipids, starting with 2 nmoles of glycans.

제조 목적으로 25nmol 코어 글리칸을 각 조작에서 50,000 cpm 방사성 추적자와 혼합하였다. 1.5×1011타키조이트로부터의 코어 글리칸을 HPLC로 정제하여 대략 30nmol의 글리칸 A 및 150nmol의 글리칸 B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단당류 분석 및 상이한 질량 분광계 및 NMR 기술을 사용하여 추가 분석하였다.For manufacturing purposes, 25 nmol core glycans were mixed with 50,000 cpm radio tracers in each operation. The core glycans from 1.5 x 10 11 tachyzoites were purified by HPLC to give approximately 30 nmol of glycan A and 150 nmol of glycan B. This material was further analyzed using monosaccharide analysis and different mass spectrometry and NMR techniques.

전술한 바와 같이 메탄올분해를 수행하였다(Ferguson, GPI membrane anchors: Isolation and analysis; in Glycobiology. A practical approch, Fukuda 및 Kobata 판,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의 IRL 프레스, 제 8 장, p349-383, 1993). 간략히 설명하면, 2×1010타키조이트로부터 유도된 코어 글리칸 A 및 B를 각각 포함하는 시료를 건조하고 1N HCl을 함유하는 건조 메탄올중에 재현탁시키고, 85℃에서 24 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AgCO3로 중화시킨 후 25㎕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항온처리하여 재-N-아세틸화시켰다. 원심 분리 후에, 상등액을 스피드 백TM(사반트)에서 건조시키고, 새로 제조한 40㎕의 피리딘/헥사메틸디실라잔/트리메틸클로로실란(피어스) 5:1:1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반응시켜 유도체화를 수행하였다. 유도된 단당류를 25m×0.32mm 퓨즈드 실리카 CP-SIL-5CB 칼럼이 장착된 휴렛 팩커드 5890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석였다.Methanol decomposition wa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Ferguson, GPI membrane anchors: Isolation and analysis, in Glycobiology. A practical approch, Fukuda and Kobata plate, IRL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8, p349-383, 1993). Briefly, a sample containing core glycans A and B, respectively, derived from 2x10 < 10 > Tachyzoites was dried and resuspended in dry methanol containing 1N HCl and incubated at 85 [deg.] C for 24 hours. The cooled reaction mixture was neutralized with AgCO 3 followed by addition of 25 μl of acetic anhydride and re-N-acetylation by incubation for 15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was dried in Speedback (Saban), and 40 μl of the newly prepared pyridine / hexamethyldisilazane / trimethylchlorosilane (Pierce) 5: 1: 1 was added and reacted for 30 minutes, . The derived monosaccharide was analyzed by performing Hewlett Packard 5890 gas chromatography with a 25 m x 0.32 mm fused silica CP-SIL-5 CF column.

130℃의 초기 오븐 온도를 4℃/분의 속도로 220℃로 상승시키고 불꽃 이온화반응으로 검출하였다.The initial oven temperature of 130 [deg.] C was raised to 220 [deg.] C at a rate of 4 [deg.] C / min and detected by flame ionization.

두 시료 모두에서, 만노스, N-아세틸갈락토스아민 및 2,5 무수만니톨이 3:1:1의 어림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이로서 GalNAc에 의해 치환된 트리만노실 코어 구조의 존재를 알 수 있다. GalNAc 1 mol당 2.8mol의 크실로오스 및 2 mol의 글루코스가 코어 글리칸 B를 함유하는 시료중에서 동정되었고, 코어 글리칸 A를 함유하는 시료중에서 1.3 mol의 글루코스가 동정되었다. 두 당은 모두 단당류 분석에서 자주 오염되었으나, A 및 B사이의 임의의 기타 단당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코어 글리칸 B에 존재하는 GalNAc의 치환체로서 크실로스 또는 글루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질량 분광계를 사용하였다.In both samples, mannose, N-acetyl galactosamine and 2,5-anhydrous mannitol were detected at an approximate ratio of 3: 1: 1,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trimannosyl core structure substituted by GalNAc. 2.8 mol of xylose per mol of GalNAc and 2 mol of glucose were identified in a sample containing coreglycan B and 1.3 mol of glucose was identified in a sample containing coreglycan A. [ Both sugars were frequently contaminated in the monosaccharide assa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ny other monosaccharide between A and B, suggesting xylose or glucose as a substitute for GalNAc present in coreglycan B. A mass spectrometer was used to solve this problem.

고속 원자 충격 질량 분광기(FAB-MS)로 분석하기 전에, 코어 글리칸 시료를 Ferguson 등의 문헌[Science 239, 753, 1988]에 개시된 바와 같이 Ciucanu & Kerek(Carbohyd. Res. 131, 209, 1984)의 방법에 따라 과메틸화시켰다. 간략히 설명하면, 시료를 건조하고, 120mg/㎖ 분말화된 NaOH를 함유하는 100㎕의 디메틸설폭시드(피어스)에 재현탁시켰다. 일정 교반후에, 20㎕의 메틸요오딘(시그마)을 3회 첨가하고 각 첨가후에 1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나트륨 티오설페이트로 반응을 급랭하고 과메틸화된 글리칸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한 후 농축하였다. 시료를 5㎕의 메탄올에 재현탁시키고 글리세롤의 매트릭스에 적재하였다. 22kV 및 2μA로 조작한 WATV 카지움건(와그너 어날리젠 테크닉)을 사용하여 적응시킨 핀니간 MAT 90 질량 분광계를 사용하여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Prior to analysis by fast atom impact mass spectrometry (FAB-MS), coreglycan samples were obtained from Ciucanu & Kerek (Carbohyd. Res. 131,209, 1984) as described in Ferguson et al., Science 239, 753, Lt; / RTI > Briefly, the sample was dried and resuspended in 100 μl of dimethyl sulfoxide (Pierce) containing 120 mg / ml of powdered NaOH. After a certain agitation, 20 占 퐇 of methyliodine (Sigma) was added three times and incubated for 10 minutes after each addition. The reaction was quenched with sodium thiosulfate and the hypermethylated glycans were extracted with chloroform, washed with water and concentrated. Samples were resuspended in 5 μl of methanol and loaded onto a matrix of glycerol. Spectra were obtained using a Finnigan MAT 90 mass spectrometer adapted using a WATV Karim Gun (Wagner Arizen Technique) operated at 22 kV and 2 uA.

과메틸화된 코어 글리칸 A용으로 기록된 FAB 스펙트럼(도12)은 분자 이온 m/z 1078.4 및 각 나트륨 애덕트 m/z 1100.4을 나타내었다. 질량은 글리칸 A에 대하여 Man-Man(GalNAc)Man-AHM의 구조적 제안과 일치한다. 글리칸 B의 분석으로 각 M+Na+이온에 대하여 m/z 1282.7 및 m/z 1304.5의 M+Na+이온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과메틸화된 글리칸 A 및 B사이의 질량 차이는 204.1D이며, 이는 글리칸 B상에 추가의 육탄당 차이를 정확히 해명해 줄 수 있다(Dell 등, Glycobiology, Fukuda & Kobata(eds) 옥스포드, 187-222, 1993)]. MALDI-TOF 질량 분광계에 의해 비유도체화된 글리칸을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였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And FAB spectrum (Figure 12) recorded for the methylated core glycan A showed molecular ion m / z 1078.4 and each sodium adduct m / z 1100.4. The mass corresponds to the structural suggestion of Man-Man (GalNAc) Man-AHM for glycan A. Analysis of glycan B detected M + Na + ions at m / z 1282.7 and m / z 1304.5 for each M + Na + ion. Thus, the mass difference between hypermethylated glycans A and B is 204.1 D, which can accurately account for additional per capita differences on glycan B (Dell et al., Glycobiology, Fukuda & Kobata (eds) , 187-222, 1993). The ungluformized glycans were analyzed by MALDI-TOF mass spectrometry to confirm this (data not shown).

1011타키조이트로부터 분리 및 정제된 코어 글리칸 A 및 B는 핵자기 공명 분광기(NMR)를 수행하여 조성, 아노머 및 결합 형태를 확인 및 규정하였다. 1차원의 500mHz 스펙트럼을 Hard 등의 문헌[Glycobiology, Fukuda & Kobata(eds.) 옥스포드, 221-242, 1993)에 개시된 방법으로, 2D 동종핵 하트만-하안(HOHAHA) 스펙트럼은 Marion 등의 문헌[J. Mag. Reson. 85, 393-399, 1989]에 개시된 방법으로, 2D 회전식 불꽃 핵 오버하우저 효과(ROESY)는 Bothner-By 등의 문헌[J. Amer. Cem. Soc. 106, 811-813]에 개시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The core glycans A and B isolated and purified from 10 11 tachyzoites were subjected to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to identify and define composition, anomer and binding pattern. A 2D homomorphic Hartmann-Haan (HOHAHA) spectrum was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by Marion et al., J. Jones et al., J. Phys. Lett .; Glycobiology, Fukuda & Kobata (eds.) Oxford, 221-242, . Mag. Reson. 85, 393-399, 1989), the 2D rotary flame nuclear overhauser effect (ROESY) is described in Bothner-By et al. Amer. Cem. Soc. 106, < RTI ID = 0.0 > 811-813. ≪ / RTI >

코어 글리칸 A 및 B로부터 수득한 1D 스펙트럼을 티. 부르세이 VSG(Ferguson 등, Science 239, 753-759, 1988) 및 래트 뇌 THY1(Homans 등, Nature 333, 269-272, 1988)의 GPI 막 고착 및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수득한 공고된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해석하였다. 3α-결합된 만노스 잔기로부터의 아노머 양자의 코어 글리칸 A 신호를 위해서, 무수만니톨 및 하나의 β-결합 GalNAc을 검출하였다(도 13). 코어 글리칸 B는 α-결합된 글루코스로 확인된 사카로스 및 말토스와 비교하여 추가의 α-아노머 신호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발견은 코어 글리칸 B상에서 HOHAHA 분광기를 사용하여 추가의 양성자를 확인하고 범위를 확장시켰다. 코어 글리칸 A 및 B를 위한 동정된 양성자의 ppm 값은 표 1a 및 표 1b에 요약되어있다.The 1D spectra obtained from core glycans A and B are shown in Fig. GPI membrane attachment of Bruce VSG (Ferguson et al., Science 239, 753-759, 1988) and rat brain THY1 (Homans et al., Nature 333, 269-272, 1988) and interpretation Respectively. For the core glycan A signal of both anomers from the 3? -Bonded mannose residues, anhydrous mannitol and one? -Bonded GalNAc were detected (FIG. 13). Coreglycan B showed additional α-anomer signals compared to saccharose and maltose identified as α-linked glucose. This finding identified additional proton and extended range using HOHAHA spectroscopy on coreglycan B. The ppm values of identified protons for core glycans A and B are summarized in Tables 1a and 1b.

코어 글리칸 A:Core Glycan A: Man3Man3 Man2Man2 Man1Man1 AHM-olAHM-ol GalNAcGalNAc H-1H-1 5.0385.038 5.1815.181 5.0725.072 3.7073.707 4.4874.487 H-2H-2 4.0694.069 4.0534.053 4.0384.038 3.9313.931 3.9243.924 H-3H-3 3.8493.849 3.9463.946 3.9313.931 4.2214.221 3.7613.761 H-4H-4 3.6403.640 n.d.n.d. n.d.n.d. 4.1594.159 3.9403.940 H-5H-5 n.d.n.d. n.d.n.d. n.d.n.d. 4.0484.048 n.d.n.d. H-6H-6 n.d.n.d. n.d.n.d. n.d.n.d. 3.7363.736 n.d.n.d. NAcNAc -- -- -- -- 2.0752.075

코어 글리칸 B:Coreglycan B: Man3Man3 Man2Man2 Man1Man1 AHM-olAHM-ol GalNAcGalNAc GlcGlc H-1H-1 5.0385.038 5.1855.185 5.0755.075 3.6853.685 4.5424.542 4.9364.936 H-2H-2 4.0704.070 4.0524.052 4.0294.029 3.9683.968 3.9833.983 3.5513.551 H-3H-3 3.8483.848 3.9553.955 3.9183.918 4.2234.223 3.8573.857 3.8143.814 H-4H-4 3.6393.639 3.723.72 3.793.79 4.1634.163 4.0394.039 3.4643.464 H-5H-5 n.d.n.d. n.d.n.d. n.d.n.d. 4.0644.064 n.d.n.d. n.d.n.d. H-6H-6 n.d.n.d. n.d.n.d. 3.763.76 3.7523.752 n.d.n.d. n.d.n.d. NAcNAc -- -- -- -- 2.0732.073 --

ROESY 분광기를 코어 글리칸 B에 사용하여 글리코시드 결합과 관련된 각 단당류 잔기의 탄소원자를 확인하였다. 표 2에는 관련 교차 피크가 요약되어 있다.A ROESY spectrometer was used in core glycan B to identify the carbon atom of each monosaccharide residue associated with the glycosidic linkage. Table 2 summarizes the relevant cross peaks.

코어 글리칸 B에서 글리코시드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ROESY 교차 피크A ROESY cross peak to identify glycosidic bonds in core glycan B Man 3 H-1/ Man 2 H-2Man 3 H-1 / Man 2 H-2 5,038/4,0525,038 / 4,052 Man 2 H-1/ Man 1 H-6Man 2 H-1 / Man 1 H-6 5,185/3,765,185 / 3,76 Man 1 H-1/ AHMol H-4Man 1 H-1 / AHMol H-4 5,075/4,1635,075 / 4,163 GalNAc H-1/ Man 1 H-4GalNAc H-1 / Man 1 H-4 4,542/3,794,542 / 3,79 Glc H-1/ GalNAc H-4Glc H-1 / GalNAc H-4 4,936/4,0394,936 / 4,039

이들 데이터는 티. 곤디 글리칸 A 및 B의 만노스 골격이 전술한 진화성 보존 구조 Manα1,2-Manα1,6-Manα1,4-AHM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McConville & Ferguson, Biochem. J. 294, 305-324, 1993). GalNAc는 제 1 만노스(AHM에 거의 근접)에 β-1,4 결합되어 있고 글루코스는 코어 글리칸 B중 GalNAc에 α1,4 결합되어 있다. 코어 글리칸 A의 구조는 래트 뇌 THY 1 막 고착의 비만노실화된 코어 글리칸의 구조와 유사한 반면(Homans 등, Nature 333, 269-272, 1988), 코어 글리칸 B는 문헌에는 아직 개시되지 않은 GalNAc에 결합된 α-결합 글루코스를 갖는다.These data are shown in Fig. Mannos skeleton of gondigliacans A and B is identical to the evolutionarily conserved structure Manα1,2-Manα1,6-Manα1,4-AHM described above (McConville & Ferguson, Biochem. J. 294, 305-324, 1993 ). GalNAc is β-1,4 linked to the first mannose (nearly close to AHM) and glucose is linked to GalNAc in α1,4 bond in coreglycan B. The structure of coreglycan A is similar to that of obesity-noctilized core glycans in the rat brain THY 1 membrane fixation (Homans et al., Nature 333, 269-272, 1988), while Coreglycan B is not yet disclosed in the literature Lt; RTI ID = 0.0 > GalNAc. ≪ / RTI >

글리코시드 결합 위치에서 NMR 분광계에 의해 수득한 데이터는 이전에 공고된 과정(Ferguson, Science 239, 753-759, 1988)에 따라 수행한 메탈화 분석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80nmol의 코어 글리칸 B를 과메틸화, 산가수분해시키고, 생성된 과메틸화된 단당류는 환원 및 아세틸화시켰다. 이 과정 후에, 가수분해전에 관련된 글리코시드 결합의 수 및 위치에 따라 상이한 메틸화 대 O-아세틸화 정도를 갖는 부분적인 과메틸화 알디톨 아세탈(PMAA)을 수득하였다. 이들 PMAA를 분리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기(GC-MS)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총 이온 전류 크로마토그램 및 각 피크의 질량 스펙트럼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4개의 GC 피크는 GC 보유 시간 및 질량 스펙트럼에 의해 2개의 말단 육탄당 잔기를 갖는 PMAA(모두 말단 만노스 및 글루코스로 나타난다), 탄소 1 및 2에 결합된 하나의육탄당, 탄소 1,4 및 6에 결합된 하나의 육탄당 및 탄소 1 및 4에 결합된 N-아세틸헥소스아민으로서 검출 및 확인되었다. 생성 구조는 또한 도 14에 나타나있으며, NMR 및 엑소글리코시다아제에 의해 수득한 자료와 일치하였다.Data obtained by the NMR spectrometer at the glycosidic bond sites was performed by the metallization analys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published procedure (Ferguson, Science 239, 753-759, 1988). Briefly, 80 nmol of core glycan B was hypermethylated and acid hydrolyzed and the resulting hypermethylated monosaccharides were reduced and acetylated. After this process, partial hypermethylated alditol acetal (PMAA) was obtained having different degrees of methylation versus O-acetylation depending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glycosidic bonds involved before hydrolysis. These PMAAs were separated and qua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The total ion current chromatogram and the mass spectrum of each peak are shown in Fig. The four GC peaks were identified as PMAA (all terminated as mannose and glucose) with two terminal chitosan residues by GC retention time and mass spectra, a single hexose bonded to carbon 1 and 2, carbon 1,4 and 6 Lt; RTI ID = 0.0 > N-acetyl < / RTI > The resulting structure is also shown in Figure 14, consistent with data obtained by NMR and exoglycosidase.

티. 곤디 유리 GPI의 구조적 분석으로 수득한 모든 자료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와 일치한다.tea. All the data obtained by structural analysis of Gondigans GPI is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글리칸 코어 구조 A 및 B의 구조적 대표도는 도 16에 나타나있다.Structural representations of the glycan core structures A and B are shown in Fig.

실시예 8Example 8

코어 글리칸 A 및 B의 당접합체 구조의 화학적 합성 및 접합Chemical synthesis and conjugation of sugar conjugate structure of core glycans A and B

합성:synthesis:

화합물 A 및 B 뿐만 아니라 이의 유사물도 각종 경로로 합성할 수 있다. 오당류13의 합성과정의 예를 요약하였다. 화합물 B의 유사물에서, 비-필수적인 무수 만니톨 단위체를 거대분자 담체와 오당류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3-아미노프로필 결합 핸들로 치환하였다. 또한, 상이한 쇄길이를 갖거나 또는 기타 접합 목적에 적합한 작용기(예, 카르복실기, 티올 또는 할로겐화물)를 함유하는 결합 핸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은 만노스 단위체1과는 관련이 없으며, 시판용 에틸 1-티오-α-D-만노스피라노시드로부터 표준 과정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예, p-톨루엔설폰산의 존재하에 p-메톡시벤즈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을 갖는 4,6-O-p-메톡시벤질리덴 기를 병립한 뒤, 이어서 생성 2,3 디올을 벤질 브로마이드 및 나트륨 히드리드로 벤질화시킨다). N-요오도숙신이미드(NIS) 및 촉매적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TfOH)의 존재하에(Veeneman 등, 1990, Tetrahedron Lett, 31, 1331) 화합물1과 3-N-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1-올(Berntsson 등, 1977, Acta Pharm. Suec., 14, 229)의 반응으로 화합물2가 형성된다. 화합물2를 NaBH3CN 및 (DMF)중 건조 CF3COOH로 처리하여(Johansson 등, 1984, J. Chem. Soc. Perkin Trans. I, 2371) 6-O-p-메톡시벤질(Mbn) 분획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합물3을 수득한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MSOTf)의 존재하에 글루코사민에 대해 보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Blatter 등, 1994, Carbohydrate Res., 260, 189)3과 N-트리클로로아세틸-(TCA) 갈락토스아민 유도체4와의 커플링으로 이당류5를 수득한다. 트리클로로아세틸(TCA)기를 아세틸기로 전환하는 것은 BuSnH 및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ABIN)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3개의 O-아세테이트의 비누화는 해당 트리올, 4-OH 및 6-OH 작용기에 접근하게 하므로서, 하기 2단계 과정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벤질화시킬 수 있다: 1) 과량의 Bu2SnO로 처리 및 2) CsF의 존재하에 BnBr과 반응. 생성 유도체를 NIS 및 촉매적 TfOH(Veeneman 등, 1990, Tetrahedron Lett, 31, 1331)의 존재하에 글루코스 단위체6(Veeneman G.H., 1991, Thesis; 라이덴 대학)과 3-OH 작용기에서 커플링시켜 삼량체7을 수득한다.7을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로 처리하여(Oikawa 등, 1982, Tetrahedron Lett, 23, 885) 화합물8을 수득한다.8을 NIS-TfOH의 존재하에 만노스 단위체9(Elie 등, Tetrahedron, 46, 8243)과 반응시켜 사량체10을 수득하고, 이를 NaOMe로 비누화시켜 2-O-벤질을 제거하여11을 수득하였다. 이어서,119와 축합반응시켜 오당류12를 유도한다. 최종적으로, 1) NaOMe 및 2) 10% Pd의 존재하에 탄소원자상의 수소첨가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표적 화합물13을 수득한다.Compounds A and B as well as their analogs can also be synthesized by various routes. An example of the synthesis process of octagonal 13 is summarized. In analogues of compound B, the non-essential anhydrous mannitol unit was substituted with a 3-aminopropyl bond handle to facilitate conjugation of the macromolecular carrier to the saccharide. In addition, a binding handle having different chain lengths or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e.g., carboxyl groups, thiols or halides) suitable for other bonding purposes can be used. The synthesis is irrelevant to mannose unit 1 and can be readily accessed by standard procedures from commercial ethyl 1-thio-α-D-mannosyl pyranoside (eg, p-methanesulfonyl chloride in the presence of p- 4,6-Op-methoxybenzylidene group with methoxybenzaldehyde dimethylacetal followed by benzylation of the resulting 2,3 diol with benzyl bromide and sodium hydride. (Veeneman et al., 1990, Tetrahedron Lett., 31, 1331) in the presence of N-iodosuccinimide (NIS) and catalytic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TfOH), compound 1 and 3-N- benzyloxycarbonylamino - propan-1-ol the compound 2 is formed by the reaction of (.. etc. Berntsson, 1977, Acta Pharm Suec, 14, 229). Compound 2 was treated with dry CF 3 COOH in NaBH 3 CN and (DMF) to selectively remove the 6-Op-methoxybenzyl (Mbn) fraction from (Johansson et al., 1984, J. Chem. Soc. Perkin Trans. 3 < / RTI > 3 and N-Trichloroacetyl- (TCA), prepar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reported for glucosamine in the presence of trimethylsilyl trifluoromethanesulfonate (TMSOTf) (Blatter et al., 1994, Carbohydrate Res., 260, 189) Coupling with galactose amine derivative 4 yields disaccharide 5 . Conversion of trichloroacetyl (TCA) groups to acetyl groups was carried out using BuSnH and 2,2'-azobis (2-methylpropionitrile) (ABIN). The saponification of the three O-acetates can be selectively benzylated using the following two-step procedure by allowing access to the corresponding triols, 4-OH and 6-OH functional groups: 1) treatment with excess Bu 2 SnO 2 and 2) Reaction with BnBr in the presence of CsF. The generated derivatives NIS and Catalytic TfOH glucose unit 6 in the presence of (such as Veeneman, 1990, Tetrahedron Lett, 31 , 1331); by coupling in (Veeneman GH, 1991, Thesis Leiden University) and 3-OH functional group trimer 7 ≪ / RTI > Compound 8 was obtained by treating 7 with 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DDQ) (Oikawa et al., 1982, Tetrahedron Lett., 23, 885). 8 was reacted with mannose unit 9 (Elie et al., Tetrahedron, 46, 8243) in the presence of NIS-TfOH to give tetramer 10 which was saponified with NaOMe to remove 2-O-benzyl to give 11 . Then, 11 is condensed with 9 to induce pentasaccharide 12 . Finally, the protecting group is removed by hydrogenation in the presence of 1) NaOMe and 2) 10% Pd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13 .

접합:join:

오당류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 담체에 용이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Evenberg 등, 1992, J. Infect. Dis., 165, S152-s155). 우선, 13을 시판용 아세틸티오아세트산의 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14를 수득한다. 이어서, 히드록실아민의 존재하에 화합물14을 브로모아세릴화 단백질(예, BSA, KLH, 텐타너스 독소)와 커플링하여 접합체15를 수득한다. 또한, 13을 글루타르 디알데히드의 존재하에 단백질과 직접 커플링하여 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Sucrose 13 can be readily coupled to a protein carrier as previously described (Evenberg et al., 1992, J. Infect. Dis., 165, S152-s155). First, 13 was reacted with hydroxysuccinimide ester of commercially available acetylthioacetic acid to obtain 14. Compound 14 is then coupled with a bromoacylated protein (e. G., BSA, KLH, Tentanus toxin) in the presence of hydroxylamine to yield conjugate 15 . In addition, 13 can be directly coupled with the protein in the presence of glutaraldialdehyde to obtain a saccharide-protein conjugate.

전술한 합성 및 접합은 반응 개요를 나타내는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The above synthesis and bonding are illustrated in Fig. 17, which shows the reaction outline.

Claims (22)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칸 코어 구조를 포함하는 당접합체:A sugar conjugate comprising a glycan cor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EMI ID = 화학식 1Formula 1 R1= 수소, -PO3-CH2-CH2-NH2(에탄올아민-포스페이트) 또는 -PO3-CH2-CH2-NH-X이고, 여기서 X= 티. 곤디 특이 항원;R 1 = hydrogen, -PO 3 -CH 2 -CH 2 -NH 2 (ethanolamine-phosphate) or -PO 3 -CH 2 -CH 2 -NH-X, wherein X = Gondii-specific antigens; R2= α-O-R4, α(1-4)-O-무수만니톨 또는 α(1-4)-O-글루코스아민이고 임의적으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막 고착물의 이노시톨 부에 α(1-6)-결합되며;(1-4) -O-anhydrous mannitol or [alpha] (1-4) -O-glucoseamine, optionally with an alpha (1-6) -linkage to the inositol moiety of a phosphatidyl inositol membrane adherend ; R3= 단당류 부;R3 = monosaccharide moiety; R4= 수소 또는 -L-R5이고, 여기서 L= 2가 유기 라디칼이며;R4 = hydrogen or -L-R5, wherein L = 2 is an organic radical; R5= 담체에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기이다.R5 =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upling to the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부가 육탄당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접합체.2. The saccharide conjug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osaccharide portion is a hexose sacchar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육탄당부가 글루코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접합체.The saccharide conjugat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accharified sugar portion is a glucose moiet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스부가 α-1,4-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GalNAc-부에 결합되어 있는 당접합체.The saccharide conjugat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lucose moiety is bonded to the GalNAc moiety by an? -1,4-glycoside bond.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접합체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접합체:The sugar conjug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ugar conjugate comprises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상기 식에서, X = 티. 곤디 특이 항원이다.In the above formula, X = T. Gondii specific antigen.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합체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gar conjugate is 티. 곤디 타키조이트 막의 파열 단계 및tea. The rupture stage of the Konditaki's zeit membrane and 클로로포름/메탄올/물(C/M/W:1/1/0.3 v/v)의 혼합물로 생성 타키조이트 현탁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과정에 의해 티. 곤디 타키조이트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접합체.Extracting the resulting tachyzoite suspension with a mixture of chloroform / methanol / water (C / M / W: 1/1 / 0.3 v / v) Wherein the saccharide conjugate is obtained from a gonadotropin.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합체가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기탁된 무한 증식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 인체 모노클로날 항체와 면역반응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접합체.7. Human monoclonal anti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said conjugate is a human monoclonal antibody produced by an infinite proliferation cell line deposited at accession numbers 95090608 and 95090609 to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harvest collection (ECACC) Wherein the antibody is immunoreactive with the antibody.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접합체와 면역 반응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곤디 당접합체에 의해서 유도된 항체.A tea having immunoreactivity with the sugar conjug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tibodies induced by conjugates of Gondiga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체.9. The antibody of claim 8, wherein said antibody is a monoclonal antibody.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각각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 모노클로날 항체 TOX.HuOT-1 또는 TOX.HuOT-2에 의해 인식되며, 티. 곤디 당접합체에 존재하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Recognized by the monoclonal antibody TOX.HuOT-1 or TOX.HuOT-2 produced by the hybridoma cell line deposited at Accession No. 95090608 and 95090609 to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And T. A monoclonal antibody that binds to an epitope present in a conjugate of the Gondii.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각각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성되는 모노클로날 항체 TOX.HuOT-1 또는 TOX.HuOT-2.Monoclonal antibody TOX.HuOT-1 or TOX.HuOT-2 produced by a hybridoma cell line deposited at Accession No. 95090608 and 95090609 to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of Fortton Down, England, respectively.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무한 증식 세포주.12. An infinite proliferative cell line capable of producing the monoclonal anti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영국, 포튼 다운의 유럽 동물 세포 배양 수집소(ECACC)에 각각 기탁 번호 95090608 및 95090609로 기탁된 무한증식 세포주.Infinite proliferation cell lines deposited at accession numbers 95090608 and 95090609 to the European animal cell culture collection (ECACC) of Fortton Down, England, respectively.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화학적 시약.An immunochemical reagent comprising the sugar conjug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화학적 시약.An immunochemical reagent comprising an anti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시험 유체를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와 접촉시킨 후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유체중 티. 곤디의 검출 방법.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fluid is contacted with the antibody of any one of claims 9 to 11 and then the presence of the immune complex is detected. Detection method of Gondi. 제 14 항에 기재된 면역 화학적 시약을 시험 유체와 접촉시키고 시험 유체중 형성된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유체중 티. 곤디에 대해 유도된 항체의 검출 방법.14. A test fluid in a test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immunochemical reagent according to claim 14 is contacted with a test fluid and the presence of the immunocomplex formed in the test fluid is detected. A method for detecting an antibody directed against Gondii. 제 15 항에 기재된 면역 화학적 시약을 시험 유체와 접촉시키고, 여기에 티. 곤디에 대해 유도된 항체를 접촉시켜, 형성된 면역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유체중 티. 곤디의 검출 방법.16. An immunochemical reagent according to claim 15 is contacted with a test fluid, Contacting the induced antibody against Gondii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ormed immune complex. Detection method of Gondi. 제 14 항에 기재된 면역 화학적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곤디 감염을 검출하기 위한 테스트-키트.14. A kit comprising an immunochemical reagent according to claim 14. Test kit for detecting Gondii infection. 제 15 항에 기재된 면역 화학적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곤디 감염을 검출하기 위한 테스트-키트.15. A method of treating a tumo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immunochemical reagent according to claim 15. Test kit for detecting Gondii infect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접합체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특이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곤디 기생체의 복제를 억제하기 위한 치료제.A specific inhibitor for inhibiting biosynthesis of the sugar conjug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therapeutic agent for inhibiting the replication of a gonadal organism. GPI-고착된 항원의 표면 발현이 제 21 항에 기재된 치료제에 의해 차단 또는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된 티. 곤디 생백신의 제조 방법.Wherein the surface expression of the GPI-fixed antigen is blocked or inhibited by the therapeutic agent of claim 21. Production method of Gonadal live vaccine.
KR1019980701899A 1995-09-15 1996-09-12 Toxoplasma gondiga conjugate KR199900446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2500 1995-09-15
EP95202500.5 1995-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645A true KR19990044645A (en) 1999-06-25

Family

ID=822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899A KR19990044645A (en) 1995-09-15 1996-09-12 Toxoplasma gondiga conjugat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058288A1 (en)
EP (1) EP0850244B1 (en)
JP (1) JP2000502244A (en)
KR (1) KR19990044645A (en)
AT (1) ATE221539T1 (en)
AU (1) AU714841B2 (en)
CA (1) CA2232012A1 (en)
DE (1) DE69622728D1 (en)
WO (1) WO199701024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301395L (en) * 1983-03-15 1984-09-16 Wallac Oy KELATIZING COMPOUNDS WITH FUNCTIONAL GROUPS WHICH ALLOW COVALENT COUPLING TO BIO-ORGANIC MOLECULES
AUPP589398A0 (en) 1998-09-14 1998-10-08 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The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DK1545599T3 (en) 2002-07-26 2015-08-03 Inst Medical W & E Hall IMMUNOGENIC PREPARATION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US20070099823A1 (en) * 2005-10-28 2007-05-03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Inhibitors of sporeforming pathogens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EP2690438A1 (en) * 2012-07-24 2014-01-29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Synthesis of diverse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glycans and glycolipids from toxoplasma gondii and their application as diagnostic markers and vaccines
EP2690104A1 (en) 2012-07-24 2014-01-29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Synthesis of diverse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glycans from toxoplasma gondii and their application as vaccines and diagno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2012A1 (en) 1997-03-20
EP0850244B1 (en) 2002-07-31
AU714841B2 (en) 2000-01-13
DE69622728D1 (en) 2002-09-05
WO1997010249A1 (en) 1997-03-20
ATE221539T1 (en) 2002-08-15
JP2000502244A (en) 2000-02-29
EP0850244A1 (en) 1998-07-01
US20020058288A1 (en) 2002-05-16
AU7085296A (en) 199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riepen et al. Molecular structure of the “low molecular weight antigen” of Toxoplasma gondii: a glucose α1-4 N-acetylgalactosamine makes free glycosyl-phosphatidylinositols highly immunogenic
Van Dam et al. The immunologically reactive O‐linked polysaccharide chains derived from circulating cathodic antigen isolated from the human blood fluke Schistosoma mansoni have Lewis x as repeating unit
Fradin et al. β-1, 2-linked oligomannosides from Candida albicans bind to a 32-kilodalton macrophage membrane protein homologous to the mammalian lectin galectin-3
US5158939A (en) Method of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s of animals and compositions useful therefor
US8038986B2 (en)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5389530A (e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and induction of immune responses to tumor-associated ganagliosides by immunization with gangloiside lactones
WO1993018787A1 (en) Trans-sialidase and methods of use and making thereof
EP0381310A1 (en)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to tumor-associated gangliosides and fucoganglioside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245883B1 (en) Anti-flammatory carbohydrate binding-peptides
Ito et al. Carbohydrates as antigenic determinants of tumor‐associated antigens recognized by monoclonal anti‐tumor antibodies produced in a syngeneic system
WO1994007516A1 (en) Anti-inflammatory, tolerogenic and immunostimulatory properties of carbohydrate binding-proteins
JP3066741B2 (en) Composition for suppressing cancer cell growth and replication
Rivoire et al. Gene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specific sugar epitopes of Mycobacterium avium complex serovars
EP0642523B1 (en) Ganglioside analogs
Wuhrer et al. Immun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Schistosoma mansoni glycolipid antigens
KR19990044645A (en) Toxoplasma gondiga conjugate
Robijn et al. Schistosoma mansoni eggs excrete specific free oligosaccharides that are detectable in the urine of the human host
US11267841B2 (en) Enterococcus faecalis and/or Enterococcus faecium antigen
SK39498A3 (en) Synthetic multivalent slex containing polylactosamines and methods for use
Kurpisz et al. Mous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sperm: evidence for immunodominant glycosylated antigenic sites.
US5021560A (en) Immunogenic fraction active against bilharzioses, its preparation, and immun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it
Mårtensson et al. A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for non-reducing terminal Galα1-4Gal residues
AU665126C (en) Anti-inflammatory, tolerogenic and immunostimulatory properties of carbohydrate binding-proteins
Sölter et al. A monoclonal antibody to the galactan from helixpomatia snails recognizes β-(1, 6)-linked D-galactose residues
John Structural elucidation of outer membrane lipooligosaccharides from Neisseria gonorrhoe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