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786A -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786A
KR19990042786A KR1019970063705A KR19970063705A KR19990042786A KR 19990042786 A KR19990042786 A KR 19990042786A KR 1019970063705 A KR1019970063705 A KR 1019970063705A KR 19970063705 A KR19970063705 A KR 19970063705A KR 19990042786 A KR19990042786 A KR 1999004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udio
menu screen
audio signal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신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786A/ko
Publication of KR1999004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786A/ko

Link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방송 수신기가 케이블 또는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는 모드로 운영될 때,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 모드 선택을 위해 이용되는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중간주파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이 가능한 모드에 대한 메시지만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선택이 가능한 오디오 모드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을 간결하게 할 뿐아니라 디스플레이를 위한 신호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
본 발명은 복합방송 수신기에서 오디오모드 선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모드 선택시 사용자가 참고로 하는 메뉴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방송 수신기는 디지탈 위성방송, 케이블(CATV) 방송 및 공중파 방송을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현재 제안된 복합방송 수신기는 대체적으로 디지탈 위성방송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오디오의 경우에, 음성다중모드에서의 선택기능은 구비되어 있으나 모노와 스테레오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디지탈 위성방송의 오디오가 스테레오를 기본모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이블 방송이나 공중파 방송은 아직까지 모노와 스테레오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송출하고 있어, 수신기는 수신되는 오디오가 모노인지 스테레오 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제시되고 있는 복합방송 수신기는 스테레오 모드를 기본모드로 하고 있어 케이블 방송이나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때, 오디오에 대한 모노 및 스테레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제공되지 않고 있어 수신되는 오디오에 대한 신호처리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케이블 방송이나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때, 수신되는 오디오가 모노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복합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오디오신호에 대해 스테레오 사운드처리를 하게되므로 수신되는 오디오에 대한 신호처리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노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복합방송 수신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복합방송 수신기는 선택가능한 모드와 선택 불가능한 모드를 모두 메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어 선택이 가능한 모드와 선택이 불가능한 모드를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처리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선택이 가능한 모드에 대한 정보의 배경색과 선택이 불가능한 모드에 대한 정보의 배경색을 다르게 한다든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되기는 하나 선택키가 설정되지 못하도록 한다든지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선택 가능하지 않은 오디오 모드정보까지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개선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선택 가능한 모드의 정보만으로 이루어진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되는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은, 복합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선택모드 명령이 인가되면, 현재 수신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단계 수행결과, 현재 수신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인 경우에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단계를 통해 파악된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기준으로 선택이 가능한 모드에 대한 정보만으로 이루어진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방송 수신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명령인가부 110:제어부
120:튜너 130:MPEG 디코더
140:비디오신호 처리부 150:제 1 오디오신호 처리부
160:중간주파 처리부 170: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
180: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방송 수신기의 블록도로서,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부(100), 수신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디지탈 위성방송, 케이블 또는 공중파를 통해 수신되는 모든 방송신호에 대한 튜닝 및 복조처리가 가능한 튜너(120), 튜너(12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탈 위성방송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오디오 선택모드시 해당되는 메뉴화면을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시지로 출력하는 MPEG 디코더(130), 메뉴화면을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31), MPEG 디코더(13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미도시된 텔레비젼 세트에 설정되어 있는 방송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비디오신호처리부(140), MPEG 디코더(13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미도시된 텔레비젼세트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 1 오디오신호 처리부(150), 튜너(120)로부터 출력되는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처리를 하는 중간주파 처리부(160),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의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 비디오신호 처리부(140) 및 제 1 오디오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탈 위성방송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와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 및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미도시된 텔레비젼 세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스위치(18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사용자가 오디오 선택모드 정보를 인가하면, 제어부(110)는 제 201 단계에서 제 202 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수신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 수신모드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현재 수신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이면 제 203 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상태를 파악한다.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상태 파악은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레오단자와 SAP(Share Assembly Program)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스테레오 단자 및 SAP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값에 대하여 제어부(110)는 내용에 언급된 바와 같이 현재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한다.
스테레오단자 SAP단자 내 용
0 0 모노, 부음성 ×
0 1 모노, 부음성 ○
1 0 스테레오, 부음성 ×,
1 1 스테레오, 부음성 ○
즉, 제어부(110)는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의 스테레오 단자 및 SAP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00'이면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모노이면서 부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01'이면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모노이면서 부음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10'이면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스테레오이면서 부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11'이면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스테레오이면서 부음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로부터 '00'신호가 전송되면, 주음성이 모노이면서 부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므로 제 204 단계를 통해 제 205 단계로 진행되어 메뉴화면상에 '1st language mono'메시지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리턴된다.
이에 따라 MPEG디코더(130)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선택모드를 위한 정보들중 상술한 '1st language mono' 메시지만을 독출하고, 독출된 메시지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 형태로 출력한다. 출력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40)에서 현재 연결되어 있는 미도시된 텔레비젼 세트에 설정되어 있는 방송방식으로 변환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180)로 전송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180)는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시에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와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동작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화면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구간동안에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신호 대신에 비디오신호 처리부(14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텔레비젼 세트는 '1st language mono'메시지만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선택의 여지 없이 주음성을 모노로 청취하는 상황만을 선택하게 된다.
'1st language mono'메시지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명령인가부(100)를 통해 상술한 오디오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을 인가하면, 제어부(110)는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를 제어하여 중간주파 처리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중간주파수에 대하여 모노처리가 이루어진 오디오신호만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18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음성이 모노인 오디오신호를 청취하게 된다.
제 2 오디오 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10'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음성이 스테레오이고 부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제 204 단계와 제 206 단계를 경유하여 제 207 단계로 진행되어 '1st language mono, 1st language stereo' 메시지가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MPEG디코더(130)는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선택모드에 관련된 정보중 상술한 2개의 '1st language mono, 1st language stereo'메시지를 독출하고, 독출된 2 메시지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 형태로 형성하여 비디오신호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청취할 오디오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01'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음성이 모노이고, 부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제 206 단계와 제 208 단계를 경유하여 제 209 단계로 진행되어 '1st language mono, 2nd language mono'메시지가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MPEG 디코더(130)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선택모드에 관련된 정보중 상술한 2개의 '1st language mono, 2nd language mono' 메시지를 독출하고, 독출된 2메시지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 형태로 형성하여 비디오신호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2개의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청취할 오디오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11'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음성이 스테레오이고, 부음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므로 제 208 단계와 제 210 단계를 경유하여 제 211 단계로 진행되어 '1st language mono, 1st language stereo, 2nd language mono'메시지가 메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MPEG디코더(130)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131)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선택모드에 관련된 정보중 상술한 3개의 '1st language mono, 1st language stereo, 2nd language mono'메시지를 독출하고, 독출된 3개의 메시지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 형태로 형성하여 비디오신호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3개의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청취할 오디오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제 2 오디오신호 처리부(170)의 스테레오단자 및 SAP단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술한 4가지 상황이 아닌 경우에 제어부(110)는 제 212 단계로 진행되어 에러발생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MPEG디코더(130)를 제어하고, 리턴된다.
한편, 제 202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디지탈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모드이므로 제 212 단계로 진행되어 에러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MPEG디코더(130)를 제어하고, 리턴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 204, 206, 208, 21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체크순서는 다르게 설정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케이블 방송 또는 공중파 방송을 수신시에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고자 할 때,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여 선택이 가능한 모드에 대한 메시지만 메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선택이 불가능한 모드와 같은 불필요한 정보가 메뉴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하여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처리 및 신호처리를 간소화하였고, 초보자가 이용시에도 메뉴화면을 통해 선택가능한 모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Claims (2)

  1. 복합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선택모드 명령이 인가되면, 현재 수신모드가 상기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단계 수행결과, 현재 수신모드가 공중파 또는 케이블방송 수신모드인 경우에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단계를 통해 파악된 상기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기준으로 선택이 가능한 모드에 대한 정보만으로 이루어진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중간주파처리가 이루어진 오디오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오디오신호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19970063705A 1997-11-28 1997-11-28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KR19990042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705A KR19990042786A (ko) 1997-11-28 1997-11-28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705A KR19990042786A (ko) 1997-11-28 1997-11-28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786A true KR19990042786A (ko) 1999-06-15

Family

ID=6609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705A KR19990042786A (ko) 1997-11-28 1997-11-28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7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931A (en) Channel selecting method for programs of the same category
US7030933B2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with function of on-screen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US6188439B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ideo and audio signals
US8526494B2 (en) Information outputting apparatus,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information signal supply route selecting method
US7227583B2 (en) Digital TV method for switching channel automatically
USRE41707E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037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and switching to favorite channels
US20060176398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screen switching time displa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9990002509A (ko)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모드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
KR100693422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리모콘의 rf/ir 모드 자동 설정방법
EP1429548A2 (en) Program receiver
EP0464328B1 (en) Multivoice broadcast search method and apparatus in NICAM broadcasting receiver
KR19990042786A (ko) 복합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오디오 모드 선택시 메뉴화면디스플레이방법
JPH0519947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276833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970000764B1 (ko) 텔레비젼방송의 언어선택방법
KR100256613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슬립모드시시간설정방법
US6888581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46759B1 (ko) 시스템시간 자동 설정방법
KR100252718B1 (ko) 스테레오/모노 모드의 절환방법
KR19990042308A (ko) 음성다중 및 스테레오 모드 선택이 가능한 복합방송 수신기
KR101001000B1 (ko) 시각장애자를 위한 선호채널 서비스 방법
KR19990015256A (ko) 텔레 텍스트를 이용한 긴급방송 인터럽트 방법
KR100246794B1 (ko) 프로그램 안내방법
KR100226102B1 (ko) Tv에서 상호 혼합된 음성 출력시 자동 문자 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