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946U - 김치저장고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946U
KR19990037946U KR2019980003835U KR19980003835U KR19990037946U KR 19990037946 U KR19990037946 U KR 19990037946U KR 2019980003835 U KR2019980003835 U KR 2019980003835U KR 19980003835 U KR19980003835 U KR 19980003835U KR 19990037946 U KR19990037946 U KR 19990037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storage container
kimchi
stor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946U/ko
Publication of KR19990037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46U/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5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내(11)가 형성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내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내(11)의 바닥면(11a)에는 다수개의 상판부재(110)와 다수개의 하판부재(120)가 바둑판모양으로 단차지게 결합된 받침판(10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내(11)로 저장용기(50)의 수납/인출시 상기 저장용기(50)로 인해 고내(11)의 바닥면(11a)이 긁혀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받침판(100)으로 인해 고내(11)의 바닥면(11a)과 저장용기(50)의 바닥면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냉동장치(71)에 의해 상기 고내(11)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용기(50)의 바닥과 고내(11)바닥면(11a)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저장고
본 고안은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를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키도록 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내의 바닥면에 받침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상기 저장용기의 수납/인출시 고내의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고내의 바닥면으로 냉기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저장고는, 김치독을 사용하기가 곤란한 아파트와 같은 주택에서 김치를 신선한 상태로 오랜기간 저장/보관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5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내(11)가 형성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내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전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다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후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시 회전되도록 된 바퀴(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상부면 소정부위에는 김치저장고의 운전 및 상기 고내의 온도를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30)의 전면부에는 상기 도어(30)의 개폐시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도어핸들(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하측에 구획형성된 챔버(70)에는 고내(11)의 온도를 열교환하기 위해 구동되는 압축기 및 증발기등의 냉동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본체(10)로 전원을 인가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조작부(31)를 조작하여 냉동장치(71)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냉동장치(71)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고내(11)로 토출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고내(11)는 상기 조작부(31)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셋팅되게 된다.
이후,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저장용기(50)에 담아 상기 고내(11)의 아래쪽에서 부터 저장용기(50)를 차례로 적재한 다음 도어(30)를 닫아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고내(11)에 저장된 발효식품은 신선한 상태로 보존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내(11)에 보관된 식품을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30)를 열고 상기 고내(11)에 저장된 저장용기(50)를 고내(11)으 밖으로 인출한 다음,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발효식품을 먹고자 하는 량만큼 꺼내어 먹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발효식품을 이용자가 원하는 량만큼 꺼낸 다음, 상기 이용자는 저장용기(50)를 고내(11)로 다시 수납시켜 발효식품을 신선하게 보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김치저장고에 의하면,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5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내의 고내(11)로 수납하거나 또는 고내(11)에 수납된 저장용기(50)를 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할 경우, 상기 저장용기(50)에 의해 고내(11)의 바닥면(11a)이 긁혀지는 등 상기 바닥면(11a)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내(11)로 저장용기(50)의 수납시 상기 저장용기(50)가 고내(11)의 바닥면(11a)과 밀착되도록 접촉됨으로 인해, 냉동장치(7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내(11)로 토출된 냉기가 골고루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상기 저장용기(50)의 바닥면이 고내(11)의 바닥면(11a)과 밀착/접촉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고내(11)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용기(50)의 바닥과 고내(11)의 바닥면(11a)사이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저장용기(50)의 주위만을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발효식품이 골고루 신선하게 보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둑판모양의 받침판을 고내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를 고내로 수납할 경우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저장용기를 수납시킴은 물론, 상기 저장용기를 받침판의 상부면에서부터 본체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저장용기의 수납/인출시 상기 저장용기에 의해 고내의 바닥면이 긁혀지는 등 상기 바닥면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된 김치저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고내의 바닥면에 받침판을 설치하게 되면, 저장용기의 수납시 상기 저장용기를 받침판의 상부면에 수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내의 바닥면과 저장용기의 바닥면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고내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용기의 바닥과 고내바닥면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을 골고루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김치저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내의 고내로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가 수납됨은 물론 도어에 설치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속의 김치를 익힘 또는 숙성시키도록 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고내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상판부재와 다수개의 하판부재가 바둑판모양으로 단차지게 결합된 받침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김치저장고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고내
11a - 바닥면 30 - 도어
31 - 조작부 50 - 저장용기
71 - 냉동장치 100 - 받침판
110 - 상판부재 120 - 하판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김치저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5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내(11)가 형성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고내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전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다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후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시 회전되도록 된 바퀴(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상부면 소정부위에는 김치저장고의 운전 및 상기 고내의 온도를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30)의 전면부에는 상기 도어(30)의 개폐시 이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된 도어핸들(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하측에 구획형성된 챔버(70)에는 고내(11)의 온도를 열교환하기 위해 구동되는 압축기 및 증발기등의 냉동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내에 형성된 고내(11)의 바닥면(11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판부재(110)와 다수개의 하판부재(120)가 바둑판모양으로 단차지게 결합된 받침판(10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는, 단면은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두께는 소정이 두께로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고내(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판부재(110)와 다수개의 하판부재(120)가 바둑판모양으로 단차지게 결합되면 상기 받침판(100)은 대략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김치저장고의 이용자는 먼저 본체(10)에서 도어(30)를 회동시켜 고내(11)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고내(11)의 바닥면(11a)에 받침판(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내(11)의 바닥면(11a)에는 상기 받침판(100)의 하판부재(120)밑면이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김치저장고의 이용자는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50)를 고내(11)로 수납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저장용기(50)의 외부 바닥면이 상기 받침판(100)의 상판부재(110)상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50)의 수납시 고내(11)의 바닥면(11a)이 상기 저장용기(50)로 인해 긁혀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후, 이용자는 도어(30)를 본체(10)로 회동시켜 고내(11)를 밀폐시킴과 더불어, 상기 도어(30)에 설치된 조작부(31)를 조작하여 냉동장치(71)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동장치(71)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고내(11)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고내(11)는 조작부(6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셋팅되게 되며,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김치는 익힘 또는 숙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김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30)를 본체(10)로부터 회동시켜 고내(11)를 개방한 다음, 상기 고내(11)에 수납된 저장용기(50)를 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김치를 원하는 량만큼 꺼내어 음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고내(11)로부터 저장용기(50)를 인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가 받침판(100)의 상판부재(110)로부터 상기 저장용기(50)를 인출하게 되므로, 상기 저장용기(50)의 인출시 고내(11)의 바닥면(11a)이 상기 저장용기(50)로 인해 긁혀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00)으로 인해 고내(11)의 바닥면(11a)과 저장용기(50)의 바닥면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냉동장치(71)에 의해 상기 고내(11)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용기(50)의 바닥과 고내(11)바닥면(11a)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저장용기(50)에 담겨진 김치는 골고루 신선하게 보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내에 형성된 고내의 바닥면에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로 이루어진 받침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상기 고내로 저장용기의 수납/인출시 상기 저장용기로 인해 고내의 바닥면이 긁혀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판으로 인해 고내의 바닥면과 저장용기의 바닥면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냉동장치에 의해 상기 고내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용기의 바닥과 고내바닥면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내의 고내로 김치가 담겨진 저장용기가 수납됨은 물론 도어에 설치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속의 김치를 익힘 또는 숙성시키도록 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고내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상판부재와 다수개의 하판부재가 바둑판모양으로 단차지게 결합된 받침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
KR2019980003835U 1998-03-16 1998-03-16 김치저장고 KR19990037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35U KR19990037946U (ko) 1998-03-16 1998-03-16 김치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35U KR19990037946U (ko) 1998-03-16 1998-03-16 김치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46U true KR19990037946U (ko) 1999-10-15

Family

ID=6971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835U KR19990037946U (ko) 1998-03-16 1998-03-16 김치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9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79B1 (ko) * 2006-11-14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79B1 (ko) * 2006-11-14 2008-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9520C2 (ru) Холодильная камера
US20130127322A1 (en) Refrigerator
KR101065722B1 (ko) 냉장고용 반찬통 정리함
KR19990037946U (ko) 김치저장고
KR19990038664U (ko) 냉장고의 도어가드
KR101838065B1 (ko) 냉장고
JP2003056979A (ja) 冷蔵庫
JP3036950B2 (ja) 冷蔵庫の棚装置
KR200421232Y1 (ko) 거치 수납구조를 갖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200158634Y1 (ko) 냉장고
KR2010006659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09228967A (ja) 冷蔵庫
KR200158633Y1 (ko) 냉장고
KR200158565Y1 (ko) 냉장고
KR200183033Y1 (ko) 냉장고
KR940004975Y1 (ko) 김치 보관용 냉장고
JPH03158691A (ja) 冷蔵庫
KR101150950B1 (ko) 냉장고
KR20040085755A (ko) 냉장고의 디스팬서
JP2001021252A (ja) 冷蔵庫
JP2005037059A (ja) 貯蔵庫
KR200421385Y1 (ko) 분할형 선반을 갖는 냉장고
KR20040048776A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설치구조
KR19990027984U (ko) 냉장고의 선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