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368A - Configuration method of integrated distribution panel - Google Patents

Configuration method of integrated distributio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368A
KR19990042368A KR1019970063168A KR19970063168A KR19990042368A KR 19990042368 A KR19990042368 A KR 19990042368A KR 1019970063168 A KR1019970063168 A KR 1019970063168A KR 19970063168 A KR19970063168 A KR 19970063168A KR 19990042368 A KR19990042368 A KR 1999004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istribution panel
cooling
presen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79548B1 (en
Inventor
최형석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1997006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548B1/en
Publication of KR1999004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548B1/en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특고압 폐쇄형 수배전반에 관한 구성로써 "제1도"와 같이 기기의 적층구조배치와 통전순서에 의한 순차배열로 소형화하고 열원의 (28)에 의한 발생근본부분의 밀폐차단 및 냉각으로 타 기기로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및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회로를 구성하며, 특고압 전로의 인접부분 문 개폐, 온·습도 감지쎈서, 양측 면의 충격감지쎈서, 이상소음감지쎈서, 전류감지쎈서 등을 복합한 상황판단지능쎈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정된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여 일체화된 1면의 판넬로 구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mall extra-high voltage closed switchgear, which is miniaturized in a sequential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tacked structure arrangement and energization order of the equipment as shown in FIG. 1, and is closed and cooled at the origin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28). Stable circuits ar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n other devices.The doors of adjacent high voltage converter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the shock sensors on both sides, the abnormal noise sensors, and the current sensors Using a situation determination intelligence algorithm,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back and the like, a stable electrical circuit was constructed and integrated into one panel.

그리고, 외부에서 문 개폐 없이 내부를 투시하여 전로부분 접근없이 일상적인 관리를 손쉽게 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rough the insid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from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daily management without access to the converter.

종래의 폐쇄형 수배전설비는 적층구조가 아닌 순차적 배치구조로써 최소한 4면 이상 다수개의 분리된 패널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비하여 넓은 소요면적과 공간이 필요하고 다수개의 구획분리 판넬구성에 따른 설치비용이 막대하였던 바 본 발명은 안전성과 안전성 확보, 열원의 차단 및 열원 발생부분의 최소 구획 및 냉각으로 기기 효율성의 증대, 불필요한 공간낭비 지향으로 공간구획을 최소 규모로 적절하게 유지하여 이의 기능과 역할을 충분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한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발명으로써 본 구성방법을 활용하면 건설공기의 단축, 소요, 비용 절감, 부지 소요 면적의 축소, 전기적인 안정성과 사용상의 안전성을 동시에 꾀할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발명이다.Conventional closed water distribution equipment is a sequential arrangement structure, not a laminated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parated panels of at least four sides, requires a large required area and space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normous in co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afety and safety, blocks heat source, increases the efficiency of equipment by minimizing and cooling the heat source generating part, and maintains the space compartment on a minimum scale appropriately for unnecessary waste of space. It is a very useful and practical invention that is designed to be fully utilized, and it is highly desirable to use this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construction air, reduce the cost, reduce the required area, and achieve electrical stability and safety at the same time. Invention.

Description

일체화 수배전 판넬의 구성 방법Configuration method of integrated distribution panel

종래의 특고압 수배전반 시설은 통상 전력 인입 부분부터 자동구간 선로 계폐기(Auto Section Switch) 피뢰기(Lightening Arrester), 선로 차단기(Power Fuse or COS), 전력량 계량장치(Metering Out Fit), 변압기(Electric Potential TR), 중앙 콘트롤 차단기(Main Control Circuit Breaker)의 순차 구성으로서 최소 4면 이상의 분리된 판넬로 구성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 비하여 넓은 소요면적과 공간이 필요하였고, 또한 다수개의 구획 분리 판넬구성에 따른 제작·설치 비용이 막대하였던 바, 전체 수배전 시설의 구축에 필요한 요소기기류의 장착을 위한 구성 자원 및 공간의 낭비가 심하였으며, 종종 발생하는 수전시설의 소손사고 또한 적절하고 확실한 대책을 강구하기 용이하지 아니하였다.Conventional high-voltage switchgear facilities usually include power section, auto section switch, lightning arrester, power fuse or COS, metering out fit, and transformer (electric potential). TR), the main control circuit breaker (Main Control Circuit Breaker) is composed of a separate panel of at least four sides as a sequential configuration, it requires a larger required area and space than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partition separation panel As the cost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was enormous, the waste of constituent resources and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urea equipmen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ntire power distribution facility was severe. No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하 종래의 시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개량 보완함과 아울러 4면이상으로 분리된 판넬이 사용에 따른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특고압 수배 전반의 요소기기 장착을 하나의 종합 판넬내부에 효율적인 공간구획으로 적층구조 배치하고 집약화된 요소 구성기기의 통전 순서를 순차 배열하여 대용량 전력 투입 조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한편, 오히려 기준 재래식 수배전반 시설보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고압 전로 인접 부분의 문(Door) 개폐 시그널 경보, 온·습도 감지 센서, 직육면체 구성면의 충격 감지 센서, 이상 소음 감지 센서, 전류 감지 센서 등을 복합한 상황 판단 지능 센서 알고리듬을 한 세트만 이용하여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체화된 1면의 판넬로 구성함과 아울러 안정성 유지를 위한 필요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장치의 규모를 축소하여 제작 및 설치 경비를 대폭 절감하며, 공간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좁은 공간에서 임시 전력 공급용 수배전 시설 또는 상시 전력 공급용 수배전 시설 설치에 따르는 설치시공 제반 여건의 저해 요소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져 도모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and supplem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acilities, and removes inefficiency due to the use of a panel separated over four sides. In order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large-capacity power input control by arranging the laminated structure and arranging the energization order of the concentrated element components in an efficient space compartment, the door of the adjacent part of the high voltage convert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than the standard conventional switchgear facility. ) To ensure stability and safety at the same time using only one set of situational judgment intelligent sensor algorithms that combine open / close signal alarm,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shock sensor, cubic noise sensor, current sensor, etc. It consists of an integrated panel on one side and maintains stability Significantly reduc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by reducing the size of the device while maintaining the required separation distance, and maximize installation efficiency by installing installations for temporary power supply or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for temporary power supply in confined spaces Inhibitors of various conditions have been drastically improved.

또한 수배전 시설 구성의 핵심요소인 동시 높은 온도의 발열이 일어나는 변압기(Electric Potential Transmitter)의 구성 공간을 적절하게 유지하면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열 발생부분의 최소 구획 설정이 용이하여지므로 냉각기기의 사용 대상 공간이 집약화되어 구성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발견하여 이를 실제 장치화하고자 하였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proper space of the electric potential transmitter, which is a key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facilit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waste of unnecessary space and to easily set the minimum compartment of the heat generating part. As the space to be used for the cooling device is concent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제1도 : 개략 사시도Figure 1: Schematic perspective view

제2도 : H2 측면에서 본 외관의 모습Figure 2: Appearance of the exterior from the H2 side

제3도 : H1 측면에서 본 외관의 모습Figure 3: Appearance of the exterior from the H1 side

제4도 : 제1도의 면에서 본 외관의 모습Fig. 4: Appearance of appearance from the perspective of Fig. 1

제5도 : 밀폐판 및 가스켓 설치의 상세도Figure 5: Detailed drawing of the installation of sealing plate and gasket

제6도 : A-A' 면의 상세도6: Detail view of A-A 'plane

제7도 : 변압기의 상부 투시도Figure 7: Top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제8도 : 본 발명의 개략적인 통전 회로도8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 : 기존 시설들의 판넬 구성 외관 개략사시도Fig. 9: Outline view of panel composition of existing facilities

제10도 : 응급상황 대처용 상황판단 제어 알고리듬Figure 10: Situation Judgment Control Algorithm for Emergency Response

제11도 : B부분의 상세를 겸한 열방산 구조개념 사시도11: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with the detail of the B p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장치 이송용 아이볼트 2. 열반사 단열재1. Eye bolt for device transfer 2. Heat reflection insulation

3. 장치 상부 방수커버 4. 내부투시가 가능한 안전 커버3. Water-proof cover on the top of the device 4. Safety cover for internal viewing

5. 개폐용 손잡이 6. 피뢰기5. Opening and closing handle 6. Lightning arrester

7. 파워휴즈(Power Fuse)장치 8. 내부 조명용 램프7. Power Fuse Device 8. Internal Lighting Lamp

9. 상태 표시용 계기함 10. 냉각공기 통로9. Instrument box for status display 10. Cooling air passage

11. 변압기 11'. 공간11. Transformer 11 '. space

12. 레일 13. 일체화 판넬12. Rail 13. Integrated Panel

14. 전력량 계랑 장치 14'. 공간14. Power metering device 14 '. space

15. 회로 보호용 선로구간 자동 개폐기15. Circuit section automatic switchgear

15'. 공간 16. 내부 받침용 브라케트15 '. Space 16. Brackets for internal support

17. 버스바(BUS BAR) 18. 고압측 단자 애자17. BUS BAR 18. High Voltage Terminal Insulator

19. 저압측 단자 애자 20. 중앙콘트롤 차단장치19. Low voltage terminal insulator 20. Central control breaker

21. 일체화 판넬 22. 변압기표면 또는 변압기의 방열기표면21. Integrated panel 22. Transformer surface or radiator surface of transformer

23. 차단 스위치 24. 브레커 스위치 노브23. Disconnect switch 24. Breaker switch knob

25. 변압기 상부 조임 볼트 26. 변압기 상부 해치25. Transformer upper tightening bolt 26. Transformer upper hatch

27. 변압기 내부압력 조절용 안전 밸브27. Safety valve for internal pressure control of transformer

28. 변압기 상부 밀폐용판 29. 투시창문28. Sealing plate on the upper part of transformer 29. Perspective window

30. 고압선로 31. 투시창30. Power Cable 31. Viewing Window

32. 공간 33. 냉각 공기 통로32. Space 33. Cooling air passage

34. 냉각공기노즐 35. 방열구조체34. Cooling air nozzle 35. Heat dissipation structure

S1. 변압기 온도 감지 제어 S2. 외부 온도 감지 제어S1. Transformer temperature sensing control S2. External temperature sensing control

S3. 문 계폐 감지센서 S4. 외부 충격 감지센서S3. Door lock sensor S4. External shock sensor

S5. 전압 전류 감시계 S6. 역률 및 주파수 감지계S5. Voltage current monitor S6. Power factor and frequency detector

이것을 상기 사항을 첨부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는 본 발명품의 개략 사시도면으로서 장치의 좌우 구분없는 임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주요 구성 및 전로의 주요 흐름순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5)회로보호용 선로구간 자동계폐기의 상부 단자에서 고압전력이 투입되기 시작하여 (6)의 피뢰기 (7)의 선로 차단기 (14)의 전력량 계량 장치 (11)의 변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인데 종래의 시설은 보편적으로 이러한 과정에 각각의 개별 판넬을 사용하였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ny side of the device without any distinction, and described based on the main configuration and the main flow order of the converter (15) at the upper terminal of the circuit protection line section automatic switch The high voltage power starts to be introduced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ransformer of the power metering device 11 of the line breaker 14 of the arrester 7 of the conventional art. Was used.

본 발명품은 (11)의 변압기를 기준으로 하여 (15)회로 보호용 선로 구간 자동 계폐 장치와 (15')공간을 상부 일측면 부위에 위치시키고 (6)피뢰기와 (7)파워 휴즈 장치를 또다른 일측면에 위치시킨후, (16)과 같이 구성한 내부 받침용 브라케트(Bracket)로 적층 구성함과 아울러 (14)의 전력량 계량장치와 (11)의 변압기 및 (11')의 변압기 주변공간을 하부에 각각 별도로 구획하므로써 하나의 판넬내부에 일관된 순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졌으며 이를 통한 효과적인 공간 구획으로 기존의 시설에 비하여 월등하게 장치의 규모를 줄일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ransformer of (11), (15) circuit protection line section automatic locking device and (15 ') space in the upper one side portion (6) lightning arrester and (7) power fuse device After positioning on one side, it is laminated with an internal support bracket configured as in (16), and the power metering device of (14), the transformer of (11) and the transformer surrounding space of (11 ') By separately partitioning the lower part,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 consistent order inside a panel. Through this, effective space partitioning was a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significantly compared to existing facilities.

또한 본 발명품은 (11)의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28)과 같이 형성시킨 밀폐판과 (30)의 가스켓(Gasket)으로 "제6도"와 "제7도"와 같이 설치하면 변압기의 종류 또는 용량이나 크기 규모에 맞추어 아주 용이하게 제한된 공간에 냉각 대상 면적을 축소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제6도"에서는 불투명한 덮개로 "제7도"에서는 투명한 것으로 가정하여 개념적인 정의를 서술하였으며 "제5도"의 형상과 같이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heat generated in the transformer of (11) as shown in (28) and the gasket of the (30) and the gasket (30) as shown in "Figure 6" and "Figure 7" of the transformer The advantage is that the cooling target area can be reduced in a limited space very easily according to the type, capacity, or size scale. The conceptual definition is assumed by the opaque cover in Fig. 6 and the transparent in Fig. 7. It described and configured as the shape of "figure 5".

(11)의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통상적으로 몰드식 변압기의 경우에는 그다지 발생열이 높지 않으나 유입식 변압기의 경우는 몰드식 변압기의 경우보다 발생열이 높으므로 반드시 냉각이 필요한 바 본 발명에서는 유입식 변압기와 몰드식 변압기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유입식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서술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어느형식을 사용하거나 관계없이 제한된 공간의 부피가 자체 변압기의 부피를 감산한 (L2)×(H5)×(L4)이므로 냉각이 필요한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더 집약화 되고 콤펙트(Compact)한 장치의 제작 구성이 가능하여 진다.Heat generated in the transformer of (11) is usually not high heat generated in the case of a molded transformer, but in the case of an inflow transformer is generated heat is higher than that of a molded transformer, it is necessary to cool the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and a mold type transformer, it is assumed that the main use of the inlet transformer. As a whole, regardless of which type is used, the volume of the limited space is (L2) × (H5) × (L4), which subtracts the volume of its own transformer, thus reducing the space required for cooling, resulting in a more compact and compact device.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of the can be possible.

변압기의 냉각에 필요한 구성장치는 공조용 소형 브로어(Blower)나 환기 휀(Fan)류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도"의 (10) 이나, "제3도"의 (10')와 같이 냉각공기의 방향을 구성할 수 있는데 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냉각공기의 입출의 방향인 (10)과 (10')의 역할을 바꿀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 small blower or ventilation fan for air conditioning, and in some c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it may be necessary to use a cooling apparatus such as "10" of FIG. As shown in (10 ') of FIG. 3, the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can be configured, and the roles of (10) and (10'), which are the directions of inlet / outlet of the cooling ai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또한 (33)의 통로를 따라 이송된 냉각공기는 (34)의 노즐을 통하여 노줄 선단의 압력을 1.5~3.0atm 이상의 풍압을 유지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열역학 제1법칙(First law thermodynamics)"에 의거하여 냉각공기의 압축 및 압축 해지비율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므로 이의 계산을 통하여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냉각열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적절한 냉각만으로도 변압기의 정격용량을 몰드식 변압기의 경우 30~50%까지 향상시킬 수 있고, 유입식 변압기의 경우에는 10~20% 정격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air conveyed along the passage of (33) needs to maintain the wind pressure at the tip of the row through the nozzle of (34) at a pressure of 1.5 to 3.0 atm or more, and is based on the "first law thermodynamics". Therefore, the higher the compression and compression release ratio of the cooling air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cooling heat required for cooling through calculation of this. With proper cooling, the rated capacity of the transformer is improved by 30-50% in the case of a molded transformer. In the case of inlet transformers, the rated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10 – 20%.

또한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22)를 (28)에 의하여 둘러싸고 있는 제한돈 공간내에 충분하게 "제11도"의 (b) 및 (c)와 같이 상향류식 샤워(Shower)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28)과 같은 밀폐판으로 제한한 공간은 실제로 항상 1㎥를 밑돌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바, 일반적인 공기의 비열은 개략 0℃에서 0.3105kcal/㎥℃ 이고 변압기 기동에 따른 변압기 내부권선의 부하손실율이 노후되어 상승하여 5%라 가정하여도 부하 손실에 따른 냉각에 필요한 실제 열량은 (22)변압기의 일반적인 최대부하 발열량을 충분히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대략 1,000 KVA용량의 경우 600w 정도이므로 다음 식에 의하여 냉각공기가 이동되어 팽창의 일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필요공기량을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upflow shower as shown in (b) and (c) of FIG. 11 sufficiently in the limited space enclosed by (28). Can b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limited to the enclosed plate as shown in (28) can actually be always below 1 m 3, and the specific heat of general air is approximately 0.3105 kcal / m 3 C at 0 ° C. Even if the load loss rate of the winding is aging and rises to 5%, the actual amount of heat required for cooling according to the load loss is (600)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maximum load calorific value of the transformer. Equation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air required to move the cooling air to perform the work of expansion.

ΔE = Δq + Δw---------------- 식(1-1)ΔE = Δq + Δw ---------------- Formula (1-1)

= Δq + (-ΔPextΔV --------- 식(1-2)= Δq + (-ΔP ext ΔV --------- Equation (1-2)

= Δq - ΔPextΔV------------식(1-3)= Δq-ΔP ext ΔV ------------ Equation (1-3)

여기서 ΔE는 에너지 변화량이며 Δq는 열의 이동량이고, Δw는 일의 이동량이다. 여기서 ΔPext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과 해지된 압력의 차로써 상향류식 압축 냉각공기의 단열팽창을 이용하면 ΔV 냉각기체의 용적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보다 더 큰 효과를 거둘수 있다.Where ΔE is the amount of energy change, Δq is the amount of heat, and Δw is the amount of work. In this case, ΔP ex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ly applied pressure and the released pressure. By using the adiabatic expansion of the upflow compressed cooling air, the volume change of the ΔV cooling gas may occur.

또한 (22)와 (28)에 의하여 제한된 공간의 필요 냉각 공기의 효과적인 이용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발열체인 변압기의 보다 빠른 열방산이 필요한 바 본 발명의 냉각과정이 주로 대류 및 전열과정에 의한 표면이 발열을 제어하고져 하였으며 열을 방산하는 (22)변압기 표면의 온도 T1과 외기온도 T2의 차이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대류 및 전열의 효율을 높여줄 필요성이 있으므로 "제6도", "제11도" (35) 같이 구성한 열방산 구조물을 (22)의 주변에 밀착시켜 구성하면 보다 더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이때 열방산용 구조물은 전열효과가 높은 알루미늄박판이나 전해동박판, 금속인 주철 또는 철 입사판을 사용하여 자연대류시보다 전열계수(kcal/㎥hr℃ )를 높여서 사용할 수 있으며 (22)변압기 표면 방열체와 (35)열방산용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2')의 보온재의 경우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으며 전기적통전성이 매우 낮은 목재나 가죽, 고무 셀룰로이드 또는 슬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effective use of the required cooling air of the space limited by (22) and (28), faster heat dissipation of the transformer, which is a heating element, is required. The coo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performed by convection and heat transfer processes. This heat generation is controlled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vection and heat transfer to make the mos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T1 and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2 on the surface of the transformer that dissipates heat. "I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constructed as (35) is close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22), the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In this cas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made of aluminum sheet having high heat transfer effect, electrolytic copper sheet, cast iron or iron incidence plate. It can be used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kcal / ㎥hr ℃) than natural convection and (2) insulation material surrounding (22) transformer surface radiator and (35) heat dissipation structure. If may be used had a thermal conductivity of a ver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is very low wood or leather, rubber or celluloid slate and the like.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공간내의 (22)와 (35)의 냉각에 소요 되는 필요공기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고찰 할 수 있는데 (34) 노즐선단의 압력 P1과 상향류되면서 해지되는 압력P2 차이 ΔP와 변압기표면의 온도 T1과 외기온도 T2의 차이 ΔT는 언제나 상수로 계측기에 의한 검지가 가능한 바 윗식과 연산하여 쉽게 필요공기량과 소요 에너지량을 산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air required for the cooling of the (22) and (35) in the limited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idered as follows (34) Difference ΔP between the pressure P1 at the tip of the nozzle and the pressure P2 released as it flows upward The difference ΔT between the temperature T1 on the surface of the transformer and the outside temperature T2 is always a constant and can be calculated from the above equation, which can be detect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 to easily calculate the amount of air and energy required.

P1V1 -= T1 -------------식(2-1)P1V1-= T1 ------------- Formula (2-1)

P2V2 = T2--------------식(2-2)P2V2 = T2 -------------- Formula (2-2)

(P1 -P2)(V1-V2) = (T1 - T2)--식(2-3)(P1 -P2) (V1-V2) = (T1-T2)-Equation (2-3)

따라서 ΔP(V1 -V2) = ΔT------식(2-3-1) 인데So ΔP (V1 -V2) = ΔT ------ Equation (2-3-1)

여기서 V2 용적은 (28)에 의하여 제한하였으므로 상수인 관계로 공급되어야할 필요공기량 V1용이하게 연산할 수 있다.Since the V2 volume is limited by (28), it is possible to easily calculate the required air volume V1 to be supplied in a constant relationship.

그러므로 필요공기량은 "제10도" (S1)과 (S2)의 연산으로 계산되어 실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각각의 개별 상수의 대입의 참고 예를 다종다양한 기종 및 용량에 적용할 수 있다라는 개념 설정을 위하여 생략하였다. 또한 열방산을 아래식과 같은 특성이 있으므로 외부공기의 인입을 하부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열의 과정을 보다 더 제한되고 작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열 계수(Ec)가 높아야 함을 발견하였다.Therefore, the required air amount can b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s of "figure 10" (S1) and (S2) and can be applied in practice. In this specification, reference examples of the substitution of each individual constant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and capacities. Omit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yes'.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t is preferable to start the intake of the outside air from the bottom, it was found that the heat dissipation coefficient (Ec) must be high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limit the heat dissipation process in a small space.

상향류의 경우 For upflow

하향류의 경우 Ec = 1.54√ T1-T2---------식(3-2) 단, ,T1>T2For downflow Ec = 1.5 4 √ T1-T2 --------- Equation (3-2) provided, T1> T2

따라서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냉각공기의 기온이 상온인 것으로 가정하면 냉각통로에 요구되는 냉각 공기량은 (22)와 (28)에 의하여 제한된 공간의 자연수의 배수로 T1, T2의 상시 온도 측정을 통하여 비례적인 함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여유있는 냉각장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송풍모터의 비례제어 연산의 어드레스(address)를 "제10도"의 (S1)과 같은 개념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is room temperature, the cooling air required for the cooling passage is measured at constant temperature of T1 and T2 as multiples of natural water in the space limited by (22) and (28). The proportional function can be calculated and the address of the proportional control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which can not only determine the size of the cooling system but also change the ventilation volume, is shown in (S1) of FIG. Could be set as a concept.

본 발명은 통로를 형성하여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 냉각공정운전에 필요한 제어 요소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 알고리듬에 의하여 동작 정지의 신호를 받아서 연동하게 되며 급속하게 흐르는 공기가 (34)노즐 통로를 형성하여 압축되었다가 압력이 해지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단열팽창 기체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가 삼차원 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층된 "제11도"의 (35)열방산 구조체와 접촉됨으로 인하여 집중적으로 냉각을 시키게 되어 변압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일조 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구성하면 상향류 냉각시 한층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개괄적인 개방 공간구조의 단순 대류와 다름없는 종래 판넬의 냉각시설보다 월등하게 운전관리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element necessary for the cooling process operation is formed by forming a passage to effectively contr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ransformer. The control element as shown in FIG. Rapidly flowing air (34) forms a nozzle passage, where the air cooled by the adiabatic expansion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leasing pressure is efficiently stacked in three-dimensional space (35). Due to the intensive cooling due to contact with the acid structure, it can help to prolong the life of the transformer.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b) can expect more effect in the upflow cooling. It can pursu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management far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oling system of the panel.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장치의 최소 규모화를 실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가로 세로의 비율을 폭이 좁은 일측면을 기준으로 1:1.2 또는 1:1.5 수준 범위에서 유지시킬 수 있으나 기존 시설에서는 "제8도"에서와 같이 대략 1:3.5 또는 1:4의 비율이 유지되어야 가능하므로 본 발명을 통하여 생산된 제품은 기존 판넬에 비하여 바닥소요 면적이 대폭 줄어 들게 된다.Therefore, in realiz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which i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It can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1: 1.2 or 1: 1.5 level as standard, but in existing facilities, the ratio of about 1: 3.5 or 1: 4 can be maintained as in the "Figure 8". Compared to the existing panels, the floor area is greatly reduced.

이와같이 바닥면적이 대폭 축소된 본 발명품의 일단의 용도는 본 명세서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전체의 판넬을 바퀴나 레일 위에 장착하여 제작하면 이송, 이설이 용이해지는 바 주로 중, 대형 건설현장이나 장기간의 시공기간이 필요한 플랜트 설비현장에서 설치 위치를 변경해가며 임시전력 공급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시 전원 공급용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기존 시설은 바닥 면적을 많이 점유하는 관계로 직접 부하 발생 중심지에 위치시키기에 곤란하여 주로 지하 또는 옥상 등 인적이 드물고 바닥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장소 등 부하 발생 중심과 거리가 먼 곳에 장치되어졌으나 본 발명을 통하면 좁은 바닥 공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기존 시설에 비하여 훨씬 부담없이 직접 부하 발생의 중심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하 발생의 중심지에서 배전을 할 수 있는 점을 바탕으로 많은 전로 공사 요소를 경감할 수 있고, 사용시 전기 이용 효율을 자연스럽게 높일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발명인 것이다.Thus, the use of one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greatly reduced floor area is not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when the entire panel is mounted on wheels or rails, it is easy to transport and relocate, mainly for medium and large construction sites or long construction periods. This plant can be easily used for temporary power supply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at the site of installation, and it can also be used very usefully for continuous power suppl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be located in the center, it is installed in a place far from the center of load generation, such as a place where humanity such as the basement or the rooftop is rare and the floor space utilization is low,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arrow floor space is required. So that it can be directly located in the center of load generation do. Therefore, on the basis of being able to distribute power in the center of load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ny converter construction elements, and it is a very practical invention that can natural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electricity use.

이를 다시 첨부도면을 통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2도"는 장치의 구성상 상시 계폐가 가능한 4측면 중 일면으로서 주로 판넬의안정성 점검, 경보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0도"와 같이 구성한 응급상황 대처용 상황판단 제어 알고리듬이 장치된 (9)의 상태 표시용 계기함을 위치시켜 쉽게 다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3도"는 "제2도"의 대향편에 위치되는 4측면 중 일면이다. "제3도"의 측면은 주로 배전용 저압측으로서 스위치 및 브레커 노브 등을 손쉽게 조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4도"는 "제2도"와 "제3도"의 일측면으로서 대향되는 면의 구성이 같은 관게로 본 명세서에는 하나만 도시하였다. "제4도"는 본 명세서에는 도시하지 아니 하였으나 기존의 자석 이용식 푸시형 도어를 취부 요소별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1회만 누르면 외측면에 구획된 부위들이 열려져서 손쉬운 계폐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유입식 변압기를 사용할 때 (12)의 레일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점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Figure 2" is one of the four sides that can be closed at all time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control algorithm device for emergency response, which is configured as "Figure 10", mainly for facilitating the stability check and alarm of the panel. (9), the status display instrument box is located so that it can be easily different, and "third" is one of four side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second degree". The side of FIG. 3 is mainly for the low pressure side of the power distribution, which enables easy operation of switches and breaker knobs. "FIG. 4" is shown in this specification only on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pposite surface as one side of "FIG. 2" and "FIG. 3". "FIG. 4" is not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the existing magnet-operated push-type doors can be mounted by mounting elements, so once pressed, the compartments opened on the outer surface can be easily opened. In particular, when using an inflow transformer, it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rail of (12)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이와 같이 4측면이 구성된 판넬은 전후 좌우면의 구분없이 상시 점검이 가능한 특징을 갖출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설비가 장착되는 측벽으로부터 일정간격 만 이격되면 4측면의 어느부위를 전면에 세우게 되어도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Thus, the panel consisting of four sides can be equipped with a feature that can be checked at all times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even if a certain distance is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on which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inconvenienc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can be avoid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수배전시설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사용공간을 축소시키면서도 안정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수배전시설에 비하여 고가의 판넬을 적게 사용하므로 저렴한 제작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장치의 규모가 집약화되고 성력화 되는 점을 바탕으로 직접적으로 부하의 중심지에 위치시켜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여 부하측 배전선로 시설 규모를 대폭 축소시키며 배전 선로길이의 저감에 따른 항구적인 전기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고 정격용량부하 대응에 유리한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wate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use space and increase the stability and safety, and use less expensive panel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ater distribution facilities, it takes a low production cost and economical to be. In addition, it is very easy to install and install directly in the center of load based on the size and efficiency of the device, which greatly reduces the size of the load-side distribution line facility and saves permanent electric energy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line. It is a revolutionary invention that is advantageous in response to the rated capacity load.

본 발명은 6,600V 이상의 특고압 수배전반 시설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 최대로 공간 이용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전력공급 안정성 및 사용상 안정성의 극대화를 추구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nd maximizing power supply stability and use stability i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igh voltage switchgear facility of 6,600V or more.

Claims (4)

일체화 수배전 판넬의 구성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이 구성기기중(6), (7), (15)를 상부에 (16)과 같이 형성시킨 구조물위에 적층으로 장착하고 하부에는 (28), (30)으로 밀폐시킨 제한공간내에 냉각 대상공간을 별도로 구획하여 냉각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10도"의 (S1)과 같이 운영하는 한편 (14)의 계량장치와의 하부 공간구획을 이루어 안전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키고져 도모한 수배전 판넬의 구성.In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power distribution panel, as shown in FIG. 1, the components 6, 7, and 15 of the components are stacked and mounted on the structure formed as shown in (16) at the top, and (28) at the bottom. In order to maintain the efficiency of cooling by separately partitioning the cooling target space in the restricted space enclosed by (30), the algorithm is operated as in (S1) of FIG. 10 while the lower space with the metering device of (14). The distribution panel is designed to maintain safety and stability by forming a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28) 및 (22)에 의하여 구성된 제한공간내에 (35)의 열방산구조물을 "제11도"의 (a), (b), (c), (d)와 같이 삼차원 공간내에 적층구조시킴과 아울러(34)의 노즐을 통과하는 가압된 공기가 압력이 해지되면서 "제6도"와 같이 상향류식 기류를 형성하여 제한공간내의 변압기의 냉각을 실시하고 "제11도"의 (35)를 적용공간내에 복층 구성함에 있어 층류를 형성하는 하방의 세트와 상방의 세트가 서로 대향되게 하여 통과 기체의 난류가 형성되며 냉각효율성을 유지코져 도모한 수배전 판넬의 구성.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35) in the confined space constituted by (28) and (22) as in (a), (b), (c), (d) of FIG. In addition to the laminated structur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essurized air passing through the nozzle of 34, the pressure is released to form an upflow air flow as shown in "figure 6" to cool the transformer in the confined space "figure 11 (35) In the multi-layer structure in the application space, the lower and upper sets forming the laminar flow face each other so that the turbulent flow of the passing gas is formed, and the distribution panel is designed to maintain the cooling efficiency.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35)의 재질을 알루미늄박판이나 전해동박판 또는 금속 주철 또는 철 입사판을 혼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한 것으로서 "제11도"의 (b)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하여 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것.Th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and 2, wherein the material of (35) is mixed or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luminum thin plate, an electrolytic copper thin plate, or a metal cast iron, or an iron incidence plate. It is formed to induce the flow of air upward. 제1항과 같이 구성한 수배전 판넬에 있어서 가로세로의 비율을 좁은 일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1:1.2 에서 1:1.5범위이고 4측면의 제어를 위한 주요기기가 "제2도" 및 "제3도", "제4도"와 같이 투시창에 의하여 용이하게 관찰되며 "제10도"와 같은 상황판단의 알고리듬 및 측정기가 센서류를 한세트만 이용하여 사용상의 안전성 및 안정성의 유지시킴과 아울러 판넬의 전후좌우 구분을 주지 아니하여도 옥내외의 부하중심지에 설치되어 원격시가 가능한 수배전 판넬의 구성.In the distribution panel constructed as described in claim 1, the ratio of width to height is in the range of 1: 1.2 to 1: 1.5 based on the narrow one side, and the main equipment for the control of the four sides is "FIGS. 2" and "3. It is easily observed by the see-through window as shown in Fig. 4 and Fig. 4, and the algorithm and measuring instrument of the situation judgment as shown in Fig. 10 maintains safety and stability in use by using only one set of sensors. It is a distribution panel that can be installed remotely by installing in load centers indoors and outdoors without giving the left and right distinction.
KR1019970063168A 1997-11-26 1997-11-26 Water distribution equipment KR100279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168A KR100279548B1 (en) 1997-11-26 1997-11-26 Water distribu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168A KR100279548B1 (en) 1997-11-26 1997-11-26 Water distribu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368A true KR19990042368A (en) 1999-06-15
KR100279548B1 KR100279548B1 (en) 2001-03-02

Family

ID=6609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168A KR100279548B1 (en) 1997-11-26 1997-11-26 Water distribu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5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002B1 (en) * 1999-07-26 2002-10-25 상덕전기 주식회사 all competent composition electric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78B1 (en) 2021-08-11 2022-04-14 강철수 The switchboard with cooling device
KR102386580B1 (en) 2021-08-11 2022-04-14 강철수 The switchboard with coo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002B1 (en) * 1999-07-26 2002-10-25 상덕전기 주식회사 all competent composition electric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548B1 (en)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5914A1 (en) Integration of a service cabinet into a street furniture
US9819159B2 (en) Low profile variable frequency controller with cooling and process
JP6182427B2 (en) switchboard
US20080104965A1 (en) Energy Saving Telecommunications Shelter
KR19990042368A (en) Configuration method of integrated distribution panel
CN214094404U (en) Wisdom is equipment box for lamp pole
KR20180025497A (en) Distributing board that can dissipate heat inside
WO2015079586A1 (en) Electric equipment housing
CN207994462U (en) 35kV prepayment metering complexes
CN110364938A (en) A kind of explosion-proof power distribution cabinet convenient for safeguarding
CN201589800U (en) Metering box of magnetic card instrument
JP3079337U (en) Outdoor iron box for storing electrical equipment
KR101685024B1 (en) Load measuring apparatus
CN203607711U (en) Outdoor electric meter box
KR200497512Y1 (en) distributing board casing having sunshade
CN210297048U (en) Armored movable alternating current metal enclosed switchgear
CN209544929U (en) A kind of heat-insulated moveable box-type substation
JPH07194140A (en) Solar battery power generator
CN213520850U (en) Bracket for energy-saving low-voltage switch cabinet
CN213462819U (en) Regional intelligent control ware of pipe gallery of high heat dissipating ability
CN215071251U (en) Switch cabinet
CN214850045U (en) Box-type substation
CN215071318U (en) Integrated high-low voltage prefabricated substation
CN220896126U (en) User side energy storage electric cabinet
KR20200030386A (en) A distribution transformer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2001000021; OPPOSITION DATE: 20010122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829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239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829

Effective date: 200802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