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037A - Multi 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 Google Patents

Multi 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037A
KR19990038037A KR1019970057659A KR19970057659A KR19990038037A KR 19990038037 A KR19990038037 A KR 19990038037A KR 1019970057659 A KR1019970057659 A KR 1019970057659A KR 19970057659 A KR19970057659 A KR 19970057659A KR 19990038037 A KR19990038037 A KR 1999003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ject
camera
digital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52634B1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7005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634B1/en
Publication of KR1999003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3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카메라의 다수의 면에 장착되어 있고, 다수의 면에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다수의 촬상 소자를 가지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 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수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사체 선택 수단과, 상기 피사체 선택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입력하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영상 신호를 촬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다수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에 영상을 나타내어 촬영자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인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촬영자가 움직이지 않고 전면 및 좌, 우, 아래측에 위치한 피사체를 편안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의 고급화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digital still camera, and is provid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a camera and has a plurality of imaging elements for converting light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surfaces into electrical signals. And 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means into a digital video signal, subject selection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s converted by the signal processing means, Control means for setting a corresponding digital video signal among the digital video signals of the signal processing means input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subject select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photographer can check the set video signal;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It includes a finder means that allows the photographer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by displaying the image on the corresponding screen, so that the photographer can comfortably photograph the subject located at the front, left, right and bottom without mov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Description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Multi 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이 발명은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앞쪽 뿐만 아니라 좌, 우의 시계를 동시에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액정 장치에 나타낼 수 있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till camera multi display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not only the front, but also the left and right clocks on the liquid crystal device of the digital still camera. It relates to a vision imag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일반 필름(film) 대신 촬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를 이용하여 사진 장수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장 찍을 수 있는 카메라로서 현재 일반 카메라 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digital still camera is a camera that can take a number of pictur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hotos using a memory card that can store shooting information instead of a general film (film) is widely used as a general camera substitute.

그리고,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상기와 같은 메모리 카드의 이용과 더불어 촬영될 피사체를 화상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소자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digital still camer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s an imag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the use of the memory card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피사체를 액정 표시 소자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 종래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부가 하나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저장되고, 촬영되도록 하는 바디(body)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make the subject appea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gital still camera is equipped with one lens portion for forming an image of the subject, and converts the image of the image formed by the lens por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body) to be stored, to be photographed.

그러므로, 촬영자는 종래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이용하여 렌즈부의 전방과 좌, 우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면, 렌즈부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쪽으로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Therefore, when the photographer wants to photograph the su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lens uni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using a conventional digital still camera, the photographer must point the lens unit toward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다시말해, 촬영자는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한 후, 좌 또는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몸을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촬영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느낀다.In other words, the photographer feels the inconvenience of photographing the subject located in front, and then moving the body left or right in order to photograph the subject located left or right.

따라서, 이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에 있는 피사체는 물론 좌, 우에 위치한 피사체를 정위치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고 또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digital still camera that can observe and photograph the subject in front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at the right position. do.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된 렌즈부의 렌즈 및 CCD의 구성도이고,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ens and a CCD of the lens unit mounted on the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와 (b)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앞면과 뒷면의 상태도이고,3 (a) and 3 (b) are state diagram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된 렌즈부의 렌즈 및 CCD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ens and a CCD of the lens unit mounted on the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카메라의 해당하는 다수의 면에 장착되어 있고, 해당하는 다수의 면에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다수의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칭함)를 가지는 촬상 수단과;Imaging means mounted o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camera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rge coupled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Ds) for converting light incident o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surfaces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 수단과;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means into a digital video signal;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수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사체 선택 수단과;Subject selection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s converted by said signal processing means;

상기 피사체 선택 수단의 선택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영상 신호를 촬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Control means for setting a corresponding digital image signal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s of the signal processing means inpu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ubject select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allow the photographer to check the set image signal;

다수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에 영상을 나타내어 촬영자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인더(finder)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creens, and comprises a finder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on the corresponding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o allow the photographer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는,As shown in FIG. 1, the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찰할 피사체의 방향을 선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선택 스위치(S1)와;A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selecting a direction of a subject to be observed;

카메라의 다수의 면 즉, 카메라의 전면, 좌, 우 측면등에 위치하여 각 면에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고, 각 면의 결상된 광을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렌즈부(1)와;A lens unit 1 position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amera, that is,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to form light incident on each surface, and output the imaged light of each surface as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상기 렌즈부(1)에서 출력하는 다수 신호를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부(2)와;A signal processor (2) for converting a plurality of signals output from the lens unit (1) into corresponding digital image signals;

기본적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중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디지탈 영상 신호가 표시되도록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의 해당 방향 선택 신호의 입력시 상기 신호 처리부(2)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해당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여 촬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와;Basically,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so that a digital image signal of a su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is displayed,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input when the direction selection signal of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is input. A control unit (3) for setting a corresponding digital image signal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in (2)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photographer to check;

4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에 해당 영상을 나타내는 액정 파인더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divided into four screens,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for displaying a corresponding image on a corresponding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에서 렌즈부(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방향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는 제1 렌즈군(110)과, 상기 제1 렌즈군(11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CCD(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면 결상계(11)와, 좌측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는 제2 렌즈군(120)과, 상기 제2 렌즈군(12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 CCD(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우측 결상계(12)와, 우측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는 제3 렌즈군(130)과, 상기 제3 렌즈군(13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3 CCD(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측 결상계(1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ens unit 1 is formed by the first lens group 110 and the first lens group 110, which form an image of light incident and reflected by a subject located in all directions. A front imaging system 11 including a first CCD 111 for converting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 second lens group 120 for imaging light incident and reflected by a subject located in a left direction; A right imaging system 12 including a second CCD 121 for converting light formed by the second lens group 12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 image forming light incident on a subject positioned in a right direction and reflected The left imaging system 13 includes a third lens group 130 and a third CCD 131 for converting light formed by the third lens group 130 into an electrical signal.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전면 결상계(11)의 제1 렌즈군(110)은 카메라의 앞면에 돌출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우측 결상계(12)의 제2 렌즈군(120)은 카메라의 우측면에 돌출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결상계(13)의 제3 렌즈군(130)은 카메라의 좌측면에 돌출하여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lens group 110 of the front imaging system 11 protrudes and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and the second lens group 120 of the right imaging system 12 is mounted. Is protruded to the right side of the camera, and the third lens group 130 of the left imaging system 13 protrudes to the left side of the camera.

그리고, 카메라의 배면에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4)가 장착되어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4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camera.

상기 액정 표시 장치(4)는 상기 제1 렌즈군(110)에 의해 결상된 상을 나타내는 제1 화면(①)과, 상기 제2 렌즈군(120)에 의해 결상된 상을 나타내는 제2 화면(②)과, 상기 제3 렌즈군(130)에 의해 결상된 상을 나타내는 제3 화면(③)과, 카메라의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제4 화면(④)으로 분할되어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4 may include a first screen ① indicating an image formed by the first lens group 110 and a second screen indicating an image formed by the second lens group 120. ②), a third screen ③ representing an image formed by the third lens group 130, and a fourth screen ④ displaying functional information of the camera.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하기 위해 카메라의 전면에 장착된 렌즈부(1)의 전면 결상계(11)를 피사체쪽으로 향하도록 한다.The user using the digital still camera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directed to the front imaging system 11 of the lens unit 1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amera toward the subject in order to set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그러면, 카메라의 전면측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된 광은 상기 전면 결상계(11)의 제1 렌즈군(110)으로 입사한다.Then, the light reflected by the subjec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group 110 of the front imaging system 11.

그리고, 상기와 동시에 카메라의 좌,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된 광은 상기 우측 결상계(12)의 제2 렌즈군(120)과 좌측 결상계(13)의 제3 렌즈군(13)으로 입사한다.At the same time, the light reflected by the subject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is incident on the second lens group 120 of the right imaging system 12 and the third lens group 13 of the left imaging system 13. do.

상기 제1 렌즈군(110)에 입사한 광은 해당 방향으로 굴절되어 광축상에 직각으로 위치한 제1 CCD(111)에 결상된다.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group 110 is refrac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imaged on the first CCD 111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상기 제1 렌즈군(110)에 입사한 광의 결상과 동시에 상기 제2 및 제3 렌즈군(120 및 130)에 입사한 광은 각각 해당 방향으로 굴절되어 각 렌즈군(120, 130)의 광축상에 직각으로 위치한 제2 및 제3 CCD(121 및 131)에 결상된다.In addition,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and third lens groups 120 and 130 at the same time as the imaging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group 110 is refrac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respectively. The second and third CCDs 121 and 131 are positioned at right angles on the optical axis.

상기 제1∼제3 CCD(111∼131)는 결상된 피사체의 상을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2)로 출력한다.The first to third CCDs 111 to 131 convert the image of the imaged object into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2.

그러면, 상기 신호 처리부(2)는 상기 제1∼제3 CCD(111∼131)에서 출력하는 신호 각각을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변환된 각 디지탈 영상 신호를 제어부(3)로 출력한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performs a signal processing for converting each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CCDs 111 to 131 into corresponding digital image signals, and converts each converted digital image signal into a controller ( Output to 3).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신호 처리부(2)에서 출력하는 카메라의 전면, 좌,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에 해당하는 각각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기본적으로 카메라의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에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액정 파인더부(4)의 제1 화면(①)에 화상으로 나타나도록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액정 파인더부(4)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3 is a liquid crystal finder of the digital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camera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locat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of the camera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ted to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so that the first screen ① of the unit 4 appears as an image.

상기 액정 파인더부(4)는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1 화면(①)에 나타낸다.The liquid crystal finder 4 displays an image of a su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camera on the first screen ①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

그러면, 촬영자는 상기와 같이 액정 파인더부(4)의 제1 화면(①)에 나타난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Then, the photographer can check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① of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촬영자는 상기 제1 화면(①)에 나타난 피사체의 구도가 자신이 원하는 구도이면, 도시하지 않은 촬영 동작이 시작되도록 하는 릴리즈(release) 스위치를 동작시켜 촬영을 하며, 피사체의 구도가 자신이 원하지 않은 구도이면 카메라를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피사체 구도를 설정한다.Here, if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shown on the first screen ① is the composition desired by the photographer, the photographer shoots by operating a release switch to start a shooting operation (not shown). If you do not want a composition, move the camera to set your own composition.

만약, 상기에서 카메라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좌,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고자 하면, 촬영자는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조작한다.If you want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as well as the subject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amera, the photographer operates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촬영자가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1회 온 동작시키면, 상기 제어부(3)는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의 동작 신호를 판단하여 설정된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입력에 따른 액정 표시 순위에 따라 카메라의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상기 신호 처리부(2)의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액정 파인더부(4)에 나타나도록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photographer turns on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once, the controller 3 determin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according to an input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for the subject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mera is set according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rank, and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set digital image signal appears in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그러면, 상기 액정 파인더부(4)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화면(②)에 카메라의 우측면에 위치한 피사체의 화상을 나타낸다.Then, the liquid crystal finder 4 displays an image of the subject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mera on the second screen ②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

그리고, 촬영자는 카메라의 좌측에 위치한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한번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온 동작시킨다.Then, the photographer turns on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again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mera.

그러면, 상기 제어부(3)는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의 2회째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2)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중 카메라의 좌측에 위치한 피사체에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디지탈 영상 신호를 액정 파인더부(4)에 나타나도록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n, the controller 3 sets a digital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ubjec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mera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signal of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set digital video signal appears in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상기 액정 파인더부(4)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3 화면(③)에 카메라의 좌측에 위치한 피사체의 화상을 나타낸다.The liquid crystal finder 4 displays an image of a subjec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mera on the third screen ③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

상기 액정 파인더부(4)는 카메라의 전면, 좌측, 우측에 위치한 피사체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해당 화면에 나타낼 수 있고, 또는 전부를 해당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finder 4 may selectively display an image of a subject locat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on a corresponding screen, or may display all of the images on the corresponding screen.

상기 액정 파인더부(4)의 제4 화면(④)은 화상 표시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화면이다.The fourth screen ④ of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is a screen for an additional function for image display.

그리고, 촬영자가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3회째 온 동작시키면, 상기 제어부(3)는 액정 파인더부(4)의 상기 제1∼제3 화면(①∼③)에 각각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화상이 나타나도록 하고, 촬영자가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4회째 온 동작시키면, 상기 제1 화면(①)에만 해당 피사체의 화상이 나타나도록 한다.Then, when the photographer operates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for the third time, the controller 3 controls the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screens ① to ③ of the liquid crystal finder 4. When the image is displayed and the photographer operates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for the fourth time,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ly on the first screen ①.

따라서, 촬영자가 상기 방향 선택 스위치(S1)를 온 동작시킬 때마다, 상기 액정 파인더부(4)는 상기 제1 화면(①)→ 상기 제2 화면(②)→ 상기 제3 화면③)→ 상기 제1, 제2, 제3 화면(①, ②, ③)→ 상기 제1 화면①) 순으로 피사체의 화상을 나타낸다.Therefore, whenever the photographer turns on the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moves from the first screen ① to the second screen ② to the third screen ③.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ens (①, ②, ③) → the first screen ① are displayed in order of the subject.

여기서, 상기의 화상 표시 순서는 제작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Here, the image display order may var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그리고,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를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Next, a 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digital still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 발명은 방향 선택 스위치(S1), 렌즈부(1), 신호 처리부(2), 제어부(3), 액정 파인더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direction selection switch S1, a lens unit 1, a signal processing unit 2, a control unit 3, and a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In general,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performed.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 발명은 상기 렌즈부(1)가 상기 전면 렌즈부(11)와, 상기 우측 렌즈부(12)와, 상기 좌측 렌즈부(13)와 더불어 카메라의 저면측에 장착되어 카메라의 저면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는 제4 렌즈군(140)과 상기 제4 렌즈군(14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전기적으로 변환시키는 제4 CCD(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면 결상계(14)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 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amera together with the front lens unit 11, the right lens unit 12, and the left lens unit 13. A fourth lens group 140 that is mounted and reflects light incident on a subject locat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camera and a fourth CCD 141 that electrically converts the light formed by the fourth lens group 140. The bottom image forming system 14, including a further comprises.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 발명은 전영역에 위치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고, 촬영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located in the entire area can be confirmed and photographed.

그리고, 상기 액정 파인더부(4)의 제4 화면(④)을 카메라의 저면에 위치한 피사체를 화상으로 나타내는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 파인더부(4)에 나타나는 화면 순서에 상기 제4 화면(④)이 첨가된다.In addition, the fourth screen ④ of the liquid crystal finder unit 4 may be used as a screen representing an objec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camera as an image, and the fourth screen ( ④) is added.

이 발명은 피사체를 결상하는 렌즈계와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를 쌍으로 하는 것을 카메라의 전면, 배면, 좌측, 우측 등에 장착하고, 각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다분할된 화상 표시 장치의 해당 화면에 나타내므로써, 촬영자가 움직이지 않고 전면 및 좌, 우, 아래측에 위치한 피사체를 편안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의 고급화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system for imaging an object and a CCD for converting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re mount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and the corresponding scree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btained by dividing the subject at each position is divided. As shown in, the photographer can comfortably photograph the subject located on the front and left, right, and bottom sides without moving,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mera.

Claims (6)

카메라의 해당하는 다수의 면에 장착되어 있고, 해당하는 다수의 면에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다수의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칭함)를 가지는 촬상 수단과;Imaging means mounted o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camera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rge coupled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Ds) for converting light incident o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surfaces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 수단과;Signal processing means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imaging means into a digital video signal;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수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사체 선택 수단과;Subject selection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s converted by said signal processing means; 상기 피사체 선택 수단의 선택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디지탈 영상 신호중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영상 신호를 촬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Control means for setting a corresponding digital image signal among the digital image signals of the signal processing means inpu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ubject select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allow the photographer to check the set image signal; 다수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화면에 영상을 나타내어 촬영자가 피사체의 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인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표시 장치.And a finder means for dividing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screens and displaying an image on a corresponding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o allow a photographer to check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제1항에 있어서, 방향 선택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selecting means 관찰할 피사체의 방향을 선택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피사체 방향 선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표시 장치.And a subject direction selection switch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selecting a direction of a subject to be obser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ing means,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하는 광을 결상하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에 입사하는 광의 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군에 의해 결상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로 이루어져, 카메라에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And a lens group for forming light incident on the subject reflected by the subject and a CCD positioned on an axis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group and converting light formed by the lens group into an electrical signal. 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ns group, 카메라의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ns group, 카메라의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과 배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left, right and back sides of the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상기 피사체 선택 수단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서 출력하는 다수의 디지탈 영상 신호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씩 상기 파인더 수단의 해당 분할 화면에 나타내다가 디지탈 영상 신호 모두를 해당 분할 화면에 동시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A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mean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e by one in the set ord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bject selecting means, and all the digital image signal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split screen. And a multi-vision image display device of a digital still camera.
KR1019970057659A 1997-11-03 1997-11-03 Multi-vision pictual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KR100252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59A KR100252634B1 (en) 1997-11-03 1997-11-03 Multi-vision pictual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59A KR100252634B1 (en) 1997-11-03 1997-11-03 Multi-vision pictual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37A true KR19990038037A (en) 1999-06-05
KR100252634B1 KR100252634B1 (en) 2000-04-15

Family

ID=1952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659A KR100252634B1 (en) 1997-11-03 1997-11-03 Multi-vision pictual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6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04A (en) * 2002-03-19 2003-09-26 안정오 Gold or silver solution wave water production method by vibrator and device
KR20200009327A (en) * 2018-07-18 2020-01-30 전대형 Cellular phone having multiple camera and push buttons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04A (en) * 2002-03-19 2003-09-26 안정오 Gold or silver solution wave water production method by vibrator and device
KR20200009327A (en) * 2018-07-18 2020-01-30 전대형 Cellular phone having multiple camera and push button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634B1 (en)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218A (en) Electronic camera with dual resolution sensors
JPH05260352A (en) Video camera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JP4275643B2 (en) Digital stereo camera or digital stereo video camera
US9635295B2 (en) Imaging device
JP2011114487A (en) Imaging apparatus
JP2005151162A (en) Imaging apparatus
JP2001119707A (en) Color image pickup system provided with anti-aliasing function
JP430974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KR100252634B1 (en) Multi-vision pictual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JP3642881B2 (en) Image input device
KR100257333B1 (en) Digital still camera for displaying a tree-dimensional image
JPH11136559A (en) Image pickup device/method
JP3078043B2 (en) Electronic still camera device
JP2743551B2 (en) Camera with LCD finder
JP2005037517A (en) Stereoscopic camera
JP2001208954A (en) Digital camera
JP2004221785A (en) Camera control device
JP3270266B2 (en) camera
JPH06141329A (en) Sequential facing device
JP3270265B2 (en) camera
JP3566687B2 (en) Data array conversion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input device
JP2008076511A (en) Imaging apparatus
CN115314606A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0041162A (en)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