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390A -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390A
KR19990043390A KR1019970064391A KR19970064391A KR19990043390A KR 19990043390 A KR19990043390 A KR 19990043390A KR 1019970064391 A KR1019970064391 A KR 1019970064391A KR 19970064391 A KR19970064391 A KR 19970064391A KR 19990043390 A KR19990043390 A KR 1999004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er
failure
slave
stm
optic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권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6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390A/ko
Publication of KR1999004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390A/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의 다중장치에 구비된 STM-1 정합기나 STM-4 정합기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해당 종속 정합기에 대해 자동으로 보호 절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속 정합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종속 정합기가 STM-1 정합기이거나 STM-4 정합기이면 해당 종속 정합기의 작동여부, 실장여부 및 전원 장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종속 정합기가 작동중이고, 실장되어 있으며, 전원이 정상이면 상기 종속 정합기를 감시하여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장애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장애가 t1(단, t1 > 0 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장애가 t1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면 자동으로 해당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하는 절체를 수행한 후 운용자측에 절체가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5 단계가 구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STM-1 정합기나 STM-4 정합기의 장애로 인해 중단되었던 통신 서비스가 신속하게 복구되도록 하고, 절체 처리 결과를 운용자측에 보고하여 신속한 장애 복구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의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method of tributary interface unit in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이하, SMOT-16 이라 표기함)의 다중장치에 구비된 다수개의 종속 정합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TM-1 정합기나 STM-4 정합기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해당 종속 정합기에 대해 자동으로 보호 절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OT-16 은 비동기식으로 다중화된 44,736Kbps급 DS-3 신호나 155,520Kbps급 STM-1 또는 622,080Kbps급 STM-4 광신호를 종속 신호로 하여 이들을 2.488Gbps급 STM-16 광신호로 다중화한 후 광 전송하고,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SMOT-16: Synchronous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level-16, DS-3: Digital Signal level-3, STM-1: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 STM-4: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4, STM-16: 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6).
도 1에는 DS-3 신호의 다중화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STM-1 과 STM-4 신호의 다중화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DS-3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ontainer)에 매핑(mapping)되어 "C-3" 이 되고, 여기에 경로 오버헤드(POH: Path OverHead)가 추가되면 가상 컨테이너(Virtual Container) "VC-3" 가 되며, 그 위에 포인터(pointer)가 추가되면 관리 유니트(AU: Administrative Unit) "AU-3" 가 된다.
그 후, "AU-3" 3개가 다중화되어 관리 유니트 그룹(AUG)이 되고, 여기에 구간 오버헤드(SOH: Section OverHead)가 추가되어 16개가 다중화되면 STM-16 신호가 생성된다.
반면, STM-1 나 STM-4 신호는 이미 동기식 다중 구조에 맞추어진 상태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오버헤드의 종단 및 생성 과정은 필요하지 않다. 다만, STM-1 및 STM-4 신호의 구간 오버헤드에 대한 종단, 처리가 수행되어 각각에 해당되는 AU 신호(AU-3 또는 AU-4 신호)만 추출된 후 다시 AUG 형태로 STM-16 신호로 다중화된다.
한편, 상기 SMOT-16 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종속 신호(DS-3, STM-1 또는 STM-4)를 STM-16 광신호로 다중 전송하고 그 역다중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장치와, 전송된 STM-16 광신호를 재생/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다중장치는 크게 고속 셀프와 종속 셀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속 셀프는 구체적으로 시스템 클록 공급기(STGU: System Timing Generation Unit)와, 고속 광 송신기(HSTU: High-Speed Transmit Unit)와, 고속 광 수신기(HSRU: High-Speed Receive Unit)와, 분기/결합 제어기(ADCU: Add-Drop Control Unit)와, 주 제어기(MPU: Main Processor Unit)와, 데이터 통신 제어기(DCU: Data Communication Unit)와, 타합선 정합기(OWU: Order Wire Unit)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클록 공급기(STGU)는 동기 클록원을 선택하고, 외부 클록을 입·출력하며, 시스템 클록을 발생시켜 각 유니트에 공급한다.
상기 고속 광 송신기(HSTU)는 STM-16 신호의 다중화를 위하여 오버헤드 처리를 하고, STM-16 신호를 광 송신한다.
상기 고속 광 수신기(HSRU)는 STM-16 신호의 역다중화를 위하여 오버헤드 처리를 하고, STM-16 광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분기/결합 제어기(ADCU)는 AU-3 신호와 AU-4 신호를 분기/결합한다.
상기 주 제어기(MPU)는 고속 유니트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고, 운용 터미널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 제어기(DCU)는 고속 유니트 시스템의 DCC(Data Communication Channel) 데이터를 처리하고, 망 운용 시스템이 접속된다.
상기 타합선 정합기(OWU)는 타합용 호출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고, STM-16 신호의 E1 데이터(외부 클록)를 처리한다.
상기 종속 셀프는 구체적으로 DS-3 정합기(TIU: Tributary Interface DS-3 Unit)와, STM-1 정합기(TI1U: Tributary Interface STM-1 Unit)와, STM-4 정합기(TI4U: Tributary Interface STM-4 Unit)와, 종속 제어기(TPU: Tributary Processor Unit)와, 종속 데이터 통신 제어기(LDCU: Low Data Communication Unit)와, 종속 타합선 정합기(LOWU: Low Order Wire Unit)의 선택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DS-3 정합기(TIU)는 3개의 DS-3 신호를 입·출력하고, DS-3 신호를 AU-3 신호로 변환 또는 역변환한다.
상기 STM-1 정합기(TI1U)는 1개의 STM-1 광신호를 입·출력하고, STM-1 광신호를 3개의 AU-3 신호나 1개의 AU-4 신호로 변환 또는 역변환한다.
상기 STM-4 정합기(TI4U)는 1개의 STM-4 광신호를 입·출력하고, STM-4 광신호를 12개의 AU-3 신호나 4개의 AU-4 신호로 변환 또는 역변환한다.
상기 종속 제어기(TPU)는 종속 유니트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한다.
종속 데이터 통신 제어기(LDCU)는 STM-1 또는 STM-4 광신호의 DCC 데이터를 처리한다.
종속 타합선 정합기(LOWU)는 STM-1 또는 STM-4 광신호의 E1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종속 정합기에는 특정용도 집적회로(이하, ASIC 이라 함)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레지스터에는 자신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종속 정합기 종류, 번호, 작동여부, 실장여부, 전원 장애 발생여부, 신호 흐름 장애 발생여부 …)가 서로 다른 번지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즉, 각각의 종속 정합기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태 변경시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변경시킨다.
아울러, 종속 정합기들(TIU, TI1U, TI4U)은 다른 종속 유니트들에 비해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중요도가 높아 운용보드와 예비보드의 이중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운용중인 보드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예비보드로 절체하여 신호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즉, 통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속 제어기는 최대 8개까지 종속 정합기를 배당 받아 각각을 감시 및 제어한다. 여기서, 8개의 종속 정합기란 운용보드와 예비보드로 이루어진 4쌍의 종속 정합기를 말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속 정합기는 다른 종속 유니트들에 비해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용보드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예비보드로의 신속한 절체 및 장애 복구가 요구되고, 그 결과 종속 정합기의 장애 발생에 따른 적절한 절체방법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STM-1 정합기나 STM-4 정합기에서 어떤 장애가 발생되어 소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자동으로 해당 종속 정합기의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하는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은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의 다중장치에 구비되어 있고, 장애 발생시 보호 절체가 가능하도록 운용보드와 예비보드의 이중화 구조로 되어 있는 다수개의 종속 정합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별 결과 종속 정합기가 STM-1 정합기이거나 STM-4 정합기이면 해당 종속 정합기의 작동여부, 실장여부 및 전원 장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종속 정합기가 작동중이고, 실장되어 있으며, 전원이 정상이면 상기 종속 정합기를 감시하여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장애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애가 검출되면 상기 장애가 t1(단, t1 > 0 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장애가 t1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면 자동으로 해당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하는 절체를 수행한 후 운용자측에 절체가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5 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3 단계는 t2(단, 0 < t2 < t1 임) 시간 단위로 장애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t1 을 2초로 t2 를 20ms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종속 정합기의 감시 결과 장애가 검출되면 검출된 장애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장애들에 대해서는 절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DS-3 신호의 다중화 구조도,
도 2는 STM-1 과 STM-4 신호의 다중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종속 제어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DC/DC 변환부 20: 메모리부
30: 프로세서부 40: IPC 인터페이스부
50: 종속 정합기 인터페이스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MOT-16 의 다중장치에 포함된 종속 제어기(이하, TPU 라 함)가 자신에게 배당된 8개의 STM-1 정합기(이하, TI1U 라 함)나 STM-4 정합기(이하, TI4U 라 함)를 감시하고 있다가 TI1U(또는 TI4U)에서 어떤 장애가 검출되어 2초 동안 지속되면 자동으로 보호 절체를 수행하여 장애로 인해 중단되었던 통신 서비스가 신속하게 복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20ms 단위로 장애를 검출하여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동일한 장애의 검출 횟수를 계수하고, 그 계수값을 이용하여 어떤 장애의 검출이 2초 동안 지속되는 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TPU 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참조번호 10은 외부로부터 -48V 전원을 입력받아 DC/DC 변환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5V 를 공급하는 DC/DC 변환부이다.
참조번호 20은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종속 정합기의 각종 상태 데이터(종속 정합기 종류, 번호, 작동여부, 실장여부, 전원 장애 발생여부, 각종 신호 장애 발생여부 …)가 기록되는 메모리부이다.
참조번호 30은 각종 기능의 수행시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들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메모리부(20)로부터 판독하여 실행시키고, 각 종속 정합기의 ASIC 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태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하고 각 종속 정합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프로세서부이다.
참조번호 40은 프로세서부(30)가 8개의 종속 정합기를 검사한 결과를 고속 셀프의 주 제어기(이하, MPU 라 함)에 보고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부(30)와 MPU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부이다.
상기 IPC 인터페이스부(40)는 보다 구체적으로 MT8952 칩을 이용한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방식으로 MPU 와 시리얼(serial)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송/수신 클록은 MPU 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며, 노이즈 방지 및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TTL 레벨을 RS-485 레벨로 변환한 후 송/수신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50은 8개의 종속 정합기와 프로세서부(30)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종속 정합기 인터페이스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TPU 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신에게 배당된 8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TPU 의 프로세서부(30)는 절체 관련 변수들을 설정한 후 초기화한다. 이 때, 1개의 장애에 대해서는 각각 3개의 변수 즉, 해당 장애가 현재 검출되고 있으면 "1"로 세팅되는 CURRENT 변수와, 해당 장애가 2초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면 "1"로 세팅되는 STATUS 변수와, 절체를 결정할 때 판단 근거가 되는 시간 경과값이 저장되는 COUNT 변수가 각각 설정된다(S1).
S1 단계 후 프로세서부(30)는 20ms마다 주기적으로 깨어나(S2) 자신에게 배당된 8개의 종속 정합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종류가 TI1U 또는 TI4U 인지를 판단한다(S3).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부(30)는 종속 정합기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종속 정합기의 ASIC 의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종속 정합기의 종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와 메모리부(20)에 미리 저장해두고, 종속 정합기의 종류 판단시 그 데이터를 메모리부(20)로부터 읽어와 판단 근거로 사용한다.
S3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한 종속 정합기가 TI1U 나 TI4U 이면 프로세서부(30)는 상기 종속 정합기의 작동여부, 실장여부 및 전원 장애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4). 이 때도 프로세서부(30)는 메모리부(20)에 미리 저장해 둔 해당 종속 정합기의 작동여부, 실장여부 및 전원 장애 발생여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판단 근거로 사용한다.
하지만, S3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한 종속 정합기가 TIU 이면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한다.
S4 단계의 판단 결과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가 작동중이고, 실장되어 있으며, 전원이 정상이면 프로세서부(30)는 종속 정합기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상기 종속 정합기의 ASIC 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종 장애 관련 데이터를 읽어와 해당 변수(각 장애에 관련된 CURRENT 변수와 STATUS 변수)를 세팅한다(S5).
S5 단계 후 프로세서부(30)는 클록 장애 관련 CURRENT 변수값과 STATUS 변수값이 서로 같은 지를 판단한다(S6).
S6 단계의 판단 결과 2개 변수값이 다르면 클록 장애 관련 STATUS 변수값이 "1" 인지를 판단하고(S7), S7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에 관련된 STATUS 변수값이 "1"이 아니면(CURRENT = 1, STATUS = 0) 프로세서부(30)는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이 100 인지를 판단한다(S8).
S8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에 관련된 COUNT 변수값이 100 이면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클록 장애가 2초(20ms×100)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인식하여 즉, 상기 종속 정합기의 절체를 수행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인식하여 상기 종속 정합기의 예비보드 상태를 체크한다(S9).
하지만, S8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에 관련된 COUNT 변수값이 100 미만이면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클록 장애가 검출되고 있으나 아직 절체를 수행해야 하는 시점이 아니라고 인식하여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을 1 증가시키고(S13), 그 후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한다.
S9 단계 후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예비보드가 절체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S10) 절체 가능한 상태이면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한 후 MPU 에 절체가 수행되었음을 보고하고(S11), 절체 가능한 상태가 아니면(탈장, 운용보드와 타입이 다름 …) MPU 에 절체 불능 상태를 보고한다(S12). 이 때, 프로세서부(30)는 IPC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MPU 에 각종 처리 결과를 보고한다.
아울러, S11 단계와 S12 단계 후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한다.
한편, S7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에 관련된 STATUS 변수값이 "1"이면(CURRENT = 0, STATUS = 1)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절체가 수행되고 있지만 더 이상 클록 장애가 검출되지 않는다고 인식하여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이 500 인지를 판단한다(S14).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이 500이 아니면 프로세서부(30)는 클록 장애의 무검출 상태가 10초(20ms×500) 동안 지속되지 않았다고 인식하여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을 1 증가시키고(S15), 그 후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한다.
하지만, S14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 관련 COUNT 변수값이 500이면 프로세서부(30)는 클록 장애의 무검출 상태가 10초 동안 지속되었다고 인식하여 다음 우선 순위의 장애 즉, LOS(Loss Of Signal) 장애에 대한 처리를 시작한다.
한편, S6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 관련 CURRENT 변수값과 STATUS 변수값이 서로 같으면 클록 장애 관련 STATUS 변수값이 "1" 인지를 판단하여(S16) STATUS 변수값이 "1" 이면(CURRENT = 1, STATUS = 1)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절체가 수행되고 있고 클록 장애 역시 계속 검출되고 있다고 인식한 후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한다.
하지만, S16 단계의 판단 결과 클록 장애 관련 STATUS 변수값이 "1" 이 아니면(CURRENT = 0, STATUS = 0) 프로세서부(30)는 S3 단계에서 선택된 종속 정합기의 절체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클록 장애 역시 검출되지 않았다고 인식하여 다음 우선 순위의 LOS 장애에 대한 처리를 시작한다.
상기에서 임의의 종속 정합기에서 클록 장애가 검출될 때 바로 S3 단계로 분기하여 다른 종속 정합기의 처리를 시작하는 것은 임의의 장애 검출시 검출된 장애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장애에 대해서는 절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20ms마다 S3 내지 S16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클록 장애에 관련된 COUNT 변수값을 1씩 증가시키면 그 후 COUNT 변수에 저장된 값으로 클록 장애가 검출되는 시점 또는 클록 장애가 검출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COUNT 변수값을 판단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경과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UNT 변수값이 100 이면 20ms × 100 = 2초 경과를 의미한다.
S16 단계 후 프로세서부(30)는 클록 장애의 다음 순위인 LOS 장애에 대하여 절체 처리를 수행하는데, 그 처리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된 S6 내지 S16 단계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프로세서부(30)는 LOF(Loss Of Frame) 장애, MS-AIS(Multiplex Section Alarm Indication Signal) 장애, EXBER(EXcessive Bit Error Ratio) 장애 등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된 S6 내지 S16 단계와 유사한 절체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절체 조건에 부합되면 S3 단계에서 선택한 종속 정합기의 절체를 수행한다. 이것은 TI1U 와 TI4U 의 장애 검출 우선 순위가 클록 장애 > LOS > LOF > MS-AIS > EXBER > … 인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LOS 장애는 신호 손실에 따른 장애를 나타내고, 상기 LOF 장애는 프레임 손실에 따른 장애를 나타내고, 상기 MS-AIS 장애는 상위 장애의 발생으로 인한 장애를 나타내며, 상기 EXBER 장애는 과도 에러 발생에 따른 장애를 나타낸다.
또한, 여러 가지 장애의 절체 처리 과정에서는 해당 장애에 관련된 CURRENT, STATUS, COUNT 변수를 사용한다.
한편, MPU 는 TPU 로부터 종속 정합기의 절체 처리 결과가 보고되면 그 결과를 다시 운용자측에 보고하여 신속한 장애 복구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과 같이 장애가 검출되면 바로 절체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 검출이 소정시간 동안 지속된 후 비로소 절체를 결정하면 단시간 동안 장애의 발생/해제가 다수회 반복되는 경우 잦은 절체와 보고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STM-1 정합기나 STM-4 정합기에서 동일한 종류의 장애가 소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자동으로 해당 종속 정합기의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하는 절체를 수행하여 장애로 인해 중단되었던 통신 서비스가 신속하게 복구되도록 하고, 절체 처리 결과를 운용자측에 보고하여 신속한 장애 복구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의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의 다중장치에 구비되어 있고, 장애 발생시 보호 절체가 가능하도록 운용보드와 예비보드의 이중화 구조로 되어 있는 다수개의 종속 정합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별 결과 종속 정합기가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 정합기이거나 STM-4(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4) 정합기이면 해당 종속 정합기의 작동여부, 실장여부 및 전원 장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종속 정합기가 작동중이고, 실장되어 있으며, 전원이 정상이면 상기 종속 정합기를 감시하여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장애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애가 검출되면 상기 장애가 t1(단, t1 > 0 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장애가 t1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되면 자동으로 해당 예비보드를 운용보드화하는 절체를 수행한 후 운용자측에 절체가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제 5 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1 을 2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t2(단, 0 < t2 < t1 임) 시간 단위로 장애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2 를 20ms 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종속 정합기의 감시 결과 장애가 검출되면 검출된 장애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장애들에 대해서는 절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KR1019970064391A 1997-11-29 1997-11-29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KR19990043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391A KR19990043390A (ko) 1997-11-29 1997-11-29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391A KR19990043390A (ko) 1997-11-29 1997-11-29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390A true KR19990043390A (ko) 1999-06-15

Family

ID=6609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391A KR19990043390A (ko) 1997-11-29 1997-11-29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3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70B1 (ko) * 1999-06-30 2001-11-01 윤종용 전송 시스템에서 고속부의 에이직 변경에 따른 종속부 서비스 유지장치
KR100478836B1 (ko) * 2000-10-31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전송모드 신호의 다중화 타입 설정 방법
KR100678259B1 (ko) * 1999-12-0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 혼용 실장된 보오드 절체 장치 및방법
KR100717512B1 (ko) * 2006-01-23 2007-05-14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광동축 혼합망, 광동축 혼합망용 자동전력기 및 이를이용한 자동 전력 절체 방법
KR100785854B1 (ko) * 2006-12-08 2007-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보호복구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70B1 (ko) * 1999-06-30 2001-11-01 윤종용 전송 시스템에서 고속부의 에이직 변경에 따른 종속부 서비스 유지장치
KR100678259B1 (ko) * 1999-12-0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 혼용 실장된 보오드 절체 장치 및방법
KR100478836B1 (ko) * 2000-10-31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전송모드 신호의 다중화 타입 설정 방법
KR100717512B1 (ko) * 2006-01-23 2007-05-14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광동축 혼합망, 광동축 혼합망용 자동전력기 및 이를이용한 자동 전력 절체 방법
KR100785854B1 (ko) * 2006-12-08 2007-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보호복구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3531A (en) Survivable network using reverse protection ring
US549547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protection paths as additional working paths in switched ring network systems
US6614753B2 (en) Terminal apparatus, device for detecting the mismatching of work/protection line bridging function in a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thod
EP0827357B1 (en) Cross-connect network node
US7546034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line protection of optical data transmission
WO2002056513A1 (fr) Procede de detection d&#39;erreurs de voi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19990043390A (ko)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자동 절체방법
JP2988440B2 (ja) 端局装置
US8355318B2 (en) Node apparatus interconnecting ring network
JP4215369B2 (ja) ネットワーク用伝送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伝送システム
US7526197B2 (en) Utilizing the protecting bandwidth in a SONET network
KR100237476B1 (ko) 2.5gbps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경보 처리방법
JP3233332B2 (ja) 伝送装置
US5760936A (en) Optical line switch device enabling connection of non-double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with doubled bidirectional optical link
JP3976693B2 (ja) 無瞬断切替システム
US7013059B2 (en) Methods for protecting data signals which are being transmitted via optical conductors
KR19990043391A (ko)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하드웨어 상태 관리방법
EP1659719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low/high order traffic boards in a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transmission device
US7099579B2 (en) Bridge terminal output unit
US7313327B2 (en) Switching control device for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signal
KR19990043392A (ko)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루프백 처리방법
KR100334907B1 (ko) 파장분할다중 광전송시스템에서 광채널계층의 단방향절체장치
KR19990043389A (ko)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경보 등급 판정 및처리방법
JPH08223130A (ja) 無瞬断切替方式
KR19990043393A (ko) 동기식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속 정합기의 로크아웃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