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410U - 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410U
KR19990038410U KR2019980004445U KR19980004445U KR19990038410U KR 19990038410 U KR19990038410 U KR 19990038410U KR 2019980004445 U KR2019980004445 U KR 2019980004445U KR 19980004445 U KR19980004445 U KR 19980004445U KR 19990038410 U KR19990038410 U KR 19990038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ipe
pipes
lower cove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3469Y1 (ko
Inventor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이건호
한국마쓰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호, 한국마쓰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호
Priority to KR2019980004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이음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이음부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관 이음매의 상,하부 커버를 서로 분리 가능토록 하므로써, 관 이음매의 설치 및 해체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하 분리되는 상,하부 커버(11a)(11b)와, 그 상,하부 커버(11a)(11b)의 외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a)(12b)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3)와,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실링제(16)를 수용하기 위한 요홈(15)과,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부 커버(11a)(11b)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관통공(14)에 결합되는 "U"형 보울트(17)와, 그 "U"형 보울트(17)에 결합되는 너트(18) 및 와셔(19)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관 이음매
본 고안은 관 이음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이음부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관 이음매의 상,하부 커버를 서로 분리 가능토록 하므로써, 관 이음매의 설치 및 해체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 이음매(coupling)라 함은, 유체(流體)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여 유체를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관 이음매가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관 이음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관통공(34)이 형성된 지지봉(33)이 양 단부의 수용홈(32)에 끼워져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31)와, 그 커버(31)의 내부에 커버(31)와 같은 폭으로 끼워져 양 배관(38a)(38b)(도 4에 도시됨)을 고정하기 위한 실링제(35)와, 그 배관이 끼워진 커버(3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보울트(36) 및 고정너트(37)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관 이음매(30)는, 전체가 일체형 구조이므로 용접작업등이 필요하고 설치작업이 복잡하였으며, 배관 및 관 이음매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대설비가 필요하게 되므로 배관 설치작업이 비교적 복잡하고 설치비용도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여러개의 배관과 여러개의 관 이음매(30)를 사용하여 시스템화 하였을 경우, 배관(38a)(38b)이나 관 이음매(30)에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그 하자 보수 및 교체가 매우 번거롭고 어려웠다.
즉, 하자 보수를 위해 시스템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관 이음매(30)를 먼저 풀고나서 배관(38a)(38b)을 상기 관 이음매로 부터 분리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종래의 관 이음매는 일체형 구조로서 관 이음매 내부에서는 배관이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배관(38a)(38b)을 관 이음매(30)로 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외측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분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여러개의 배관 및 관 이음매가 결합되어 시스템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관 이음매로 부터 배관을 외측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분리하고자 할 때 결합된 배관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되므로, 하자보수를 요하는 배관외의 나머지 배관에 대해서도 관 이음매(30)와 배관(38a)(38b)을 분리하여야 하는 바 배관이나 관 이음매에 대한 하자 보수 및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관(38a)(38b)을 통해 이송되는 내용물이 플라스틱 입자인 경우에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므로 배관 내벽에 상기 입자들이 점착된기 쉽고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입자와 같은 내용물이 이송되는 배관에서는 접지선과 같은 별도의 정전기 방지수단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관 이음매 구조에서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실링재(35)가 관 이음매(30)의 전폭에 걸쳐 위치하며 배관(38a)(38b)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배관끼리는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해소하기 위해 접지선을 설치하고자 할때 배관마다 모두 접지선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 이음매를 통해 연결되는 양측 배관(38a)(38b) 외벽에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선(39)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했으므로 설치작업이 번거로와 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배관(38a)(38b)에 접지선이나 연결선(39)과 같은 정전기 방지수단을 충분히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관 이음매(30)를 통해 플라스틱 입자를 공급할 경우에는 플라스틱 입자들이 배관(38a)(38b) 내벽이 다량 점착되어지므로 입자 공급도중 큰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며, 공급이 중단되었을시에는 배관 내부에 다량 잔존하게 되어 대기중의 수분에 노출되어지므로 사출 또는 압출제품의 불량을 발생케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관 이음매를 상,하로 분리 가능토록 형성 하므로써, 관 이음매의 설치 및 하자 보수시 그 교체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 이음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 이음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의 사용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관 이음매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B-B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관 이음매 11a, 11b : 상, 하부 커버
12a, 12b : 돌출부 13 : 암나사부
14 : 관통공 15 : 요홈
16 : 실링제 17 : "U" 형 보울트
18 : 너트 19 : 와셔
20 : 수나사 21 : 와이어
22a, 22b : 배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하 분리되는 상,하부 커버와, 그 상,하부 커버의 외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상,하부 커버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실링제를 수용하기 위한 요홈과, 상기 상,하부 커버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부 커버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는 "U"형 보울트와, 그 "U"형 보울트에 결합되는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하 분리되는 상,하부 커버(11a)(11b)와, 그 상,하부 커버(11a)(11b)의 외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a)(12b)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3)와,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실링제(16)를 수용하기 위한 요홈(15)과,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부 커버(11a)(11b)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관통공(14)에 결합되는 "U"형 보울트(17)와, 그 "U"형 보울트(17)에 결합되는 너트(18) 및 와셔(19)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하부 커버(11a)(11b)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5)의 폭은 상기 실링제(16)의 폭의 절반이하로 구성되어지며, 나머지 상,하부커버(11a)(11b)의 내벽은 배관(22a)(22b)의 외벽과 인접할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 배관(22a)(22b) 이음부의 외측에 실링제(16)가 끼워져 결합되고 그 위에는 상,하부커버(11a)(11b)가 덮어져 결합된 구조이므로, 배관(22a)(22b) 또는 관 이음매(10)에 대한 교체작업시에 종전보다 훨씬 용이한 작업이 가능케된다(도 5 참조).
즉, 관 이음매(10)에 대한 교체작업을 하고자 할시에는, 먼저 너트(18)로 부터 U형 볼트(17)를 풀어서 상, 하부커버(11a)(11b)를 분리한 다음 손상된 실링제(16) 를 교체하거나 손상된 상, 하부 커버(11a)(11b)를 교체하면 되며,
배관에 대한 교체작업을 하고자 할시에는, 상기 배관(22a)(22b)의 양단이 연결된 상, 하부 커버(11a)(11b)를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분리한 다음, 실링제를 손상되지 않은 배관쪽으로 밀어 올려 손상된 배관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배관을 횡방향으로 삽입하여 교체하면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한 후에는 밀어 올렸던 상기 실링제(16)를 다시 배관(22a)(22b)사이의 결합 위치로 밀어 내려주고, 그 위에 상기 상, 하부 커버(11a)(11b)를 덮은 다음 상기 U형 볼트(17)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관 또는 관이음매의 교체작업이 길이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러개의 배관이 시스템적으로 결합되어져 있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의 관 이음매만 풀고서도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는 용접이음부가 없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제조경비가 매우 저렴할 뿐만아니라, U형 볼트(17)와 너트(18)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스패너와 같은 간단한 공구에 의해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커버(11a)(11b)의 외측 중앙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돌출부(12a)(12b)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암나사부(14)에는 와이어(21)가 결합된 수나사(20)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14)의 타측단은 천장에 현수되어져서 상기 관 이음매(10)를 지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관 이음매(10) 지지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21)는 관 이음매(10)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선 기능도 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에서는 별도의 접지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제(16)는 상기 요홈(15)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실링제(16)의 폭은 상, 하부 커버(11a)(11b) 폭의 절반 이하의 크기로 되어져 있으므로 실링제(16)에서의 정전기 발생현상이 최소화되며,양측 배관(22a)(22b)이 외벽은 금속제인 상,하부커버(11a)(11b)의 내벽과 닿게 되므로 별도의 연결선 없이도 배관 사이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10)에서는 별도의 접지선이나 연결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배관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관 이음매를 상,하로 분리 가능토록 형성 하므로써, 관 이음매의 설치 및 하자 보수시 에 그 교체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관 또는 관이음매의 교체작업이 길이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러개의 배관이 시스템적으로 결합되어져 있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의 관 이음매만 풀고서도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그 교체작업이 간편, 용이하여 지도록 하고 있으며,
관 이음매(10) 내부에 수용되는 실링제(16)의 폭이 상, 하부 커버(11a)(11b) 폭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실링제(16)에서의 정전기 발생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으며, 배관(22a)(22b)의 외벽이 금속재인 상,하부커버(11a)(11b)의 내벽과 직접 닿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연결선 없이도 배관사이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관 이음매(10)에서는 별도의 접지선이나 연결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Claims (3)

  1. 2개 배관의 연결부위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실링재(16)와 상기 실링재(16)를 내부에 수용토록 결합되어지는 커버체로 이루어진 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하로 분리되는 상,하부 커버(11a)(11b)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실링제(16)를 수용하기 위한 요홈(15)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상,하부 커버(11a)(11b)의 모서리부에는 서로 일치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되어서 "U"형 보울트(17)와 너트(18) 및 와셔(19)에 의해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a) 및 하부 커버(11b)의 외측 중앙에는 돌출부(12a)(12b)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중 어느 하나에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3. 제 1항에 있어서, 상, 하부 커버(11a)(11b)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15)의 폭은 상기 실링제(16) 폭의 절반이하로 구성되어지며 나머지 상,하부커버(11a)(11b)의 내벽은 배관(22a)(22b)의 외벽과 인접할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KR2019980004445U 1998-03-25 1998-03-25 관 이음매 KR200173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445U KR200173469Y1 (ko) 1998-03-25 1998-03-25 관 이음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445U KR200173469Y1 (ko) 1998-03-25 1998-03-25 관 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10U true KR19990038410U (ko) 1999-10-25
KR200173469Y1 KR200173469Y1 (ko) 2000-04-01

Family

ID=1953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445U KR200173469Y1 (ko) 1998-03-25 1998-03-25 관 이음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92B1 (ko) * 2018-08-08 2019-03-20 주식회사 우리스틸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92B1 (ko) * 2018-08-08 2019-03-20 주식회사 우리스틸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469Y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122B1 (en) Clamshell coupling system and method
CA2242240C (en) Interlocked restraint for a plastic pipe joining system
KR920005028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조인트
US5082313A (en) Cut-in repair coupling
GB2233416A (en) Pipe connections and load transmitting elements
EP1033518A1 (en) Pipe coupling
CA2252167A1 (en) System of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modular pipelines consisting of extruded pipe sections
US6086111A (en) Pipe coupling
KR200173469Y1 (ko) 관 이음매
CA2079843A1 (en) Pipe coupling arrangement
IT9020675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fissaggio di una tubazione
EP0325898A1 (en) A temporary plug for hydraulic and fluid ducts
GB2239069A (en) Pipe coupling adapter with loose bolting flange, male thread and internal wrenching flats
US5562311A (en) Coupling for an end of a hose
JPH082134B2 (ja) 地中埋設される波付管の端末固定装置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0126408Y1 (ko) 관 연결장치
EP1431153B1 (en) Compressed air processing equipment for lorries
KR200233098Y1 (ko) 플랜지 이동형 제수밸브
JPH03255297A (ja) 既設管用補強工法
JPH11108267A (ja) 管継手
US5590690A (en) Centering support for double-containment pipe assembly
KR0138743Y1 (ko) 관 연결구
KR200168527Y1 (ko) 탱크용 플랜지형 이음관
KR100309903B1 (ko) 압력기기용 크린 에어 유니트에 결합되는 내장형 접속 아답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