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943A - Lumped element isolator - Google Patents

Lumped element iso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943A
KR19990037943A KR1019990006495A KR19990006495A KR19990037943A KR 19990037943 A KR19990037943 A KR 19990037943A KR 1019990006495 A KR1019990006495 A KR 1019990006495A KR 19990006495 A KR19990006495 A KR 19990006495A KR 19990037943 A KR19990037943 A KR 1999003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ator
pcb
conductor
inpu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7276B1 (en
Inventor
권원현
한종태
김태현
Original Assignee
한종태
주식회사 스타트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태, 주식회사 스타트텔레콤 filed Critical 한종태
Priority to KR101999000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276B1/en
Publication of KR1999003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2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6Iso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8Circulators
    • H01P1/383Junction circulators, e.g. Y-circ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Landscapes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 구성시 필수 구성요소인 캐패시터와 저항을 PCB를 매개로 접속하여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감쇄량, 즉 입출력 임피이던스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that facilitates workability by connecting capacitors and resistors, which are an essential component when constructing a concentrated integral type isolator, via a PCB, and facilitates the adjustment of the input / output attenuation, that is, the input / output impedance of the centralized integral type isolator will be.

즉, 발명은 하부 실드 케이스에 안착되는 페라이트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가 내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콘덕터의 3단자가 접속되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PCB와, 상기 PCB의 패턴에 부착되어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와 그 특성을 조정하는 칩 캐패시터 및 저항을 구비한 것이다.That is, the invention is a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conductor surrounding the ferrite seated on the lower shield case, the PCB i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is connected to the three terminals of the conductor, and attached to the pattern of the PCB And a chip capacitor and a resistor for adjusting the input / output impedance of the isolator and its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중요특성을 좌우하게 되는 입출력 임피이던스와 병렬 캐패시턴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하는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adjust the input / output impedance and the parallel capacitance, which are important factors of the lumped integer isolator, and can improve the workability of assembling the isolator.

Description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Lumped element isolator}Lumped element isolat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또는 기지국 등에 적용되는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 구성시 필수구성요소인 캐패시터와 저항을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매개로 접속하여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감쇄량, 즉 입출력 임피이던스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entrated integral type isolator applied to a terminal or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capacitor and a resistor,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when constructing a centralized integral type isol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entrated integral type isolator which facilitates control of an input / output attenuation amount, that is, an input / output impedance of a centralized integral type isolator.

이동통신의 발달로 통신서비스 수요자가 점점 늘어나면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숫자도 증가추세에 있는 데, 이 중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에서와 같이, 안테나(110)와, 듀플렉서(111), 저잡음 증폭기(112), 주파수 변환기(113), 모뎀(114), 콘트롤러 및 주변장치(115), 국부 발진기(116), 주파수 변환기(117), 전력 증폭기(118), 아이솔레이터(1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the number of terminals and base stations is increasing as the demand for communication services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s, among them,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include an antenna 110, a duplexer 111, and a low noise amplifier ( 112, frequency converter 113, modem 114, controller and peripherals 115, local oscillator 116, frequency converter 117, power amplifier 118, isolator 119, and the like.

여기서, 기지국의 송신단의 경우 파워 앰프(power amplifier)를 통하여 고전력의 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하게 되는 데 부적합한 회로설계 및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해 부정합이 일어나면 반사전력이 발생하여 기지국 시스템이 파손되거나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transmitting stage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mismatch occurs due to an inappropriate circuit design and an external environment change that causes a high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antenna through a power amplifier, the reflected power is generated and the base station system is damaged or system performance. May lower the temperature.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1에서와 같이 아이솔레이터(isolator)를 반드시 구비하게 되는데, 아이솔레이터로는 자성체를 이용한 서큘레이터(circulator)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conventionally, an isolator is necessarily provided as shown in FIG. 1, and a circulator using a magnetic material is widely used as an isolator.

또 단말기의 경우 송수신할 때 하나의 안테나(101)를 사용하므로 듀플렉서(111:duplexer)를 사용하고 듀플렉서(111)와 전력 증폭기(118) 사이의 반사전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솔레이터(119)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기지국과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아이솔레이터(119)는 자성체와 도체기판 그리고 외부 직류자계용 자석으로 구성된다. 자화된 자성체의 특성은 고주파 대역에서 텐서(tensor)로 표시되는 투자율을 갖는 데, 이 때 자성체 매질 내에서의 맥스월 방정식은 텐서 투자율을 포함하여 전개되고, 텐서 투자율에 존재하는 오프 다이어그널(off-diagonal)성분은 비가역성인 성질을 만들어 낸다.In addition, since a terminal uses one antenna 101 to transmit and receive, a duplexer 111 must be used, and an isolator 119 must be used to prevent reflected power between the duplexer 111 and the power amplifier 118. do. The isolator 119 used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composed of a magnetic body, a conductor substrate, and an external DC magnetic field magnet. The characteristics of a magnetized magnetic body have a permeability expressed as a tensor in the high frequency band, where the Maxwall equation in the magnetic medium is developed including the tensor permeability and the off-diagram present in the tensor permeability. Diagonal components produce irreversible properties.

또한, 서큘레이터는 도파관(waveguide), 스트립라인(stripline), 동축 케이블(coaxial) 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데, 이 중 스트립라인에서 자성체 사이에 들어가는 도체기판 형태는 분산형(distributed type)인 경우 원이나 삼각형 모양의 공진기를 사용하며, 이러한 공진기의 물리적인 크기는 파장에 일정하게 비례한다.In addition, the circulator can be implemented as a waveguide, stripline, coaxial cable, etc. Among these, the conductor boards that enter between the magnetic bodies in the stripline are of a distributed type. Or a triangular resonator, the physical size of the resonator is proportional to the wavelength.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은 3GHz미만의 UHF 대역이므로 분산회로 형태로 구현할 경우 그 크기가 커져 장착하기 어렵고, 또 단말기에 장착할 경우 중량을 상당히 줄여야 함으로 분산형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Currently used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is less than 3GHz UHF band, so if the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a distributed circuit, its size is difficult to be mounte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a distributed type because it is requi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60년대 중반에 집중정수형(lumped element type)의 서큘레이터가 제안되었으며, 그 후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lumped element type circulator has been proposed in the mid-60s and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since then.

이동 통신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등에 적용되는 m-포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lumped element isolator)는 도2에서와 같이, 마그네트(102:magnet)와, 페라이트(103:ferrite)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104:conductor), 소정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와 임피이던스(impedance)값을 갖는 판형 캐패시터(106), 하우징(105:housing) 그리고 상하로 결합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를 실드(shield)하게 되는 상/하부 실드 케이스(101)(107)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m-port lumped element isolator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s a conductor (104) surrounding a magnet (102) and a ferrite (103) as shown in FIG. ), A plate-shaped capacitor 106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ance and impedance value, a housing 105 (housing), and an upper / lower shield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ses 101 and 107.

여기서, 종래에는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 정합과 특성을 맞추어 주거나 부가되는 캐패시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3에서와 같은 판형 캐패시터(106)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판형 캐패시터(106)는 소정 두께와 유전율을 갖는 세라믹판으로 된 것으로서, 판형 캐패시터(106)의 상면에는 콘덕터(104)의 3단자가 접속되는 패턴(10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턴(109)은 미도시된 하우징(105)의 각 접점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106)의 접점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PCB에 접속되어서 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외부라인에 연결된다.Here, in the related art, a plate capacitor 106 as shown in FIG. 3 is used to generate the capacitance that is matched or added to the input / output impedance matching of the lumped integer isolator. The plate capacitor 106 is formed of a ceramic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ielectric constant. A pattern 109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capacitor 106 to which three terminals of the conductor 104 are connected. 109 is connected to each contact of the housing 105, which is not shown, and the contact of the housing 106 is connected to the PCB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line to which a signal is input or output.

그리고, 판형 캐패시터(106)의 저면의 전면에는 접지와 연결되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 캐패시터(106)의 상면에 인쇄된 패턴(109)과 저면에 인쇄된 패턴 사이의 세라믹의 유전율과, 세라믹의 두께 그리고 패턴(109)의 넓이에 의해 판형 캐패시터의 임피이던스가 결정된다.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capacitor 106 is printed with a pattern connected to the grou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eramic between the pattern 109 pri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capacitor 106 and the pattern prin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ramic The impedance of the plate-shaped capacitor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and the width of the pattern 109.

그러나, 세라믹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임피이던스가 세라믹의 유전율과 두께 그리고 세라믹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결정된 후 완제품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특성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를 조절하여 입출력신호의 감쇄특성과 서큘레이션 특성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임피이던스를 갖는 판형 캐패시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다. 즉, 적절한 임피이던스를 얻을 수 있도록 세라믹의 유전율과 두께 그리고 PCB 패턴 등을 재설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impedance determined by the pattern printed on the ceramic is determined by the dielectric constant and thickness of the ceramic and the pattern printed on the ceramic, and then assembled into a finished product, there is a drawback in not being a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concentrated integral type isolator. In other words, when the input and output impedance of the lumped integer isolator is adjusted to control the attenuation and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output signal, there is a drawback that a plate capacitor having an impedance corresponding thereto is used. In other words, it is cumbersome to redesign the dielectric constant and thickness of the ceramic and the PCB pattern to obtain the appropriate impedance.

또한, 판형 세라믹의 상부와 저부에 각각 패턴을 인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판형 캐패시터에 콘덕터의 3단자를 접속한 후 하우징의 접점과 접속되도록 이를 다시 하우징 내에 장착해야 함으로써,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o the hassle of printing a pattern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plate-shaped ceramic, respectively, the three-terminal conductor of the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capacitor, and the isolator must be mounted in the housing agai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tact of the housing. It has the drawback that workability to assemble is remarkably inferior.

아울러 완제품 상태에서 낙하 등의 기계적 충격이 인가될 경우 판형 캐페시터는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a mechanical shock such as a drop is applied in the finished state, the plate-shaped capacitor may be easily broken, and thus has the disadvantage of low reli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덕터의 3단자를 PCB 패턴에 접속한 후 PCB 패턴에 캐패시터와 저항을 콘덕터에 병렬로 접속하여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하는 작업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감쇄특성에 상응되게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shortcomings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assembling a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by connecting three terminals of a conductor to a PCB pattern and then connecting a capacitor and a resistor to the conductor in paralle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which can easily adjust the input / output impedance of the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according to the input / outpu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종래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도3은 종래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서 판형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plate capacitor in a conventional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서 캐패시터나 저항이 부착되는 PCB를 보인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PCB to which a capacitor or a resistor is attached in the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콘덕터를 보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ductor of the concentrated integral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상부 실드 케이스 2 : 마그네트1: upper shield case 2: magnet

3 : 페라이트 4 : 콘덕터3: ferrite 4: conductor

5 : 하우징 6 : PCB5: housing 6: PCB

7 : 하부 실드 케이스 8 : 칩 캐패시터7: lower shield case 8: chip capacitor

9 : 패턴 10 : 관통공9: pattern 10: through hole

11 : 스트립라인11: striplin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는, 페라이트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가 평판 캐패시터에 연결되어 하우징 저부에 부착되고, 상기 페라이트 위에 마그네트가 안착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콘덕터 그리고 하우징을 감싸면서 상/하부 실드 케이스가 상하로 결합되어 실드하도록 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하부 실드 케이스에 안착되는 페라이트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가 내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콘덕터의 3단자가 접속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PCB; 상기 PCB의 패턴에 부착되어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와 그 특성을 조절하는 칩 캐패시터 및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centrated integral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ductor surrounding the ferrite is connected to the flat plate capacitor is attached to the housing bottom, the magnet is seated on the ferrite, the magnet and the conductor and In the concentrated integral type isolator which surrounds the housing and the upper / lower shield case is coupled up and down to shiel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conductor enclosing the ferrite seated on the lower shield case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A PCB having a pattern to which three terminals are connected; It is attached to the pattern of the PC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ip capacitor and a resistor for adjusting the input and output impedance of the isolator and its characteristics.

상기 콘덕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는 칩 캐패시터와 PCB 위의 패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캐패시터로는 온도 보상용 NPO(negative positive zero) 캐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다.The input and output impedance of the conductor may be controlled by a pattern on the chip capacitor and the PCB, and a negative positive capacitor (NPO)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may be used as the capacitor.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서술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이솔레이터로 사용되는 서큘레이터는 m개의 단으로 구성된 비가역적 수동소자로서, 한 개의 입력단으로 들어온 신호는 인접한 다른 한쪽단으로 결합되나 또 다른 단으로는 분리되는 성질을 갖는다.The circulator used as an isolator is an irreversible passive element composed of m stages, and a signal coming into one input stage is coupled to another adjacent stage, but separated into another stage.

통상적으로 쓰이는 서큘레이터는 3-포트가 정합된 부하로 종단된 경우로서, 이는 단방향성을 가진 2-포트 전송선로로 나타내어지며 전달방향의 역방향으로 들어온 신호는 감쇄없이 부하로 흡수된다.A commonly used circulator is a case where a three-port is terminated with a matched load, which is represented by a two-port transmission line having a unidirectional direction, and a signal coming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is absorbed by the load without attenuation.

여기서, 서큘레이터의 회전방향은 페라이트를 자화시키기 위해 인가해 주는 직류자계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직류자계의 N극과 S극을 바꾸어 줌으로써 입력단의 신호를 인접한 두 단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향의 전환은 페라이트에 인가해주는 자계를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석을 사용하고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전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Here, sinc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irculator is determined by the DC magnetic field applied to magnetize the ferrite, the signal of the input terminal can be selected and transmitted from two adjacent stages by changing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DC magnetic field. The chang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may be achieved by using an electromagnet and switching the flow of electr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without using a permanent magnet in a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ferrite.

여기서, 페라이트는 XO·Fe2O3로 이루어진 준강자성체(ferrimagnetics)로서, 강자성체(ferromagnetics)와 유사한 자기적 성질을 가지나, 전기 전도도가 낮아 높은 주파수에서 와류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손실을 제한한다.Here, ferrites are ferromagnetics made of XO · Fe 2 O 3 , and have similar magnetic properties to ferromagnetics, but have low electrical conductivity to limit losses due to eddy currents at high frequencies. .

UHF대역에서 분산형 소자로 설계되는 아이솔레이터는 디스크 공진기나 삼각형 공진기 등을 쓰는 데, 이 때 존재하는 전자계가 TM11모드라고 하면 경계조건에 의하여 베셀함수 J1(ka)=0을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여기서, k는 주파수에 비례하고 a는 크기에 비례하므로 UHF대역에서는 아이솔레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아짐에 따라 페라이트 공진기가 비례하여 커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집중정수형 소자를 이용해서 소형화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는 페라이트 디스크 위에 3개의 코일이 감겨져 있다.Isolators designed as distributed devices in the UHF band use disk resonators or triangular resonators. I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TM 11 mode, the Bessel function J 1 (ka) = 0 must be satisfied by boundary conditions. . Since k is proportional to frequency and a is proportional to size, the size of the isolator becomes large in the UHF ban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errite resonator grows proportionally as the frequency decreases, three coils are wound on the ferrite disk.

좀 더 상세하게는 각 코일의 자계가 서로 120。의 각을 이루는 스트립라인인 경우 3쌍의 갈라진 도선의 꼬임으로써 코일을 대신하는 데, 서로 절연이 되도록 꼬는 3쌍의 도체선 한쪽을 접지시켜 페라이트 디스크 내의 강한 RF자계를 만들어 준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agnetic field of each coil is a stripline having an angle of 120 ° to each other, the coil is replaced by twisting three pairs of split conductors, and one of the three pairs of twisted conductor wires that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s grounded to ferrite. It creates a strong RF magnetic field in the disc.

페라이트의 직경을 파장보다 훨씬 작게 하면 페라이트 내에는 RF자계만 존재하는 것으로 근사시킬 수 있다. 아이솔레이터는 실제로 실수 저항값에서 동작하므로 페라이트 내에 저장된 자계 에너지는 같은 양의 전계 에어지로 상쇄시키게 된다. 저장된 자계 에너지를 공진시키기 위해서는 페라이트 디스크 외부에 캐패시터를 달아준다.If the diameter of the ferrite is much smaller than the wavelength, it can be approximated that only the RF magnetic field exists in the ferrite. Since the isolator actually operates at the real resistance value, the magnetic energy stored in the ferrite is offset by the same amount of field air. To resonate the stored magnetic energy, a capacitor is mounted outside the ferrite disk.

집중정수형 소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전압, 전류, 임피이던스 관계로 표시할수 있어 KVL(kirchhoff voltage low), KCL(kirchhoff current low)을 직접 적용할 수 있으므로 해석이 용이하나, 상대적으로 작은 공진회로를 사용하므로 Q가 낮아 삽입손실은 정합형태의 아이솔레이터보다 크다.In case of using lumped constant type device, voltage, current, and impedance relationship can be displayed so that KVL (kirchhoff voltage low) and KCL (kirchhoff current low) can be applied directly. Low insertion loss is greater than that of matched isolator.

집중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서 공진기는 직렬 혹은 병렬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비가역 결합은 도체선으로 이루어진 인덕터의 상호결합에 의해서 생긴다. 즉, 페라이트 디스크면에 수직방향으로 자화된 경우 도체선들이 페라이트 공진기에 놓이게 되면 비가역 결합이 이루어진다.In lumped constant isolators, resonators can be configured in series or parallel, and irreversible coupling is created by mutual coupling of inductors made of conductor lines. That is, when magnetiz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errite disk plane, irreversible coupling occurs when the conductor lines are placed in the ferrite resonator.

여기서, 효과적인 서큐레이션이 이루어지려면 LC공진기들의 회전적결합이 커야 한다. 즉, 회전적 결합된 도체선이 큰 인덕턴스를 가져야 한다.Here, the rotary coupling of the LC resonators must be large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circulating. That is, the rotationally coupled conductor line must have a large inductance.

집중정수형 아이솔레이터는 서로 교차되는 라인의 넓이를 아주 가늘게 해주어 크로스 오버 캐패시턴스(cross over capacitance)를 없애 주어야 하나, 대전력용의 아이솔레이터는 도체의 두께 및 넓이를 어느 정도 크게 해주어야 하므로 크로스 오버 캐패시턴스를 무시할 수 없어 입력단에 병렬 캐패시턴스가 달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The lumped constant isolator should be very narrow in the width of the lines crossing each other to eliminate cross over capacitance, but the high power isolator needs to increase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conductor to some extent so that the crossover capacitance can be ignored. It can be thought of as having parallel capacitance at the input.

이러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일 실시예는 도4에서와 같이, 마그네트(2)와, 페라이트(3)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4), 소정의 임피이던스값을 갖는 칩 캐패시터(8)와 저항이 부착되는 패턴(9)이 형성되어 있는 PCB(6), 이 PCB(6)의 패턴(9)에 부착되는 칩 저항 및 칩 캐패시터(8), 하우징(5) 그리고 상하로 결합된 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를 실드하게 되는 상/하부 실드 케이스(1)(7) 등으로 이루어진다.One embodiment of such a lumped integer isolator is a magnet 2, a conductor 4 surrounding the ferrite 3, a chip capacitor 8 having a predetermined impedance value and a resistor are attached as shown in FIG. PCB (6) pattern (9) is formed, the chip resistor and chip capacitor (8) attached to the pattern (9) of the PCB (6), the housing (5) and up and down,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It consists of an upper / lower shield case (1) (7) and the like to shield.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 등에 내장된 PCB에 부착시키기 위한 솔더 패드(solder pad)가 저면에 형성된 하우징(5)의 저부에 PCB(6)가 부착되는 데, 이 때 도5에서와 같이 PCB(6) 상면에 인쇄된 패턴(9)은 하우징에 형성된 솔더 패드에 접속된 접점에 접속되어서 아이솔레이터의 입력과 출력 그리고 접지가 단말기 등에 내장된 PCB에 각각 접속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5) 사출시 내부에는 사출과 동시에 터미널이 형성되고, 하우징(5)에 PCB(6)가 결합되면서 터미널에 PCB(6)이 입출력단이 접속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CB 6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5 in which a solder pad for attaching to a PCB embed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s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9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6 is connected to a contact point connected to a solder pad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isolator and the grou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CB embedded in the terminal. In other words, when the housing 5 is injected, a terminal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injection, and the PCB 6 is coupled to the housing 5 such that the PCB 6 is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그리고, 하우징(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0)에는 인덕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콘덕터(4)에 의해 감싸여진 페라이트(3)가 내입되는 데, 이 콘덕터(4)의 각 스트립라인(11)은 PCB(6)에 형성된 패턴(9)에 접속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내장된 PCB에 콘덕터(4)의 입력과 출력 그리고 접지를 접속할 수 있도록 각 스트립라인(11)을 PCB(6)의 패턴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through hole 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5, a ferrite 3 enclosed by the conductor 4 is embedded in order to implement inductance. 11 is connected to the pattern 9 formed in the PCB 6. That is, as described above, each stripline 11 is connected to the pattern of the PCB 6 so that the input, output and ground of the conductor 4 can be connected to the PCB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콘덕터(4)는 도6에서와 같이, 각 스트립라인(11)이 서로 120。의 사이각을 가지며, 페라이트(3)에 감겨질 때에도 각각 120。 방향으로 겹쳐져 감긴 후 PCB(6)의 패턴(9)에 접속된다.Here, as shown in FIG. 6, the conductors 4 each have an angle of 120 ° to each other, and when the wires are wound on the ferrite 3, the conductors 4 overlap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120 ° and then the PCB 6. Is connected to the pattern 9.

여기서, 콘덕터(4)의 인덕턴스는 콘덕터(4)의 구조, 즉 스트립라인(11)의 길이(L)와 폭(W) 그리고 평행한 두 라인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Here, the inductance of the conductor 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ductor 4, that is, the length L and the width W of the strip line 11 and the spacing between two parallel lines.

또한, PCB(6) 패턴(9)에는 동작주파수에서 필드 서큘레이션(field circulation) 및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 가능하도록 온도 보상용 NPO 칩 캐패시터(8)와 칩 저항이 부착되며, PCB(6)의 입력과 출력 패턴 및 접지 패턴은 하우징(5) 내의 위치한 접점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내장된 PCB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PCB 6 pattern 9 is attached with a temperature compensation NPO chip capacitor 8 and a chip resistor to enable field circulation and isolation at an operating frequency. The input and output patterns and the ground pattern are connected to a PCB embed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contact located in the housing 5.

그리고, 페라이트(3)를 감싸면서 PCB(6) 관통공(10)과 하우징(5) 내에 내입된 콘덕터(4)의 상부에는 자계 인가용 마그네트(2)가 안착되고, 하우징(5)의 상부와 하부에는 마그네트(2)로부터 발생되는 자계를 실드하기 위한 상부 실드 케이스(1)와 하부 실드 케이스(7)가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magnetic field applying magnet 2 is seated on the PCB 6 through-hole 10 and the conductor 4 embedded in the housing 5 while surrounding the ferrite 3. The upper shield case 1 and the lower shield case 7 for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 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서 입출력 감쇄특성을 결정하는 입력과 출력 그리고 접지의 임피이던스값 중 인덕턴스값은 콘덕터(4) 스트립라인(11)의 길이(L)와 폭(W) 그리고 평행한 두 라인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고, 캐패시턴스값은 PCB(6)에 부착된 칩 캐패시터(8)의 캐패시턴스와 PCB(6) 패턴(9)의 자체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되어진다.In the lumped integer isol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ductance value of the input, output, and ground impedance values for determining the input / outpu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s parallel to the length (L), width (W), and parallel of the conductor (4) stripline (11). Determined by the spacing of the two lines, the capacitance value is determined by the capacitance of the chip capacitor 8 attached to the PCB 6 and the self capacitance of the PCB 6 pattern 9.

특히,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의 입력과 출력 그리고 접지의 캐패시턴스와 임피이던스를 PCB(6) 패턴(9)의 자체 캐패시턴스값에 칩 캐패시터와 칩 저항의 임피이던스값을 가산하여 설정함으로써,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input and output of the lumped integer isolator and the capacitance and impedance of the ground are set by adding the impedance values of the chip capacitor and the chip resistance to the self capacitance value of the PCB 6 pattern 9, thereby making the input and output impedance of the isolator easy. It can be se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덕터의 3단자를 PCB에 접속한 후 PCB에 부착된 캐패시터와 저항을 콘덕터에 병렬로 접속하여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하는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부의 기구적 충격에 강한 고신뢰성 아이솔레이터를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nnecting the three terminals of the conductor to the PCB,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ability of assembling the isolator by connecting a capacitor and a resistor attached to the PCB in parallel to the conductor, and strong against external mechanical impact. High reliability isolator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은 칩 캐패시터와 칩 저항을 이용하여 임피이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아이솔레이터의 입력과 출력 감쇄특성에 상응되는 입출력 임피이던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adjusting the input and output impedan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outpu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or by adjusting the impedance using the chip capacitor and the chip resistor.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페라이트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가 평판 캐패시터에 연결되어 하우징 저부에 부착되고, 상기 페라이트 위에 마그네트가 안착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콘덕터 그리고 하우징을 감싸면서 상/하부 실드 케이스가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A conductor enclosing the ferrite is connected to the flat plate capacitor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 magnet is seated on the ferrite, and the upper and lower shield cases are combined up and down while enclosing the magnet, the conductor and the housing. To 하부 실드 케이스에 안착되는 페라이트를 감싸고 있는 콘덕터가 내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콘덕터의 3단자가 접속되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PCB;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enter thereof so that a conductor enclosing the ferrite seated on the lower shield case is formed, and a PCB i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with a pattern to which three terminals of the conductor are connected; 상기 PCB의 패턴에 부착되어 아이솔레이터의 입출력 임피이던스와 그 특성을 조정하는 칩 캐패시터 및 저항;A chip capacitor and a resistor attached to the PCB pattern to adjust input / output imped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or;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Concentrated integer iso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덕터의 입출력 캐패시턴스는 칩 캐패시터와 PCB 위의 패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And the input and output capacitance of the conductor is controlled by a pattern on the chip capacitor and the PC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패시터는 온도 보상용 NPO 캐패시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집중 정수형 아이솔레이터.Wherein said capacitor is an NPO capacitor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KR1019990006495A 1999-02-26 1999-02-26 Lumped element isolator KR100317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495A KR100317276B1 (en) 1999-02-26 1999-02-26 Lumped element iso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495A KR100317276B1 (en) 1999-02-26 1999-02-26 Lumped element iso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43A true KR19990037943A (en) 1999-05-25
KR100317276B1 KR100317276B1 (en) 2001-12-22

Family

ID=3753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495A KR100317276B1 (en) 1999-02-26 1999-02-26 Lumped element iso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27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17A (en) * 1999-12-16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017232B1 (en) * 2008-04-10 2011-02-25 주식회사 티큐브텍 Isolator for radio communication
KR101707955B1 (en) * 2015-10-16 2017-02-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Broadband Lumped Type Isolator in UHF ban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709A (en) * 1996-11-29 1998-06-19 Murata Mfg Co Ltd Isol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17A (en) * 1999-12-16 2001-07-07 무라타 야스타카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017232B1 (en) * 2008-04-10 2011-02-25 주식회사 티큐브텍 Isolator for radio communication
KR101707955B1 (en) * 2015-10-16 2017-02-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Broadband Lumped Type Isolator in UHF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276B1 (en)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8146B2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EP1772926B1 (en) 2 port type isolator and communication unit
KR100268530B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CA1069989A (en) Broadband two-port isolator
JP5679056B2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US4020429A (en) High power radio frequency tunable circuits
KR100317276B1 (en) Lumped element isolator
US5838209A (en) Nonreciprocal junction circuit element having different conductor intersecting angles
US3831114A (en) Encapsulated microstrip circulator with mode elimination means
JP4548384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4548383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3863674B2 (en) Common mode filter
JP5655990B2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JP2011055222A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KR100431145B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8279017B2 (en) Magnetic resonance type isolator
US8319575B2 (en) Magnetic resonance type isolator
KR101052713B1 (en) Circulator / Isolator
JPH09270607A (en) Irreversible circuit element
KR20190101022A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US6822527B2 (en) Isolator for greatly attenuating signal transmitted in reverese direction over wide frequency band
JPH1098308A (en) Non-reversible circuit element
CN118099692A (en) Ultra-bandwidth circulator
Knerr Series-and shunt-tuned lumped-element microwave circulators
Poirer An Integrated Microstrip Circulator (Correspond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