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416U -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 Google Patents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416U
KR19990040416U KR2019980007060U KR19980007060U KR19990040416U KR 19990040416 U KR19990040416 U KR 19990040416U KR 2019980007060 U KR2019980007060 U KR 2019980007060U KR 19980007060 U KR19980007060 U KR 19980007060U KR 19990040416 U KR19990040416 U KR 19990040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separator
feed roll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0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7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416U/en
Publication of KR19990040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16U/en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자동 용지급지장치에서 용지를 자동으로 급지하는데 있어 여러장의 용지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가 급지로울러에서부터 신속하게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지가 여러장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는 중송방지 기능이 더욱 신뢰될 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지를 적재하고 제1가압패드를 가진 선단부가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가 여러장 급지되지 못하도록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제2가압패드를 가진 세퍼레이터와, 상기 녹업플레이트 및 세퍼레이터에 급지시 상승력을 부여하여 소정의 일정압력으로 급지로울러에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레버와, 상기 리프트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크랭크샤프트로 구성되는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 상기 세퍼레이터는 급지로울러에 대해 대각선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하단부는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단부는 급지시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이 해지되면 그즉시 상기 세퍼레이터 상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급지로울러와 신속히 이격되도록 한것으로서, 이러한 이격으로 용지가 딸려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중송불량이 미연에 방지된다.This design prevents the feeding of multiple sheets of paper by quickly separating the separator from the feed roller, which prevents the feeding of multiple sheets of paper in the automatic paper feeder used in office equipment such as printers. An automatic paper feeder tha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an anti-feeding function to prevent the feeding, and is a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an feeding, wherein the tip of the paper-loading device and the first pressing pad having the first pressing pad are pivotable around the hinge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A separator having a knock up plate and a second press pa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prevent the sheet of paper stacked on the knock up plate from being fed, and a predetermined constant pressure by applying a lift force when feeding the knock up plate and the separator. Pressurized by the feed roller In the automatic paper feeder consisting of a lift lever for providing a rotation force, a lever arm for a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lift lever, and a crank shaft for supporting the lever arm to rotate, the separator is incli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feed roller. The lower end is restrained by a hinge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while the upper end is installed to receive the pressing force of the lift lever when feeding, and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lift lever is released, the upper end of the separator is immediately lowered by its own weight. It is to be quickly spaced apart from the feed roller, and the paper feed does not come in such a space, so that the feeding error is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본 고안은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자동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를 자동으로 급지하는데 있어 여러장의 용지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가 용지공급시에만 급지로울러에 정확하게 밀접되고 용지미공급 과정에는 급지로울러에서부터 신속하게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지가 여러장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는 중송방지 기능이 더욱 신뢰될 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aper feeder used for office equipment such as a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a separator that prevents the feeding of multiple sheets of paper automatically. It relates to a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n automatic paper feeder that is more precisely and is improved so that the feeding prevention function that prevents the feeding of multiple sheets by quickly falling from the feeding roller during the non-feeding process.

일반적으로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는 용지를 카세트에 적재되도록 하고, 이러한 카세트에 있는 용지는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의해서 낱장씩 공급되어 인쇄장치에 의해서 프린팅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office equipment such as a printer to load the paper in the cassette, the paper in the cassette is fed by the automatic paper feeder sheet by sheet to be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도 1은 그러한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를 보인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용지를 프린터 정면에서 공급하고 인쇄된 용지 역시 정면으로 배지되도록 하는 프런트로딩방식의 프린터를 보여 준다.Figure 1 shows the inside of such an inkjet printer, and in more detail, it shows a front-loading printer that feeds paper from the front of the printer and the printed paper is also discharged to the front.

이러한 프린터로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서 잉크카트리지(1)가 탑재된 캐리지(2)가 좌,우 왕복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급지 구동력을 얻도록하는 것이 발명되었다.As such a printer,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feed paper, it has been invented to obtain a paper feed driving force by using the carriage 2 on which the ink cartridge 1 is mounted to reciprocate left and right.

여기서, 캐리지(2)는 인쇄과정에는 인쇄행정구간에서만 왕복운동한다. 그러나 1장의 용지가 인쇄 완료되어 다음장 공급이 필요로 되는 경우에 인쇄행정구간에서 급지행정구간으로 캐리지(2)가 더 이동하게 된다.Here, the carriage 2 reciprocates only in the printing stroke section during the printing process. However, when one sheet of paper is printed and the next sheet feed is required, the carriage 2 is further moved from the printing administration section to the feeding administration section.

급지행정구간으로 이동되면 캐리지(2)는 캐리지레버(21)를 좌측방향으로 밀게되고, 그로인해 급지동력전환장치부(10)가 동작된다. 즉, 급지동력전환장치부(10)는 하우징(24) 내부에 캐리지레버(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22)와, 상기 제1베벨기어(22)와 직각상태로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23)를 구비한다. 또한, 제2베벨기어(22)에는 크랭크샤프트(30)가 직결된다.When moving to the paper feeding section, the carriage 2 pushes the carriage lever 21 to the left direction, whereby the paper feeding power switching unit 10 is operated. That is, the paper feeding power switching unit 10 is the first bevel gear 22 rotated by the carriage lever 21 in the housing 24 and the first bevel gear 22 is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22 at a right angle. Two bevel gears 23 are provided. The crankshaft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bevel gear 22.

그러므로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는 캐리지(2)에 의해서 캐리지레버(11)가 좌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2베벨기어(22)(23)가 연동되어 캐리지(2)의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절환됨에 따라 크랭크샤프트(3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arriage lever 11 is rotated to the left by the carriage 2, the paper feed power switching unit 2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22 and 23 so that the linear movement of the carriage 2 is performed. As the crankshaft 30 is rotated as the rotary motion is switched.

또한,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급지로울러(5)의 후미쪽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급지장치부(40)가 구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급지장치부(40)는 양측에 각각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rankshaft 30, the paper feeder unit 40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eed roller 5, the paper feeder unit 40 is respectively on both sides It is provided.

도 3에서 상기한 급지장치부(4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나타나 있다. 여기서 크랭크샤프트(30)는 보통 사각형태의 바아(BAR)가 이용된다. 그것은 크랭크샤프트(40)에 고정되는 부품을 쉽게 고정시키고 2세트의 급지장치부(40) 중에 어느 일측의 급지장치부(4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FIG. 3, the paper feeding unit 4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crankshaft 30 is a bar (bar) of a rectangular shape is usually used. This is to make it easy to fix the parts to be fixed to the crankshaft 40 and to move the paper feeder unit 40 on any one of the two sets of paper feeder units 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급지장치부(40)는 레버아암(50)과 리프트레버(60)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레버(60)는 힌지(61)가 레버아암(50)의 힌지보스(52)에 삽입되게 결합되고, 레버아암(50) 및 리프트레버(60)의 후단부에 있는 스프링걸림부(53)(63)에는 당김탄력부재(7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aper feeding unit 40 includes a lever arm 50 and a lift lever 60. The lift lever 60 is coupled to the hinge 61 is inserted into the hinge boss 52 of the lever arm 50, the spring engaging portion 53 at the rear end of the lever arm 50 and the lift lever 60. At 63, the pulling elastic member 7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리프트레버(60)의 선단은 제1가압레버부(62)를 구비하고, 상기제1가압레버부(62)는 패드하우징(41)과 힌지축(42)으로 연결되는 녹업플레이트(43)의 제1가압패드(44)의 밑면을 들어 올릴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ront end of the lift lever 60 includes a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and the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of the knock-up plate 43 connected to the pad housing 41 and the hinge shaft 42.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ing pad 44 is lifted up.

또한, 리프트레버(60)는 중간부에 제2가압부(64)를 구비하고, 그 위에는 승강부재(80)가 패드하우징(41)에 있는 가이드(41f)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80) 위에는 탄력부재(81)가 설치되고, 탄력부재(81)는 패드하우징(41)과 힌지(91)로 연결된 세퍼레이터(90)의 자유단부(93)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90) 상면에는 제2가압패드(92)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ift lever 60 is provided with a second pressing portion 64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ifting member 80 is install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along the guide 41f in the pad housing 41. It is. An elastic member 81 is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80, and the elastic member 81 is configured to press the free end 93 of the separator 90 connected by the pad housing 41 and the hinge 91. The second pressing pad 9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90.

이러한 자동용지공급장치는 용지(p)를 급지하려고 할 때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레버아암(50)의 회전에 의해 리프트레버(60)가 회전됨에 따라 그것의 제1가압레버부(62)가 녹업플레이트(43)를 밀어서 상승되게 하고, 그로인해 그 위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p)는 급지로울러(5)에 밀접되게 된다.In this automatic paper feeder, when the paper p is to be fed, the crankshaft 30 is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as the lift lever 6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50, the first pressing lever portion 62 thereof is pushed up by pushing the knock-up plate 43, whereby the paper loaded thereon (p) becomes close to the paper feed roller (5).

이때, 리프트레버(60)의 제2가압부(64)는 승강부재(80)를 밀어서 상승되게 하고, 그에따라 탄력부재(81)는 세퍼레이터(90)의 자유단부(93)를 가압함으로써 제2가압패드(92)는 급지로울러(3)에 밀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ressing portion 64 of the lift lever 60 pushes up and down the lifting member 80, and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81 presses the free end 93 of the separator 90 to press the second end portion. The pressure pad 9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 feed roller 3.

그러므로 세퍼레이터(90)에 있는 제2가압패드(92)의 일정 압력이 급지로울러(5)에 가해지게 되므로 용지(p)가 여러장 지나가게 되는 것을 막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since a predetermined pressure of the second pressing pad 92 in the separator 90 is applied to the paper feed roller 5, the paper p is prevented from passing by several sheets.

다음, 용지(p)가 안내로울러(6)를 통과하여 프릭션로울러(8)에 이르게 되면 이때는 캐리지레버(21)를 밀고 있던 캐리지(2)가 인쇄행정영역으로 이동됨으로써 크랭크샤프트(30)가 역회전(시계반대방향회전)되는 상태가 된다.Next, when the paper p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er 6 and reaches the friction roller 8, the carriage 2, which has been pushing the carriage lever 21, is moved to the printing administration area, whereby the crankshaft 30 It will be in a state of reverse rotation (counterclockwise rotation).

그로인해 리프트레버(60)는 용지(p)를 포함한 녹업플레이트(43)의 무게에 의해 제1가압레버부(62)가 내려가므로 역회전하게 되고, 아울러서 그것의 제2가압부(64)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의 승강부재(80)는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그로인해 탄력부재(81)에 가압되고 있었던 세퍼레이터(90)는 힌지(91)를 중심으로 자유단부(93)가 하측으로 내려가는 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lift lever 60 is reversely rotated because the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knock-up plate 43 including the paper p,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 lever 60 is rotated to its second pressing part 64. The elevating member 80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state becomes a state in which it can be lowered downward, whereby the separator 90 that has been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81 has a free end 93 around the hinge 91. Is in a state of going down.

그러나 이러한 세퍼레이터 구조에 있어서는 힌지(91)가 용지(p)가 인입되는 제1가압패드(44) 방향쪽에 있지 않고 캐리지(2)에 탑재된 잉크카트리지(1)로 이송되는 배지방향쪽(후미쪽)에 있기 때문에 승강부재(80)가 하강되어도 탄력부재(81)의 자체탄성력이 완전히 소멸된 상태까지 되지 않으면 세퍼레이터(90)의 자유단부(93)는 순식간에 내려가지 않고 급지로울러(5)에 밀접된 상태를 잠시 더 유지하다가 내려가게 되므로 세퍼레이터(90)와 급지로울러(5)가 즉시 이격되지 않게 됨에따라 그 순간에 녹업플레이트(43)에 있는 용지(p)가 딸려 들어가서 이송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용지가 중송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고, 결국에는 페이퍼잼이나 인쇄불량이 초래된다.However, in such a separator structure, the hinge 91 is no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ressure pad 44 into which the paper p is drawn, but is discharged to the ink cartridge 1 mounted on the carriage 2 (rear side). Since the self-elastic force of the resilient member 81 is not completely extinguished even when the elevating member 80 is lowered, the free end 93 of the separator 90 does not immediately descend to the feed roller 5. As the separator 90 and the feed roller 5 are not immedia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being kept in a close state for a while, the paper p on the knock-up plate 43 comes in and is transported. Paper has a problem of being fed back, resulting in paper jam or poor print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에 의한 용지분리에 있어 중송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급지로울러에 세퍼레이터의 일정 압력이 작용되도록하여 여러장이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 구조를 개선하여 용지의 중송 방지를 도모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feeding in the separation of paper by the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and to improve the separator structure to prevent the passing of multiple sheets by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of the separator to the feed roller to prevent the feeding of paper. The purpose is.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가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급지로울러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parat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eeding roller instantaneously by its own weight.

따라서, 본 고안은 용지를 적재하고 제1가압패드를 가진 선단부가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가 여러장 급지되지 못하도록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제2가압패드를 가진 세퍼레이터와, 상기 녹업플레이트 및 세퍼레이터에 급지시 상승력을 부여하여 소정의 일정압력으로 급지로울러에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레버와, 상기 리프트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크랭크샤프트로 구성되는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급지로울러에 대해 대각선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하단부는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단부는 급지시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이 해지되면 그즉시 상기 세퍼레이터 상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급지로울러와 이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loads paper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the pivoting knock-up plate and the paper loaded on the knock-up plate do not feed a plurality of sheets around the hinge with the first pressing pad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Separator having a second pressure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 lever for applying a lifting force to the knock-up plate and the separator to press the feeding roller at a predetermined constant pressure, and a lever arm for applying a rotation force to the lift lever And a crankshaft configured to support and rotate the lever arm, wherein the separato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feed roller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restrained by a hinge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At the same time the upper part is lifted when the lift lever When being installed to receive the pressing force, the termination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lift lever that is immediately lowered the separator upper end by its own weight and in that characterized in that it spaced apart from the feed roller.

도 1은 자동용지공급장치를 가진 프린터 내부를 보인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rinter with an automatic paper feeder,

도 2는 프린터의 용지 공급을 위한 캐리지 동작과 급지동력전환장치부를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rriage operation and the paper feed power switching unit for the paper supply of the printer,

도 3은 선행기술의 일예를 보인 프린터의 요부 일측단면도,Figure 3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inter showing an example of the prior art,

도 4는 선행기술의 결점을 설명하는 요부 일측 단면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ne side illustrating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프린터의 요부 일측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퍼레이터에 의한 용지분리 작용을 보인 일측 단면 확대도,Figure 7 is an enlarged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per separation action by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세퍼레이터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일측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잉크카트리지 2 : 캐리지1: ink cartridge 2: carriage

5 : 급지로울러 20 : 급지동력전환장치부5: Feed roller 20: Feed power switching unit

21 : 캐리지레버 22,23 : 제1,2베벨기어21: Carriage lever 22,23: 1st, 2nd bevel gear

30 : 크랭크샤프트 40,40': 급지장치부30: crankshaft 40,40 ': paper feeding unit

41 : 패드하우징 42 : 힌지41: pad housing 42: hinge

43 : 녹업플레이트 44 : 제1가압패드43: knock-up plate 44: the first pressure pad

45 : 용지받침부재 50 : 레버아암45: paper support member 50: lever arm

52 : 힌지보스 60 : 리프트레버52: hinge boss 60: lift lever

61 : 힌지 62 : 제1가압레버부61: hinge 62: first pressure lever portion

64 : 제2가압부 70 : 당김탄력부재64: second pressing portion 70: pulling elastic member

80 : 승강부재 81 : 탄력부재80: lifting member 81: elastic member

90 : 세퍼레이터 91 : 힌지90: separator 91: hinge

92 : 제2가압패드 93 : 자유단부92: second pressure pad 93: free end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preferred embodiments as follows.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지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2에서 보인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을 부여받는 크랭크샤프트(20) 및 급지장치부(40)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된 선행기술과 동일하므로 그것과 동일한 부품명칭 및 부호를 표기한다.5 and 6 show an automatic paper fee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rankshaft 20 and the paper feeder unit 40, which is powered by the paper feed power switching unit 20 shown in FIG. 2, is the same as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same. Part names and symbols are indicated.

도 6을 참조하면 급지장치부(40)가 갖는 패드하우징(41)의 급지동작부(41c)에는 레버아암(50)이 크랭크샤프트(30)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급지장치부(40)에 설치되는 레버아암(50)은 크랭크샤프트(3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여도 관계 없으나 이동이 필요한 또 하나의 급지장치부에서는 크랭크샤프트(30)를 따라 좌,우로 레버아암(50)이 이동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lever arm 50 is installed on the crankshaft 30 in the paper feeding operation portion 41c of the pad housing 41 of the paper feeding unit 40. Here, the lever arm 50 installed in the paper feeder unit 40 may be completely fixed to the crankshaft 30, but in another paper feeder unit requiring movement, the lever left and right along the crankshaft 30 may be used. Arm 50 must be moved.

그러므로 레버아암(50)은 크랭크샤프트(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서도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각공(51)을 형성하고 여기에 사각형태의 크랭크샤프트(30)가 끼워지도록 결합된다.Therefore, the lever arm 50 forms a square hole 51 so that the lever arm 50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while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crankshaft 30, and the crankshaft 30 of the rectangular shape is fitted thereto. Combined.

이와같이 레버아암(50)이 크랭크샤프트(30)에 결합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력을 레버아암(50)이 전달받을수 있으면서도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레버아암(50)의 위치 이동은 패드하우징(41)을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되게 된다.When the lever arm 50 is coupled to the crankshaft 30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arm 50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rankshaft 30 without using a separate fixing means, and can move left and right. Of cours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50 is moved by moving the pad housing 41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레버아암(50)은 전,후측에 힌지보스(52) 및 스프링걸림부(53)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보스(50)에는 리프트레버(60)의 힌지(61)가 결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In addition, the lever arm 50 is formed to have a hinge boss 52 and a spring engaging portion 53 on the front and rear. The hinge boss 50 is assembled in a rotatable state by being installed to engage the hinge 61 of the lift lever 60.

리프트레버(60)는 전,후측에 제1가압레버부(62)와 스프링걸림부(63)를 구비하고, 중간에 제2가압부(64)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압레버부(62)는 리프트레버(60)의 조립시에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를 위쪽으로 들어올릴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설치된다.The lift lever 60 is provided with the 1st press lever part 62 and the spring latch part 63 in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is equipped with the 2nd press part 64 in the middle. The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is installed so that the free end 43a of the knock-up plate 43 can be lifted upward when the lift lever 60 is assembled.

레버아암(50) 및 리프트레버(60)의 스프링걸림부(53)(63)에는 당김탄력부재(70)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탄력부재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Pulling elastic members 70 are provided on the spring engaging portions 53 and 63 of the lever arm 50 and the lift lever 60, and the pulling elastic members are preferably used by the tension springs.

리프트레버(60)의 제2가압부(64) 위에는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80)는 급지동작부(41c) 양측에 있는 가이드홈(41f)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64 of the lift lever 60, a second pressing member 80 for pressure is installed, and the lifting member 80 is provided along the guide groove 41f on both sides of the paper feeding operation portion 41c.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또한, 승강부재(80) 위에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가 설치되고, 상기 탄력부재(81)는 급지동작부(41c)의 힌지공(41g)과 결합된 힌지(9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세퍼레이터(90)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second pressing elastic member 81 is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80, and the elastic member 81 is centered on the hinge 91 coupled with the hinge hole 41g of the paper feeding operation portion 41c. It is installed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separator 90 installed to be rotatable.

상기 세퍼레이터(90) 상면에는 급지로울러(5)와 면접촉되는 제2가압패드(92)가 장착되어 있다.The second pressing pad 92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aper feed roller 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90.

이러한 세퍼레이터(90)는 급지로울러(5)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세퍼레이터(90)를 회동 가능 할 수 있게 하는 힌지(91)가 용지진입부가 되는 하측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단부는 힌지(91)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것은 세퍼레이터(90)에 작용하게 되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의 탄력이 제거되면 세퍼레이터(90)의 자중에 의해서 상단부가 신속히 하부방향으로 회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eparator 90 is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per feed roller 5. In addition, the hinge 91 for enabling the separator 90 to be rotatable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paper entry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hinge 91. This is to allow the upper end portion to quickly rotate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separator 90 when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pressing elastic member 81 acting on the separator 90 is removed.

도 7은 용지(p)가 적재된 상태에서 급지되고 있는 상태의 일측 단면을, 그리고 도 8은 용지가 급지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부호 6은 안내로울러이고, 7은 용지위치감지센서를 나타낸다. 또한 부호 8은 프릭션로울러이고, 9는 동력전달휠(9a)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배지로울러이며, 9'는 스타형 프릭션휠을 나타 낸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a state in which the paper p is loaded,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per is not fed.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guide roller, and 7 denotes a paper position sensor. .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8 is a friction roller, 9 is a medium roller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by the power transmission wheel (9a), 9 'represents a star friction wheel.

또한, 도 7은 급지장치에 의해서 용지(p)를 급지 및 분리시킬수 있는 1,2차급지압이 발생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In additio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eed pressures that can feed and separate the paper p are generated by the paper feeder.

즉, 앞서 언급된바 있는 캐리지(2)가 용지 급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급지행정구간으로 진입하는 정이동을 함으로써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에서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그로인해 크랭크샤프트(30)가 정회전을 함에 따라 급지장치부(40)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That is, as the carriage 2 mentioned above enters the feeding stroke section to execute the paper feeding, the linear movement is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in the paper feed power switching unit 20, and thus the crankshaft. As the 30 rotates forward, it shows that the paper feeding unit 40 is operated.

도 6에서 크랭크샤프트(30)의 정회전은 시계방향 회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때는 레버아암(5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레버아암(50)에 있는 힌지보스(52)는 위쪽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리프트레버(60)의 힌지(61)를 들어 올리게 된다.In FIG. 6, the forward rotation of the crankshaft 30 refers to a clockwise rotation, in which case the lever arm 50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Therefore, the hinge boss 52 in the lever arm 50 is in a state of rotating upward, thereby lifting the hinge 61 of the lift lever 60.

이러한 리프트레버(60)의 동작에 의해 그 리프트레버(60)가 가지고 있는 제1가압레버부(62)는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를 상승되게 하며, 그로인해 힌지축(42)을 중심으로하여 녹업플레이트(43)가 회동하게 되어 제1가압패드(44) 위에 적재된 용지(p)가 급지로울러(5)에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압상태는 1차 급지압이 발생된 상태이며, 2차 급지압은 다음에 순차적으로 발생된다.By the operation of the lift lever 60, the first pressing lever portion 62 of the lift lever 60 raises the free end portion 43a of the knock-up plate 43, thereby causing the hinge shaft 42 ), The knock-up plate 43 is rotated so that the paper p loaded on the first pressing pad 44 is 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aper feed roller 5. This pressurize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feeding pressure is generated, and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is sequentially generated next.

즉, 1차 급지압이 발생된 상태에서 크랭크샤프트(30)가 더 회전하게 되어도 이때는 리프트레버(60)의 제1가압레버부(62)가 더 상승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레버아암(50)의 힌지보스(52)가 더 회전됨에 따라 리프트레버(60)는 제1가압레버부(62)와 녹업플레이트(43)가 접촉된 지점을 힌지점으로하여 스프링걸림부(63)가 들려지는 상태로서 리프트레버(60)는 2차적인 동작을 한다.That is, even if the crankshaft 30 is further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primary paper feed pressure is generated, since the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of the lift lever 60 does not rise further, at this time, it is shown in FIG. 7. As shown, as the hinge boss 52 of the lever arm 50 is further rotated, the lift lever 60 spring-engage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pressing lever 62 and the knock-up plate 43 as a hinge point. The lift lever 60 performs a secondary operation as the unit 63 is lifted up.

그러므로 리프트레버(60)의 제2가압부(64)가 들려지게 되고, 그로인해 여기에 받쳐지고 있던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가이드홈(41f)을 따라 직진되게 승강되는 동작을 한다.Therefore, the second pressing portion 64 of the lift lever 60 is lifted up, whereby the second pressing member 80 for lifting is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41f. .

그리고 승강되는 제2가압용 승강부재(80)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되는 탄력부재(81)는 패드홀더(9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2가압패드(92)가 급지로울러(5)에 밀착되는 상태로 가압되게 된다. 이와같이 세퍼레이터(90)가 급지로울러(5)를 가압하는 것이 2차 급지압이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member 80 for elevating pressurizes the second pressing elastic member 81, and the pressurizing elastic member 81 presses the pad holder 90 to press the second pressing pad 92. ) Is press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 feed roller (5).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or 90 presses the paper feed roller 5 as the secondary paper feed pressure.

상기한 1,2차 급지압은 엄밀하게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지만 거의 1초 안에 연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급지로울러(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정회전되는 상태에 1,2차 급지압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1차 급지압에 의해서는 제1가압패드(44) 상에 있는 용지(p)가 급지로울러(5)에 밀착되어 급지되는 상태가 되고, 세퍼레이터(90)에 의해서 가해지는 2차 급지압에 의해서는 1장의 용지(p)만이 급지되도록 하므로 용지분리가 되는 상태가 된다.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ressures are strictly generated sequentially but are generated annually in almost one secon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ressures are generated when the feeding roller 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aper p on the first pressing pad 44 is fed by the first feeding pressure. The shee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ollers 5, and only one sheet of paper p is fed by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applied by the separator 90, so that the sheet is separated.

즉, 2차 급지압은 세퍼레이터(90)에 의해서 일정한 급지압이 급지로울러(5)에 작용되므로 여러장의 용지가 끼워 들어가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1장의 용지만이 분리되어 급지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feeding roller 5 by the constant feeding pressure by the separator 90, only one sheet of paper is separated and fed because multiple sheets cannot be inserted.

이러한 급지는 급지로울러(5)에 의해서 급지되는 용지(p)가 프릭션로울러(8)에 접촉되는 상태까지 급지되는 것으로서, 용지위치감지센서(7)를 급지되는 용지가 건들이게 되면 이것을 회로부에서 감지하고 급지로울러(5)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The paper is fed until the paper p fed by the paper feed roller 5 is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roller 8, and when the paper fed by the paper position sensor 7 is touched, It senses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paper feed roller 5.

또한, 이 상태의 캐리지(2)는 급지행정구간에서 정이동을 완료한 상태이며, 그 즉시 역이동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carriage 2 is in a state in which the forward movement is completed in the paper feeding stroke section, and immediately reverse movement is performed.

그러므로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를 포함한 크랭크샤프트(30)는 역회전을 하게 되고, 그로인해 레버아암(50)도 역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역회전 동작은 1,2차 역회전동작으로 진행되고, 이것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캐리지(2)가 1차 역이동 동작후 잠시 정지되었다가 다시 2차 역이동 동작을 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rankshaft 30 including the paper feed power switching unit 20 is reverse rotation, thereby lever arm 50 is also reverse rotation operation. In addition,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proceeds to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which is performed by the carriage 2 being temporarily stopped after the first reverse movement operation and then performing the second reverse movement operation as mentioned above. .

도 8은 크랭크샤프트(30)가 역회전 동작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상태는 레버아암(50)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약간 역회전되는 상태로서, 크랭크샤프트(30)가 역회전 동작을 하게 되면, 2차 급지압이 먼저 해제되고 곧이어 1차급지압이 해제된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rankshaft 30 is operated in reverse rotation. In this state, the lever arm 50 is rotated slight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crankshaft 30 performs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is released first, and then the primary feeding pressure is released.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2차 급지압을 부여하기 위해 들려져 있던 리프트레버(60)의 스프링걸림부(63)를 포함한 제2가압부(64)만 다시 내려가는 상태가 되고, 이때에 당김탄력부재(70)의 힘에 의해서 원만히 스프링걸림부(63)가 원위치 상태로 내려 가게 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only the second pressing portion 64 including the spring catching portion 63 of the lift lever 60 that has been lifted to give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is in a state of descending again, and at this time, the pulling elastic member 70 The spring engaging portion 63 is smoothly lowe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그러므로 제2가압부(64)도 내려가게 되고, 그로인해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하강됨과 동시에 제2가압용 탄력부재(81)도 하강되는 상태가 되므로 탄력부재(81)의 탄성력은 상실되면서 내려감에 따라 세퍼레이터(90)에 작용하던 2차 급지압이 해제되어 세퍼레이터(90)에 있는 제2가압패드(92)는 급지로울러(5)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second pressing part 64 is also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second pressing member 80 for lowe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ressing elastic member 81 is also lowered, s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1 is lowered.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or 90 is released as the silver is lost and the second pressing pad 92 in the separator 90 is spaced apart from the feeding roller 5.

또한, 크랭크샤프트(30)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고, 그로인해 레버아암(50)의 힌지보스(52)도 역회전하여 내려감에 따라 리프트레버(60)의 제1가압레버부(62)도 내려 가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crankshaft 30 is rotated fur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hinge boss 52 of the lever arm 50 is also rotated downward to lower the first pressing lever part 62 of the lift lever 60. ) Also goes down.

그러므로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는 내려가서 패드하우징(41)에 얹히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급지로울러(5)와 용지(p)는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 급지가 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1,2차 급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급지로울러(5)와 프릭션로울러(8) 사이에 물려 있는 용지(p)는 프린팅 명령을 받는 캐리지(2)의 인쇄행정구간에서의 왕복운동과 여기에 탑재된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ree end 43a of the knock-up plate 43 is to be placed on the pad housing 41, so that the feeding roller 5 and the paper 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aper cannot be fed. In this way, the paper p held between the feeding roller 5 and the friction roller 8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eed pressures are released is reciprocated in the printing administrative section of the carriage 2 receiving a printing command. It is printed by the movement and the ink cartridge 1 mounted thereon.

그리고 급지된 용지에 인쇄를 완료함으로써 다음장의 용지를 급지할 필요시가 되면 다시 1,2차 급지압이 작용되도록하여 새로운 1장의 용지만이 분리되면서 급지되게 되고, 이러한 급지가 완료되면 먼저 2차 급지압이 단속되고 그후에 1차 급지압이 단속되는 것이다.When it is necessary to feed the next sheet of paper by completing printing on the loaded paper,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ressures are applied again so that only one new sheet is separated and fed. The feeding pressure is interrupted and then the primary feeding pressure is interrupted.

또한, 급지와 더불어 2차급지압이 작용되어 용지분리가 이루어진 다음 세퍼레이터(90)가 급지로울러(5)로부터 이격되게 되는 단속이 되는데, 이때 힌지(91)가 아래에 위치하므로 자유단부(93)는 그 하중에 의해 신속하게 내려 가므로 급지로울러(5)와 빨리 이격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용지가 급지로울러(5)에 여러장 딸려 들어가지 않게 되고, 그로인해 중송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ary feeding pressure is applied in addition to the paper feeding, and then the separator is separated from the paper feeding roller 5 after the paper separation is made. In this case, since the hinge 91 is located below, the free end 93 is Since it descends quickly by the load, it is quickly spaced apart from the paper feed roller 5, so that the sheet does not enter the paper feed roller 5 several times, thereby preventing heavy feeding.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용지분리를 하는 세퍼레이터가 급지로울러로부터 단속될 때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급지로울러에서 이격되므로 중송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separator separating the paper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eed roller by its own weight when it is intermittent from the feed roll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heavy feeding defects in advance.

또한, 세퍼레이터가 자중으로 떨어지므로 정확한 동작을 하게 되어 자동 용지공급장치의 품질문제를 개선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제품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or falls to its own weight, the separator has an effect of correcting the quality problem of the automatic paper feeder, and as a result, it is a useful design to improve the product reliability.

Claims (1)

용지를 적재하고 제1가압패드를 가진 선단부가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가 여러장 급지되지 못하도록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는 제2가압패드를 가진 세퍼레이터와, 상기 녹업플레이트 및 세퍼레이터에 급지시 상승력을 부여하여 소정의 일정압력으로 급지로울러에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레버와, 상기 리프트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크랭크샤프트로 구성되는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A second press that is load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ith a paper feed roller to prevent feeding of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loaded on the knock up plate and a rotatable knock-up plate centered on a hinge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by loading the paper and the first pressing pad. A separator having a pressure pad, a lift lever for applying a lifting force to the knock up plate and the separator to press the feed roller at a predetermined constant pressure, a lever arm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lift lever, and the lever arm In the automatic paper feed device composed of a crankshaft supported and rotatable, 상기 세퍼레이터는 급지로울러에 대해 대각선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하단부는 패드하우징에 지지되는 힌지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단부는 급지시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을 받도록 설치되고,The separato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feed roller so that the lower end is restrained by a hinge supported by the pad housing, while the upper end is installed to receive the pressing force of the lift lever when feeding. 상기 리프트레버의 가압력이 해지되면 그즉시 상기 세퍼레이터 상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급지로울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heavy feed in the automatic paper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lift lever is released immediately the upper end of the separator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spaced apart from the paper feed roller.
KR2019980007060U 1998-04-30 1998-04-30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KR1999004041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060U KR19990040416U (en) 1998-04-30 1998-04-30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060U KR19990040416U (en) 1998-04-30 1998-04-30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16U true KR19990040416U (en) 1999-11-25

Family

ID=6951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060U KR19990040416U (en) 1998-04-30 1998-04-30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41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2429A (en) Paper supply mechanism for printer
US7980552B2 (en) Paper feed cassette
US7309123B2 (en) Recording apparatus
EP1435297B1 (en) Printing apparatus
JP2000233838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inting equipment
KR100234425B1 (en) Sheet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transforming pass
JP3167982B2 (en) Paper feed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90040416U (en) Separator structure for preventing feeding in automatic paper feeder
US4887922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inters
KR100238585B1 (en) Pick-up roller switching device of inkjet printer
CN1490233A (en) Paper feeder for imaging device
JPH11246055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ink jet printer
JPH05208744A (en) Paper sheet feeding device
KR100255353B1 (en) Paper feeder for image forming device
KR200179729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pick for auto sheet feeder
US7121542B2 (en) Paper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55354B1 (en) A paper separator with a second pressure controller for feeding paper
JP2576471B2 (en) Printer paper holding device
JP2018149760A (en) Transportation device
KR200168711Y1 (en) Sheet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49599Y1 (en) Automatic sheet supplying device for ink jet printer
KR20000000278U (en) Paper feeder se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193728B1 (en) Automatic Paper Feed Load Enforcement Device for Inkjet Printers
KR930003842Y1 (en) Paper feeding device for color video printer
KR200162394Y1 (en) Feeding por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nstruction for controlling friction board for paper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