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550U -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550U
KR19990038550U KR2019980004637U KR19980004637U KR19990038550U KR 19990038550 U KR19990038550 U KR 19990038550U KR 2019980004637 U KR2019980004637 U KR 2019980004637U KR 19980004637 U KR19980004637 U KR 19980004637U KR 19990038550 U KR19990038550 U KR 19990038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guard
refrigerator
protrusions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4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550U/ko
Publication of KR19990038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50U/ko

Links

Abstract

개시된 냉장고는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지지 브라켓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도어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도어 가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냉장고의 도어 가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며, 냉장고의 본체(10)는 다양한 식품을 용도에 따라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11)과 냉장실(12)로 구획되며, 각각의 냉동실(11) 및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20)(30)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냉동실(30) 및 냉장실(20)에서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제공되는 냉기를 통하여 냉동 및 냉장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선반(50)을 다단으로 구비하고, 아울러 야채나 과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보관함(51)을 구비한다. 또한, 도어(30) 내측의 내상부(31)에는 도어 가드(40)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그 내부의 수납 공간부(41)에 병이나 캔류 등의 저장물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상부(31)의 양측에는 복수의 돌기부(33)가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지지 브라켓(32)이 마련되며, 아울러 도어 가드(40) 양단에는 상기 각각의 돌기부(33)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가드(40)를 내상부(31)에 밀착시킨 후 삽입홈(42)을 돌기부(33)에 끼워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도어 가드(40)를 냉장고 도어(30)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는, 상기 도어 가드에 의하여 확보되는 수납 공간부의 크기는 제품의 설계 및 제작시 결정되어진 크기에 따라 고정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가드 내측에는 한정된 소정 크기 이하의 식품만을 보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되, 그 하측의 개방 공간을 용이하게 막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도어 가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 110 : 지지 브라켓
120 : 돌기부 200 : 도어 가드
210 : 삽입홈 220 : 수납 공간부
230 : 힌지부 300, 300' : 판부재
310 : 걸림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의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지지 브라켓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도어 및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도어 가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가드가 전방으로 이동/설치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의 하측을 막도록 하는 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지지 브라켓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도어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도어 가드 및 상기 도어 가드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어서 상기 도어 가드가 전방으로 이동/결합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의 하측을 막도록 하는 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부재는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도어(100) 내측의 내상부(130)에 복수의 도어 가드(200)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그 내부의 수납 공간부(220)에 병이나 캔류 등의 저장물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100)는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20)를 갖는 지지 브라켓(110)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20)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가드(200)는 상기 돌기부(120)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210)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220)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가드(200)가 전방으로 이동/설치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220)의 하측을 막도록 하는 별도의 판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 공간부(220)를 작게하여 도어 가드(40)를 결합시킬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부(120)가 각각의 삽입홈(210)에 대응되도록 도어 가드(200)를 내상부(130)에 밀착시킨 후 삽입홈(210)을 돌기부(120)에 끼워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도어 가드(200)를 냉장고 도어(100) 내측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수납 공간부(220)를 크게하여 도어 가드(200)를 결합시킬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에 형성된 하나의 돌기부(120)가 이에 대응하는 삽입홈(210)에 끼워지도록 도어 가드(200)를 위치시킨 후 이 삽입홈(210)을 돌기부(120)에 끼워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도어 가드(200)를 냉장고 도어(100) 내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 가드(200)의 하부와 도어 내상부(130) 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여기에 상기한 판부재(300)를 삽입/고정함으로써 수납 공간부(220)에 저장된 음식물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도어 가드(200)는 상기 돌기부(120)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210)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서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220)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되, 상기 도어 가드(200)가 전방으로 이동/설치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220)의 하측을 막기 위하여 상기 도어 가드(200)에 힌지 고정된 판부재(300')를 포함한다. 이 판부재(30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그 타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편(31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 공간부(220)를 작게하여 도어 가드(200)를 결합시킬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부(120)가 각각의 삽입홈(210)에 대응되도록 도어 가드(200)를 내상부(130)에 밀착시킨 후 삽입홈(210)을 돌기부(120)에 끼워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도어 가드(200)를 냉장고 도어(100) 내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판부재(30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내상부(130) 면에 나란히 밀착/보관되어 진다.
한편, 상기 수납 공간부(220)를 크게하여 도어 가드(200)를 결합시킬 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에 형성된 하나의 돌기부(120)가 이에 대응하는 삽입홈(210)에 끼워지도록 도어 가드(200)를 위치시킨 후 이 삽입홈(210)을 돌기부(120)에 끼워 하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도어 가드(200)를 냉장고 도어(100) 내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 가드(200)의 하부와 도어 내상부(130) 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한 판부재(300')가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이 개방 공간을 덮게 되며, 아울러 상기 판부재(300')는 그 타측의 걸림편(310)에 의하여 도어 가드(200)에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 공간부(220)에 저장된 음식물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6a 및 6b에서는 각각 2개의 돌기부(120) 및 삽입홈(210)을 형성하였으나 도면에 예시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3개 이상의 돌기부 및 삽입홈을 형성하여 수납 공간부의 가변 크기를 보다 넓게 하는 것도 본 고안의 요지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 가드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가드를 전방으로 이동 설치하였을 경우에 그 하측에 발생되는 개방 공간을 판부재를 통하여 용이하게 막을 수 있음으로 내부에 저장된 식품이 아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지지 브라켓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도어; 및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도어 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드가 전방으로 이동/결합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의 하측을 막도록 하는 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홈을 갖는 상기 도어 가드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4. 하나 또는 그 전/후방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지지 브라켓이 그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도어;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삽입홈이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시 그 내측의 수납 공간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도어 가드; 및
    상기 도어 가드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어서 상기 도어 가드가 전방으로 이동/결합되었을 경우 개방된 상기 수납 공간부의 하측을 막도록 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홈을 갖는 상기 도어 가드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KR2019980004637U 1998-03-27 1998-03-27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KR199900385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637U KR19990038550U (ko) 1998-03-27 1998-03-27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637U KR19990038550U (ko) 1998-03-27 1998-03-27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50U true KR19990038550U (ko) 1999-10-25

Family

ID=6950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637U KR19990038550U (ko) 1998-03-27 1998-03-27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5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33B1 (ko) 냉장고
KR200265318Y1 (ko) 냉장고의도어가드
KR100392404B1 (ko) 냉장고
KR0133008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38550U (ko) 도어 가드를 갖는 냉장고
KR200217719Y1 (ko) 냉장고의도어포켓용지지장치
KR100398502B1 (ko) 냉장고의 저장용기
KR200265317Y1 (ko) 개폐식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9990035661U (ko) 냉장고의 홈바
KR19990035660U (ko) 냉장고의 도어선반
KR0133009Y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KR200232332Y1 (ko) 냉장고
KR200152114Y1 (ko) 냉장고의 병꽂이가드
KR200239614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165125Y1 (ko) 냉장고용 도어가드
KR0117761Y1 (ko) 냉장고의 도아선반
KR0126126Y1 (ko) 냉장고의 가변선반
KR19980032834U (ko) 냉장고의 냉장실 서랍식 인출장치
KR200221240Y1 (ko) 냉장고용 병 지지구조
KR20230133717A (ko) 수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164796Y1 (ko) 냉장고
KR200314304Y1 (ko) 냉장고용도어가드
KR19990028607U (ko) 냉장고의 도어
KR19990010900U (ko) 냉장고의 도어선반 커버
KR19990049526A (ko) 냉장고의 슬라이딩 포켓을 지니는 도어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