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922A -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 Google Patents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922A
KR19990043922A KR1019970064969A KR19970064969A KR19990043922A KR 19990043922 A KR19990043922 A KR 19990043922A KR 1019970064969 A KR1019970064969 A KR 1019970064969A KR 19970064969 A KR19970064969 A KR 19970064969A KR 19990043922 A KR19990043922 A KR 1999004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vergence cup
bowl
feed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우
심종보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7006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922A/en
Publication of KR1999004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922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를 이용한 보올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plenishing a feed to a bowl feeder using a hopper.

그 보충장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2)과 같은 큰 부피의 피공급물을 일렬로 공급하기 위한 보울피더(12)에 있어서: 대량의 컨버젼스컵(2)와 같은 피공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호퍼(100)와, 그 호퍼(100)의 하단으로 연통된 피공급물의 유동 안내대(102)와, 그 유동 안내대(102)에서 피공급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진동수단(101)과, 상기 보울(200)의 바닥상에 피공급물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진동수단(101)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plenishment is provided in a bowl feeder 12 for supplying a large volume of a feed such as an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2 of a cathode ray tube in a row: storing a large amount of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2. The hopper 100, the flow guide 102 of the feed to be communica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0, and the vibration means 101 to allow the feed to flow in the flow guide 102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means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eans 101 by detecting when there is no feed on the bottom of the bowl 200.

이에 따라, 자주 보충하여 주지 아니하여도 자동으로 보울에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이 보충될 수 있어 보충의 불편이 제거되며, 보충시기를 놓쳐 라인이 정지되는 염려가 해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bowl can be replenished with a feed such as the convergence cup (2) even if it is not frequently replenishe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ing, and eliminating the fear of stopping the line by missing the replenishment time. It works.

Description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Feeding device to bowl feeder.

본 발명은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컨버젼스컵(2)과 같은 부피가 큰 피공급물을 보울피더로 공급함에 있어 보울의 크기에 제한되어 자주 보충하여야하는 불편을 덜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plenishing a feed to a bowl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ly a bulky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2 to the bowl feeder, which is limited to the size of the bowl and needs to be frequently replenish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er refilling device for a bowl feeder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can reduce inconvenience.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전방 단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가 부착되며, 그 컨버젼스컵(2)의 바닥에는 인라인 전자총의 경우 일직선상에 3개의 전자빔관통공(4)이 형성되고, 그 측벽부에는 벌브스페이서(3)가 다수 통상 3 내지 4개 부착되며, 그 벌브스페이서(3)가 벌브의 네크부 전방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자총의 전방이 네크부의 원형단면의 중앙에 유지되게 된다.Generally, a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1 as shown in FIG. 1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electron gun of the cathode ray tube, and three electron beams in a straight line in the case of an inline electron gun at the bottom of the convergence cup 2. A through hole 4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bulb spacers 3 are usually attached to the side wall portion thereof, and the bulb spacers 3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of the bulb, so that the front of the electron gun is connected to the neck portion. It will be kept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section.

따라서, 그 전자총을 조립하기 전에 통상 컨버젼스컵(2)에 벌브스페이서(3)가 소정의 각 위치에 용접에 의해 조립되고, 그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조립된 컨버젼스컵(2)을 다른 전극들과 부품들이 함께 조립되어 전자총을 구성하게 된다.Therefore, before assembling the electron gun, the bulb cup 3 is assembled to the convergence cup 2 by welding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the cup 2 is welded and assembled to the other electrode of the convergence cup 2. And parts are assembled together to form an electron gun.

이러한 구조의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는 컨버젼스컵(2)을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을 따라 트랜스퍼링시키면서 용접 스테이션에서 다른 일측에서 공급되는 벌브스페이서(3)를 통상 레이저 용접에 의해 조립한 후에 검사스테이션에 트랜스퍼링되며, 그 검사 스테이션에서는 통상적으로 그 조립체(1)의 벌브스페이서(3)의 상대적인 높이를 측정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 양, 불에 따라 분리하여 언로딩 즉 이젝트시키고 있다.The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1 of this structure is usually assembled by laser welding the bulb spacer 3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at the welding station while transferring the convergence cup 2 along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Later, it is transferred to an inspection station, which is usually inspected by measur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bulb spacer 3 of the assembly 1 and, as a result, unloading or ejecting according to the quantity and fire.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으로 컨버젼스컵(2)을 보울피더(12)와 리니어피더(13)를 통해 공급되고 있으나, 컨버젼스컵(2)의 경우, 크기가 커서 벌브스페이서(3)에 비해 보울(200)에 수납할 수 있는 수량이 제한되므로 자주 보충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또한, 보충시기를 놓치면 라인이 정지되기도 하여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convergence cup 2 is supplied through the bowl feeder 12 and the linear feeder 13 to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rgence cup 2, the bulb spacer 3 is large in size. Compared with this, the quant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bowl 200 is limited, so it is inconvenient to be replenished frequently, and when the replenishment is missed, the line may be stopped and the productivity may be great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호퍼를 두어 보울피더에 컨버젼스컵과 같은 부피가 큰 피공급물을 보충 공급할 수 있는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feeder to the feeder to supply the feeder to the bowl feeder can be supplemented with a bulky feeder such as a convergence cup to the bowl feeder Its purpose is to.

제1도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y of an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a bulb spacer of a cathode ray tube;

제2도는 제1도에서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process of the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in FIG.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개략 평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of the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the cathode ray tub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컨버젼스컵을 로딩하여 벌브스페이서를 용접조립한 후, 검사하고 언로딩하기 위한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을 도시한 정단면도.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for inspecting and unloading a bulb spacer after welding by loading a convergence cup.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제6도는 캠수단을 이용한 트랜스퍼 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bar using the cam means.

제7도는 제6도에서 좌측 이동을 위한 스프링수단을 제거한 상태의 제6도의 정면도.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with the spring means for leftward movement removed from FIG.

제8도는 제3도에서 보울피더(bowl feeder)에 컨버젼스컵을 보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충장치의 단면도.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ref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replenishing a convergence cup to a bowl feeder in FIG.

제9도는 컨버젼스컵의 로케이션장치와 상기 제4도의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에의 로딩을 위한 로딩장치와 함께 제3도에서 컨버젼스컵을 공급하기 위한 보울피더와 리니어피더(linear feeder)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9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owl feeder and a linear feeder for supplying the convergence cup in FIG. 3 together with the location device of the convergence cup and the loading device for welding assembly and loading in the inspection line of FIG. 4. Top view shown by.

제10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8도의 보충장치와의 관계와 함께 제9도의 보울피더와 리니어피더의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wl feeder and linear feeder of FIG. 9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plemental apparatus of FIG. 8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1도는 제9도의 측면도.11 is a side view of FIG.

제12도는 벌브스페이서의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와 함께 벌브스페이서의 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bulb spacer supply device together with a bulb spacer pickup and transfer device.

제13도는 제12도의 정면도.13 is a front view of FIG. 12;

제14도는 제13도의 좌측면도.14 is a left side view of FIG.

제15도는 제13도에서의 벌브스페이서의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the bulb spacer stopper in FIG. 13; FIG.

제16도는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에 의해 용접스테이션으로 이송된 벌브스페이서를 컨버젼스컵에 접촉시키기 위한 푸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pusher device for contacting a convergence cup with a bulb spacer transferred to a welding station by a pickup and transfer device.

제17도는 높이검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eight inspection device.

제18도는 경사각검사장치의 구성도.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ilt angle inspection apparatus.

제19도는 컨버젼스컵의 업다운 캠과 트랜스퍼 캠의 캠선도 및 벌브스페이서의 트랜스퍼, 푸싱, 용접 및 컨버젼스컵의 회전 동작의 타임챠트.19 is a time chart of a cam diagram of an up-down cam and a transfer cam of a convergence cup and a rotation operation of transfer, pushing, welding, and a convergence cup of a bulb spac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 2 : 컨버젼스컵1: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2: convergence cup

3 : 벌브스페이서 4 : 전자빔통과공3: bulb spacer 4: electron beam through hole

10 :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 11 : 컨버젼스컵 보충장치(11)10: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11: convergence cup refilling device (11)

12, 16 : 보울피더 13, 17 : 리니어피더12, 16: bowl feeder 13, 17: linear feeder

14 :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 15 :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4: location and loading device 15: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8 : 벌브스페이서 회전장치 19 :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18: bulb spacer rotation device 19: pickup and transfer device

20 : 용접장치 21 : 이젝트슈트20: welding apparatus 21: eject chute

30 : 푸셔장치 31 : 고정대30: pusher 31: fixed base

32 : 에어실린더 33 : 푸셔32: air cylinder 33: pusher

40 : 높이검사장치 41 : 접촉블럭40: height inspection device 41: contact block

42 : 틈새센서 50 : 경사각검사장치42: gap sensor 50: tilt angle inspection device

51 : 벌브스페이서 삽입블럭 51' : 삽입흠51: bulb spacer insert block 51 ': insertion defect

52 : 불량감지센서 100 : 호퍼52: defective detection sensor 100: hopper

101, 201, 301, 602, 702 : 진동수단 102 : 안내대101, 201, 301, 602, 702: vibration means 102: guide

103 : 넘침방지판 200, 601 : 보울(bowl)103: overflow prevention plate 200, 601: bowl

203 : 타치센서 204 : 타치바아203: touch sensor 204: Tachibaa

300, 701 : 리니어피더 플레이트 401 : 에어실린더300, 701: linear feeder plate 401: air cylinder

402 : 플런저 404 : 구동롤러402: plunger 404: driving roller

405 : 피동롤러 406 : 광센서405: driven roller 406: optical sensor

407 : 에어실린더 408 : 연결고정대407: air cylinder 408: connecting fixture

409 : 에어실린더 410 : 흡착바409: air cylinder 410: adsorption bar

411 : 진공호스 501 : 고정플레이트411: vacuum hose 501: fixed plate

502, 503 : 가이드 블럭 511 : 업다운 연결봉502, 503: guide block 511: up-down connecting rod

512, 513 : 고정판 521 내지 524 : 스프링512, 513: fixing plate 521 to 524: spring

531 : 종동 롤러 532 내지 535 : 업다운 캠531: driven rollers 532 to 535: up-down cam

540 : 포지셔너 540' : 녹아우트 바(knockout-bar)540: positioner 540 ': knockout-bar

550 : 스텝모터 551 : 트랜스퍼 바550: step motor 551: transfer bar

552 : 컨버젼스컵 안착홈 553 : 왕복블럭552: convergence cup seating groove 553: round-trip block

554 : 안내블럭 555 : 스프링554: guide block 555: spring

556 : 체인 557 : 안내 스프로켓556: Chain 557: guide sprocket

558 : 종동레버 559, 561 : 축558: driven lever 559, 561: shaft

560 : 트랜스퍼 캠 703 : 솔레노이드560: transfer cam 703: solenoid

704 : 스토퍼 801 : 벌브스페이서 로테이터704: stopper 801: bulb spacer rotator

802 : 로타리 실린더 810 : 픽업 핑거802: Rotary Cylinder 810: Pickup Finger

811 : 에어척811: air chuck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같은 큰 부피의 피공급물을 일렬로 공급하기 위한 보울피더에 있어서: 대량의 컨버젼스컵와 같은 피공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단으로 연통된 피공급물의 유동 안내대와, 그 유동 안내대에서 피공급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보울의 바닥상에 피공급물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진동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wl feeder for supplying a large volume of feeds in a row, such as an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of a cathode ray tube: a hopper capable of receiving a large amount of feeds such as a convergence cup. And, a flow guide of the object to be communicated to the bottom of the hopper, vibrating means for allowing the object to flow in the flow guide, and detecting the absence of the object on the bottom of the bowl to vibrate It provides a replenishment of the feed to the bowl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ing means for operating the.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보울피더의 보울의 바닥에 근접하여 컨버젼스컵과 같은 피공급물의 유동으로 접촉하는 보울타치바아와, 그 보울타치바아에 컨버젼스컵과 같은 피공급물이 접촉하지 아니한 때에 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타치센서와, 그 타치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동안 접촉하지 아니한 감지신호를 입력된 때에 상기 진동수단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안내대에로 호퍼로부터 컨버젼스컵과 같은 피공급물이 지나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방지판이 유동 안내대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sensing means is a bowl touch bar close to the bottom of the bowl of the bowl feeder and in contact with the flow of the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and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bowl touch bar does not contact the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And a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vibrating means when a touch signal for generating a touch signal and a sense signal that has not been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touch sensor are input. Alternatively, an overflow plate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flow guide to prevent excessive flow of the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from the hopper.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를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apparatus of the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the cathode ray tube as follow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의 전체 개략 평면도에서 컨버젼스컵(2)이 보충장치(11), 보울피더(12), 리니어피더(13) 및 로케이션 및 로딩장치(14)를 개재하여 최초 포지셔너(540: 도4 및 도6에 도시됨)가 업된 동안에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의 스테이션(ST1)에 로딩되며, 그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을 따라 컨버젼스컵(2)이 한 스테이션씩 포지셔터(540)가 다운된 동안에 트랜스퍼링되어 해당 스테이션(ST1 내지 ST9)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First, in the overall schematic plan view of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of the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the cathode ray tube as shown in FIG. 3, the convergence cup 2 is a refilling device 11, a bowl feeder 12, and a linear feeder 13. And the first station ST1 of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while the initial positioner 540 (shown in FIGS. 4 and 6) is up via the location and loading device 14, and the welding Along the respective stations ST1 to ST9 of the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the convergence cup 2 is transferred by one station while the positioner 540 is down to perform the processes of the corresponding stations ST1 to ST9. do.

벌브스페이서(3)는 보울피더(16), 리니어피더(17), 회전장치(18), 픽업 및 트랜스퍼장치(19)를 개재하여 용접 스테이션(ST5)에 공급되고 푸셔장치(30)에 의해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장치(20)에 의해 레이저 용접되며, 이를 벌브스페이서(3)의 필요갯수만큼 반복수행한 후, 각종 검사공정을 거쳐 이젝트슈트(21)를 통해 양,불에 따라 분리, 이젝트 된다.The bulb spacer 3 is supplied to the welding station ST5 via the bowl feeder 16, the linear feeder 17, the rotary device 18, the pickup and the transfer device 19, and converged by the pusher device 30. The laser welding is performed by the welding device 20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up 2,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for the bulb spacer 3, and then the eject chute 21 is subjected to various inspection processes. Through quantity and fire, it is separated and ejected.

도2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서 수행되는 공정도가 도시된다. 도2에서 컨버젼스컵(2 : 도2 및 도19에서 C/C로 표기됨)과 벌브스페이서(3 : 도2 및 도19에서 B/S로 표기됨)가 가공되어 준비되고 각각 단계 S1과 단계 S21에서 보울피더(12, 16)에 투입되어 보울피딩되며 그 보울피더(12, 16)에 연결된 리니어피더(13, 17)에 의해 단계 S2와 단계 S22에서 리니어피딩된다. 이와 같이 보울피더(12, 16)와 리니어피더(13, 17)는 도9, 도10, 도12 및 도13에서 보울(200, 601)과 진동수단(201, 602)에 의해 수납된 컨버젼스컵(2)과 벌브스페이서(3)가 하나씩 배출되면, 유사하게 진동수단(301, 702)과 리니어피더 플레이트(300, 701)로 구성된 리니어피더(13, 17)에 의해 일렬로 연속하여 유동되게 된다. 컨버젼스컵(2)의 경우, 크기가 커서 벌브스페이서(3)에 비해 보울(200)에 수납할 수 있는 수량이 제한되므로 도8과 도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보충장치(11)를 구비할 수 있다.Figure 2 shows a process performed in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apparatus of the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the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Fig. 2, the convergence cup (2: denoted C / C in Figs. 2 and 19) and the bulb spacer (3: denoted B / S in Figs. 2 and 19) are processed and prepared, respectively, in steps S1 and step. In step S21, the bowl feeders 12 and 16 are fed into the bowl feeder and are linearly fed in steps S2 and S22 by the linear feeders 13 and 17 connected to the bowl feeders 12 and 16. As such, the bowl feeders 12 and 16 and the linear feeders 13 and 17 are the convergence cups accommodated by the bowls 200 and 601 and the vibration means 201 and 602 in FIGS. 9, 10, 12, and 13. (2) and bulb spacers 3 are discharged one by one, and are similarly continuously flowed in a row by linear feeders 13 and 17 composed of vibration means 301 and 702 and linear feeder plates 300 and 701. . In the case of the convergence cup (2), since the size is large and the quant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bowl 200 is limited compared to the bulb spacer (3)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efill devic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s 8 and 10 can do.

그 본 발명의 보충장치(11)는, 대량의 컨버젼스컵(2)을 수납할 수 있는 호퍼(100)와, 그 호퍼(100)의 하단으로 연통된 컨버젼스컵(2)의 유동 안내대(102)와, 진동수단(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치바아(204)와 타치센서(203)에 의해 보울(200)의 바닥상에 컨버젼스컵(2)이 없을 때 그 감지신호에 의해 진동수단(101)이 동작하여 컨버젼스컵(2)을 유동 안내대(102)를 통해 유동시키게 된다. 그 유동 안내대(101)에로 호퍼(100)로부터 컨버젼스컵(2)이 지나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방지판(103)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안내대(10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filling devic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00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convergence cup 2 and a flow guide 102 of the convergence cup 2 communic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0. And a vibrating means 101, and vibrating means by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re is no convergence cup 2 on the bottom of the bowl 200 by the Tachiba 204 and the touch sensor 203. 101 operates to cause the convergence cup 2 to flow through the flow guide 102. In order to prevent the convergence cup 2 from excessively flowing from the hopper 100 to the flow guide 101, an overflow preventing plate 103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ow guide 101 as shown in FIG. 8. Can be.

도2에서 리니어피딩단계(단계 S2와 단계 S22)를 거쳐 컨버젼스컵(2)의 경우 로케이셔닝단계(단계 S3)에서는 컨버젼스컵(2)이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포지션너(540)에서 그 전자빔통과공(4)을 통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먼저 컨버젼스컵(2)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또, 단계 S4에서는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 포지셔너(54)에의 로딩단계가 수행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rgence cup 2 through the linear feeding step (step S2 and step S22) in FIG. 2, the convergence cup 2 is the positioner 540 of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in the positioning step (step S3). ), The position of the convergence cup 2 is first set so that the position can be set through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4. Further, in step S4,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is loaded into the initial positioner 54.

즉, 도9 및 도9의 우측면도인 도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니어피더(13)로부터 연속하여 일렬로 피딩되는 컨버젼스컵(2)은 그 출구에서 에어실린더(401)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플런저(402)의 전진에 의해서 하나씩 구동롤러(404)와 피동롤러(405)의 사이에 맞물려 구동롤러(404)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다른 컨버젼스컵(2)은 리니어피더(13)의 출구에서 대기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플런저(402)가 후진하는 때에 출구가 개방되어 하나의 컨버젼스컵(2)이 배출될 수 있게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하게 된다.That is, the convergence cup 2 continuously fed in a row from the linear feeder 13, as shown in Fig. 11, which is the right side view of Figs. 9 and 9, has a plunger reciprocating by the air cylinder 401 at its exit. By advancing 402, the driving roller 404 and the driven roller 40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together when the driving roller 404 rotates. At this time, the other convergence cup 2 is in the standby state at the exit of the linear feeder 13, and when the plunger 402 is backward, the outlet is opened so that one convergence cup 2 can be discharged,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이와 같이 회전하는 동안, 광센서(406)에 의해 전자빔통과공(4)의 위치를 확인하면, 그 확인신호에 의해 즉시 상기 구동롤러(404)가 정지하고, 상부에 대기중인 흡착바(410)가 에어실린더(408)의 전진으로 컨버젼스컵(2)에 삽입되고 진공호스(411)를 통해 진공상태로 되면, 컨버젼스컵(2)이 흡착바(410)에 부착되게 되며, 그뒤, 에어실린더(408)가 후진하고 에어실린더(407)가 후진함으로써 컨버젼스컵(2)이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최초의 스테이션(ST1)의 포지셔너(540)의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어실린더(408)를 전진시키고 동시에 진공호스(411)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면, 컨버젼스컵(2)은 그 포지셔너(540)의 상단에 돌출한 위치 결정핀이 컨버젼스컵(2)의 전자빔통과공(4)에 삽입되면서 로딩되게 된다. 연결고정대(408)는 에어실린더(408)를 에어실린더(407)의 연결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이다.During the rot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4 is confirmed by the optical sensor 406, the driving roller 404 immediately stops by the confirmation signal, and the suction bar 410 is waiting on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vergence cup 2 with the advance of the air cylinder 408 and brought into a vacuum state through the vacuum hose 411, the convergence cup 2 is attached to the adsorption bar 410, and then the air cylinder ( As the 408 retracts and the air cylinder 407 retracts, the convergence cup 2 is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er 540 of the first station ST1 of the weld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At this time, when the air cylinder 408 is advanced and the vacuum state of the vacuum hose 411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convergence cup 2 has a positioning pi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positioner 540 with the electron beam of the convergence cup 2. It is loa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 The connecting fixture 408 i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air cylinder 408 to the connecting rod of the air cylinder 407.

이와 같이하여 로딩동작이 완료된 컨버젼스컵(2)은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을 통해 한 스텝씩 트랜스퍼링되면서 각각의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서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고 배출되게 된다.In this way, the convergence cup 2 of which the load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transferred one step through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to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at each station ST1 to ST9 and be discharged.

그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는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 각각 포지셔너(540)가 배치되고 그 다수의 포지셔너(540)를 공정수행 시간동안에는 업되어, 그 상승위치에서 유지되고, 그 뒤, 다운상태에서는 트랜스퍼링 시간동안 다운상태(단계 S5)를 유지하여 다음의 스테이션(ST1 내지 ST9)으로의 트랜스퍼링이 수행되게 된다. 일예로 도2에서는 컨버젼스컵(2)이 로딩된 후, 포지셔너(540)가 하당되고(단계S5) 단계 S6에서 용접스테이션(ST5)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도3도 이하에서는 용접스테이션(ST5)과 로딩스테이션(ST1)사이에 3단계를 개재시키고 있어, 다른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컨버젼스컵(2) 자체의 검사 내지 대기의 공정을 들 수 있다.In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a positioner 540 is disposed at each of the stations ST1 to ST9,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ers 540 are moved up during the process execution time. Then, it is held in its rising position, and then in the down state, the down state (step S5) is maintained for the transfer time to transfer to the next stations ST1 to ST9. For example, in FIG. 2, after the convergence cup 2 is loaded, the positioner 540 is loaded (step S5) and is moved to the welding station ST5 in step S6. However, in FIG. 3 and below, three steps are interposed between the welding station ST5 and the loading station ST1, indicating that other processe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spection of the convergence cup 2 itself, or the process of air | atmosphere is mentioned.

도4내지 도6에는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의 포지셔너(540) 및 그 업다운 장치와 트랜스퍼 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4에서는 도6에 도시된 트랜스퍼 바(551)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고 도5에서는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4 및 도5에서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8)에는 포지셔터(540)가 배치되고 그 포지셔너(54)는 하부에 설치되는 업다운 캠(532 내지 535)에 의해 업다운 연결봉(511)을 개재하여 상하로 소정의 캠선도를 따라 업다운하게 된다. 최종의 스테이션(ST9)에는 직전 스테이션(ST8)의 포지셔너(540)에 고정되어 함께 업다운하는 녹아우트바(knockout-bar)(540')가 설치되어 트랜스퍼링 후에 업되는 때에 스테이션(ST9)으로 이송된 조립되고 검사된 컨버젼스컵 및 벌브스페이서 조립체(1)를 트랜스퍼 수단으로부터 이젝트슈트로 배출시키게 된다.4 to 6 disassemble the positioner 540 of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its up-down device and the transfer means. In FIG. 4, the transfer bar 551 shown in FIG. 6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and in FIG. 5 in the removed state. In FIGS. 4 and 5, the positioners 540 are disposed at the stations ST1 to ST8, and the positioners 54 are positioned up and down via the up-down connecting rods 511 by up-down cams 532 to 535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Up along the predetermined cam diagram. The final station ST9 is provided with a knockout-bar 540 'which is fixed to the positioner 540 of the previous station ST8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and is transferred to the station ST9 when it is up after transfer. The assembled and inspected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1 is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means into the eject suit.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캠선도는 일예로서, 도 19에 도시된다. 도19에서 컨버젼스컵(2)의 업다운 캠선도(C/C UP/DOWN)는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선도(C/C TRANSFER)에서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T)시에 다운되어 있어야 하고(일예로 θ9로부터 360도사이), 복귀를 위한 언트랜스퍼(UT)시에 업되어 있어야 한다(θ1과 θ5사이). 이와 같은 조건이외에 각 스테이션(ST1 내지 ST9)에서의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동안 업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θ1과 θ8사이).A cam diagram of the up-down cams 532 to 535 is shown in FIG. 19 as an example. In Fig. 19, the up / down cam diagram C / C UP / DOWN of the convergence cup 2 is down during the transfer T of the convergence cup 2 in the transfer diagram C / C TRANSFER of the convergence cup 2, Must be up (eg between θ9 and 360 degrees) and up at the time of untransfer (UT) for return (between θ1 and θ5). In addition to these conditions, the up state must be maintained for a time requir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at each station ST1 to ST9 (between θ1 and θ8).

이러한 업상태는 예를 들면,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다수의 벌브 스페이서(3)의 트랜스퍼링 및 푸싱과 용접시간동안 요구된다. 즉, 그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포지셔너(540)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550)를 개재하여 업다운 연결봉(511)에 연결되고, 도19에서 C/C ROTATING 및 R/S TRANSFER, PUSHING, WELDING선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포지셔너(540)가 업되어 미리 정해진 회전각마다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며 각 회전각위치에서 벌브스페이서(3)를 각각 용접하도록 구성되며 전 벌브스페이서(3)를 용접한 후에 다운되게 된다. 스테이션(ST6 내지 ST7)에서는 검사공정에 필요한 시간동안 θ1과 θ8사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캠선도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4에서는 스테이션(ST2 내지 ST4)을 하나의 업다운 캠(533)의 캠선도에 따르도록 2개 이상의 업다운 연결봉을 고정시켜 업다운시키는 고정판(512)이 설치되며, 스테이션(ST6 내지 ST8)에서도 유사하게 고정판(512, 513)이 설치된다.This up state is required, for example, during the transfer and pushing and welding time of the plurality of bulb spacers 3 in the welding station ST5. That is, in the welding station ST5, the positioner 540 is connected to the up-down connecting rod 511 via the step motor 550 as shown in FIG. 3, and C / C ROTATING and R / S TRANSFER in FIG. As shown in the PUSHING, WELDING diagram, the positioner 540 is configured to be intermittent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and weld the bulb spacer 3 at each rotational angle, respectively. After welding, it goes down. The stations ST6 to ST7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etween θ1 and θ8 du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pection process, and thus, a cam diagram may be selected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cess. In FIG. 4, fixing plates 512 are provided to fix two or more up-down connecting rods so that the stations ST2 to ST4 follow the cam diagram of one up-down cam 533, and similarly in the stations ST6 to ST8. Fixed plates 512 and 513 are provided.

한편, 각 연결봉(511)은 하단부에서 종동롤러(531)를 개재하여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캠면에 접촉함으로써 롤링운동을 통해 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의 작용시점을 조정하기 위해 그 업다운 캠(532 내지 535)에 핸들(22)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캠의 작용시점이 다른 동작들과 상위한 때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캠의 작용시점이 상위한 때에는 상기 업다운 캠(532 내지 535)이 각각 축(530)에 볼트(532' 내지 535')에 의해 조립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그 상호관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connecting rod 511 is configured to reduce the resistance through the rolling motion by contacting the cam surface of the up-down cams 532 to 535 via the driven roller 531 at the lower end, the up-down cams 532 to 535 The handle 22 is fixed to the up-down cams 532 to 535 to adjust the point of action of the. Accordingly, the point of action of the cam can be easily adjusted when it differs from other movements, and when the point of action of any one of the cams differs, the up-down cams 532 to 535 each have a bolt 532 on the shaft 530. And 535 to be assembleably fixed, the mutual relationship can be adjusted.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행정시에는 자중이외에 인장 스프링(522, 524)에 의해 그 다운행정이 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업행정시에는 관성에 의한 과도한 상승이 방지되도록 압축 스프링(521, 523)이 고정플레이트(5010)에 고정된 가이드블럭(502, 503)과 연결봉(511)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down stroke may be configured to ensure its down stroke by tension springs 522 and 524 in addition to its own weight during the down stroke, and the compression spring may be prevented by excessive inertia during up stroke. 521 and 52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guide blocks 502 and 503 fixed to the fixed plate 5010 and the connecting rod 511.

도5 및 도6에는 트랜스퍼 수단이 도시된다. 그 트랜스퍼 수단은 포지셔너(540)가 업다운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트랜스퍼 바(551)가 왕복블럭(553)에 의해 고정되게 되고, 안내블럭(554)에 의해 안내되면서 한 스테이션 사이의 간격만큼 왕복운동하여 컨버젼스컵(2)을 트랜스퍼링하게 된다. 그 트랜스퍼 바(551)에는 서로 내측으로 컨버젼스컵 안착홈(552)이 형성되어 업다운 캠(532 내지 535)에 의해 포지셔너(540)가 다운된 때에 컨버젼스컵(2)이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그 안착홈(55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컨버젼스컵(2)이 안착홈(552)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랜스퍼링되고 트랜스퍼링된 위치에서 다시 포지셔너(54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업되어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5 and 6 show the transfer means. The transfer means has a pair of transfer bars 551 fixed by the reciprocating block 553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the positioner 540 can up and down, guided by the guide block 554, The convergence cup 2 is transferred by reciprocating by the interval. In the transfer bar 551, the convergence cup seating grooves 552 are formed inwar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vergence cup 2 is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positioner 540 is down by the up-down cams 532 to 535. 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552. As such, the convergence cup 2 is transferred from the seated groove 552 to the seated groove 552 and then u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positioner 540 to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도7에는 캠과 스프링을 이용한 트랜스퍼 바(551) 및 왕복블럭(553)의 왕복 운동기구가 일예로서 도시된다. 그 왕복블럭(553)의 일단에는 인장 스프링(555)이 설치되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다른 일단에는 체인(556) 및 안내 스프로켓(557)을 개재하여 종동레버(558)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 종동레버(558)의 타단은 축(559)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고, 중간에서 축(561)과 함께 회전하는 트랜스퍼캠(560)이 그 하면에서 종동레버(558)와 접촉하여 종동레버(558)를 그 캠선도에 따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체인(556)을 개재하여 왕복블럭(553)이 상기 인장 스프링(55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좌측으로 운동시키게 된다. 트랜스퍼 수단은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업다운 캠의 축(530)과 동일한 축이거나 그 축(530)과 동일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도19의 캠선도(C/C TRANSFER)에 의해 캠곡선이 결정되며, 이러한 구조이외에도 통상의 에어실린더가 트랜스퍼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7 shows an example of a reciprocating mechanism of the transfer bar 551 and the reciprocating block 553 using a cam and a spring. A tension spring 555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eciprocating block 553 to move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en lever 558 via a chain 556 and a guide sprocket 557. The other end of the driven lever 558 is fixed to the frame by the shaft 559, and the transfer cam 560,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561 in the middle, contacts the driven lever 558 at the bottom thereof, By rotating 558 in accordance with the cam diagram, the reciprocating block 553 moves to the left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555 via the chain 556. In the case where the transfer means is configured as such and the same axis as the axis 530 of the up-down cam or rotates the same as the axis 530, the cam curve is shown by the C / C TRANSFER of Fig. 19 as an example. In addition to this structure, a conventional air cylinder may be used as the transfer means.

도2에서 벌브스페이서(3)는 단계 S22에서 리니어피더(17)로부터 연속정렬상태로 피딩된 후, 도12 및 도13에서 리니어피더 플레이트(701)의 단부에서 회전장치(18)의 벌브스페이서 로테이터(801)로 유동되게 되고, 하나이상이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솔레노이드(703)와 스토퍼(704)가 작동하여 도13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피더 플레이트(701)의 단부로부터의 벌브스페이서(3)의 유동을 정지시킨다. 그 뒤, 단계 S23에서 로타리 실린더(802)가 회전하면 로테이터(801)가 함께 회전하여 벌브스페이서(3)를 직립상태로 90도 회전시키고 이때 대기중인 픽업 핑거(810)가 에어척(811)의 작동으로 도12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상태의 벌브스페이서(3)을 파지한다(단계 S24).In Fig. 2, the bulb spacer 3 is fed in a continuous alignment state from the linear feeder 17 in step S22, and then the bulb spacer rotator of the rotary device 18 at the end of the linear feeder plate 701 in Figs. The solenoid 703 and the stopper 704 operate to flow to 801 and not to flow one or more of the bulb spacers from the ends of the linear feeder plate 701 as shown in FIGS. 13 and 15. Stop the flow of 3). Thereafter, when the rotary cylinder 802 rotates in step S23, the rotator 801 rotates together to rotate the bulb spacer 3 by 90 degrees in an upright state, and at this time, the pick-up finger 810 of the air chuck 811 By operation, the bulb spacer 3 in an upright state is gripped as shown in Figs. 12 to 14 (step S24).

이와 같이 픽업 핑거(810)에 파지된 후, 로테이터(801)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오 같이 에어척(811)이 위치(811') 즉 용접조립 및 검사라인(15)에서 용접 스테이션(ST5)으로 도시가 생략된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다(단계 S25). 이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픽업 핑거(810)에 파지된 직립상태의 벌브스페이서(3)는 도12에서 그 용접 스테이션(ST5)의 업상태의 포지셔너(540)상에 위치한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각위치의 측벽면에 인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장치(30)에 의해 벌브스페이서(3)는 컨버젼스컵(2)측으로 가압되게 되고 에어척(811)이 해제됨으로써 벌브스페이서(3)가 픽업 핑거(810)로부터 이탈하여 더욱 컨버젼스컵(2)에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픽업 핑거(810)가 에어척(811)과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음 벌브스페이서(3)를 픽업하기 위해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단계 S7'). 이와 같은 고정단계(단계 S7')는 픽업 핑거(810)의 이탈과 원위치로의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왕복이동수단이외에 그 왕복이동에 대해 직각방향의 왕복이동을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가 생략된 왕복이동수단의 에어실린더 등과 같은 통상의 왕복운동수단일 수도 있으며,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된 트랜스퍼 캠(559) 및 스프링(555)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being held by the pick-up finger 810 in this manner, the rotator 801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as shown in FIG. 12, the air chuck 811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811 ′, that is,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line 15. The reciprocating means (not shown) is transferred to the welding station ST5 (step S25). By moving in this way, the upright bulb spacer 3 gripped by the pick-up finger 810 is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convergence cup 2 located on the up positioner 540 of the welding station ST5 in FIG. It is adjacent to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positi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6, the bulb spacer 3 is pushed toward the convergence cup 2 by the pusher device 30, and the air spacer 811 is released, so that the bulb spacer 3 is picked up by the pick-up finger 810. In contact with the convergence cup (2), in which the pick-up finger (8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 the air chuck (811) and is in standby to pick up the next bulb spacer (3). (Step S7 '). The fixing step (step S7 ') may further include a means for reciproc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addition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order to ensure the separation of the pick-up finger 810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have. It may be a conventional reciprocating means such as an air cylinder of the reciprocating means not shown, and may also be constituted by the transfer cam 559 and the spring 555 shown in Figs.

이와 같이 벌브스페이서(3)가 컨버젼스컵(2)에 푸싱된 고정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스테이션(ST5)에서는 포지셔너(540)의 업상태를 유지한 채, 용접장치(20)에 의해 레이저를 발사하여 벌브스페이서(3)를 컨버젼스컵(2)에 용접시키고(도 2의 단계 S8), 용접완료시 벌브스페이서(3)의 고정을 해제하며(단계 S8'), 스텝모터(550)에 의해 소정의 각변위만큼 회전한 다음(단계 S9), 단계 S10에서 전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었는지 카운트하여 판별하고는 전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지 아니하였으면 다시 단계 S7'로 돌아가 단계 S7' 내지 단계 S10을 되풀이한다. 따라서, 벌브스페이서(3)를 공급하기 위한 단계 S21 내지 단계 S25는 컨버젼스컵(2)을 트랜스퍼링하여 포지셔너(540)상에 위치시키고 그 포지셔너(540)를 업시키는 동안에 소정의 필요한 수의 벌브스페이서(3)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19에서 B/S TRANSFER, PUSHING, WELDING선도 및 C/C ROTATING선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C/C UP/DOWN선도의 업되는 시간동안(θ1 내지 θ8)에 벌브스페이서(3)의 트랜스퍼, 푸싱(고정) 및 용접과 컨버젼스컵(2)의 소정의 각위치로의 회전이 하나의 컨버젼스컵(2)에 N개의 벌브스페이서(3)를 부착시키는 경우, N회 반복되며, 또한, 에어척(811)과 함께 벌브스페이서(3)의 트랜스퍼링(T)이 완료된 시점에서 푸셔장치(30)에 의한 푸싱이 이루어지고 에어척(811)의 복귀, 즉 언트랜스퍼링(UT)이 수행되며, 상기 푸싱이 완료된 시점에서 용접(W1 내지 WN)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타이밍 챠트를 고려하여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벌브스페이서(3)의 용접 스테이션으로의 이송을 도6 및 도7에 도시된 트랜스퍼 캠(559) 및 스프링(555)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그 트랜스퍼 캠의 캠면곡선 내지 캠선도가 도 19의 B/S TRANSFER 선도를 일예로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9의 C/C ROTATING 선도에서는 먼저 소정의 회전각위치로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되지만, 컨버젼스컵(2)의 트랜스퍼링되는 위치에서 바로 벌브스페이서(3)를 용접할 수 있는 경우에는 먼저 컨버젼스컵(2)을 회전(R1)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 최종의 회전(RN)으로 원상태로 컨버젼스컵(2)과 포지셔너(54)가 복귀하지 아니한 각 위치에서 벌브스페이서(3)가 용접되는 때에는 컨버젼스컵(2)의 다운 개시시점(θ8)이전에 원상태로 컨버젼스컵(2)과 포지셔너(540)를 복귀시키는 단계가 요구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xed state in which the bulb spacer 3 is pushed to the convergence cup 2, the welding device 20 maintains the up position of the positioner 540 in the welding station ST5 as described above. By firing, the bulb spacer 3 is welded to the convergence cup 2 (step S8 in FIG. 2), and upon completion of welding, the bulb spacer 3 is released (step S8 '), and the step motor 550 After rotation by a predetermined angular displacement (step S9), it is determined by counting whether the previous bulb spacer 3 has been welded in step S10. If the previous bulb spacer 3 has not been weld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7 'again. To step S10 are repeated. Thus, steps S21 to S25 for supplying the bulb spacer 3 are carried out by placing the desired number of bulb spacers while transferring the convergence cup 2 onto the positioner 540 and up the positioner 540. And (3). That is, as shown in the B / S TRANSFER, PUSHING, WELDING diagram and C / C ROTATING diagram in Fig. 19, the transfer of the bulb spacer 3 during the up time (θ1 to θ8) of the C / C UP / DOWN diagram is shown. , Pushing and fixing the welding and rotation of the convergence cup 2 to a predetermined angular position are repeated N times when the N bulb spacers 3 are attached to one convergence cup 2. When the transfer of the bulb spacer 3 together with the chuck 811 is completed, pushing is performed by the pusher device 30 and the return of the air chuck 811, that is, the untransferring UT is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pushing is completed, the welding W1 to WN is perform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such a timing chart, the controller performs control by the controller or transfers the bulb spacer 3 to the welding station by the transfer cam 559 and the spring 555 shown in FIGS. 6 and 7. In such a configuration, the cam surface curve and the cam curve of the transfer cam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B / S TRANSFER diagram of FIG. 19 as an example. In the C / C ROTATING diagram of FIG. 19, the rotation of the bulb spacer 3 can be directly performed at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onvergence cup 2. 2) It is not necessary to rotate R1, and the convergence when the bulb spacer 3 is weld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convergence cup 2 and the positioner 54 have not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in the final rotation RN. It will be necessary to return the convergence cup 2 and the positioner 540 to their original state before the down start time θ8 of the cup 2.

도2에서 단계 S10에서 전 벌브스페이서(3)의 용접이 완료되어 단계 S11에서 포지셔너(540)가 하강하고 트랜스퍼 바(551)의 안착홈(552)에 컨버젼스컵(2)이 위치한 후, 컨버젼스컵(2)이 트랜스퍼 캠(560)의 회전과 인장 스프링(555)의 작용으로 검사 스테이션(ST6 및 ST7)으로 이송된다(단계 S12). 그 검사 스테이션 (ST6 및 ST7)에서는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검사장치(40)와 경사각검사장치(50)에 의해 벌브스페이서(3)의 컨버젼스컵(2)에의 용접조립 상태를 검사한다(단계 S13). 도17에서 트랜스퍼 바(551)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업다운 캠(535)의 회전에 의해 포지셔너(540)가 업되면, 각 벌브스페이서(3)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촉블럭(41)이 위치하고 그 접촉블럭(41)에의 접촉에 의해 틈새센서(42)에 의해 벌브스페이서(3)의 높이의 양, 불을 판정하게 된다. 도18에서는 경사각검사장치(50)가 삽입블럭(51)과 불량감지센서(52)로 구성되고 그 삽입블럭(51)에는 벌브스페이서(3)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삽입홈(51')이 형성되어 있어 포지셔너(540)의 업시 그 벌브스페이서(3)가 그 삽입홈(51')에 삽입되지 아니하는 경우, 불량감지센서(52)에서 불량으로 처리하게 된다. 한편, 포지셔너(540)가 업된 후에 높이검사장치(40)와 경사각검사장치(50)가 도17 및 도18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 검사한 후에 상승하는 구성도 가능하다.After the welding of all bulb spacers 3 is completed in step S10 in FIG. 2, the positioner 540 is lowered in step S11, and the convergence cup 2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552 of the transfer bar 551. (2) is transferred to the inspection stations ST6 and ST7 by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cam 560 and the action of the tension spring 555 (step S12). In the inspection stations ST6 and ST7,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welding assembly state of the bulb spacer 3 to the convergence cup 2 is measured by the height inspection device 40 and the inclination angle inspection device 50. It is checked (step S13). When the positioner 540 is up by the rotation of the up-down cam 535 as described above from the transfer bar 551 in FIG. 17, the contact block 4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each bulb spacer 3. By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block 41, the clearance sensor 42 determines the amount and the fire of the height of the bulb spacer 3. In Fig. 18, the inclination angle inspection device 50 is composed of an insertion block 51 and a defect detection sensor 52, and the insertion block 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 'at a position where the bulb spacer 3 can be inserted. If the bulb spacer 3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 'when the positioner 540 is up, the defect detection sensor 52 treats the defect as defectiv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ositioner 540 is up, the height inspection device 40 and the inclination angle inspection device 50 are also lowered and inspected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s.

이와 같이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다시 컨버젼스컵(2)이 이송되고 단계 S14에서 언로딩되게 된다. 도4 및 도5에서 스테이션(ST8)에서 일차 대기한 후에 스테이션(ST9)으로 이송되면서, 이젝트 바(540')에 의해 이젝트슈트(21)로 배출되게 된다.When the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convergence cup 2 is transferred again and unloaded in step S14. In FIG. 4 and FIG. 5, the air is transferred to the station ST9 after the first standby at the station ST8 and discharged to the eject chute 21 by the eject bar 540 '.

그 이젝트슈트(21)에서는 구체적인 도시가 생략되지만, 양, 불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공지된 회동 도어 장치가 설치된다.Although the specific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eject chute 21, the well-known rotating door apparatus is provided so that it may separate and discharge according to quantity and fi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과 벌브스페이서의 용접조립 및 검사장치에 적용된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을 자주 보울에 보충하여 주지 아니하여도 자동으로 보울에 호퍼의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이 보충될 수 있어 보충의 불편이 제거되며, 보충시기를 놓쳐 라인이 정지되는 염려가 해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eeder refilling device to the bowl feeder applied to the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of the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the cathode ray tube, the convergence cup (2) and Even if the same feed is not frequently replenished in the bowl, the feed can be automatically replenished in the bowl such as the hopper's convergence cup (2),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replenishment, and the line is stopped due to the missed replenishment time. There is an effect such that anxiety is eliminated.

Claims (3)

음극선관의 전자총 컨버젼스컵(2)과 같은 큰 부피의 피공급물을 일렬로 공급하기 위한 보울피더(12)에 있어서:In a bowl feeder 12 for feeding a large volume of feed in a line, such as an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2 of a cathode ray tube: 대량의 컨버젼스컵(2)와 같은 피공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호퍼(100)와, 그 호퍼(100)의 하단으로 연통된 피공급물의 유동 안내대(102)와, 그 유동 안내대(102)에서 피공급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진동수단(101)과, 상기 보울(200)의 바닥상에 피공급물이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진동수단(101)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A hopper 100 capable of receiving a large amount of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2, a flow guide 102 of the feed communica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0, and a flow guide 102 thereof. Vibration means 101 to allow the feed to flow in the) and sensing means for operating the vibrating means 101 by detecting when there is no feed on the bottom of the bowl 200 Feed supply device to the bowl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보울피더(12)의 보울(200)의 바닥에 근접하여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의 유동으로 접촉하는 보울타치바아(204)와, 그 보울타치바아(204)에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이 접촉하지 아니한 때에 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타치센서(203)와, 그 타치센서(20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시간동안 접촉하지 아니한 감지신호를 입력된 때에 상기 진동수단(101)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The bowl touch bar 20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ans comprises: a bowl touch bar 204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of the bowl 200 of the bowl feeder 12 in contact with a flow of a feed such as a convergence cup 2; The touch sensor 203 which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the feed such as the convergence cup 2 does not contact the touch bar 204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ouch sensor 203 are input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vibrating means (101) when a non-contact detection signal is inpu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대(101)에로 호퍼(100)로부터 컨버젼스컵(2)과 같은 피공급물이 지나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방지판(103)이 유동 안내대(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울피더에의 피공급물 보충장치.The flow preventing plate (103) of the flow guide (101)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flow of the feed such as the convergence cup (2) from the hopper (100) to the flow guide (101). The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the bowl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KR1019970064969A 1997-11-29 1997-11-29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KR199900439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69A KR19990043922A (en) 1997-11-29 1997-11-29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969A KR19990043922A (en) 1997-11-29 1997-11-29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22A true KR19990043922A (en) 1999-06-15

Family

ID=6609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969A KR19990043922A (en) 1997-11-29 1997-11-29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9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83414B (en) System and method with floating welder for high speed production welding
US3946931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bonding an article to a substrate
US3730595A (en) Linear carrier sender and receiver
US5507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lacing lids on component packages
KR880002219B1 (en) Apparatu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TW200847878A (en) An improved ball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3790272B2 (en) Method and machine for inserting inserts
CN114803327A (en)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and method for tapered roller bearing
KR19990043922A (en) Feeder replenishment device to bowl feeder
KR100341495B1 (en) Tray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49998B1 (en)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of cathode ray tube
KR19990043926A (en) Height inspection device of electron beam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of cathode ray tube
KR19990043925A (en) Bulb spacer rotating and conveying device for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of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cathode ray tube
KR19990043924A (en) Convergence cup transfer device for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of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cathode ray tube
KR19990043927A (en) Tilt angle inspection device for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assembly of cathode ray tube
KR19990043921A (en) Welding assembly and inspection device for electron gun convergence cup and bulb spacer of cathode ray tube
US3517157A (en) Axial component lead attach machine
JP2002198273A (en) Multi-line component selecting, arranging and supplying apparatus
CN113877771B (en) Magnet assembling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H0541598Y2 (en)
US4214139A (en) Apparatus for surfac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valves
JPS586832A (en) Magazine conveyor
JP2512261Y2 (en) Chip circuit component supply device
JPH09272024A (en) Parts mounting device and parts mounting method
JPS5840606Y2 (en) automatic pellet assemb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