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963A -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963A
KR19990042963A KR1019970063927A KR19970063927A KR19990042963A KR 19990042963 A KR19990042963 A KR 19990042963A KR 1019970063927 A KR1019970063927 A KR 1019970063927A KR 19970063927 A KR19970063927 A KR 19970063927A KR 19990042963 A KR19990042963 A KR 1999004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indoor
air conditioner
ai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963A/ko
Publication of KR1999004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963A/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에 있어서, 제상운전이 끝나고 상기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 상기 풍향날개의 토출방향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풍향조절수단으로 이루어져, 제상운전이 끝나고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에는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실내기의 바로 아래방향으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상운전이 끝나고 냉풍방지 운전시에 풍향날개의 토출방향을 고정하여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장치와,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장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겸한 냉난방장치도 있으며, 오염된 실내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능도 포함되어지는 상황이다.
도1에는 상기한 공기조화기들중에 냉난방기능을 하는 냉난방장치(통상적으로, 에어콘이라 한다)의 실내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냉난방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유닛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참조부호 1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본체(이하, 실내기라 한다)이고, 상기 실내기(1)의 전면상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기(1)의 전면하부에는 후술하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5)의 우측에는 리모트 콘트롤러(9;이하, 리모콘이라 한다)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5)에는 상기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풍향날개(1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모콘(9)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 운전선택(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 풍량선택(강풍, 약풍, 미풍 등), 터보, 마일드, 온도조절 등을 입력하는 다수의 운전모드키와, 현재시각, 간편예약, 시작/종료예약 등을 입력하는 다수의 타이머모드키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실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써, 도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기(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하도록 상기 흡입구(3)의 후측에 일자형상의 열교환기(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15)의 후측하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15)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팬(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5)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1은 증발수접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9)을 조작하여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가 한다)를 누른다음 원하는 운전모드(예를들면, 난방)와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키입력에 해당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부호화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리모콘(9)에서 적외선신호가 송신되면, 실내기(1)의 리모콘신호수신부(7)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실내기(1)의 운전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실내기(1)내의 도시되지 않은 온도센서에서 실내기(1)가 있는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면, 실내기(1)에서는 리모콘(9)으로부터 전송된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의 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열교환기(15)가 열교환되므로 실내기(1)내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5)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온풍으로 열교환되면서 덕트부재(19)의 안내를 받아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온풍은 풍향날개(11)의 스윙각도에 따라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외부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기의 열교환기(도시안됨)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외기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의 열교환능력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난방효율의 저하로 소비전력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외기에 착상된 성에로 인해 실외기의 결빙현상이 발생하여 압축기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이를 방지하기위해 난방운전시 압축기가 동작하여 30분이 경과한 시점이후부터 실외기의 열교환기온도를 감지하여 실외기에 성에가 착상되는 제상조건이라고 판단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팬(17)과 풍향날개(11)의 스윙을 오프시켜 난방운전을 중지하면서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으로 전환시켜 실외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이후, 제상운전이 끝나면, 실내팬(17)은 1분 동안의 지연시간을 가졌다가 온되는 냉풍방지운전을 실시하나 풍향날개(11)는 바로 온되어 스윙하므로 실내기(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사람의 경우는 냉풍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상운전이 끝나고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에는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실내기의 바로 아래방향으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 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는 실내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에 있어서, 제상운전이 끝나고 상기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 상기 풍향 날개의 토출방향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풍향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3은 종래에 의한 제상운전시의 구동부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의 제어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상운전시의 구동부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5 : 토출구
11 : 풍향날개 17 : 실내팬
102 : 운전조작수단 104 : 제어수단
110 : 압축기구동수단 111 : 압축기
112 : 풍향조절수단 114 : 팬모터구동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난방, 제습, 송풍 등)와 설정풍량, 설정풍향, 설정온도(Ts),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를 입력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운전조작수단(102)은 실내기(1)의 콘트롤판넬상의 구비된 키입력부(103)와, 리모콘(9)의 키조작에 따라 리모콘(9)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운전정치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이 제어수단(104)은 제상운전이 끝나고 실내팬(17)의 냉풍방지 운전시에 풍향날개(11)의 토출방향을 제어한다.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실내기(1)가 설치된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도록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압축기구동수단{(11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 및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111)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풍향조절수단(112)은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스텝핑모터(113)를 구동하여 풍향날개(11)를 이동시킨다.
또, 팬모터구동수단(11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로 송풍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모터(11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제어하고, 표시수단(116)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난방, 제습, 송풍 등)와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에서는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키입력부(103) 또는 리모콘(9)을 조작하여 운전/정지키를 누른다음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들면, 냉방 또는 난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하면, 상기 리모콘(9)에서는 키입력에 해당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부호화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리모콘(9)에서 적외선신호가 송신되면, 실내기(1)의 리모콘신호수신부(7)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전기신호를 복조하여 실내기(1)의 운전을 시작한다.
이때,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서 실내기(1)가 설치된 위치의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리모콘(9)으로부터 전송된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를 비교하여 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높은 경우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압축기(111)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111)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11)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11)가 구동되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열교환기(15)가 가열되므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17)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팬모터구동수단(1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팬모터구동수단(114)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11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17)이 구동되면,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5)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온풍으로 열교환되면서 덕트부재(19)의 안내를 받아 토출구(5)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풍향날개(11)의 스윙각도에 따라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를 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외부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기의 열교환기(도시안됨)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외기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의 결빙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난방운전시 압축기(111)가 동작하여 30분이 경과한 시점이후부터 실외기의 열교환기온도를 감지하여 실외기에 성에가 착상되는 제상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팬(17)과 풍향날개(11)의 스윙을 오프시켜 난방운전을 중지하면서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으로 전환시켜 실외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이후, 제상운전이 끝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1분 동안의 지연시간을 가졌다가 실내팬(17)을 온시키는 냉풍방지운전을 실시함과 동시에 풍향날개(11)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도록 스텝핑모터(113)를 구동하기위한 펄스신호를 풍향조절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풍향조절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스텝핑모터(113)를 온/오프구동시킴으로서 풍향날개(11)의 토출방향을 수평으로 고정시켜 실내기(1)의 바로 아래방향으로의 냉풍토출을 방지하고, 실내팬(17)의 냉풍방지운전이 종료되면 풍향날개(11)의 스윙이 온되면서 제상운전 이전의 운전모드로 복귀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에 의하면, 제상운전이 끝나고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에는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실내기의 바로 아래방향으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에 있어서, 제상운전이 끝나고 상기 실내팬의 냉풍방지 운전시 상기 풍향날개의 토출방향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풍향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KR1019970063927A 1997-11-28 1997-11-28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KR19990042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27A KR19990042963A (ko) 1997-11-28 1997-11-28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27A KR19990042963A (ko) 1997-11-28 1997-11-28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63A true KR19990042963A (ko) 1999-06-15

Family

ID=6609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927A KR19990042963A (ko) 1997-11-28 1997-11-28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8972A (zh) * 2022-03-28 2022-07-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8972A (zh) * 2022-03-28 2022-07-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JP3073482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321492B1 (ko) 공기조화기의정전복귀운전장치및그방법
KR19990042963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장치
KR100321241B1 (ko) 공기조화기의이슬맺힘방지장치및그방법
KR10023955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6B1 (ko) 공기조화기의온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307720B1 (ko) 공기조화기의정전복귀운전장치및그방법
KR10023957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8776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방법
KR100307829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운전장치및그방법
KR10023954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38B1 (ko) 공기조화기의 정음운전장치 및 그 방법
KR10022564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1803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제어방법
KR100309733B1 (ko) 메모리리셋기능을가진공기조화기의초기값운전장치
KR10022565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42960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6263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제어방법
KR10024432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74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240999A (ja) 空気調和機
KR20000008586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검지회로
KR19990019465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