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842U -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842U
KR19990036842U KR2019980002829U KR19980002829U KR19990036842U KR 19990036842 U KR19990036842 U KR 19990036842U KR 2019980002829 U KR2019980002829 U KR 2019980002829U KR 19980002829 U KR19980002829 U KR 19980002829U KR 19990036842 U KR19990036842 U KR 199900368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indoor
air conditioner
evaporated wa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8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842U/en
Publication of KR19990036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42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는, 증발기를 안착시킨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증발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증발기 커버부와 상기 증발기의 후측에 블로워 삽입부가 형성된 실내측 상부 케이싱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커버부 및 블로워 삽입부에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에 생성된 증발수를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배수구로 낙하시켜 제품의 외부로 배수시키고 증발수의 고여 있음으로 인한 제품의 전기적인 문제 및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ior lower casing on which an evaporator is seated, an evaporator cover part which is assemb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door lower casing, and covers an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 rear side of the evaporat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pper casing having a blower insert, wherein the evaporator water is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cover part and the blower insert part by a temperature difference of air during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to drain to the indoor lower cas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pper casing to be discharged to drop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pper casing to the drain of the indoor lower casing to drain to the outside of the product and evaporate To prevent electrical problems and lifespan of the product from being accumulat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상면에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증발수가 배수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upper casing of the air conditioner, the evaporated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to drain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uring heat exchange in the evaporato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or configuration of the unit. In the classification by function, they can be classified into cooling only,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only, and cooling and heating. Integrated air conditioners installed in windows and the like by integrating cooling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s, and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which separates and installs a cooling device on an indoor side and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device on an outdoor side, respectively.

상기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의 전측 바닥에는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상측에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면에 대하여 후방에는 응축기(도시안됨)를 지지하는 실외측 케이싱(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외측 케이싱(110)과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사이에 대하여 상면 중앙에는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지지되도록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 유지 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indoor lower casing 30 on the front bottom of the base panel 10, and an indoor upper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As shown in FIG. A casing 50 is installed, and an outer side casing 110 for supporting a condenser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el 10, and the casing 50 is indoors with the outdoor side casing 110.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ide upper casing 50, a plurality of interval maintaining brackets 120 are coupl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uniformly support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중앙 일측에는 순환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20)내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압축기(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에는 제품의 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품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양측면에 다수개의 통풍구(71)를 가진 아우트패널(7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아우트패널(70)의 정면에는 제품의 정면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프론트패널(80)이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 compressor 100 is installed at on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el 10 so as to supply cool refrigerant into the evaporator 20 by compressing the refrigerant circulated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outer panel 70 having a plurality of vents 71 are coupled to both sides to cover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front of the product to form an exterior and circulate ai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roduct. The front panel 8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outer panel 70 to cover the front of the product to form an exterior and at the same time to suck and discharge the indoor air.

여기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는 그 전측에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2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20)의 후측에는 블로워(도시안됨)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20)의 일측(우측) 상단에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제품 전방으로 토출하도록 토출 면적을 구획하는 토출그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그릴부(82)의 하부에는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콘트롤 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Here, the evaporator 20 is seated on the indoor lower casing 30 so as to heat exchange the air sucked in the room with cold air, and a blow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20. A space is formed, and a discharge grill portion 8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right side) of the evaporator 20 so as to partition the discharge area so as to discharge the cold heat exchanged indoor air to the front of the product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0.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grill 82 is provided with a control casing 40 to accommodate electric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이 때, 상기 증발기(20)와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은 그들 상부면에 안착되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에 의해 동시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케이싱(40)은 상기 증발기(20)의 측면과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토출그릴부(82)에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가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evaporator 20 and the indoor lower casing 30 are simultaneously coupled by an indoor upper casing 50 seated on their upper surface, and the control casing 40 is a side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And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has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to adjust the flow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60) is installed.

상기 프론트패널(80)에는 상기 증발기(2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그릴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 상부 및 하부 케이싱(50)(3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블레이드(90)가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panel 80 has a suction grille 81 formed to suck the indoor ai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vaporator 20, and the upper and lower casings 50 and 30 are coupled to the indoor si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lades 90 ar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ischarge grill 82 which is formed to adjust the flow of the discharged indoor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의 내측벽에는 환기구(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내측 일측에는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 및 폐쇄하는 댐퍼부재(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20)에서 흘러나오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31)가 형성되어 있다.2 and 3, a vent hole 130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formed in the indoor lower casing 30, and an inn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is formed. The damper member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port 130 is installed, and the drain hole 31 for draining the evaporated water flowing out of the evaporator 20 on on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ing 30 of the interior side. ) Is formed.

상기 댐퍼부재(140)는 상기 환기구(130)의 면적을 커버하는 커버부(141)와, 상기 커버부(1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143)와, 상기 레버(143)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구(130)를 개폐시 좌우로 조작하는 손잡이부(144)로 이루어져 있다.The damper member 140 is rotatably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141 and the cover portion 141 to cover the area of the ventilation hole 130 The lever 143 rotates around the shaft 142, and a handle part 14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43 to operate left and righ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hole 130.

상기 레버(143)는 그 중심에 상하측으로 돌기(143a)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44)를 좌우로 조작시 상기 커버부(141)가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돌기(82a)가 형성되어 있다.The lever 143 has a projection 143a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at a center thereof, and the cover 14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82 when the handle 144 is operated left and right. A locking projection 82a is formed to mainta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opening 130.

또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상부에 조립되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은 그 전측에 상기 증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증발기 커버부(51)가 되어 있고, 그 후측에 블로워(도시안됨)가 삽입되는 블로워 수용부(52)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pper casing 50, which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has an evaporator cover portion 51 on its front sid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and a blower on the rear side thereof. The blower accommodation part 52 into which (not shown) is inserted is formed in circular shape.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증발기(20)의 후측에 설치된 블로워(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송풍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8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그릴부(8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부(81)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등이 필터링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the blower (not shown)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20 rotates, and the indoor air is suppli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81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panel 80 by the blowing force. At the same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spended in the air ar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grill unit 81.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압축기(100)의 가동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되고, 또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기(20)의 후측에 있는 블로워(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로 보내어 지고, 상기 토출그릴부(82)에 설치된 수직 블레이드(60)를 통하여 제품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Then, the filtered air is cont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0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0 to exchange heat with cold air, and the heat-exchanged air of the evaporator 20 It is sent to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by a blower (not shown) on the rear side, and the front of the product through the vertical blade 60 installed on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It is discharged to cool the room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즉, 상기 토출그릴부(82)에 결합된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를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조절하거나 또는 수평 블레이드(90)를 상하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조절할 때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면적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 및 수평 블레이드(90)의 변화된 조절 각도에 따라 실내의 원하는 장소로 보내어 지게된다.That is, the indoor lower casing 30 wh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60 coupled to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are adju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the horizontal blade 90 is adju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ow of air through the area of the air is directed to the desired location in the room according to the varied adjustment angle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60 and horizontal blades 90.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상부에 조립되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은 그 전측에 상기 증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증발기 커버부(51)가 되어 있고, 그 후측에 블로워(도시안됨)가 삽입되는 블로워 수용부(52)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증발기(20)에서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상면에 증발수가 발생하고 이 증발수는 상기 블로워 수용부(52)의 외측 공간에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거나 다른 전장 부품으로 침투되어 제품의 고장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pper casing 50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on its front side. 51), and a blower portion 52 into which a blower (not shown) is inserte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rear side thereof, and the indoor upper casing is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air during heat exchange in the evaporator 20. Evaporated water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50, and this evaporated water is not drained into the outer space of the blower accommodating portion 52, but is entrained or penetrated in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which causes the failure of the product as well as significantly affects the life of the product. There was a problem affect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측 상부 케이싱에 증발기의 열교환시 맺히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구성한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ed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drain the evaporated water formed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to the indoor upper casing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는, 증발기를 안착시킨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증발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증발기 커버부와 상기 증발기의 후측에 블로워 삽입부가 형성된 실내측 상부 케이싱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커버부 및 블로워 삽입부에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vaporator cover which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and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seating the evaporato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pper casing having a blower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evaporator, wherein the evaporator cover portion and the blower insert portion are dra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air during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pper casing to flow out to the drain of the indoor lower casing.

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일부 분해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도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상,하부 케이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casing of the indoor sid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3은 도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상, 하부 케이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도5는 도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asing, the lower casing of the indoo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실내측 하부 케이싱 31 : 배수구30: indoor lower casing 31: drain

50 : 실내측 상부 케이싱 150 : 배수부50: indoor upper casing 150: drain

151 : 증발수 안내홈 152 : 배수홀151: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2: drainage hole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상부에 조립되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은 그 전측에 상기 증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증발기 커버부(51)가 되어 있고, 그 후측에 블로워(도시안됨)가 삽입되는 블로워 수용부(52)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door upper casing 50, which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on its front side. ), And the blower accommodation part 52 into which the blower (not shown) is inserted in the back side is formed in circular shape.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의 내측벽에는 환기구(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내측 일측에는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 및 폐쇄하는 댐퍼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Ventilation openings 130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formed in the indoor lower casing 3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opening 130 on one inn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The damper member 140 is provided.

상기 댐퍼부재(140)는 상기 환기구(130)의 면적을 커버하는 커버부(141)와, 상기 커버부(1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143)와, 상기 레버(143)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구(130)를 개폐시 좌우로 조작하는 손잡이부(144)로 이루어져 있다.The damper member 140 is rotatably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141 and the cover portion 141 to cover the area of the ventilation hole 130 The lever 143 rotates around the shaft 142, and a handle part 14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43 to operate left and righ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entilation hole 130.

상기 레버(143)는 그 중심에 상하측으로 돌기(143a)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44)를 좌우로 조작시 상기 커버부(141)가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돌기(82a)가 형성되어 있다.The lever 143 has a projection 143a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at a center thereof, and the cover 14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82 when the handle 144 is operated left and right. A locking projection 82a is formed to mainta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opening 130.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의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커버부(51) 및 블로워 삽입부(52)에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배수구(31)로 유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일측에 배수부(150)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evaporated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cover portion 51 and the blower insertion portion 52 is dra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20. A drain 15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door upper casing 50 so as to flow out of the drain 31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상기 배수부(150)에는 발생된 증발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일측벽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개구된 증발수 안내홈(151)과, 상기 증발수 안내홈(15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1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홀(152)은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표면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수 안내홈(151)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다.The evaporation water guide groove 151 and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1 formed at a lower side along one side wall of the indoor upper casing 50 so that the generated evapor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rt 150 are opened. It is composed of a drain hole 15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drain hole 152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1 so that the surface tension does not act on the evaporated water flowing down have.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b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증발기(20)의 후측에 설치된 블로워(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송풍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8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그릴부(8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부(81)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등이 필터링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the blower (not shown)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evaporator 20 rotates, and the indoor air is suppli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81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panel 80 by the blowing force. At the same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spended in the air ar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grill unit 81.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압축기(100)의 가동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되고, 또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기(20)의 후측에 있는 블로워(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로 보내어 지고, 상기 토출그릴부(82)에 설치된 수직 블레이드(60)를 통하여 제품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Then, the filtered air is cont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0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0 to exchange heat with cold air, and the heat-exchanged air of the evaporator 20 It is sent to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by a blower (not shown) on the rear side, and the front of the product through the vertical blade 60 installed on the discharge grill portion 82. It is discharged to cool the room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이 때, 상기 증발기(20)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게 되는 바, 상기 증발기(20)에서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증발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증발기(20)에서 생성되는 증발수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벽에 형성된 배수구(31)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증발기 커버부(51)에 맺히는 이슬 방울은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일측벽에 형성된 배수부(150)의 증발수 안내홈(151)으로 유입되고, 그 증발수 안내홈(151)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설된 배수홀(152)을 따라 배수되고, 이 배수된 증발수는 그 하측의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바닥면으로 낙하되며, 그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At this time, the evaporator 20 heats the hot air in the room with cold air. In the evaporator 20, evaporated water is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and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0 is The evaporator cover portion 51 of the indoor upper casing 50 which is directly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31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door lower casing 30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20. Dew drops formed in the inlet flows into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1 of the drain 150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door upper casing 50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1. It is drained along the drainage hole 152, the drained evaporated water fall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ide casing 30 of the indoor side,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31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Drained.

상기 배수홀(152)은 상기 증발수 안내홈(151)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어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원활하게 증발수가 배수되는 것이다.The drain hole 152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151 to prevent the surface tension from acting to smoothly drain the evaporated wa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일측벽에 배수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에 생성된 증발수를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배수구로 낙하시켜 제품의 외부로 배수시키고 증발수의 고여 있음으로 인한 제품의 전기적인 문제 및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vaporated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door upper casing to drain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It is configured to drop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pper casing to the drain of the indoor lower casing to drain to the outside of the product and to prevent the electrical problems and life of the product due to the accumulation of evaporated water is shorten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Claims (3)

증발기를 안착시킨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증발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증발기 커버부와 상기 증발기의 후측에 블로워 삽입부가 형성된 실내측 상부 케이싱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lower casing on which an evaporator is seated, an evaporator cover part assembled on an upper part of the indoor lower casing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a blower insert part formed on a rear side of the evaporator. In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증발기 커버부 및 블로워 삽입부에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배수구로 유출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And a drai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pper casing to drain the evaporat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cover part and the blower insertion part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evaporator to flow out to the drain hole of the indoor lower casing.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부에는 발생된 증발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실내측 상부 케이싱의 일측벽을 따라 하측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개구된 증발수 안내홈과, 상기 증발수 안내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The drainage portion is formed downward along one side wall of the indoor upper casing so that the generated evaporated water flows, and includes an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drainage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수홀은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표면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수 안내홈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The drainage hole evaporated water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ed water guide groove so that surface tension does not act on the evaporated water flowing down.
KR2019980002829U 1998-02-28 1998-02-28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1999003684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9U KR19990036842U (en) 1998-02-28 1998-02-28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9U KR19990036842U (en) 1998-02-28 1998-02-28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42U true KR19990036842U (en) 1999-09-27

Family

ID=697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29U KR19990036842U (en) 1998-02-28 1998-02-28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84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253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951507B1 (en) Condensate drainage arrangement for an evaporator unit
KR19990071209A (en) Window Air Conditioning Grille Hinges
JP3174002B2 (en)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KR101342217B1 (en) A ventilation air-flow structure for indoor unit of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100575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60845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30070A (en) Air conditioner
KR19990036842U (en) Evaporative Water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101144801B1 (en) Dehumidifier
JP4841072B2 (en) Air conditioner
KR100289493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 for air conditioner ventilation port
KR100653785B1 (en) Air conditioner
KR100624737B1 (en) Air conditioner
KR200154579Y1 (en) Establishing structure of front grill of in door machine for airconditioner
KR19990036841U (en) Formation structure of drain for air conditioner
KR101162168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62644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61118B1 (en) Air conditioner
KR20070044219A (en) Dehumidifier
KR200146098Y1 (en) Cover apparatus for cooling material pipe of indoor machine in airconditioner
KR200146096Y1 (en) Controlling apparatus of indoor machine in airconditioner
KR101409014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27535A (en) Main chassis structure for split air conditioner
KR200180233Y1 (e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